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012A -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012A
KR20160000012A KR1020140076231A KR20140076231A KR20160000012A KR 20160000012 A KR20160000012 A KR 20160000012A KR 1020140076231 A KR1020140076231 A KR 1020140076231A KR 20140076231 A KR20140076231 A KR 20140076231A KR 20160000012 A KR20160000012 A KR 20160000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amping
back plate
plate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7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012A/ko
Publication of KR20160000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66Resiliently mounted seat or back-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판부 및 등판부; 및 상기 좌판부의 회동 시 상기 등판부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등판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등판부와 상기 댐핑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의자{Folding chair}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 및 성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 있는 경우에는 펼쳐져서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다가, 사용자가 자리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접어지는 형태의 의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접이식 의자는 다수의 관중을 수용하는 경기장, 극장 또는 영화관 등에 설치되며, 관중이 자리에서 일어나게 되면 좌판부가 자동으로 세워지면서 접이 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하중의 유무에 따라 좌판부가 자동으로 세워지는 원리는 스프링의 복원력 또는 등판부의 자중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상기 좌판부의 고속 회전에 의해 부재간에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자리에서 일어나는 경우 좌판부가 접이 되며, 상기 좌판부와 등판부는 서로 세게 부딪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판부와 등판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해 접촉부분이 마모될 수 있다.
한편,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좌판부의 접이는 무수히 많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결국 좌판부와 등판부의 접촉에 의한 충격에 의해 접이식 의자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수명 및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좌판부가 반복적으로 접이 되더라도 내구성에는 영향이 없도록 하여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부가 반복적으로 접히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좌판부와 등판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판부 및 등판부; 상기 등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좌판부의 회동에 따른 상기 등판부의 회동 시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어 상기 좌판부의 회동 및 상기 등판부의 회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댐핑부가 서로 접촉되기 이전에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여 상기 접촉에 의한 상기 접촉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상기 파손방지부는, 상기 접촉부가 관통되도록 홀로 형성되거나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파손방지부를 관통하고 난 후 상기 댐핑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파손방지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댐핑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상기 댐핑부는, 상기 파손방지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상기 댐핑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촉 시 상기 좌판부 또는 상기 등판부의 회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상기 댐핑부는,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완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상기 등판부는, 상기 좌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부, 상기 등받침부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등받침부와 상기 고정대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 및 상기 매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댐핑부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파손방지부의 일측 방향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가 반복적으로 접히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좌판부 또는 등판부의 회동(회전)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좌판부와 등판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켜 성능 및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개략 확대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7은 도 1의 A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확대도.
도 8은 도 1의 A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에 완충부가 추가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10)는 고정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대(100), 상기 고정대(100)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판부(200)와 등판부(300) 및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10)를 고정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 받침부(110), 지지부(120), 체결부(130), 기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10)는 고정구조물인 각종 바닥이나 벽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110)와 고정구조물과의 결합 방법은 체결부재인 나사와 볼트에 의한 결합, 본딩 결합 및 용접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지지부(120)는 상기 받침부(110)와 각각 대응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10)의 높이를 규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2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을 위해 공지의 수단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는 체결부(13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지지부(120)와 기둥부(14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110),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체결부(130)는 별도의 부재로 제조된 후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110),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체결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체결부(130)의 양측에는 각각 기둥부(14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140)는 등판부(3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부(310)가 수용되는 파손방지부(14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손방지부(147)는 상기 접촉부(310)와 댐핑부(400)가 서로 접촉되기 이전에 상기 접촉부(310)를 수용하여 상기 접촉에 의한 상기 접촉부(3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310)가 관통되도록 하는 일종의 홀일 수 있다.
상기 파손방지부(147)는 상기 고정대(100)의 상기 기둥부(14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즉,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 방향으로 함입되는 일종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손방지부(147)가 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파손방지부(147)를 관통하고 난 후 상기 댐핑부(40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파손방지부(147)가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좌판부(200)의 회동에 따른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 시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댐핑부(400)와 접촉되려면, 상기 접촉부(147)는 상기 파손방지부(147)에 일부 수용되어야 한다.
접촉부(310)는 상기 파손방지부(14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손방지부(147)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댐핑부(40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손방지부(147)는 상기 접촉부(310)와 상기 댐핑부(400)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310)가 이동되는 직선궤도 또는 회전궤도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댐핑부(400) 또한 상기 파손방지부(147)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파손방지부(147)에 수용된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댐핑부(400)와 쉽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접촉부(310)가 회전궤도를 갖고 상기 파손방지부(147)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310)의 회전궤도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댐핑부(147)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손방지부(147)의 횡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등판부(300)의 회전반경에 따라 상기 파손방지부(147)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타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파손방지부(147)는 상기 등판부(300)가 회동 시,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댐핑부(400)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접촉부(310)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접촉부(310)가 흔들릴 수 있는 범위를 규정하여, 상기 접촉부(3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310)가 흔들리는 중에 상기 댐핑부(400)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접촉부(310)와 상기 댐핑부(400)의 각 대향면이 어긋난 상태로 접촉하게 되며, 상기 대향면의 일부분에 힘이 편중되어 상기 접촉부(310)는 더욱더 요동칠 수 있으나, 상기 파손방지부(147)가 상기 접촉부(310)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므로, 상기 접촉부(3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둥부(140)는 좌판부(200) 및 등판부(300)의 회동을 위한 회동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대(100)의 일 구성인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좌판부(200) 및 등판부(300)와 고정대(100)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500)와 체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좌판부(200) 및 상기 등판부(300)를 회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판부(200)는 사용자의 하중의 유무에 따라 종속적으로 상기 고정대(100)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X, 도 4 참조) 또는 시계 방향(Y, 도 4 참조)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하중이 좌판부(200)의 상면에 가해지는 경우 좌판부(200)는 등판부(300)에 대하여 대략 수직 상태로 벌려져서 설치 상태로 되며,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상기 좌판부(200)는 자연적으로 접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어 상기 좌판부(200)가 접히는 경우 등판부(300)도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은 상기 등판부(300)와 고정대(100)의 기둥부(140)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5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500)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등판부(300) 및 상기 고정대(100)와 체결되어 상기 등판부(300)를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500)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510, 도 3 내지 도 6 참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톱퍼(510)는 상기 좌판부(200)의 회동 시 상기 고정대(100)의 일부와 접촉되어 상기 좌판부(20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대(100)의 기둥부(140)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관통부(14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톱퍼(510)는 사용자의 하중 가압 시 상기 관통부(145)를 규정하는 일면인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좌판부(20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45)는 외관 상 미를 위하여 밀폐부(600)에 의해 덮일 수 있으며, 상기 밀폐부(6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은 상기 등판부(300)와 기둥부(140)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팔걸이부(700)에 의해 보조될 수도 있으며, 상기 팔걸이부(700)는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대략 좌판부(20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댐핑부(400)는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어 좌판부(200)가 회동하는 경우 등판부(300)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성요소로, 고정대(100)의 기둥부(1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140)에 고정되는 결합부(410) 및 상기 결합부(4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등판부(300)의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부(4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완화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판부(300)와 상기 완화부(420)의 접촉은 상기 등판부(300)에 구비되는 접촉부(3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310)는 상기 등판부(300)가 접히는 경우 댐핑부(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310)는 등판부(300)의 모서리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좌판부(200) 및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 시 상기 기둥부(140)의 파손방지부(147)를 통해 상기 댐핑부(400)의 완화부(420)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3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파손방지부(147)에 수용되며, 상기 파손방지부(147)에 수용된 상기 접촉부(310)의 끝단부가 상기 완화부(420)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310)와 상기 댐핑부(400)가 접촉 시 상기 좌판부(200) 또는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등판부(300)는, 상기 좌판부(2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부(340), 상기 등받침부(340)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등받침부(340)와 상기 고정대(100)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350) 및 상기 매개부(35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310)를 지지하는 연장부(320)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댐핑부(400)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파손방지부(147)의 일측 방향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접촉부(310)가 댐핑부(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도록, 위치설정을 위한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며, 상기 좌판부(200)의 회동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파손방지부(147)를 덮어 상기 파손방지부(147)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파손방지부(147)를 통해 들어온 이물질에 의해 상기 댐핑부(40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연장부(320)가 상기 수용부(147)를 덮음으로써, 접이식 의자(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310)의 접촉에 의한 상기 완화부(420)의 상기 결합부(410) 내부로의 삽입 또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등판부(300) 및 좌판부(200)의 회동 시 상기 완화부(420)의 상기 결합부(410) 외측으로의 돌출은 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체 또는 유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완화부(420)의 작용은 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체 또는 유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화부(420)는 등판부(300)의 접촉시 상기 등판부(300)의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등판부(300) 또는 상기 좌판부(200)의 회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어 좌판부(200)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좌판부(200)와 상기 등판부(300)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판부(200)와 상기 등판부(300)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하여 충격에 의한 마모 또는 충격 소음을 최소할 수 있으며, 결국 내구성을 향상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10)의 성능 및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10)는 사용자의 하중이 좌판부(200)의 상면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좌판부(200)와 등판부(300)는 대략 수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판부(200)의 고정은 연결부(500)에 구비되는 스톱퍼(510)가 고정대(100)와 접촉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둥부(140)의 관통부(145)를 규정하는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좌판부(200)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하중이 좌판부(200)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좌판부(200) 및 등판부(300)는 자동적으로 스프링 등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되어 접히게 된다.
여기서, 자동적으로 상기 좌판부(200)가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력은 스프링 등에 의해 제공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수단 모두 적용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판부(200) 및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 시 상기 좌판부(200) 및 상기 등판부(300)는 복원력에 의해 고속으로 회동되게 되며, 회동 속도에 의한 관성에 의해 상기 좌판부(200)와 상기 등판부(300)는 접촉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10)는 등판부(300)에 구비되는 접촉부(310)와 댐핑부(400)에 의해 상기 좌판부(200)와 상기 등판부(300)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하중이 좌판부(200)로부터 제거되고 나면 등판부(300) 및 좌판부(200)는 회동되어 결국 서로 나란한 상태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등판부(300)에 구비되는 접촉부(310)와 댐핑부(400)의 완화부(420)가 상기 파손방지부(147)를 통해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 속도는 저감되게 된다.
즉, 상기 접촉부(310)와 상기 완화부(420)의 접촉에 의해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며, 접촉 이후부터 상기 등판부(300)의 회동 속도는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등판부(300) 및 상기 좌판부(200)가 고속으로 회동하는 경우라도 결국에는 댐핑부(400)에 의해 최종적인 회동 속도는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결국, 등판부(300)와 좌판부(200)의 접촉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좌판부(200)와 상기 등판부(300)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하여 충격에 의한 마모 또는 충격 소음을 최소할 수 있으며, 결국 내구성을 향상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10)의 성능 및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A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한 이하 실시예는 파손방지부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접이식 의자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파손방지부에 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부(310, 도 1 참조)는 파손방지부(1147)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 내에서 댐핑부(1400)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핑부(1400)는 상기 파손방지부(1147)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310)와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좌판부(200, 도 1 참조)의 회동에 따른 등판부(300)의 회동 시, 상기 접촉부(310)와 상기 댐핑부(1400)가 서로 접촉되기 이전에 상기 파손방지부(1147)에 수용되고, 상기 접촉부(310)가 일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파손방지부(1147)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기 댐핑부(1400)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좌판부(200)와 상기 등판부(300)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A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한 이하 실시예는 파손방지부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접이식 의자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파손방지부에 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파손방지부(2147)는 접촉부(23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쉽게 말해,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파손방지부(147)의 홀과 같은 형상의 일측면을 개방시킨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파손방지부(2147)는 일부 개방된 형태를 갖음으로써, 홀의 모양을 일부 확장시킬 수 있어, 상기 접촉부(23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접촉부(2310)가 상기 파손방지부(2147)에 수용되기 위해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2310)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파손방지부(2147)의 수용위치와 다르게 접근하더라도, 일부 개방된 형태의 파손방지부(2147)의 홀이 일부 변형될 수 있어 상기 접촉부(231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에 완충부가 추가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3320)와 결합되며, 좌판부(200, 도 1 참조)의 회동 시 상기 고정대(100, 도 1 참조)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3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3330)는, 상기 연장부(3320)와 상기 접촉부(33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좌판부(200)의 회동 시 상기 연장부(3320)가 상기 고정대(100)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3320)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좌판부(200)의 회동 시 상기 접촉부(3300)와 상기 댐핑부(4400)에 의해 상기 등판부(300)와 상기 좌판부(200)가 접촉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2차적으로 상기 완충부(3330)와 상기 고정대(100)에 의해 상기 등판부(300)와 상기 좌판부(20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댐핑부(3400)의 충격 흡수 성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상기 댐핑부(3400)와 상기 접촉부(3310)가 접촉하면 강한 충격에 의해 상기 댐핑부(3400)와 상기 접촉부(3310)가 파손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좌판부(200)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등판부(300)와 상기 좌판부(200)가 접촉되어 충격에 의한 파손에 이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완충부(3330)에 의해 상기 등판부(300)와 상기 고정대(100)가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좌판부(200)와 상기 등판부(30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3330)의 작용은 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체 또는 유압식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쿠션감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등판부(300, 도 1 참조)의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부(340, 도 1 참조), 상기 등받침부(340)와 고정대(4100)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350, 도 1 참조) 및 상기 매개부(350)로부터 연장되어 접촉부(310, 도 1 참조)를 지지하는 연장부(320, 도 1 참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등판부(4300)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있어서, 등받침부, 매개부 및 연장부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들을 조립 또는 결합하지 않고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촉부(4310) 또한 상기 등판부(4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판부(430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각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실시예들은 차이점을 두는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접이식 의자 100: 고정대
200: 좌판부 300: 등판부
400: 댐핑부 500: 연결부
600: 밀폐부 700: 팔걸이부
800: 브라켓

Claims (8)

  1.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판부 및 등판부;
    상기 등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좌판부의 회동에 따른 상기 등판부의 회동 시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어 상기 좌판부의 회동 및 상기 등판부의 회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댐핑부가 서로 접촉되기 이전에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여 상기 접촉에 의한 상기 접촉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를 구비하는 접이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방지부는,
    상기 접촉부가 관통되도록 홀로 형성되거나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홈으로 형성되는 접이식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파손방지부를 관통하고 난 후 상기 댐핑부와 접촉하는 접이식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파손방지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댐핑부와 접촉되는 접의식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파손방지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접이식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촉 시 상기 좌판부 또는 상기 등판부의 회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접이식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완화부를 구비하는 접이식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는, 상기 좌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부, 상기 등받침부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등받침부와 상기 고정대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 및 상기 매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댐핑부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파손방지부의 일측 방향을 덮는 접이식 의자.
KR1020140076231A 2014-06-23 2014-06-23 접이식 의자 KR20160000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31A KR20160000012A (ko) 2014-06-23 2014-06-23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31A KR20160000012A (ko) 2014-06-23 2014-06-23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12A true KR20160000012A (ko) 2016-01-04

Family

ID=5516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231A KR20160000012A (ko) 2014-06-23 2014-06-23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0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34B1 (ko) * 2021-04-30 2021-08-24 (주)씨엠텍 구조 차량용 의자
KR20230023255A (ko) * 2021-08-10 2023-02-17 대원산업 주식회사 폴딩 회동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34B1 (ko) * 2021-04-30 2021-08-24 (주)씨엠텍 구조 차량용 의자
KR20230023255A (ko) * 2021-08-10 2023-02-17 대원산업 주식회사 폴딩 회동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5996T3 (es) Mueble con amortiguamiento de vibraciones en forma de una mesa
KR20110086795A (ko) 의자용 링크 기구, 의자
CN106551538B (zh) 具有摩擦阻尼部件的折叠椅
KR20160000012A (ko) 접이식 의자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TWI499409B (zh) Massage facilities and massage equipment with massage facilities
KR101203781B1 (ko) 접이식 의자
KR102069536B1 (ko) 접이식 관람의자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101559718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캐스터
KR20160098704A (ko)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KR101280909B1 (ko) 회전각도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 접철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JPH0956522A (ja) 跳上げ椅子における座の自動起立装置
JP6429687B2 (ja) アームレスト
KR101111580B1 (ko) 의자등받이용 체결장치
KR101425743B1 (ko) 접이식 의자
KR101559103B1 (ko) 연결식 의자
JP6594092B2 (ja) 便座装置
JP3121425U (ja) 家具等の転倒防止具および家具等の転倒防止装置
KR20170000448U (ko) 등받이 받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083900B1 (ko)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KR101359021B1 (ko) 관람석 의자
JP6039978B2 (ja) 椅子
JP2009189598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