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900B1 -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900B1
KR102083900B1 KR1020180065033A KR20180065033A KR102083900B1 KR 102083900 B1 KR102083900 B1 KR 102083900B1 KR 1020180065033 A KR1020180065033 A KR 1020180065033A KR 20180065033 A KR20180065033 A KR 20180065033A KR 102083900 B1 KR102083900 B1 KR 10208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on
base
base plat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499A (ko
Inventor
강정식
Original Assignee
강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식 filed Critical 강정식
Priority to KR102018006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90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2Attachment or adjust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동판(20);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 사이에 연결된 링크(30); 상기 베이스판(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로테이션 베이스(40);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판(20)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완충부(50);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50)가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를 기준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를 회전시키는 로테이션 작동체(60);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30)는 한 쌍의 링크바아(32)가 중간 힌지부(HG)를 매개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링크바아 셋트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Vehicle seat shock absorp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하여 시트에 앉아있는 승객에게 진동에 의한 불편함 등과 같이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는 내부에 적절한 쿠션을 갖는 재질이 구비되어,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시트(1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시트쿠션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시트쿠션 스프링이 착석자로부터 받는 하중을 적당한 탄력으로 흡수하여 착석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량 탑승가 시트쿠션에 앉은 상태에서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은 스프링 및 시트쿠션에 의해 감소된다.
이때, 차량이 주행 중에는 차량의 서스펜션 및 파워트레인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진성 진동과 시트의 구조가 가지고 있는 공진 특성 등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시트는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을 어느 정도 감소 할 수는 있지만, 시트 착석자에게 진동에 의한 불편함 등을 감소할 수 있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탑승자에게 전달되어 진동에 의한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데에 문제가 있가. 특히, 인체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 영역의 진동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경우에는 쾌적한 주행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의 충돌시 시트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상승될 뿐 아니라, 고장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서 작동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3979호(2012년11월29일 등록)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1997-017046호(1997년05월23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진동의 충분한 흡수를 위한 구조 자체는 비교적 심플하게 구현하고 작동 상의 신뢰성 등이 높아진 새로운 구성의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동판;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동판 사이에 연결된 링크;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가동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로테이션 베이스;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판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완충부;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가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를 기준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를 회전시키는 로테이션 작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링크는 한 쌍의 링크바아가 중간 힌지부를 매개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링크바아 셋트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동판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바아 셋트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동판 사이에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바아 셋트의 한 쌍의 링크바아의 일단부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동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의 타단부는 슬라이드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동판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동판 사이에 개재된 완충부는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 셋트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동판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에 결합된 슬라이드 바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판은, 베이스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상향 베이스판부; 상기 상향 베이스판부의 상단부에 구비된 확장 베이스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는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의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죠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에는 상부로 돌출된 베이스 나사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작동체는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된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로테이션 작동축;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로테이션 드라이브판;을 포함하며,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의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드라이브 죠오가 구비되어, 상기 드라이브 죠오가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의 상기 죠오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의 상기 베이스 나사축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하부 완충 연결판; 상기 하부 완충 연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판의 저면에 연결된 상부 완충 연결판;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과 하부 완충 연결판 사이에 개재된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 스프링은, 제1스프링 코일부가 나선형 코일 형상으로 연장된 재1완충 스프링; 제2스프링 코일부가 나선형으로 연장된 제2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완충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제1완충 코일 스프링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2완충 스프링이 상기 제1완충 스프링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완충 스프링의 상기 제2스프링 코일부의 단면 직경이 상기 제1완충 스프링의 상기 제1스프링 코일부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2완충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제1완충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베이스판과 가동판의 옆으로 돌출되어 나온 로테이션 작동축을 회전시킴에 따라 완충부가 하중을 받쳐주는 탄성력이 조절되므로, 차량 탑승자의 체중과 같은 조건에 대응하여 탑승자에게 차량 주행중에 진동 등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줌으로써 차량 탑승자에게 최대한 편안한 주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탑승자에게 차량 주행 중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므로 탑승자에게 최대한 편안한 승차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의 주요부인 가동판이 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의 주요부인 가동판이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보조 완충부재와 베이스판 및 가동판의 결합된 상태를 종단면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주요부인 가동판이 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보조 완충부재와 베이스판 및 가동판의 결합된 상태를 종단면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주요부인 가동판이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로테이션 베이스에 결합된 완충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완충부의 제1완충 스프링과 제2완충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가동판이 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에서 가동판이 하강한 상태와 보조 스프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에서 가동판이 상승한 상태와 보조 스프링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동판(20)과, 상기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 사이에 연결된 링크(30)와, 상기 가동판(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로테이션 베이스(40)와,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판(20)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완충부(50)와,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50)가 로테이션 베이스(40)를 기준으로 승강되도록 로테이션 베이스(40)를 회전시키는 로테이션 작동체(6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차량의 시트에 구비된 시트쿠션의 하부와 차량의 바닥부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판(10)은 베이스판부(12)와 상향 베이스판부(14) 및 확장 베이스판부(16)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판부(12)는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판부(12)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향 베이스판부(14)는 베이스판부(12)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향 연장된다. 한 쌍의 상향 베이스판부(14)가 좌우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확장 베이스판부(16)는 상향 베이스판부(14)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확장 베이스판부(16)는 상향 베이스판부(14)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확장 베이스판부(16)는 베이스판부(12)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베이스판부(12)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향 베이스판부(14)가 수긱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확장 베이스판부(16)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판(10)은 차량의 바닥부에 장착된다. 차량의 바닥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나란한 슬라이드 레일이 구비되는데, 상기 베이스판(10)이 차량의 바닥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에 결합되므로, 상기 베이스판(10)의 차량의 바닥부에 장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베이스판(10)을 구성하는 확장 베이스판부(16)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바닥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판(20)은 베이스판(10)의 위쪽에 배치되어 차량 시트의 시트쿠션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판(20)은 상부 가동판부와, 상기 상부 가동판부의 좌우 측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하향 가동판부와, 상기 하향 가동판부의 끝단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 가동판부를 구비할 수 있다. 가동판(20)은 차량 시트의 시트 쿠션에 고정된다. 가동판(20)의 상부 가동판부가 체결구에 의해 차량 시트의 시트 쿠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크(30)는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을 연결한다. 이때, 링크(30)는 한 쌍의 링크바아(32)가 중간 힌지부(HG)를 매개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링크바아 셋트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바아 셋트는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 사이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링크바아 셋트가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의 좌우 측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한 쌍의 링크바아 셋트가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링크바아 셋트의 한 쌍의 링크바아(32)의 일단부는 힌지부(HG)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32)의 타단부는 슬라이드부에 의해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 셋트의 각각의 링크바아(32)의 일단부에는 연결바아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바아의 일단부가 각각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연결된다. 상하 한 쌍의 연결바아의 양단부가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의 일단부측 좌우 양쪽에 구비된 힌지블록의 힌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홀과 연결바아가 상기 링크바아 셋트의 한 쌍의 링크바아(32) 일단부를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연결하는 힌지부(HG)가 된다.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 셋트의 각각의 링크바아(32)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드 바아(SB)가 연결되고, 한 쌍의 링크바아(32)의 타단부는 슬라이드부에 의해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드홈(SG)과,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32)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드홈(SG)에 결합된 슬라이드 바아(SB)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의 타단부측 좌우 양쪽에 슬라이드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블록에는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경로인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홈 형상의 슬라이드홈(SG)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홈(SG)은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홈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 한 쌍의 슬라이드 바아(SB)의 양단부가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의 좌우 양쪽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드홈(SG)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는 가동판(20)에 구비된다. 가동판(20)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부 가동판부에 로테이션 베이스(40)의 중심부가 회전 지지부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는 가동판(20)에 형성된 회전 기준홀과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의 중심부에 결합된 회전 지지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는 원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로테이션 베이스(40)의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죠오(42)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죠오(42)들 사이에는 치합홀이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베이스 나사축이 구비된다. 베이스 나사축은 상기 회전 지지부를 형성하는 회전 지지핀에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 사이에 완충부(50)가 개재되고, 상기 완충부(50)는 로테이션 베이스(4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완충부(50)는 상부 완충 연결판(52)과 하부 완충 연결판(54) 및 완충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중심부에는 나사홀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상면 중심부에는 연결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보스의 내부는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되고, 연결보스의 내주면에는 나사홀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보스 내주면의 나사홀이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나사홀이다.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나사홀이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의 상면에 돌출된 베이스 나사축에 결합된다.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나사홀이 나사 결합식으로 로테이션 베이스(40)의 위로 돌출된 베이스 나사축에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아래쪽에는 하부 완충 연결판(54)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완충 연결판(54)은 베이스판(10)의 상면에 고정된다. 하부 완충 연결판(54)의 저면이 베이스판(10)을 구성하는 베이스판부(12)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4)과 하부 완충 연결판(52) 사이에는 완충 스프링이 개재된다. 이때, 상기 완충 스프링은 제1완충 스프링(56)과 제2완충 스프링(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은 제1스프링 코일부가 나선형 코일 형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의 하단부는 하부 완충 연결판(52)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의 상단부는 상부 완충 연결판(54)의 저면에 연결된다. 하부 완충 연결판(52)과 상부 완충 연결판(54)과 제1완충 스프링(56)이 금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의 상하단부가 각각 하부 완충 연결판(52)의 상면과 상부 완충 연결판(54)의 저면에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은 제2스프링 코일부가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제2완충 스프링(58)의 직경은 제1완충 코일 스프링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이 제1완충 스프링(56)에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제2완충 스프링(58)이 제1완충 스프링(56)의 바깥쪽에 끼워진 형태로 배치된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제2스프링 코일부의 단면 직경이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의 제1스프링 코일부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탄성력이 제1완충 스프링(56)의 탄성력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굵기가 제1완충 스프링(56)의 굵기보다 다 굵으므로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탄성력이 제1완충 스프링(56)의 탄성력보다 더 크다. 이때,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상하 높이는 제1완충 스프링(56)의 상하 높이보다 더 작아서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상단부는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상면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는 하부 완충 연결판(54)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구조를 취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2완충 스프링(58)의 상하단부가 각각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저면과 하부 완충 연결판(54)의 저면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과 제2완충 스프링(58)은 로테이션 베이스(40)의 하부로 돌출된 베이스 나사축과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부(50)를 위에서 볼 때에 가장 안쪽에 베이스 나사축이 있고 가운데에 제1완충 스프링(56)이 있고 가장 바깥쪽에 제2완충 스프링(58)이 있다.
상기 로테이션 작동체(60)는 가동판(20)의 상면부인 가동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로테이션 베이스(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로테이션 작동축(64),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을 포함한다.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62)은 가동판(20)에 구비된다.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62)은 중간 브라켓편과 전단 축브라켓편과 후단 축브라켓편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브라켓편은 상기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나란한 방향으로 판형상의 중간 브라켓편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단 축브라켓편의 상단부가 중간 브라켓편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전단 축브라켓편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후단 축브라켓편의 상단부가 중간 브라켓편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후단 축브라켓편도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후단 축브라켓편은 전단 축브라켓편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간 브라켓편은 상기 가동판(20)의 상면부인 가동판부의 저면에 고정된다. 볼트나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중간 브라켓편이 가동판(20)의 상면부인 가동판부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은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6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62)의 서로 마주하는 전단 축브라켓편과 후단 축브라켓편에는 축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은 일정한 길이의 축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이 상기 한 쌍의 서로 마주하는 전단 축브라켓편과 후단 축브라켓편의 각각의 축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의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파지홈을 구비한 손잡이가 로테이션 작동추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에는 원판 형상의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이 구비된다.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의 중심부가 로테이션 작동축(64)에 고정된다.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의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드라이브 죠오(68)가 구비된다. 로테이션 드라이판의 드라이브 죠오(68)가 로테이션 베이스(40)의 죠오(42)에 치합된다.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은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의 복수개의 드라이브 죠오(68) 중에서 일부의 드라이브 죠오(68)들이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판(10)의 복수개의 죠오(42) 결합홈 중에서 일부의 죠오(42) 결합홈들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을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6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이 베이스판(10)의 바닥판인 베이스판부(12)에서 회전하게 된다.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부(12) 위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판(10)은 차량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가동판(20)은 차량 시트의 시트쿠션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 사이에는 완충부(50)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에 차량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면 기본적으로 완충부(50)가 차량 진동 등을 흡수하여 차량 탑승자에게 주행 중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나사홀이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의 저면으로 돌출된 베이스 나사축에 결합되므로, 상기 완충부(50)가 로테이션 베이스(40)에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이 나사홀에 의해 상기 베이스 나사축에서 승강되므로,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이 눌려져서 생기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가동판(20) 위에서 착석자가 앉는 체중과 같은 하중에 의해 상기 가동판(20)을 밑에서 지지하는 제2완충 스프링(58)의 탄성력도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상하단부가 하부 완충 연결판(52)과 상부 완충 연결판(54)에 모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 완충 연결판(52)이 나사홀에 의해 상기 베이스 나사축에서 승강되므로, 상기 하부 완충 연결판(54)과 상기 가동판(20) 위에서 착석자가 앉는 체중과 같은 하중에 의해 상기 가동판(20)을 밑에서 지지하는 제1완충 스프링(56)과 제2완충 스프링(58)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가 하부 완충 연결판(54)에서 일정 거리 아래에 이격되어 있는 경우이든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가 하부 완충 연결판(54)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이든 모두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이 상기 가동판(20)의 저면에 구비된 로테이션 베이스(40의 베이스 나사축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동판(20)이 고정된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 위에 착석자가 앉는 제충과 같은 하중에 의해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과 제2완충 스프링(58)이 밑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탄성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의 옆으로 돌출되어 나온 로테이션 작동축(64)을 회전시킴에 따라 완충부(50)가 하중을 받쳐주는 탄성력이 조절되므로, 차량 탑승자의 체중과 같은 조건에 대응하여 탑승자에게 차량 주행중에 진동 등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줌으로써 차량 탑승자에게 최대한 편안한 주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탑승자에게 차량 주행 중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므로 탑승자에게 최대한 편안한 승차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탄성력이 제1완충 스프링(56)의 탄성력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차량 시트의 시트쿠션 위에 탑승자가 앉으면 1차로 제1완충 스프링(56)이 착석자의 하중을 받쳐주고, 2차로 제2완충 스프링(58)이 상기 하중을 받쳐주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하중을 받쳐주는 효과가 있다. 차량 시트의 시트쿠션에 탑승자가 앉았을 때에 체중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가서 상대적으로 하중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이 눌리면서 하중을 견뎌주고 착석자의 체중이 더 많이 나가가 하중이 더 많이 작용하면 가동판(20)의 저면을 제1완충 스프링(56)과 제2완충 스프링(58)이 지지하면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스프링과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스프링이 하중을 같이 견뎌주므로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좌우 링크(30)에 의해 가동판(20)이 베이스판(10)에 연결되어, 한 쌍의 링크(30)가 베이스판(10) 위에 가동판(20)을 승강 가능하게 잡아주고 있는 구조가 되므로, 상기 가동판(20)과 이에 연결된 차량의 시트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량 시트의 좌우 유동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주행중에 착석자에게 진동이 전달되어 어지러움증과 같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차량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앉아있을 때에는 시트쿠션과 가동판(20) 및 적어도 제1완충 스프링(56)이 눌려져 있는 상태가 되는데, 상기 한 쌍의 링크(30)를 구성하는 X자 연결형 링크바아 중에서 상단부가 상기 가동판(20)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하나의 링크바아와 가동판(20) 사이에는 상승 완충 스프링(ESP)이 더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앉아있다가 일어날 때에는 시트쿠션 위에 하중이 없어지는 셈이 되는데, 이처럼 시트쿠션 위의 하중이 없어질 때에 제1완충 스프링(56)과 경우에 따라 제2완충 스프링(58)이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 펼쳐지는데, 이러한 경우에 제1완충 스프링(56)과 제2완충 스프링(58)이 급속하게 위로 펴지면 소음이 많이 날뿐만 아니라 모든 연결 부분에 급상승할 때에 충격력이 작용하여 부품이 빨리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데, 상기 상승 완충 스프링(ESP)이 시트쿠션 위의 하중이 없어질 때에 제1완충 스프링(56)과 제2완충 스프링(58)에 의해 가동판(20)과 차량용 시트가 급속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부품이 빨리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경우를 방지하며 나아가 상기 가동판(20)과 다른 부품 및 차량용 시트의 급상승에 따른 손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 사이에 개재된 보조 완충부재(1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판(10)의 코너부에는 하부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판(20)의 코너부에도 상부 결합홀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 완충부재(150)에는 외주면에서 중심부 쪽으로 오목한 장착 결합홈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 결합홈은 보조 완충부재(15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조 완충부재(15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보조 완충부재(150)가 탄성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보조 완충부재(150)에 형성된 상부 장착 결합홈과 하부 장착 결합홈을 각각 가동판(20)의 상부 결합홀과 베이스판(10)의 하부 결합홀에 끼워져서 상기 보조 완충부재(150)가 가동판(20)과 베이스판(10) 사이에 결합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완충부재(150)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에 연결된 가동판(20)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동판(20)과 시트쿠션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처럼 보조 완충부재(150)가 가동판(20)과 차량용 시트가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에 앉아있는 사람이 어지러움을 느끼는 것과 같은 불편함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완충 스프링(56)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가동판(20)의 저면과 베이스판(10)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상단부는 가동판(20)의 저면에 연결되고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는 베이스판(10)의 상면에서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와 베이스판(10)의 저면 사이에는 보조 완충부(51)가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완충 스프링(56)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가동판(20) 저면의 상부 완충 연결판(52)과 베이스판(10)의 상면의 하부 완충 연결판(54)에 연결되고,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의 저면에 연결되고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완충 연결판(52)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완충 연결판(54) 사이에 보조 완충부(51)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완충부(51)는 상기 베이스판(10) 상면의 하부 완충 연결판(54)의 상면에 연결된 하부 완충 연결체(50A)와, 상기 하부 완충 연결체(50A)에 하단부가 연결된 부스(50B)와, 상기 부스(50B)의 상단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에 접촉된 상부 완충 연결체(51C)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완충 연결체와 하부 완충 연결체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으면서도 소프트한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부스는 얇은 고무재의 시트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상단부와 가동판(20)의 저면 사이의 공간부를 감싸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판(20)에 연결된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에 앉아서 제1완충 스프링(56)은 눌려지고 가동판(20)이 하강할 때에 가동판(20)이 제2완충 스프링(58)에 직접 부딪히지 않고 상기 부스는 접혀지고 상부 완충 연결체와 하부 완충 연결체가 접촉되므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에 사람이 앉을 때에 제2완충 스프링(58)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 상면의 하부 완충 연결판(52)에 직접 부딪혀서 생길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베이스판 12. 베이스판부
14. 상향 베이스판부 16. 확장 베이스판부
20. 가동판 30. 링크
32. 링크바아 HG. 힌지부
SG. 슬라이드홈 SB. 슬라이드 바아
40. 로테이션 베이스 42. 죠오
50. 완충부 52. 하부 완충 연결판
54. 상부 완충 연결판 56. 제1완충 스프링
58. 제2완충 스프링 60. 로테이션 작동체
62.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 64. 로테이션 작동축
66. 로테이션 드라이브판 68. 드라이브 죠오

Claims (7)

  1.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동판(20);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 사이에 연결된 링크(30);
    상기 가동판(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로테이션 베이스(40);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판(20)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완충부(50);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50)가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를 기준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를 회전시키는 로테이션 작동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50)는,
    중심부에 나사홀이 구비되어 상기 나사홀이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에서 돌출된 베이스 나사축에 결합된 상부 완충 연결판(52);
    상기 베이스판(10)에 고정된 하부 완충 연결판(54);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4)과 상기 하부 완충 연결판(52) 사이에는 개재된 제1완충 스프링(56)과 제2완충 스프링(5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직경은 제1완충 스프링(56)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이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에 동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제2스프링 코일부의 단면 직경이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의 제1스프링 코일부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탄성력이 제1완충 스프링(56)의 탄성력보다 더 크게 구성되고,
    상기 로테이션 작동체(60)는,
    상기 가동판(20)에 구비된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로테이션 작동축(64);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에 결합된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의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드라이브 죠오(68)가 구비되고,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의 드라이브 죠오(68)가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의 죠오(42)에 치합되어,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은 상기 베이스판(10)과 가동판(20)에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로테이션 작동축(64)을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 브라켓(6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이 상기 베이스판(10)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테이션 드라이브판(6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완충 연결판(52)이 상기 로테이션 베이스(40)의 베이스 나사축에서 회전하면서 승강되어 상기 제1완충 스프링(56)과 상기 제2완충 스프링(58)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30)는 한 쌍의 링크바아(32)가 중간 힌지부(HG)를 매개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링크바아 셋트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아 셋트는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 사이에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아 셋트의 한 쌍의 링크바아(32)의 일단부는 힌지부(HG)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32)의 타단부는 슬라이드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드홈(SG)과,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32)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홈(SG)에 결합된 슬라이드 바아(S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가동판(20) 사이에 개재된 완충부(50)는 상기 한 쌍의 링크바아 셋트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은,
    베이스판부(12);
    상기 베이스판부(12)의 좌우 측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상향 베이스판부(14);
    상기 상향 베이스판부(14)의 상단부에 구비된 확장 베이스판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KR1020180065033A 2018-06-05 2018-06-05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KR10208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33A KR102083900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33A KR102083900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99A KR20190138499A (ko) 2019-12-13
KR102083900B1 true KR102083900B1 (ko) 2020-03-03

Family

ID=6884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33A KR102083900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9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3753A (ja) 2013-04-25 2014-11-17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3674C3 (de) * 1972-07-08 1981-01-08 Bremshey Ag, 5650 Solingen Abgefederter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JPH0439134U (ko) * 1990-07-31 1992-04-02
KR0115366Y1 (ko) 1995-10-20 1998-04-20 전성원 차량시트의 원심력 완충장치
KR200463979Y1 (ko) 2012-08-22 2012-12-06 정진구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3753A (ja) 2013-04-25 2014-11-17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99A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1621B2 (en) Seat-cushion shell unit and shell seat for vehicle
JPH0833287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2083900B1 (ko)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US4890810A (en) Seat suspension device
KR200463979Y1 (ko)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KR101381576B1 (ko) 차량용 시트
JP5695915B2 (ja) 車両用シート
JP5235058B2 (ja) 車両用シート
EP2013058B1 (en) Materials handling vehicles having seats with pivoting backrests
CN109484261B (zh) 用于车辆的安全座椅
KR101111580B1 (ko) 의자등받이용 체결장치
KR200194622Y1 (ko) 차량용 시트
CN115107599B (zh) 一种儿童安全座椅缓冲机构
KR102119171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CN109849750A (zh) 减震性调节座椅基座
CN217100274U (zh) 一种减震效果好的电动自行车后座
JP6809379B2 (ja) 乗物用シート
CN215322125U (zh) 一种侧护板可调的安全座椅
JP6370641B2 (ja) 乗物用シート
JP6044480B2 (ja) 車両用シート
US11872916B2 (en) Damper system for suspension of vehicle seat
JPH09328028A (ja) 車両用シート
KR100322407B1 (ko) 시트서스펜션장치
KR200224849Y1 (ko) 유모차용 완충장치
JP5738733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