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365B1 -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365B1
KR100569365B1 KR1020040023316A KR20040023316A KR100569365B1 KR 100569365 B1 KR100569365 B1 KR 100569365B1 KR 1020040023316 A KR1020040023316 A KR 1020040023316A KR 20040023316 A KR20040023316 A KR 20040023316A KR 100569365 B1 KR100569365 B1 KR 10056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headrest
passenger
suspension
active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317A (ko
Inventor
이승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3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에 있어서, 승객의 자세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진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만 서스펜션이 가압될 경우, 가압되는 지지 프레임이 회전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돌출되도록 서스펜션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각각 둘로 분리하여 좌우 양쪽에 각각 설치하고, 이때 지지 프레임이 고정된 채 작동 가능하도록 회전힌지를 일정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후방 추돌사고 시에 승객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가 서로 대응 가능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헤드레스트로부터 승객의 머리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액티브 헤드레스트, 회전힌지, 서스펜션, 지지 프레임

Description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Active headrest device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의 회전힌지에 있어서, 작동부 및 고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레스트 20 : 시트백 프레임
30 : 지지 프레임 40 : 서스펜션
50 : 회전힌지 51 : 작동부
52 : 고정부 60 : 가이드 프레임
61 : 가이드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의 상하 작동에 더하여 좌우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승객의 자세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승객의 목부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승객이 앉을 수 있는 시트쿠션과, 등을 기댈 수 있는 시트백과, 목과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레스트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용 시트는 승객이 착좌했을 때 안락감을 느끼는 동시에 승객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다.
차량의 후방 추돌사고시 승객은 상체가 후방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동시에 목부분이 뒤로 젖혀지게 되며, 이러한 후방 추돌을 대비하여 시트의 세부적인 설계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 후방 추돌에 대비한 시트의 완충 구조로서 첨부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나 승객이 후방 추돌에 의해 상체가 뒤로 젖혀지게 될 경우, 서스펜션(120)이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힌지부(130)가 회전하여 시트백 프레임(100)의 가이드 홀(101)에 삽입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110)이 전측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헤드레스트를 밀어 올려 주어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의 목이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받쳐주게 되어 목부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의 경우, 후방 추돌시 승객의 서스펜션(120)의 누름 압력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윗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원리로 작동되나 상하 방향으로만 작동하게 되어 승객의 자세에 따른 능동적인 승객보호에는 미흡하여 승객의 자세가 많이 변화된 상태에서 후방 추돌할 경우, 승객의 목부위가 헤드레스트의 보호범위를 초과하여 2차적인 부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승객의 목부위가 회전하여 생길 수 있는 부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승객의 자세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진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만 서스펜션이 가압될 경우, 가압되는 지지 프레임이 회전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돌출되도록 서스펜션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각각 둘로 분리하여 좌우 양쪽에 각각 설치하고, 이때 지지 프레임이 고정된 채 작동 가능하도록 회전힌지를 일정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후방 추돌사고 시에 승객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가 서로 대응 가능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헤드레스트로부터 승객의 머리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서스펜션의 가압을 통해 헤드레스트가 전측 상방으로 이동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에 있어서,
좌우로 각각 분리되어 지지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서스펜션(40)과;
양측이 서로 분리되어 각각 따로 작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헤드레스트(10)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프레임(30)과;
상기 지지 프레임(30) 중, 수평형 지지 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30)이 이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힌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힌지(50)는 상기 지지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작동부(51)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에 일체로 고정되어 그 상측은 서스펜션(40)의 가압시 지지 프레임(30)이 쉽게 전측 상방으로 작동하도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은 평상시 작동부(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51)에 꼭 맞게 형성된 고정부(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의 회전힌지에 있어서, 작동부 및 고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는, 시트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물을 통하여 설명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승객의 머리부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이고, 20은 시트백 내부에 장착되어 승객의 등부를 지지하는 시트백 프레임이며, 30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에 일체 고정된 회전힌지(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전측 상방으로 밀어 올려주는 지지 프레임(30)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시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서스펜션(40)은 운전자나 승객이 후방 추돌에 의해 상체가 뒤로 젖혀지게 될 경우, 가이드홀(61)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지지 프레임(30)을 가압하여 헤드레스트(10)가 전측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서스펜션(40)의 가압을 통해 헤드레스트(1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굴곡 형성된 지지 프레임(30)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40)은 좌우로 각각 둘로 분리되어 지지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30) 중, 수평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힌지(50)가 양측의 일정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30)은 종래의 지지 프레임과 달리, 양측이 서로 분리되어 각각 따로 작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헤드레스트(10)와 베어링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힌지(50)는 지지 프레임(30)이 이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지지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작동부(51)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작동부(51)를 지지하는 고정부(52)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스펜션(40)의 가압시 지지 프레임(30)이 쉽게 전측 상방으로 작동하도록 그 상측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부는 평상시 상기 작동부(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60 및 61은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서스펜션(40)의 가압을 통해 지지 프레임(30)이 회전시 일정한 간격만큼 제한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각각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에 후방추돌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승객의 상체는 후방 충격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의 작동은 본 발명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삭제하기로 한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자세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 좌우 둘로 분리된 서스펜션(40) 중, 일측의 서스펜션(40)만을 가압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지지 프레임(30)은 회전힌지(5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일측의 지지 프레임(30)만 가이드 프레임(60)의 가이드홀(61)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하게 되어 헤드레스트(10)가 일정한 각도로 꺽여지게 되며, 승객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10)가 서로 대응 가능한 각도를 이루게 되어 승객의 자세 불안정에 의한 헤드레스트(10)로부터의 머리부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에 의하면, 승객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가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승객의 자세 불안정에 의한 헤드레스트로부터의 머리부 이탈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서스펜션의 가압을 통해 헤드레스트가 전측 상방으로 이동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에 있어서,
    좌우로 각각 분리되어 지지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서스펜션(40)과;
    양측이 서로 분리되어 각각 따로 작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헤드레스트(10)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프레임(30)과;
    상기 지지 프레임(30) 중, 수평형 지지 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30)이 이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작동부(51)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에 일체로 고정되어 그 상측은 서스펜션(40)의 가압시 지지 프레임(30)이 쉽게 전측 상방으로 작동하도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은 평상시 작동부(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51)에 꼭 맞게 형성된 고정부(52)로 이루어진 회전힌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2. 삭제
KR1020040023316A 2004-04-06 2004-04-06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KR10056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16A KR100569365B1 (ko) 2004-04-06 2004-04-06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16A KR100569365B1 (ko) 2004-04-06 2004-04-06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17A KR20050098317A (ko) 2005-10-12
KR100569365B1 true KR100569365B1 (ko) 2006-04-07

Family

ID=3727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16A KR100569365B1 (ko) 2004-04-06 2004-04-06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3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17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9710A (ko) 차량의 승객 보호장치
CN111942235A (zh) 用于车辆座椅的悬架系统
KR100569365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KR100786007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JP5229524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100889436B1 (ko) 차량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JP5512081B2 (ja) 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シート
KR100439910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100513550B1 (ko) 자동차 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JP4742739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70065720A (ko) 여객 운송기 시트용 액티브 헤드 레스트 구동장치
KR100521591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구조
JP3614139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10013744A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0569366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분할 시트백
KR100501577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JP5445911B2 (ja) 車両用シートの構造
KR100461113B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장치
KR100785625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JP4149881B2 (ja) 乗り物用座席
KR100993615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607091B1 (ko) 회전간섭 방지기능을 가지는 점핑장치
KR20030013819A (ko) 토션바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방 시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