KR102173717B1 - 기표대 - Google Patents

기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717B1
KR102173717B1 KR1020180031863A KR20180031863A KR102173717B1 KR 102173717 B1 KR102173717 B1 KR 102173717B1 KR 1020180031863 A KR1020180031863 A KR 1020180031863A KR 20180031863 A KR20180031863 A KR 20180031863A KR 102173717 B1 KR102173717 B1 KR 10217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upport
signboard
hinge
vi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208A (ko
Inventor
허영진
Original Assignee
허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진 filed Critical 허영진
Priority to KR102018003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7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55Voting bo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상태가 견고하고, 이동 및 보관시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기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표대는 중앙에 형성된 기표판과, 상기 기표판의 상부에 배치된 가림막과, 상기 기표판의 하부에 배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표대에 있어서, 기표판은 저면에 형성되어 제1받침대의 상부를 축 고정하는 제1받침대고정구와 제2받침대 상부를 축 고정하는 제2받침대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기표판의 저면 후면 방향에서 비스듬한 전면 바닥까지 형성된 제1받침대와, 기표판의 저면 전면 방향에서 비스담한 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2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와 제1받침대의 사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3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와 제3받침대를 힌지 연결하는 제1힌지와, 상기 제3받침대와 제1받침대를 힌지 연결하는 제2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받침대는 하단부 후면 방향에 결합되어, 제2받침대와 제3받침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견고하게 정렬시키는 제3받침대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받침대와 제3받침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제1받침대와 제2, 제3받침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X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표대{Voting booth}
본 발명은 투표소에 설치되어 유권자가 기표를 하는 기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상태가 견고하고, 이동 및 보관시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기표대에 관한 것이다.
기표대는 투표용지에 써넣거나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놓은 곳으로서, 평평한 판 형상의 기표판과, 상기 기표판의 상부에 배치된 가림막과, 상기 기표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표판을 받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기표대의 받침대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받침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가위의 움직임과 유사한 X자형 받침대와 직립형 받침대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기 직립형 받침대는 I자형 받침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수평부재를 구성하여 상단 수평부재는 기표판과 연결되고, 하단 수평부재는 바닥과 접촉하는 방식이며, 상기 X자형 받침대는 힌지로 중앙이 연결된 2개의 받침대를 X자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X자형 받침대의 일측 상단은 기표판의 저면에 축 고정하고, 타측 상단은 기표판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2종류의 받침대 중에서 X자형 받침대는 절첩 가능한 X자형 받침대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기표대의 설치, 철수 및 이동, 보관이 편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X자 형상 받침대의 구조적 단점인 슬라이딩 가능한 받침대로 인한 설치 상태에서의 견고함 부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16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46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 상태에서 받침대가 견고하게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및 보관시 기표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기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표대는 중앙에 형성된 기표판과, 상기 기표판의 상부에 배치된 가림막과, 상기 기표판의 하부에 배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표대에 있어서, 기표판은 저면에 형성되어 제1받침대의 상부를 축 고정하는 제1받침대고정구와 제2받침대 상부를 축 고정하는 제2받침대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기표판의 저면 후면 방향에서 비스듬한 전면 바닥까지 형성된 제1받침대와, 기표판의 저면 전면 방향에서 비스담한 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2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와 제1받침대의 사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3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와 제3받침대를 힌지 연결하는 제1힌지와, 상기 제3받침대와 제1받침대를 힌지 연결하는 제2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받침대는 하단부 후면 방향에 결합되어, 제2받침대와 제3받침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견고하게 정렬시키는 제3받침대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받침대와 제3받침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제1받침대와 제2, 제3받침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X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표대는 기표판의 저면에 축 고정된 제1받침대, 제2받침대와, 상기 제1받침대 및 제2받침대와 힌지 연결된 제3받침대에 의해 받침대의 조립 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받침대, 제2받침대, 제3받침대가 기표판의 저면으로 수평 절첩이 가능하여 기표대의 이동 및 보관시 부피가 최소화되고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림막고정구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받침대지지구의 구성 및 작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받침대지지구의 작용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도 7을 제외한 전,후,좌,우측 방향은 도 1에 표시된 방향을 의미하고, 도 7에서의 상,하,좌,우측 방향은 도 7에 표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표대는 중앙에 형성된 기표판(200)과, 상기 기표판(200)의 상부에 배치된 가림막(100)과, 상기 기표판(200)의 하부에 배치된 받침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가림막(100), 기표판(200), 받침대(30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가림막(100)은 도면에 3면이 가려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4면이 가려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가림막(100)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표판(200)은 수평 상태의 판 형상으로서, 가림막(100)의 하부 및 받침대(300)의 상부에 배치되고, 기표판(200)의 저면에는 제1받침대고정구(220) 및 제2받침대고정구(2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받침대고정구(220)는 받침대(300)의 제1받침대(310)를 축 고정하고, 제2받침대고정구(230)는 받침대(300)의 제2받침대(320)를 축 고정한다. 상기 제1받침대고정구(220)는 제1받침대(310)의 상부를 상,하 방향에서 고정하여 제1받침대(310)가 제1받침대고정구(22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받침대고정구(230)는 제1받침대고정구(220)와 형상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표판(200)은 가장자리에 2개 이상 배치되는 가림막고정구(210)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가림막고정구(210)는 상부 방향이 개방 형성된 가림막접속홈(211)과, 상기 가림막접속홈(211)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림막고정핀(2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림막접속홈(211)에는 가림막(100)의 하부가 접속되고, 가림막고정핀(212)은 가림막의 고정공(110)에 접속되어 가림막(100)을 고정시킨다. 상기 가림막고정핀(212)의 상부에는 비스듬하게 형성된 접속경사면(213)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경사면(213)은 가림막(100)의 하단부가 접속경사면(213)을 타고 하측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하여 가림막고정핀(212)이 고정공(110)과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받침대(300)는 제1받침대(310), 제2받침대(320), 제3받침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받침대(310)는 기표판(200)의 저면 뒷쪽 방향에서 비스듬한 전면 바닥까지 형성된다. 제2받침대(320)는 기표판(200)의 저면 앞쪽 방향에서 비스듬한 후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받침대(310)와 제2받침대(32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Π'과 유사한 형상이다. 제3받침대(330)는 제2받침대(320)와 제1받침대(310) 사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되 제1받침대(310) 및 제2받침대(320)와 제1힌지(340) 및 제2힌지(35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1힌지(340) 및 제2힌지(350) 또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2받침대(320)와, 제3받침대(33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제1받침대(310)와 제2받침대(320) 및 제3받침대(33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X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힌지(340)는 제2받침대(320)와 제3받침대(330)를 힌지 연결하고, 제2힌지(350)는 제1받침대(310)와, 제3받침대(300)를 힌지 연결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3받침대지지구(321)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제2받침대(320)는 하단부 후면 방향에 결합된 제3받침대지지구(321)를 포함한다. 상기 제3받침대지지구(321)의 위치는 제1힌지(340)의 하부와 제2힌지(350)의 상부 사이이다. 상기 제3받침대지지구(321)는 제2받침대(320)와 제3받침대(3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견고하게 정렬시킨다. 상기 제3받침대지지구(321)는 제3받침대(330)의 후면 방향을 접촉 지지하는 후면지지구(323)와, 제3받침대(330)의 전면 방향을 접촉 지지하는 전면지지구(322)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지지구(323)는 제3받침대(330)의 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한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기표판(200)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졌을 때 제3받침대(330)의 상부는 제1힌지(340)에 의해 제2받침대(320)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3받침대(330)는 제1힌지(340)를 중심으로 뒷쪽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움직임이 발생한다. 상기 후면지지구(323)는 제3받침대(330)의 이러한 움직임을 봉쇄하여 제2받침대(320)와 제3받침대(330)가 견고하게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전면지지구(322)는 제3받침대(330)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지지구(322)는 제3받침대(330)가 후면지지구(323) 방향으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면지지구경사면(322a)을 포함한다. 전면지지구(322)는 좌,우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3받침대(330)와 제2받침대(320)를 동일선 상에서 편리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지지구(322)는 후면지지구(323)에 비해 제3받침대(33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게 형성된다. 이는 전면지지구(322)의 작용이 기표판(200) 및 받침대(300)가 바닥에서 떨어졌을 때, 제1힌지(340)를 중심으로 제3받침대(330)가 전면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이므로 적은 지지력으로 이러한 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5 및 도 6a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지지구(322)는 제3받침대(330)의 앞쪽 방향을 지지하고, 후면지지구(323)는 제3받침대(330)의 뒷쪽 방향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제2받침대(320)와 제3받침대(330)는 제1힌지 및 제3받침대지지대(321)의 작용에 의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견고하고 안정적인 받침 작용이 가능하다. 많은 하중을 견뎌야 하는 후면지지구(323)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넓은 범위로 제3받침대(330)를 지지하고, 후면지지구(323)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하중을 견뎌야 하는 전면지지구(322)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로 제3받침대(330)를 지지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면지지구(322)는 우측 방향으로 젖혀져 아래에서 설명하는 받침대(300)의 절첩 작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작용한다. 상기 전면지지구(322)가 우측 방향으로 젖혀지면 제3받침대(330)는 제1힌지(340)를 중심으로 전면 방향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위 상태는 받침대(300)가 절첩 작용이 가능한 상태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3받침대(33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받침대리브(331)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제3받침대리브(331)는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제3받침대결합홈(33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중앙리브(333)가 형성된다. 상기 제3받침대결합홈(332)은 제3받침대(330)가 억지 끼움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리브(333)는 판체로 형성되어 제3받침대(330)의 조립 상태가 견고하도록 작용한다.
이하, 도 1, 도 2, 도 5, 도 6a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받침 작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300)는 제1받침대고정구(220) 및 제2받침대고정구(230)에 의해 제1받침대(310) 및 제2받침대(320)가 기표판(200)의 저면에서 안정적으로 축 고정된다. 그리고 제3받침대(330)는 제3받침대지지구(321)에 의해 견고하게 받쳐지고, 제3받침대(330)는 제1받침대(310)와 제2힌지(350)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통상적인 X자형 받침대와 동일한 안정적인 받침 작용을 하지만, 통상적인 X자형 받침대의 받침대 슬라이딩 작용이 배재된다. 따라서 매우 견고한 받침 작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절첩 작동 및 작용을 살펴본다. 아래 설명에서 상,하,좌,우측 방향은 도 7에 표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사용자는 제3받침대지지구(321)의 전면지지구(322)를 젖혀 제2받침대(320)의 하단이 좌측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3받침대(330)의 상단부를 제1받침대(310) 방향인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제2힌지(350)의 작용으로 인해 제3받침대(330)는 제1받침대(310)와 동일선 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제2받침대(320)의 하단부가 기표판(200)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완전하게 회전시키고, 제1받침대(310)의 하단부를 우측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3받침대(330)의 하단부 또한 우측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받침대(300) 전체를 수평 상태로 절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300)는 통상적인 X자형 받침대와 동일하게 절첩이 가능하면서도, 통상적인 X자형 받침대의 일측 받침대 슬라이딩 작동을 방지하여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보관 및 이동시 공간활용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가림막: 100 고정공: 110
기표판: 200 210: 가림막고정구
211: 가림막접속홈 212: 가림막고정핀
220: 제1받침대고정구 230: 제2받침대고정구
300: 받침대 310: 제1받침대
320: 제2받침대 321: 제3받침대지지구
322: 전면지지구 323후면지지구
330: 제3받침대 331: 제3받침대리브
332: 제3받침대결합홈 333: 중앙리브
340: 제1힌지 350: 제2힌지

Claims (3)

  1. 중앙에 형성된 기표판(200)과, 상기 기표판(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공(110)을 포함하는 가림막(100)과, 상기 기표판(200)의 하부에 배치된 받침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표대에 있어서,
    상기 기표판(200)은 저면에 형성되어 제1받침대(310)의 상부를 축 고정하는 제1받침대고정구(220)와 제2받침대(320) 상부를 축 고정하는 제2받침대고정구(230)와 기표판(200)의 측면 가장자리에 2개 이상 설치하는 가림막고정구(210)와, 가림막(100)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공(110)으로 구성하되,
    상기 가림막고정구(210)는 상부 방향이 개방 형성되어 가림막(100)의 하단부가 접속되는 가림막접속홈(211)과 상기 가림막접속홈(211)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가림막(100)의 고정공(110)에 접속되는 가림막고정핀(21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대(300)는 기표판(200)의 저면 뒷쪽 방향에서 비스듬하게 전면 바닥까지 형성된 제1받침대(310)와, 기표판(200)의 저면 앞쪽 방향에서 비스듬하게 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2받침대(320)와, 상기 제2받침대(320)와 제1받침대(310)의 사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3받침대(330)와, 상기 제2받침대(320)와 제3받침대(330)를 힌지 연결하는 제1힌지(340)와, 상기 제3받침대(330)와 제1받침대(310)를 힌지 연결하는 제2힌지(350)로 구성하고,
    상기 제2받침대(320)는 하단부 후면 방향에 결합되어, 제2받침대(320)와 제3받침대(3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상에 견고하게 정렬시키는 제3받침대지지구(321)로 구성하고,
    상기 제2받침대(320)와 제3받침대(33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제1받침대(310)와 제2받침대(320) 및 제3받침대(33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X자 형상으로 배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표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받침대(330)는 제3받침대리브(331)를 더욱 포함하되,
    상기 제3받침대리브(331)는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형성되어 좌,우 각각의 제3받침대(330)가 억지 끼움되는 제3받침대결합홈(332)과, 상기 양쪽 제3받침대결합홈(332)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리브(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표대.
KR1020180031863A 2018-03-20 2018-03-20 기표대 KR10217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63A KR102173717B1 (ko) 2018-03-20 2018-03-20 기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63A KR102173717B1 (ko) 2018-03-20 2018-03-20 기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08A KR20190110208A (ko) 2019-09-30
KR102173717B1 true KR102173717B1 (ko) 2020-11-03

Family

ID=6809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863A KR102173717B1 (ko) 2018-03-20 2018-03-20 기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955B1 (ko) * 2019-12-20 2021-08-13 한숙진 조립식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01U (ko) * 1999-03-20 2000-10-16 박무호 야외용 테이블
KR200338163Y1 (ko) 2003-09-30 2004-01-13 홍명석 절첩식 기표대
KR200364661Y1 (ko) 2004-07-22 2004-10-19 전형진 기표대
KR20170112375A (ko) * 2016-03-31 2017-10-12 (주)아이엔알코리아 기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08A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454B1 (ko) 받침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6608749B2 (en) Portable computer pedestal method and apparatus
JPH05503651A (ja) 絵表示フレーム
US4794869A (en) Structure of extendable tables
KR102268028B1 (ko) 휴대용 독서대
US8079166B2 (en) Support assembly and digital photo frame using the same
KR102173717B1 (ko) 기표대
JP6694573B2 (ja) パネル支持脚
KR20160115231A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CN110513389B (zh) 挠性结构及具有挠性结构的组合
KR20210011287A (ko) 독서대 상부경사판
KR200348852Y1 (ko) 절첩 기능을 갖는 휴대용 화이트보드
KR20120064381A (ko) 접이식 힌지장치
JP4319428B2 (ja) 補助天板装置
KR101800543B1 (ko)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
KR200425221Y1 (ko) 강의용 책상
KR20190120870A (ko) 노트북 지지대
KR20170024739A (ko) 접이식 의자
KR102064735B1 (ko) 노트북 지지대
WO2022085229A1 (ja) 家具用接地装置及び家具
KR102292618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CN216619160U (zh) 平板电子设备的支架
KR200331484Y1 (ko) 강의용 의자
JP3160837U (ja) 卓上三面鏡
CN208126253U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