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025A - 접이식 선반 - Google Patents

접이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025A
KR20170065025A KR1020170067039A KR20170067039A KR20170065025A KR 20170065025 A KR20170065025 A KR 20170065025A KR 1020170067039 A KR1020170067039 A KR 1020170067039A KR 20170067039 A KR20170067039 A KR 20170067039A KR 20170065025 A KR20170065025 A KR 20170065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brackets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혁
한신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젠드
Priority to KR102017006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5025A/ko
Publication of KR2017006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은, 설치면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반경을 갖도록 가이드 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들의 사이에서 좌우단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상기 브라켓들의 전단에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인접하게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호 간의 걸림 및 걸림 해지 동작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 또는 수직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선반{FOLDING SHELF}
본 발명은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 사용시 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설치면에 근접한 위치로 거치시킴으로써, 플레이트의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로 유동 없이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은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매장 등에서는 물품 보관을 위한 선반이 사용되며, 선반 중에는 지면에 세워놓거나 설치면에 부착시키는 형태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선반 중에는, 벽면 등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플레이트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형태가 사용되고 있으며, 접이식 선반의 경우 공간 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접이식 선반은, 벽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지지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회동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접이식 선반은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 외부로 크게 돌출되어 있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플레이트를 접고자 하는 경우 지지 프레임과의 결속 구조를 해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플레이트를 절첩시킨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할 수 있어 별도의 고정부재를 결합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등록실용 제20-0272625호(2002년 04월 0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접이식 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 사용시 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설치면에 근접한 위치로 거치시킴으로써, 플레이트의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로 유동 없이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접이식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력을 이용한 걸림 및 걸림 해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록킹 과정 없이도 프레이트를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접이식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은, 설치면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반경을 갖도록 가이드 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들의 사이에서 좌우단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상기 브라켓들의 전단에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인접하게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호 간의 걸림 및 걸림 해지 동작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 또는 수직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회동 반경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림 위치시키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의 상단에 걸림 위치시 수평하게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의 하단에 걸림 위치시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단에 각각 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캠부재와, 상기 브라켓들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는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되느 로드 및,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로드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로드의 일단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 압축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면은 상기 플레이트가 수평하게 위치되는 경우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위치되는 경우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로드의 일단에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롤러가 더 결합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안내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결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단에는 상기 회전축이 형성된 연결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들은 마주보는 일측면에 상기 캠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상기 로드와 반대되는 일단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가압하는 조절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회전을 통한 삽입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반경이 커지도록 다수가 설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홀들에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들은 상기 고정 지지대들의 마주보는 일면에 결합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지지대들의 대응 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지지대들의 대응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레일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들의 후단에는 상기 고정 지지대들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단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들은 상기 고정 지지대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위치되도록 다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 사용시 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설치면에 근접 위치로 거치시킴으로써, 플레이트의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로 유동 없이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별도의 잠금 해지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치 및 보관의 용이성을 가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손쉽게 절첩이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플레이트가 수평하게 펼쳤을 때 위치조절부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에서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 위치조절부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에서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 위치조절부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플레이트가 수평하게 펼쳤을 때 위치조절부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에서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 위치조절부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에서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 위치조절부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은 한 쌍의 고정 지지대(100)와, 한 쌍의 브라켓(200)과, 플레이트(300) 및, 위치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고정 지지대(100)들은 설치면(실내/실외의 벽면 등, 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별도의 체결부재(B)에 의해 설치면(10)에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지지대(100)들은 설치면(10)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지지대(100)들의 길이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지대(100)에는 체결부재 등을 설치면(10)에 관통 결합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 지지대(100)는 설치면(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지지대(100)는 접착 방식을 이용한 부착 방식이나, 설치면(10)에 고정된 걸이 기구 등에 결합시키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브라켓(200)들은, 고정 지지대(100)들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200)의 후단이 고정 지지대(100)들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00)들은 금속, 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200)들의 후단은 설치면(10)과 대응되도록 수직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0)들은 그 전단이 고정 지지대(100)들의 전방을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브라켓(200)들은 고정 지지대(100)들에 동일 높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00)들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반경을 갖도록 가이드 홀(210)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홀(210)은 후술 될 회전축(30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가이드 돌기(302)의 회동 반경을 형성하고, 가이드 돌기(302)를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림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210)은 하나의 개수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도 1, 3, 5, 7에서와 같이 후술 될 회전축(30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반경이 커지도록 다수가 설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00)들은 고정 지지대(100)들의 마주보는 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B)에 의해 고정 지지대(100)들의 대응 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지지대(100)들의 대응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레일(1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브라켓(200)들의 후단에는 레일(110)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단(2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단(22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지지대(100)들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삽입단(220)의 일단이 레일(11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단(220)이 레일(1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브라켓(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고정 지지대(100)에 결합된 브라켓(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라켓(200)들은 도 1 내지 도 7에서처럼 고정 지지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위치되도록 다단으로 배열시킬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200)들 간의 상하 간격은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플레이트(300)는, 브라켓(200)들의 사이에서 좌측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300)의 좌우단에는 회전축(301)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01)은 브라켓(200)들의 전단에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301)은 상기 플레이트(300)의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즉, 상기 회전축(301)을 기준으로 플레이트(300)의 전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플레이트(300)는 수평 또는 수직하게 회동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00)의 좌우단에는 회전축(301)과 인접한 위치에 가이드 돌기(302)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302)는, 전술한 가이드 홀(210)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302)는 플레이트(300)를 상하로 회동시 가이드 홀(210)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302)는 가이드 홀(21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홀(210)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플레이트(300)는, 가이드 돌기(302)가 가이드 홀(21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는 경우,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플레이트(300)는 가이드 돌기(302)가 가이드 홀(21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는 경우, 도 5 내지 도 9에서처럼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위치 조절부(400)는, 브라켓(200)과 플레이트(3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위치 조절부(400)는 상호 간의 걸림 및 걸림 해지 동작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300)를 수평 또는 수직하게 회동 위치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위치조절부(400)는, 도 8과 도 9에서처럼 한 쌍의 캠부재(410)와, 본체(420)와, 로드(430) 및, 탄성부재(44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캠부재(410)들은,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플레이트(100)의 좌우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캠부재(410)의 외면에는 플레이트(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안내면(4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면(411)은 플레이트(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00)가 수직하게 위치시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411)을 따라 걸림홈(412)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412)은 수평 걸림홈(412a)과 수직 걸림홈(412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걸림홈(412a)은, 안내면(411)의 일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플레이트(300)가 수평하게 위치되는 경우, 도 4에서처럼 후술 될 로드(430)의 일단이 걸림 위치된다.
수직 걸림홈(412b)은, 상기 수평 걸림홈(412a)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플레이트(300)가 수직하게 위치되는 경우, 도 8과 도 9에서처럼 후술 될 로드(430)의 일단이 걸림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걸림홈(412b)과 수평 걸림홈(412a)의 사이 구간에 걸림홈(412)을 더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플레이트(300)를 다양한 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다.
본체(420)는, 브라켓(200)들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본체(420)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420)의 공간부 내에는 로드(4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로드(430)의 일단이 본체(420)의 하방으로 출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430)의 일단은 안내면(411)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로드(430)의 일단은 플레이트(300)의 위치에 따라 걸림홈(412)에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430)의 일단에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롤러(431)가 더 결합된다.
상기 롤러(431)는, 안내면(411)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며, 플레이트(300)의 결정된 위치에 따라 걸림홈(412)에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된다.
도 4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431)가 걸림홈(412)에 걸림 위치되는 경우, 로드(430)는 후술 될 탄성부재(4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공간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반면, 상기 롤러(431)가 걸림홈(4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로드(430)는 후술 될 탄성부재(440)를 압축시키면서 공간부로 삽입된다.
탄성부재(440)는, 본체(420)의 공간부 내에서 로드(430)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며, 로드(430)의 일단이 걸림홈(4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압축되어, 로드(430)가 본체(420)의 공간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40)는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형태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300)의 좌우단에는 연결 프레임(31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 프레임(310)들은 마주보는 일측면에 캠부재(41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300)의 좌우단에는 회전축(3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300)의 좌우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회전축(301)이 브라켓(200)들을 통해 결합되어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한편, 본체(420)의 외부에는 로드(430)와 반대되는 일단을 통해 본체(420)의 공간부로 관통 결합되어, 탄성부재(440)의 일단을 가압하는 조절부재(421)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421)는, 본체(4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조절부재(421)는 회전을 통한 삽입 길이 조절을 통해 탄성부재(440)의 압축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부재(421)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420)의 외부로 후퇴시키는 경우, 탄성부재(440)가 로드(430)를 지지하는 강도가 하향되므로, 작은 힘으로 플레이트(3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조절부재(421)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420)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경우, 탄성부재(440)가 로드(430)를 지지하는 강도가 상향되므로, 플레이트(300)가 작은 힘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레이트(300)를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도 4에서처럼 롤러(431)가 안내면(4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평 걸림홈(412a)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롤러(431)가 수평 걸림홈(412a)에 삽입되는 순간, 로드(430)가 탄성부재(4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공간부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롤러(431)가 탄성부재(440)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 걸림홈(412a)에 걸림 위치되므로, 플레이트(300)는 상부로 회동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플레이트(300)를 상부로 절첩시키는 경우, 롤러(431)가 수평 걸림홈(412a)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로드(430)가 공간부로 삽입되고, 롤러(431)는 안내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직 걸림홈(412b)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롤러(431)가 수직 걸림홈(412b)에 삽입되는 순간, 로드(430)가 탄성부재(4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공간부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300)가 설치면(10)에 근접 위치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시 플레이트(300)를 설치면(10)으로부터 회전시켜 넓은 면적의 선반으로 활용 가능하고, 비 사용시에는 플레이트(300)를 설치면(10)으로 회전시켜 유동 없이 보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은 별도의 잠금 해지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치 및 보관의 용이성을 가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손쉽게 절첩이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설치면 100: 고정 지지대
110: 레일 200: 브라켓
210: 가이드 홀 220: 삽입단
300: 플레이트 301: 회전축
302: 가이드 돌기 310: 연결 프레임
400: 위치 조절부 410: 캠부재
411: 안내면 412: 걸림홈
412a: 수평 걸림홈 412b: 수직 걸림홈
420: 본체 421: 조절부재
430: 로드 431: 롤러
440: 탄성부재 B: 체결부재

Claims (10)

  1. 설치면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반경을 갖도록 가이드 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들의 사이에서 좌우단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상기 브라켓들의 전단에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인접하게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호 간의 걸림 및 걸림 해지 동작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 또는 수직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회동 반경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림 위치시키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의 상단에 걸림 위치시 수평하게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의 하단에 걸림 위치시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단에 각각 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캠부재와,
    상기 브라켓들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는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되느 로드 및,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로드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로드의 일단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 압축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상기 플레이트가 수평하게 위치되는 경우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위치되는 경우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에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롤러가 더 결합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안내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결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단에는,
    상기 회전축이 형성된 연결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들은,
    마주보는 일측면에 상기 캠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상기 로드와 반대되는 일단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가압하는 조절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회전을 통한 삽입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반경이 커지도록 다수가 설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홀들에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들은,
    상기 고정 지지대들의 마주보는 일면에 결합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지지대들의 대응 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대들의 대응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레일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들의 후단에는,
    상기 고정 지지대들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들은,
    상기 고정 지지대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위치되도록 다단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KR1020170067039A 2017-05-30 2017-05-30 접이식 선반 KR20170065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39A KR20170065025A (ko) 2017-05-30 2017-05-30 접이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39A KR20170065025A (ko) 2017-05-30 2017-05-30 접이식 선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76 Division 2015-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025A true KR20170065025A (ko) 2017-06-12

Family

ID=5921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039A KR20170065025A (ko) 2017-05-30 2017-05-30 접이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0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541B1 (ko) * 2018-12-12 2019-08-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연결 고정구
CN111202357A (zh) * 2020-01-20 2020-05-29 河南科技学院 一种用于设计工作的新型工作台
KR102233829B1 (ko) * 2019-11-06 2021-04-02 주식회사 대원이엔티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KR20210045173A (ko) * 2019-10-16 2021-04-26 심병섭 접이식 선반 받침구
KR102322113B1 (ko) * 2021-03-22 2021-11-05 이성갑 염소제 보충이 용이한 염소제 투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541B1 (ko) * 2018-12-12 2019-08-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연결 고정구
KR20210045173A (ko) * 2019-10-16 2021-04-26 심병섭 접이식 선반 받침구
KR102233829B1 (ko) * 2019-11-06 2021-04-02 주식회사 대원이엔티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CN111202357A (zh) * 2020-01-20 2020-05-29 河南科技学院 一种用于设计工作的新型工作台
KR102322113B1 (ko) * 2021-03-22 2021-11-05 이성갑 염소제 보충이 용이한 염소제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5025A (ko) 접이식 선반
US11602217B2 (en) Wall mount system
US9406345B2 (en) Horizontal coupling of vertically-oriented hard drive
CN101167614B (zh) 一体式抽屉滑轨组件
US7198088B2 (en) Blind/curtain mounting bracket for curtain rods
TW201829899A (zh) 用於在家具壁上引導滑門或折疊滑門的配置
US11168920B1 (en) Window air conditioning unit anti-tip bracket assembly
CN107588311A (zh) 一种用于平板电视的墙壁悬挂装置
CN102191673A (zh) 一种用于电暖器的简易安装晾衣架
KR200209456Y1 (ko) Pdp 텔레비젼의 벽걸이장치
KR20100010944U (ko)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KR102211976B1 (ko) 조립식 선반의 회동식 행거장치
KR200442585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의 선반 체결구조
CN207463253U (zh) 一种实验室仪器存放固定装置
CN210439859U (zh) 一种家具用旋转五金件
EP1804614A1 (en) Universal bracket used to fix doors to cabinet pull-out elements
JP6437393B2 (ja) スクリーン装置の取付構造
WO2009133609A1 (ja) 縦型ルーバー
CN215236476U (zh) 一种等离子清洗机的移送机构
KR200444622Y1 (ko) 수납트레이의 패널 체결장치
WO2022088044A1 (zh) 搁架组件及储物柜
CN215226681U (zh) 一种用于窗户遮光组件的连接结构
CN219655767U (zh) 屏幕支架
CN221121802U (zh) 一种多角度调节的电视机挂架
CN216383512U (zh) 一种智能家居用方便安装的投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