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622Y1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622Y1
KR200194622Y1 KR2020000007983U KR20000007983U KR200194622Y1 KR 200194622 Y1 KR200194622 Y1 KR 200194622Y1 KR 2020000007983 U KR2020000007983 U KR 2020000007983U KR 20000007983 U KR20000007983 U KR 20000007983U KR 200194622 Y1 KR200194622 Y1 KR 200194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ack frame
vehicle seat
backrest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정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일 filed Critical 정해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등받이 프레임의 앞쪽에 그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을 등받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킴과 함께 지지판을 소요의 위치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탄성요소는 등받이 프레임에 지지판과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한쪽 단부에서 상·하로 각각 연장되어 지지판에 고정되는 두 고정탭을 갖는 대략 T자형의 고무재 힌지블록 또는 지지판이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지지판을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차량의 돌발적인 급정차시 또는 충돌이나 추돌 등의 발생시 신속하게 반응하여 충격을 적절히 흡수함과 동시에 관성력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지면서 야기되는 목부상을 상당히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a seat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sea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의 머리와 어깨부위가 급격히 뒤로 젖혀져 발생되는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등받이가 앞뒤로 젖혀질 수 있고, 이 등받이의 상단에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한 헤드레스트가 틸팅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탑승자가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상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시트는 단순히 탑승자의 안락감만을 고려한 구성으로, 차량의 운행중 충돌이나 추돌사고가 발생될 경우 탑승자가 심하게 부상 당할 우려가 많았었다.
즉, 충돌이 발생될 경우 차량이 급정거 또는 감속되므로 관성력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가 앞쪽으로 급격히 쏠렸다가 다시 뒷쪽으로 되돌아오게 되는데, 탑승자의 등부위가 시트의 등받이에 접촉하게 될 때 머리와 헤드레스트의 사이에는 상당한 공간이 남아 있으므로, 머리에 작용하는 관성에 의해 목이 후방으로 심하게 젖혀지게 되며, 이로 인해 목뼈가 골절되는 등 치명적인 부상이 야기되는 것이다. 또한, 추돌의 경우에도 탑승자의 상체가 앞으로 쏠렸다가 차량이 급정거 또는 감속됨에 따라 상체가 반동에 의해 뒤로 젖혀지는데, 그 등부분은 등받이에 의해 안정되게 받쳐지지만 머리는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지게 되어 충돌시와 같은 심각한 목부상을 입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제공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8-53299호에는 후방범퍼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와 헤드레스트에 내장된 압력감지센서가 동시에 감지되면 등받이에 내장된 모터가 헤드레스트를 신속히 전방으로 회전 이동시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목부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99-212790호에는 헤드레스트를 전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충돌시의 관성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이 압력센서의 신호에 의해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등받이내에 구비하여 충돌시 탑승자의 목부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목부상 방지용 시트들은 충돌이나 추돌시 헤드레스트를 전방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들을 구비해야 하므로 시트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원가상승을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충돌 등의 발생시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에 따라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순간적인 충격에 신속히 대처하기 곤란한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차량의 돌발적인 급정차시 또는 충돌이나 추돌시에 탑승자의 머리가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지면서 야기되는 목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순간적인 충격에 신속히 반응하여 그로 인한 목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충돌등에 의해 발생되는 목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간단한 구조와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에 따른 탑승자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를 나타낸 부분절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차량용 시트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측면도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탄성요소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발췌 측면도들,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실시예의 지지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시트의 개략적인 부분절단 측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Ⅸ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쿠션 20: 등받이
20a: (지지판의) 수용홈 21: 등받이 프레임
24: 지지판 25, 25′: 외장커버
26, 27: 단위체 28: 외장커버
30: 헤드레스트 40: 고무재 힌지블록
53: 힌지핀 54, 56, 57: 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는, 등받이의 앞쪽에 그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을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과 함께 지지판을 소요의 위치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탄성요소가 등받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한쪽 단부에서 상·하로 각각 연장되어 지지판에 고정되는 두 고정탭을 갖는 대략 T자형의 고무재 힌지블록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탄성요소가 지지판과 등받이 프레임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지지판을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차량의 돌발적인 급정차시 또는 충돌이나 추돌 등의 발생시 신속하게 반응하여 충격을 적절히 흡수함과 동시에, 관성력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지면서 야기되는 목부상을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용 시트의 안락감과 안전성 향상 및 원가절감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예시를 목적으로 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먼저, 도 1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쿠션(2)의 후단쪽에 등받이(3)가 앞뒤로 젖혀질 수 있게 장착되고, 이 등받이(3)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4)가 틸팅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의 차량용 시트의 경우 차량의 급정차시에 탑승자(U)의 상체가 머리와 함께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으로 쏠렸다가 뒤로 젖혀지면서 상체는 등받이에 의해 받쳐지나 머리는 받쳐주는 부분이 없으므로 목뼈가 골절되는 사고가 발생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는 탑승자(U)가 앉을 수 있는 쿠션(10)과, 이 쿠션(1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탑승자(U)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와, 등받이(20)의 상단에 높이조절 및 또는 틸팅 가능하게 장착되어 탑승자(U)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21)의 전방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탑승자(U)의 등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판(24) 및 이 지지판(24)이 그 하단부에서 등받이 프레임(21)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연결 지지하는 탄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S)를 제공하며, 등받이 프레임(21)과 지지판(24)은 이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씌워지는 직물지 등의 외장커버(25)를 가진다.
등받이 프레임(21)은 예를 들어 두 개의 보강판(22,23)을 수직방향을 따라 갖는 대략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양쪽 하단부가 쿠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등받이 프레임(21)은 래칫(rachet: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쿠션(10)에 대한 설치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되어 있다.
지지판(24)은 탑승자(U)의 등을 지지할 수만 있으면 되므로 예를 들어 소요형상을 갖는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 또는 합성목재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된다. 이는 충돌시 등에 탑승자(U)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함이다.
탄성요소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고무재의 힌지블록(40)으로 구성되며, 이는 두 개가 구비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고무재 힌지블록(40)은 등받이 프레임(21)의 하부 보강판(23)에 제1볼트(43)로 고정되고 지지판(24)과는 격리된 몸체(41)와, 이 몸체(41)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지지판(24)에 제2볼트(44)들로 고정되는 두 고정탭(42)을 갖는 대략 T자형의 탄성체이다. 이때, 제1 및 제2볼트(43)(44)들은 몸체(41)와 고정탭(42)들에 각각 인서트(insert) 되어 있는 너트(47)(48)와 체결된다. 그리고, 몸체(41)와 각 고정탭(42)들 사이는 보다 원활한 탄성작용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요홈(45)들에 의해 다른 부위들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주된 굴신부(46)로 기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굴신부(46)는 몸체(41)와 고정탭(42)보다 더욱 연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탄성요소는 탑승자(U)의 허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탄성힌지수단이 탑승자(U)의 허리보다 상측에 위치할 경우 충돌시 등에 탑승자(U)의 어깨가 후방으로 충분히 이동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도 곤란하고, 허리보다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탑승자(U)를 안정되게 지지해주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S)의 작용을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정상적인 운행상태로서, 그 지지판(24)이 탄성요소인 고무재 힌지블록(40)에 의해 탑승자(U)의 등을 탄력적으로 밀착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물론, 이 상태에서도 지지판(24)은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및 복원 가능한 바, 탑승자(U)가 상체를 뒷쪽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1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4)의 상부가 힌지블록(40)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머리가 헤드레스트(30)에 지지되는 등 탑승자(U)를 보다 편안한 상태로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정상운행 상태에서 돌발적인 급정차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U)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급격히 전방으로 쏠렸다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탑승자(U)의 어깨 부위가 먼저 등받이(20)의 지지판(24) 상부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재 힌지블록(40)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됨으로써 지지판(2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힌지블록(40)은 탑승자(U)의 허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상부가 확실하게 후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탑승자(U)의 어깨 부위도 지지판(24)에 접촉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헤드레스트(30)는 등받이 프레임(21)에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판(24)의 회전 이동이 멈춰 탑승자(U)의 목이 뒤로 젖혀지기 전에 머리가 먼저 헤드레스트(30)에 접촉하게 되어 탑승자(U)의 목부상이 최대한 방지되게 된다.
즉, 충돌 등의 사고시 탑승자(U)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때 그 어깨 부위가 먼저 등받이(20)에 닿아 멈추기 때문에 머리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목이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짐으로써 목이 골절되는 등의 치명적인 부상이 야기되는 것인데, 충돌시 본 고안의 시트(S)는 탑승자(U)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20)의 지지판(24)이 탑승자(U)의 어깨가 접촉됨과 동시에 신속하게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그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전에 헤드레스트(30)에 닿게 됨으로써 머리의 순간적인 젖혀짐에 의한 목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탑승자(U)에게 가해지는 충격도 적절히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탄성요소의 여러 가지 다른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등받이 프레임(21)과 지지판(24)에 상호 대응하도록 연결편(51)(52)을 구비시켜 힌지핀(53)으로 연결하고, 이 힌지핀(53)에 양 단부가 지지판(24)과 등받이 프레임(2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토션스프링(54)을 결합함으로써 지지판(24)을 등받이 프레임(21)과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탄성지지하고 있다. 이 경우 토션스프링(54)에 의한 지지판(24)의 과도한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판(24)의 하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스토퍼(stopper:55)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b와 도 5c는 도 5a의 구성에서, 토션스프링(54) 대신 코일스프링(56)과 판스프링(57)을 힌지핀(5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구성이다. 이러한 탄성요소들 역시 전술한 고무재 힌지블록(40)에 상응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는 위의 실시예에서 지지판(24')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지판(24')이 수평으로 배치된 두 개의 단위체(26)(27)로 분할되어 각각 고무재 힌지블록(40)을 통해 등받이 프레임(21)에 연결 지지된 구성이다. 이 경우 탑승자(U)의 움직임에 따라 두 단위체(26)(27)가 임의의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탑승자(U)를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S)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등받이(20)의 전면에 지지판 수용홈(20a)이 적정깊이로 형성되고, 지지판(24)이 이 수용홈(20a)내에 고무재 힌지블록(40)등의 탄성힌지수단을 통해서 등받이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탄성지지된 구성이다. 여기서, 지지판(24)은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외장커버 없이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21)을 덮어 씌우는 외장커버(25')와 별도의 외장커버(28)에 의해 피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6과 같이 지지판(24)을 분할된 두 개의 단위체(26)(27)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예를 드는 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일 뿐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의자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돌발적인 급정차시 또는 충돌이나 추돌 발생시 등받이의 지지판이 탑승자의 움직임에 신속하게 반응하여 후방으로 회전 이동됨으로써 충격을 적절히 흡수함과 동시에, 관성력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지기 전에 헤드레스트에 접촉되게 하여 목뼈의 골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돌시 등에 관성력에 의한 탑승자의 목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판이 탄성힌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탑승자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충격감지센서와 헤드레스트 구동모터 등의 복잡한 장치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구조적으로도 매우 간단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목뼈 골절의 방지가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안락감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 원가절감에도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등받이의 상단에 헤드레스트를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저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하나이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등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킴과 함께 지지판을 소요의 위치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하나이상의 탄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가, 지지판과 등받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하나이상의 고무재 힌지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재 힌지블록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어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두 고정탭을 갖는 대략 T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가, 지지판을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지지판을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힌지핀에 장착되어 양 단부가 지지판과 등받이 프레임에 각각 접촉하는 토션스프링 또는 힌지핀의 상측에 위치되어 일단이 등받이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판에 접촉하는 판스프링 또는 힌지핀의 상측에 위치되어 양 단부가 지지판과 등받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각각 등받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위체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등받이 프레임이 하나의 외장커버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등받이의 수용홈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가 탑승자의 허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0. 제 1 항내지 제 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적절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KR2020000007983U 2000-03-21 2000-03-21 차량용 시트 KR2001946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296A KR100476973B1 (ko) 2000-03-21 2000-03-21 차량용 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296A Division KR100476973B1 (ko) 2000-03-21 2000-03-21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622Y1 true KR200194622Y1 (ko) 2000-09-01

Family

ID=196571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983U KR200194622Y1 (ko) 2000-03-21 2000-03-21 차량용 시트
KR10-2000-0014296A KR100476973B1 (ko) 2000-03-21 2000-03-21 차량용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296A KR100476973B1 (ko) 2000-03-21 2000-03-21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46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9775A (zh) * 2010-12-29 2012-07-04 株式会社塔捷斯 车辆用座椅的座椅靠背构造及车辆用座椅的座椅靠背的头部振颤损害抑制方法
KR20160001011A (ko) 2014-06-26 2016-01-06 김정규 플로어 힌지용 피스톤 로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4651A1 (de) 2010-12-15 2012-06-21 Fachhochschule Kaiserslautern Kopfstütze zum Schutz der Halswirbelsäule
CN105966288B (zh) * 2016-05-13 2017-12-26 北京交通大学 一种多级高效吸能的座椅靠背
CN105946667B (zh) * 2016-05-13 2017-12-26 北京交通大学 复合式高效吸能座椅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076U (ja) * 1993-02-25 1994-09-1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
JP3493927B2 (ja) * 1996-12-20 2004-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9775A (zh) * 2010-12-29 2012-07-04 株式会社塔捷斯 车辆用座椅的座椅靠背构造及车辆用座椅的座椅靠背的头部振颤损害抑制方法
KR20160001011A (ko) 2014-06-26 2016-01-06 김정규 플로어 힌지용 피스톤 로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223A (ko) 2001-10-24
KR100476973B1 (ko)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8811B1 (en) Seatback for automobile
JP2001146127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194622Y1 (ko) 차량용 시트
JPH10230767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頭部保護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JP2001039194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2000236985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200200652Y1 (ko) 차량용 시트
JP3917828B2 (ja) 乗り物用シート
WO200005345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hicle seat
KR200141707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장착구조
JP3756788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0217988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 완화장치
JP2588343Y2 (ja) 防護板付シートバック
KR20033614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494505B1 (ko) 차량의 시트 등받이 구조
JP3753958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0217990B1 (ko) 목 받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장치
JP2003159972A (ja) 乗り物用シート
KR20010094431A (ko) 차량용 시트
KR0139796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완충장치
KR100569365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WO2003091062A1 (fr) Dossier de siege pour vehicule
JP3704062B2 (ja) 乗り物用シート
CN114643919A (zh) 用于车辆的具有改善的碰撞性能的头枕
KR200204144Y1 (ko) 자동차용 후방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