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618B1 -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 Google Patents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618B1
KR102292618B1 KR1020210000728A KR20210000728A KR102292618B1 KR 102292618 B1 KR102292618 B1 KR 102292618B1 KR 1020210000728 A KR1020210000728 A KR 1020210000728A KR 20210000728 A KR20210000728 A KR 20210000728A KR 102292618 B1 KR102292618 B1 KR 10229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ok
desk
upper plat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국
Original Assignee
한국에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스에스(주) filed Critical 한국에스에스(주)
Priority to KR102021000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지지부(16)는, 상판(10)의 하부 양측에서 전후방향을 가지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상판지지부의 선단에는 프론트캡(30)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론트캡(30)에는 가로 방향의 지지공(32)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책지지대(20)는, 프론트캡의 지지공에 각각 결합되도록 양측단부에 성형되는 지지축(22)과, 지지축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26a), 그리고 상부연장부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판 위에서 책을 지지하는 상부연결부(26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축(22)을 이용하여 책지지대를 상부 및 하부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책지지대가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책지지대의 일측이 걸리면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제1지지돌기(42)가 프론트캡에 성형되어 있다.

Description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A desk having a reading stand}
본 발명은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시 선책적으로 독서대를 책상의 상부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사용하는 책상에 대하여 독서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선행 특허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8-0105006호와 같은 선행 특허 문헌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한 책상의 경우에는 상판의 일부를 구조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독서대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책상의 상판 자체를 구조적으로 변경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필요시 책상의 상부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경제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지지부는, 상판의 하부 양측에서 전후방향을 가지는 한 쌍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상판지지부의 선단에는 프론트캡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론트캡에는 가로 방향의 지지공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책지지대는, 프론트캡의 지지공에 각각 결합되도록 양측단부에 성형되는 지지축과, 지지축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 그리고 상부연장부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판 위에서 책을 지지하는 상부연결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판의 상부와 하부로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의하면, 책지지대는, 지지축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를 통하여 상부연장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책지지대가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책지지대의 일측이 걸리면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제1지지돌기가 프론트캡에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제1지지돌기는, 책지지대가 상방으로 회전할 수도록 전방연장부가 점진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과, 경사면의 상단부에 성형되어 전방연장부를 그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책지지대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책지지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제2지지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지지대의 전면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프론트캡을 이용하여 책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에는 상부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실질적으로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 없이, 책지지대를 가장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책지지대는 프론트캡에 성형되어 있는 지지돌기를 이용하여, 상부로 펼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하부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는 책지지대의 사용의 편의성을 한 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책상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책상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책상의 스토퍼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책상의 스토퍼를 보인 예시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책상은, 상판(10)과, 상판(1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12), 그리고 각각의 레그(12)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베이스(14)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레그(12)의 상단부에는 상판(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판지지부(16)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14)는 실질적으로 책상을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 베이스(14)의 전단 또는 후단의 어느 일측에 이동을 위한 롤러(캐스터)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양측 베이스(14)의 전단 하측에 롤러(캐스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후단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이 쉬울 뿐만 아니라, 후단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이동하지 않는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상판지지부(16)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고, 그 상부에 상판(1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판지지부(16) 및 레그(14)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상의 금속재로 성형되고, 이러한 부재들은 용접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책상에는 독서대(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독서대(20)는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시켜 상판(10)의 상부로 올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형태의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상판지지부(16)의 전후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프론트캡(30)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프론트캡(30)을 이용하여 독서대(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자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책지지대(20)는 상술한 프론트캡(20)에 지지되면서 상판(10)의 상부에서 지지되거나 상판(10)의 하부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책지지대(20)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로 성형될 수 있고, 동축상으로 배열되는 지지축(22)을 양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축(22)은 프론트캡(30)에 성형된 지지공(3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지지공(32)은 양쪽의 프론트캡(30)에 동축 상의 가로 방향으로 성형되는데, 프론트캡(30)의 내측에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외측에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축(22)은 책지지대(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성형되는데, 상술한 지지공(32)에 삽입된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양측의 지지축(22)은 서로 마주보도록 성형되어 있어서, 지지공(32)의 외측에서 끼워지도록 설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양측 지지축(22)을 연결하는 부분이 상부로 연장된 책지지부(26)를 형성하게된다. 이러한 책지지부(26)는, 상기 지지축(22)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부(26a)와 양측의 상부연장부(26a)를 연결하는 상단연결부(26b)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부연장부(26a)가 상방으로 연장되었다고 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서대를 세운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의하면, 지지축(22)에서 전방으로 일정 거리 연장된 전방연장부(24)를 통하여 상부연장부(26a)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연장부(24)는, 프론트캡(30)에 성형되는 지지공(32)이 상판(10)의 선단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지지축(22)이 삽입되는 지지공(32)의 위치에 따라서, 즉 프론트캡(30)의 위치에 따라서 전방연장부(24)를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캡(30)이 상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안전성 및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캡(30)에는 책지지대(20)가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돌기(42)가 성형되어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지지돌기(42)는 책지지대(20)의 일부(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전방연장부)를 접촉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면(4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42a)의 하측으로 경사면(42a)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면(42a)은, 책지지대(20)를 상부로 회전시킬 때 전방연장부(24)가 점진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또는 상기 경사면(42a)은 상방에 지지면(42a)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부가 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성형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전방연장부(24)가 제1지지돌기(42)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부연장부(26a)가 대략 직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부연장부(26a)가 책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프론트캡(30)에서의 제1지지돌기(42)의 성형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실시례에서 양측의 지지축(22)이 각각 양측의 지지공(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경사면(42a)을 지나면서 양측의 지지축(22)은 동축상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책지지대(20)의 전방연장부(24)가 경사면(42a)을 지나서 지지면(42b)에 안착되면, 양측의 지지축(22)은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책지지대(20)가 프론트캡(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은 상태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상판(10)의 위로 책지지대(20)를 올려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책지지대(2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판(10)에서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판(10)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역으로, 지지축(22)을 중심으로 책지지대(20)를 하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프론트캡(30)의 외측면에는 제2지지돌기(44)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제2지지돌기(44)는 책지지대(20)를 완전히 하방으로 회전시켰을 때, 책지지대(20)의 전방연장부(24)가 그 상부에서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책지지대(20)가 완전히 하방으로 접힌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제2지지돌기(44)는 이러한 책지지대(2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지지돌기(44)는 실질적으로 책지지대(20)가 완전히 하방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론트캡(30)에 성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돌기(44)는, 상술한 제1지지돌기(42)와 같이, 경사면(42a) 및 지지면(42b)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제2지지돌기(44)는 책지지대(20)가 상판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례에서, 상술한 프론트캡(30)은 상판(10)의 좌우 단부 내측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책지지대(20)의 상부연장부(26a)도 상판(10)의 좌우측 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고, 이는 실질적으로 상부연장부(26a)가 상판(10)의 전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책지지대(20)의 양측이 상판(10)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판(10)의 전면에 해당하는 위치를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책상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책상의 상판지지부(16)를 이용하여, 책지지부(2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착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특허법의 규정취지상 당연할 것으로 생각된다.
10 ..... 상판
16 ..... 상판지지부
20 ..... 책지지대
22 ..... 지지축
24 ..... 전방연장부
26 ...... 책지지대
26a ..... 상부연장부
26b ..... 상부연결부
30 ..... 프론트캡
32 ..... 지지공
42 ..... 제1지지돌기
42a ..... 경사면
42b ..... 지지면
44 ..... 제2지지돌기

Claims (5)

  1. 상판(10)의 하부 양측에서 전후방향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상판지지부(16)와;
    상기 한 쌍의 상판지지부(16)의 선단에 각각 결합되고, 가로 방향의 지지공(32)을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프론트캡(30); 그리고
    프론트캡(30)의 지지공(32)에 각각 결합되도록 양측단부에 성형되는 지지축(22)과, 지지축(2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26a), 그리고 상부연장부(26a)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판(10) 위에서 책을 지지하는 상부연결부(26b)를 구비하는 책지지대(20)로 구성되고,
    책지지대(20)는, 지지축(22)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24)를 통하여 상부연장부(26a)와 연결되는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책지지대(20)가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책지지대(20)의 일측이 걸리면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론트캡(30)에 성형된 제1지지돌기(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지지돌기(42)는, 책지지대(20)가 상방으로 회전할 수도록 전방연장부(24)가 점진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42a)과, 경사면(42a)의 상단부에 성형되어 전방연장부(24)를 그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42b)으로 구성되는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5. 제 3 항에 있어서, 책지지대(2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책지지대(2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제2지지돌기(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KR1020210000728A 2021-01-05 2021-01-05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KR102292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28A KR102292618B1 (ko) 2021-01-05 2021-01-05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28A KR102292618B1 (ko) 2021-01-05 2021-01-05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618B1 true KR102292618B1 (ko) 2021-08-24

Family

ID=7750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728A KR102292618B1 (ko) 2021-01-05 2021-01-05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6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12826U (ko) * 1985-04-04 1986-11-05 한창수 책받이를 겸한 학생용 책상
CN102048376A (zh) * 2009-11-02 2011-05-11 王玉奎 姿势坐标架
KR20120008271U (ko) * 2011-05-24 2012-12-04 구하경 Led램프가 구비된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12826U (ko) * 1985-04-04 1986-11-05 한창수 책받이를 겸한 학생용 책상
KR870002176Y1 (ko) * 1985-04-04 1987-06-24 한창수 책받이를 겸한 학생용 책상
CN102048376A (zh) * 2009-11-02 2011-05-11 王玉奎 姿势坐标架
KR20120008271U (ko) * 2011-05-24 2012-12-04 구하경 Led램프가 구비된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9781U (ja) 板付きフラットウォーカーの構造
US9357839B1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US2791477A (en) Foldable table with hinged top
KR101464114B1 (ko) 접이식 의자가 달린 접이식 책상
KR101851556B1 (ko) 절첩식 책상
KR101555859B1 (ko) 상판의 절첩장치
KR102292618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KR101903878B1 (ko) 의자부착형 접이식 테이블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KR102370475B1 (ko) 안전수단을 구비한 절첩식 침대
JP2010142521A (ja) 上下台を上下に移動できる上下機構
KR101514230B1 (ko) 다용도 조립식 의자
KR200494455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회동억제 장치
KR200473929Y1 (ko) 평상 기능을 가진 테이블
CN108813920A (zh) 带有折叠框架的折叠桌及其折叠框架
KR200450788Y1 (ko) 접이식 책상
KR200472960Y1 (ko) 접이식 좌식책상
KR20170081525A (ko) 테이블 겸용 스툴
KR20110011309U (ko) 절첩식 테이블
FR3121166B1 (fr) Dispositif d’accès en hauteur tel que plateforme avec stabilisateurs et pieds télescopiques
GB2391167A (en) Portable fold-up work surface and seat combination
KR20090005670U (ko) 입식 좌식 겸용 테이블
KR20060090952A (ko) 강의용 책상
KR200331209Y1 (ko) 수납침대의 절첩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