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543B1 -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 - Google Patents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543B1
KR101800543B1 KR1020160063677A KR20160063677A KR101800543B1 KR 101800543 B1 KR101800543 B1 KR 101800543B1 KR 1020160063677 A KR1020160063677 A KR 1020160063677A KR 20160063677 A KR20160063677 A KR 20160063677A KR 101800543 B1 KR101800543 B1 KR 10180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stopper
unit block
axis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열
Original Assignee
유금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열 filed Critical 유금열
Priority to KR102016006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8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ecur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5Applicability
    • E05Y2800/17Universally applic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도어스토퍼가 개시된다. 상기 도어스토퍼는, 도어의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스토퍼로서, 상기 도어스토퍼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도어스토퍼는 제1 걸림부들; 및 제2 걸림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들은 육면체를 평면으로 볼 때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나머지 하나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 걸림부들은 상기 X축 및 Y축에 수직한 Z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걸림부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걸림부들과 평행한 축방향은 상기 Z축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DOOR STOPPER HAVING A PLURALITY OF USAGE PATTERNS}
본 발명은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쐐기형태의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스토퍼는 방문의 하부와 방바닥면의 사이에 쐐기를 끼워 넣어 방문의 닫침을 예방하는 쐐기식과, 통상적으로 말굽형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도어에 브래킷을 설치한 뒤에 그 브래킷에 막대형 지지대의 상부를 힌지식으로 설치하여 지지대의 저면에 설치된 고무팁이 바닥면에 지지되면서 문의 닫침을 예방하는 말굽형 도어스토퍼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쐐기식은 상면이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도어의 하부와 지면 사이의 틈에 끼워짐으로써 도어의 하부에 걸림되면서 지면에 대한 마찰 저항력으로 도어가 닫히지 않게 한다.
말굽식은 도어의 하단부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말굽 막대 형상의 회동막대와, 상기 회동막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어의 고정을 위해 회동막대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고무판이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에 의해 도어가 닫히지 않게 한다. 더욱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동막대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도어스토퍼의 종류 중 쐐기식은 착탈이 가능한 형태이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의 하부와 지면 사이에 끼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도어의 하부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낮은 경우에는 도어스토퍼를 쉽게 도어와 지면 사이에 끼워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도어의 하부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높은 경우, 즉 도어의 하부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도어스토퍼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쐐기식 도어스토퍼는 착탈식 형태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별도로 보관되어야 하며, 이에 의해 쉽게 분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700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면 및 도어의 하단부 사이의 높이에 맞는 각각의 도어스토퍼를 구비할 필요 없이 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도어들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어스토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도어의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스토퍼로서, 상기 도어스토퍼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도어스토퍼는 제1 걸림부들; 및 제2 걸림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들은 육면체를 평면으로 볼 때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나머지 하나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 걸림부들은 상기 X축 및 Y축에 수직한 Z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걸림부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걸림부들과 평행한 축방향은 상기 Z축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스토퍼는, 지면과 평행한 아랫변, 상기 아랫변과 평행하고 상기 아랫변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윗변, 상기 윗변으로부터 둔각 또는 직각을 이루어 상기 아랫변을 향해 연장된 제1 측변 및 제2 측변을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의 윗변에 접하여 있고,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의 아랫변에 접하여 있고, 사각형 형상의 저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의 제1 측변에 접하여 있고, 상기 평면에 대해 둔각 또는 직각인 정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의 제2 측변에 접하여 있고, 상기 평면에 대해 둔각 또는 직각인 배면;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을 향해 연장된 길이를 갖고, 상기 정면 및 배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홈 형태의 제1 걸림부들; 및 상기 평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해 연장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정면 또는 배면을 향해 배열되는 다층의 계단식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의 직사각형 형상의 장축변의 길이는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윗변 및 아랫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스토퍼는 상기 육면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상기 평면의 일지점에서 상기 배면에 평행한 절단면으로 절단되어 제1 단위블록 및 제2 단위블록으로 분할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단위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 단위블록 및 제2 단위블록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근접한 상기 제2 단위블록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위블록에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블록의 상기 제2 단위블록과 접하는 일면에는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스토퍼에 의하면, 지면 및 도어의 하단부 사이의 높이에 맞는 각각의 도어스토퍼를 구비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만으로도 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도어들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면 및 도어의 사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및 문틀의 사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쉽게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스토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구조를 갖고 각각의 블록이 회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도어의 상단에도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고, 도어의 상단에 결합하여 사용시 보행자의 시야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므로 보행자의 시야에 띄지 않고 사용하게 됨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스토퍼가 지면 및 도어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져서 제1 걸림부들을 통해 도어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스토퍼가 지면 및 도어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져서 제2 걸림부들을 통해 도어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스토퍼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어스토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도어스토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제1 걸림부들(170) 및 제2 걸림부들(1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걸림부들(170) 및 제2 걸림부들(180)은 도어(10)의 하단의 단부가 끼워져서 도어(10)의 닫힘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제1 걸림부들(170)은 육면체를 평면으로 볼 때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면, 육면체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제1 걸림부들(170)은 Y축에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걸림부들(170)은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각각의 제1 걸림부(170)는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부들(170)의 배열구조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걸림부들(180)은 육면체를 평면으로 볼 때 X축 및 Y축에 수직한 Z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걸림부들(180)은 제1 걸림부들(170)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각각의 제2 걸림부(180)는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걸림부들(180)의 배열구조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도 1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스토퍼는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 평면(130), 저면(140), 정면(150), 배면(160)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태이고, 제1 걸림부들(170) 및 제2 걸림부들(180)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은, 지면과 평행한 아랫변, 아랫변과 평행하고 아랫변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윗변, 상기 윗변으로부터 둔각 또는 직각을 이루어 상기 아랫변을 향해 연장된 제1 측변 및 제2 측변을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제1 측변은 윗변으로부터 둔각을 이루어 연장될 수 있고, 제2 측변은 윗변으로부터 직각을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은 서로 대향된다.
평면(130)은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 각각의 윗변에 접하여 있다. 이때, 평면(130)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러한 평면(130)의 직사각형 형상의 장축변은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윗변 및 아랫변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저면(140)은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 각각의 아랫변에 접하여 있다. 이때, 저면(140)의 형상은 사각형상이다. 예를 들면, 저면(140)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정면(150)은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 각각의 제1 측변에 접하여 있다. 이때,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제1 측변이 윗변으로부터 둔각을 이루어 아랫변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므로 정면(150)은 평면(130)에 대해 둔각을 이루어 경사지게 형성된다.
배면(160)은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각각의 제2 측변에 접하여 있다. 이때,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제2 측변이 윗변으로부터 직각을 이루어 아랫변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므로 배면(160)은 평면(130)에 대해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 평면(130), 저면(140), 경사진 정면(150) 및 배면(160)의 배치 형태에 따라 도어스토퍼는 사다리꼴 형상의 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통상 도어스토퍼의 사용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쐐기식 및 말굽식 중 쐐기식의 도어스토퍼 형태를 갖는다.
제1 걸림부들(170)은 제1 측면(110)으로부터 제2 측면(120)을 향해 연장된 길이를 갖고, 정면(150) 및 배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정면(1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걸림부들(170)은 사다리꼴 형상의 높이 방향, 즉 정면(150)의 경사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각의 제1 걸림부들(170)은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제1 걸림부들(170)은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일 예로, 제1 걸림부들(170)은 정면(150)에 수직한 단면 형상으로 볼 때 ">"자 형상의 홈 형태일 수 있다.
제2 걸림부들(180)은 평면(130)으로부터 저면(140)을 향해 연장된 길이를 갖고,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정면 또는 배면을 향해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과 같이 제2 걸림부들(180)은 제2 측면(120)으로부터 배면(160)을 향해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걸림부들(180)은 다층의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제2 걸림부들(180)은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스토퍼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플렉시블한 소재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 고무 재질일 수 있고, 재생 플라스틱, 재생 고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제1 걸림부들(170)을 이용한 제1 사용패턴, 제2 걸림부들(180)을 이용한 제2 사용패턴 및 제3 사용패턴을 포함한다.
제1 사용패턴은 지면과 도어(10)의 하단 사이의 높이가 도어스토퍼의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 제1 걸림부들(170)을 이용하여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하는 패턴이다.
제1 사용패턴으로 사용될 때 도어스토퍼의 저면(140)은 지면에 접하도록 놓이고 경사진 정면(150)은 도어(10)에 대향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사진 정면(150)의 최하단의 끝단부를 도어(10)의 하단과 지면 사이로 삽입하면, 정면(150)상에 형성된 제1 걸림부들(170) 중 어느 하나에 도어(10)의 하단부가 걸려서 지지되고 정면(150)의 경사진 전체 길이 중 일부분은 도어(10)의 하단과 지면 사이에 끼워져서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 사용패턴은 지면과 도어(10)의 하단 사이의 높이가 도어스토퍼의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제2 걸림부들(180)을 이용하여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하는 패턴이다.
제2 사용패턴으로 사용될 때 제2 걸림부들(180)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 즉 도어스토퍼의 제1 측면(110)은 지면에 접하도록 놓이고 제2 걸림부들(180)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면(120)은 도어(10)에 대향하게 위치하는 형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걸림부들(180)은 제2 측면(120)으로부터 배면(160)을 향해 다층의 계단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어스토퍼의 배면(160)이 도어(10)를 향하도록 한 후 배면(160) 방향을 도어(10)의 하단과 지면 사이로 삽입하면, 제2 측면(120) 및 배면(160)에 걸쳐 형성된 제2 걸림부들(180) 중 어느 하나에 도어(10)의 하단부가 걸려서 지지되고 배면(160) 방향의 일부분이 도어(10)의 하단과 지면 사이에 끼워져서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3 사용패턴은 제1 사용패턴 및 제2 사용패턴과 달리 도어스토퍼를 도어(10)와 문틀 사이에 끼워서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패턴이다. 이때, 제2 걸림부들(180)이 이용된다.
제3 사용패턴으로의 사용은 지면으로부터 도어(10)의 하단부가 이격된 높이가 낮거나 높은 경우의 구애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이며, 지면으로부터 도어(10)의 하단부가 이격된 높이가 도어스토퍼의 평면(130)의 장축변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사용패턴이다.
제3 사용패턴으로 사용될 때 제2 걸림부들(180)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 즉 도어스토퍼의 제1 측면(110)은 문틀에 접하고 제2 걸림부들(180)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면(120)은 도어(10)의 측단부에 대향하는 형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걸림부들(180)은 제2 측면(120)으로부터 배면(160)을 향해 다층의 계단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어스토퍼의 배면(160)을 도어(10)와 문틀 사이로 삽입하면, 제2 측면(120) 및 배면(160)에 걸쳐 형성된 제2 걸림부들(180) 중 어느 하나에 도어(10)의 측단부가 걸려서 지지되고 배면(160) 방향의 일부분이 도어(10)의 측단부 및 문틀 사이에 끼워져서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높이에 대응하는 경사진 정면(150)의 높이 이하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도어(10)의 하단부 및 지면의 사이에 정면(150) 방향의 일부분을 끼워서 제1 걸림부들(170)을 통해 도어(10)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도어(10)의 하단부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지면에 놓이는 면이 측면이 되도록 방향을 전환한 후 배면(160) 방향의 일부분을 도어(10)의 하단부 및 지면의 사이에 끼워서 제2 걸림부들(180)을 통해 도어(1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도어(10)의 높이에 따른 사용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지면 및 도어(10)의 하단부 사이의 높이에 맞는 각각의 도어스토퍼를 구비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만으로도 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도어(10)들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제3 사용패턴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도어(10)의 하단부가 이격된 높이가 낮거나 높은 경우의 구애 없이 도어(10) 및 문틀의 사이에 끼워서 제2 걸림부들(180)을 통해 도어(10)를 지지하여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지면 및 도어(10)의 사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10) 및 문틀의 사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쉽게 도어(10)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부착수단(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착수단(190)은 도어스토퍼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부착수단(190)은 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자석의 결합을 위해, 도어스토퍼의 저면(140)에 홈(141)을 형성하고, 상기 홈(141) 내에 자석을 삽입할 수 있다. 자석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사각 또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부착수단(190)이 자석으로 구비되는 경우, 부착수단(190)을 이용하여 철재의 도어에 도어스토퍼를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스토퍼의 분실의 문제를 해결하여 용이한 보관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제1 사용패턴 및 제2 사용패턴으로의 용이한 사용을 위해 지면에 접하게 되는 도어스토퍼의 저면(140) 및 제1 측면(110)에는 엠보 형태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지면에 접할 때 도어스토퍼가 지면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스토퍼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어스토퍼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평면(130)의 일지점에서 배면(160)에 평행한 절단면으로 절단되어 제1 단위블록(101) 및 제2 단위블록(102)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되고, 회전축(210) 및 고정축(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단위블록(101) 및 제2 단위블록(102), 회전축(210) 및 고정축(22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단위블록(101) 및 제2 단위블록(102)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평면(130)의 일지점에서 절단되어 분할되므로, 제1 단위블록(101)은 제2 걸림부들(180)이 형성된 배면(160), 평면(130)의 일부, 저면(140)의 일부,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일부분들을 포함하고 있고, 제2 단위블록(102)은 제1 걸림부들(170)이 형성된 정면(150), 평면(130)의 나머지 일부, 저면(140)의 나머지 일부, 제1 측면(110) 및 제2 측면(120)의 나머지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축(210)은 제1 단위블록(101)의 배면(160)으로부터 제1 단위블록(101) 및 제2 단위블록(102)에 관통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축(210)은 각각의 단위블록들(101, 102)이 서로에 대하여 360도 회전하기 위한 축을 구성한다.
고정축(220)은 제1 단위블록(101) 및 제2 단위블록(102)에 관통되어 결합된 회전축(2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고정축(220)은 제1 단위블록(101) 및 제2 단위블록(102)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210)에 근접한 제2 단위블록(102)의 제1 측면(110) 또는 제2 측면(120)으로부터 제2 단위블록(102)에 관통되어 회전축(210)에 결합된다. 일 예로, 고정축(220)은 제2 단위블록(102)의 제1 측면(110)으로부터 제2 단위블록(102)에 관통되어 회전축(210)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축(220)은 핀 또는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축(210)의 끝단부 측에는 고정축(220)이 결합되는 결합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단위블록(101)의 제2 단위블록(102)과 접하는 일면에는 절개홈(101a)이 형성된다. 절개홈(101a)은 제1 단위블록(101)이 도어(10)의 상단과 결합되도록 하는 구멍이다. 절개홈(101a)은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절개홈(101a)의 깊이 및 폭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유리소재 및 목재, 철재 소재 등의 도어에 결합될 수 있는 깊이 및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제1 단위블록(101) 및 제2 단위블록(102)이 서로에 대해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1 단위블록(101)에는 절개홈(10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10)의 상단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는 도어(10)의 하단부 및 지면의 사이에 끼워서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도어(10)의 상단부에 끼워서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를 도어(10)의 상단에 끼워서 사용하고자 할 때, 제1 단위블록(101)을 90도 회전시켜서 절개홈(101a)이 노출되도록 한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홈(101a)을 도어(10)의 상단에 끼워서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를 이용하면 도어(10)의 상단에도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고, 도어(10)의 상단에 결합하여 사용시 보행자의 시야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므로 보행자의 시야에 띄지 않고 사용하게 됨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도어의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스토퍼로서,
    상기 도어스토퍼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도어스토퍼는 제1 걸림부들; 및 제2 걸림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들은 육면체를 평면으로 볼 때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나머지 하나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 걸림부들은 상기 X축 및 Y축에 수직한 Z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걸림부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걸림부들과 평행한 축방향은 상기 Z축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스토퍼는,
    지면과 평행한 아랫변, 상기 아랫변과 평행하고 상기 아랫변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윗변, 상기 윗변으로부터 둔각 또는 직각을 이루어 상기 아랫변을 향해 연장된 제1 측변 및 제2 측변을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의 윗변에 접하여 있고,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의 아랫변에 접하여 있고, 사각형 형상의 저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의 제1 측변에 접하여 있고, 상기 평면에 대해 둔각 또는 직각인 정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의 제2 측변에 접하여 있고, 상기 평면에 대해 둔각 또는 직각인 배면;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을 향해 연장된 길이를 갖고, 상기 정면 및 배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홈 형태의 제1 걸림부들; 및
    상기 평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해 연장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정면 또는 배면을 향해 배열되는 다층의 계단식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의 직사각형 형상의 장축변의 길이는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윗변 및 아랫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스토퍼는 상기 육면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스토퍼는,
    상기 평면의 일지점에서 상기 배면에 평행한 절단면으로 절단되어 제1 단위블록 및 제2 단위블록으로 분할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단위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 단위블록 및 제2 단위블록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근접한 상기 제2 단위블록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위블록에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블록의 상기 제2 단위블록과 접하는 일면에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KR1020160063677A 2016-05-24 2016-05-24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 KR10180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77A KR101800543B1 (ko) 2016-05-24 2016-05-24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77A KR101800543B1 (ko) 2016-05-24 2016-05-24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543B1 true KR101800543B1 (ko) 2017-11-22

Family

ID=6080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677A KR101800543B1 (ko) 2016-05-24 2016-05-24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568A (ko) * 2019-11-04 2021-05-12 유금열 다용도 도어 스토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094A (ja) 2007-04-25 2008-11-06 Koji Okuda ドアだけで固定・解除できるドアストッパー
KR101298851B1 (ko) 2012-02-24 2013-08-23 이학철 도어 및 서랍용 닫힘 방지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094A (ja) 2007-04-25 2008-11-06 Koji Okuda ドアだけで固定・解除できるドアストッパー
KR101298851B1 (ko) 2012-02-24 2013-08-23 이학철 도어 및 서랍용 닫힘 방지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568A (ko) * 2019-11-04 2021-05-12 유금열 다용도 도어 스토퍼
KR102388404B1 (ko) * 2019-11-04 2022-04-19 유금열 다용도 도어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3580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pivotable arm
JP4936243B2 (ja) 隠し蝶番の構造
GB2504580A (en) Retractable multi-outlet socket box
US8020255B2 (en) Hinge
KR101800543B1 (ko)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
JP2011199281A (ja) サーバーケース
US20170150623A1 (en) Case assembly and locking device
US8189346B2 (en) Securing device, and assembly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uring device
JP6778609B2 (ja) 建具
JP6564612B2 (ja) 角芯及びレバーハンドル構造体
EP2481873A1 (en) Hinge
DE102008039080B4 (de) Gehäuse mit einbruchsicherem Türscharnier
US4094040A (en) Hinge
KR20140003923A (ko) 안전도어
CN216690925U (zh) 纱窗固定结构及窗户组件
KR200283281Y1 (ko) 화일박스의 안전 잠금장치
JP3092682U (ja) 組み立て式収納棚
JP3985950B2 (ja) シャッタ付きキャビネット
JP5292275B2 (ja) 開き戸装置における開放規制装置
EP2625349A1 (en) An adjustable templat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template
JP2012148413A (ja) 樹脂製の綴じ具
JP5302108B2 (ja) 開き戸付属装置の戸パネル側部材用の取付具
JP5481266B2 (ja) コンセントカバー
JP2021040474A (ja) 接続アセンブリ及びそのケーブル管理装置
JP2000018808A (ja) 貯蔵庫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