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007B1 -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007B1
KR100786007B1 KR1020070001214A KR20070001214A KR100786007B1 KR 100786007 B1 KR100786007 B1 KR 100786007B1 KR 1020070001214 A KR1020070001214 A KR 1020070001214A KR 20070001214 A KR20070001214 A KR 20070001214A KR 100786007 B1 KR100786007 B1 KR 100786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uide groove
headrest
protrusion
active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7000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어퍼프레임(21b)의 밑면 중 가이드구멍(21c)사이의 위치에서 하부아마추어부재(44)를 향해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상부브라켓(51)과, 상기 상부브라켓(51)에서 상부아마추어부재(45)가 있는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쪽으로만 상기 어퍼프레임(21b)과 맞닿기 전까지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 및 전방을 향해 입구(63f)와 출구(63g)를 갖춘 가이드홈(63a)이 형성된 회전스토퍼수단(60)과, 상기 상부브라켓(51)에서 회전스토퍼수단(60)이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스토퍼수단(60)과 근접 거리로 이격된 후 하부아마추어부재(44)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71)과, 상기 하부브라켓(71)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돌출된 선단의 일부가 상기 회전스토퍼수단(6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회전스토퍼수단(60)과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아마추어부재(44)의 승강 이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홈(63a)에 삽입되면서 가이드홈(6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핀(7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져, 추돌 사고 발생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기능을 보다 확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착석자의 목 부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of active headrest for seat vehicle}
도 1과 도 2는 후방 추돌사고 발생시 착석자의 거동상태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스토퍼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회전스토퍼수단을 구성하는 회전브라켓의 정면도,
도 6과 도 7은 추돌 사고 발생시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의 작동상태 및 착석자의 거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시트백프레임 21a - 사이드프레임
21b - 어퍼프레임 21c - 가이드구멍
44 - 하부아마추어부재 45 - 상부아마추어부재
51 - 상부브라켓 60 - 회전스토퍼수단
61 - 고정축부재 62 - 고정부재
63 - 회전브라켓 63a - 가이드홈
63f - 입구 63g - 출구
64 - 스프링부재 71 - 하부브라켓
73 - 가이드핀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돌 사고시 시트 착석자의 후두부로 상승 이동한 헤드레스트를 그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트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시 안락감을 줄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추돌 사고와 같은 응급상황 발생시 착석자를 충분히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차량용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의 하체를 밑에서 지지하는 시트쿠션(10)과, 상기 시트쿠션(10)과 연결되어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20)을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백(20)은 통상 지지대 역할을 하는 시트백프레임과, 충격흡수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폼(foam), 미관이나 형태의 유지를 위한 커버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20)의 상단에는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착석자의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0)가 장착되는 바, 상기 헤드 레스트(30)는 주행 중 착석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하고, 추돌시에는 착석자의 머리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헤드레스트(30)는 시트백(20)의 상단으로 돌출된 헤드레스트 스테이(31)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31)가 시트백(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됨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성이며,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31)와는 힌지 결합되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구성이다.
한편, 교차로 등에 정지해 있던 차가 10∼16㎞의 속도변화를 일으키며 추돌을 당하는 사고에서는 승객의 목 부위에 상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이를 휘프래쉬 상해(whiplash injury)라 부른다.
이러한, 휘프래쉬 상해 즉 목 부위의 상해는 착석자의 상체와 머리 사이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후방 추돌시 시트백(20)의 충격으로 착석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머리는 그 자리에 있으려 하여 목 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은 목의 관절 및 근육에 급격한 충격을 미침은 물론 목 부위 관절의 상해까지 초래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추돌 사고시 헤드레스트(30)가 착석자의 머리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의 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며, 이러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경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시트백(20)내에 구비된 액티브 헤드레스 트 구동장치를 통해 작동되는 구성이 일반적이며, 작동시 헤드레스트(30)는 시트백프레임에 대해서 착석자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도 2와 같이 대략 5°정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착석자의 머리를 향해 상승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추돌 사고시 착석자의 머리를 향해 상승 이동한 상태의 헤드레스트(30)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구조이어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올바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이 결과 착석자가 목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A)의 상태는 추돌 사고가 발생하기 전의 상태로서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착석자의 몸통이 시트백(2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시트백(20)내에 구비된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30)는 도 2에 도시된 (B)의 상태와 같이 착석자의 머리를 향해 전방측으로 상승 이동하여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착석자의 후두부가 전방측으로 상승 이동한 상태의 헤드레스트(30)와 접촉하게 되면, 이 순간 착석자 머리의 가압력으로 인해 상승 이동한 상태의 헤드레스트(30)는 도 2에 도시된 (C)의 상태와 같이 재차 하강이동을 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 이동한 상태의 헤드레스트(30)가 착석자로부터 압력을 전달받아 재차 하강이동을 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는 이유는, 종래의 액티브 헤드레 스트 구동장치에는 상승 이동한 상태의 헤드레스트(30)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석자의 머리는 헤드레스트(30)의 하강 이동시 뒤로 젖혀지게 되고, 이 결과 액티브 헤드레스트로부터 충분히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됨으로써 목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던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31은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추돌 사고 발생시 상승 이동한 상태의 헤드레스트를 그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착석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어퍼프레임의 밑면 중 가이드구멍사이의 위치에서 하부아마추어부재를 향해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에서 상부아마추어부재가 있는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시트백프레임의 후방쪽으로만 상기 어퍼프레임과 맞닿기 전까지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시트백프레임의 후방 및 전방을 향해 입구와 출구를 갖춘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스토퍼수단과; 상기 상부브라켓에서 회전스토퍼수단이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스토퍼수단과 근접 거리로 이격된 후 하부아마추어부재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에서 수평방향으 로 돌출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돌출된 선단의 일부가 상기 회전스토퍼수단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회전스토퍼수단과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아마추어부재의 승강 이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구비된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차량의 시트는 도 1의 참조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착석자의 하체를 밑에서 지지하는 시트쿠션(10)과, 상기 시트쿠션(10)과 연결되어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20)과, 상기 시트백(20)의 상단에 구비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착석자의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0)를 기본적으로 갖추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백(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21)을 통해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게 되어있는 바, 상기 시트백프레임(21)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21a)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21a)을 연결하는 어퍼프레임(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시트백프레임(21)에는 충격흡수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폼(foam) 및, 미 관이나 형태를 유지하는 커버가 덧씌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30)는 시트백(20)의 상단으로 돌출된 헤드레스트 스테이(31)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31)가 시트백(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됨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성이며,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31)와는 힌지 결합되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시트백(20)에는 추돌 사고 발생시 헤드레스트(30)에 의한 착석자의 목 부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레스트(30)에 액티브 기능을 부여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가 함께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프레임(21a)의 안쪽 측면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각각 힌지핀(41a)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41)과, 상기 어퍼프레임(21b)의 밑에서 차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면서 양쪽의 측면이 상기 힌지브라켓(41)에 고정 결합되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42)와,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41)에 걸려지고 타단은 상기 힌지브라켓(41)의 밑에서 사이드프레임(21a)에 결합된 스프링브라켓(43a)으로 걸려져서 상기 힌지브라켓(41)의 회동에 대해 복원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43)과, 대략 디귿(ㄷ)자의 모양으로 굴곡 형성되면서 양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에 고정 결합되고 중간부위는 상기 어퍼프레임(21b)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아마추어부재(44)와, 하단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아마추어부재(44)의 중간부위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어퍼프레임(21b)에 형성된 가 이드구멍(21c)을 지나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내측으로는 헤드레스트 스테이(31)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파이프형상으로 된 한 쌍의 상부아마추어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구멍(21c)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아마추어부재(45)는 가이드구멍(21c)을 따라 승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한 착석자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대략 5°정도 기울어져서 설치되는데, 이는 추돌 사고 발생시 헤드레스트(30)가 착석자의 머리를 향해 전방측으로 상승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부아마추어부재(45)가 가이드구멍(21c)을 따라 승하강 이동할 때에는 헤드레스트 스테이(31) 및 헤드레스트(30)도 함께 승강 이동하게 되는바, 이는 헤드레스트 스테이(31)와 상부아마추어부재(45)가 록킹기구(도시않됨)를 통해 일시적으로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물론, 록킹기구의 조작을 통해 구속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31)는 상부아마추어부재(45)의 내부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헤드레스트(3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추돌 사고시 어퍼프레임(21b)을 관통하여 전방측으로 상승 이동한 상태의 상부아마추어부재(45)를 그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하여 시트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구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어퍼프레임(21b)의 밑면 중 가이드구멍(21c)사이의 위치에서 하부아마추어부재(44)를 향해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상부브라켓(51)과, 상기 상부브라켓(51)에서 상부아마추어부재(45)가 있는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쪽으로만 상기 어퍼프레임(21b)과 맞닿기 전까지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 및 전방을 향해 입구(63f)와 출구(63g)를 갖춘 가이드홈(63a)이 형성된 회전스토퍼수단(60)과, 상기 상부브라켓(51)에서 회전스토퍼수단(60)이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스토퍼수단(60)과 근접 거리로 이격된 후 하부아마추어부재(44)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71)과, 상기 하부브라켓(71)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돌출된 선단의 일부가 상기 회전스토퍼수단(6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회전스토퍼수단(60)과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아마추어부재(44)의 승강 이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홈(63a)에 삽입되면서 가이드홈(6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핀(7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스토퍼수단(6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브라켓(51)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고정축부재(61)와, 상기 고정축부재(61)의 선단에 일측으로 편심된 부위가 관통되어 고정부재(62)를 매개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하부브라켓(71)을 향한 전면에 상기 가이드홈(63a)이 형성된 회전브라켓(63)과, 상기 고정축부재(61)의 외주면에 다수번 권선되면서 고정축부재(61)와 일체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고정축부재(61)에 권선되지 않은 일단은 다수번 절곡되면서 시트백프레임(21)의 전방쪽을 향하는 회전브라켓(63)의 측면 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21)의 전방쪽으로 회전브라켓(63)이 축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키도록 하는 스프링부재(6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부재(61)의 선단에는 축의 길이방향으로 음각된 나사홈(미도시)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고정부재(62)는 스크루 및 볼트와 같은 부재로서, 상기 고정축부재(61)와 고정부재(62)는 나사결합으로 서로 체결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회전브라켓(63)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3a)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부재(61)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63b)이 형성된 일측의 편심 부위에서 상기 스프링부재(64)의 일단이 걸려지는 일측면의 바깥 테두리 직선구간(63c)을 따라 돌출 형성된 상부돌기(63d) 및, 상기 관통구멍(63a)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상부돌기(63d)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 하부돌기(63e)와의 사이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돌기(63d)와 하부돌기(63e)사이의 간격 즉 가이드홈(63a)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핀(7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가이드홈(63a)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73)은 상,하부돌기(63d,63e)와 마찰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63a)은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쪽으로 연통되는 입구(63f) 및 시트백프레임(21)의 전방쪽으로 연통되는 출구(63g)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63a)의 입구(63f)가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을 향해 연통되는 상황은, 상기 회전브라켓(63)이 고정축부재(61)를 중심으로 시트백프레 임(21)의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고 도 3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일 때 그러하며, 만일 회전브라켓(63)이 고정축부재(61)를 중심으로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으로 회전하여 어퍼프레임(21b)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일 때에는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 상측을 향해 연통된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63a)의 출구(63g)가 시트백프레임(21)의 전방쪽으로 연통되는 구조라 하였으나, 엄밀히 말하면 상기 회전브라켓(63)이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고 도 3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일 때 전방 하측을 향해 연통된 구조이며,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으로 회전하여 어퍼프레임(21b)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시트백프레임(21)의 하측으로 연통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63a)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하부돌기(63e)는, 상기 입구(63f) 및 상기 출구(63g)사이 바깥 테두리의 원호구간(63h) 중 일부의 원호구간(63h)을 따라 형성되는 곡면돌기(63e-1)와, 상기 출구(63g)쪽을 향한 곡면돌기(63e-1)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돌기(63d)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직선돌기(63e-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63a)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상부돌기(63d)에는 관통구멍(63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테두리에서 상기 곡면돌기(63e-1)를 향해 연장 돌출된 걸림돌기(63i)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구조인 바, 상기 걸림돌기(63i)는 상기 가이드홈(63a)의 입구(63f)로 삽입된 후 곡면돌기(63e-1)와 직선돌기(63e-2)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상태의 가이드핀(73)이 재차 상기 가이드홈(63a)의 입구(63f)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63)의 측면에 해당하는 바깥 테두리의 직선구간(63c)에는 상기 스프링부재(64)의 일단이 걸려지도록 걸림턱(63j)이 단차지게 형성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추돌 사고가 발생하면 착석자의 몸통은 관성력에 의해 후퇴 이동하여 도 3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42)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는 후퇴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는 후퇴이동 뿐만 아니라 힌지핀(41a)을 중심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브라켓(41)에 의해 상측으로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는 후방 및 상방 이동을 함께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플레이트(42)의 이동은 하부아마추어부재(44)를 통해 상부아마추어부재(45)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아마추어부재(45)는 헤드레스트 스테이(31)와 함께 가이드구멍(21c)을 통해 상승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가이드핀(73)이 (D)의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는 하부아마추어부재(44)가 상승 이동하지 않은 상태 즉, 추돌 사고가 발생되기 전의 상태로서, 이때 상기 가이드핀(73)은 도 3 및 도 5와 같이 하부돌기(63e)의 바로 아래에 이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또한, 추돌 사고가 발생되기 전의 상태일 때 헤드레스트(30)는 도 7의 (M)과 같이 착석자 후두부의 후방 약간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아마추어부재(44) 및 상부아마추어부재(45)가 상승 이동을 하게 되면, 가이드핀(73)도 동시 상승하여 도 5에 도시된 (E)의 위치에 이르게 되고, 계속적으로 상승되는 힘에 의해 곡면돌기(63e-1)의 밑면을 따라 이동하여 (F)의 위치에 이르게 된다.
상기 가이드핀(73)이 (F)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는 도 6의 (J)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하부아마추어부재(44) 및 상부아마추어부재(45)가 상승 이동을 하게 되면,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30)는 도 7 (N)의 상태와 같이 점선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도 6의 도면은 하부아마추어부재(44) 및 상부아마추어부재(45)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하부브라켓(71)과 가이드핀(73)의 이동상태만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핀(73)이 도 5에 도시된 (E)의 위치에서 곡면돌기(63e-1)의 밑면을 따라 이동하여 (F)의 위치에 이를 때, 상기 가이드핀(73)의 상승력에 의해 회전브라켓(63)이 고정축부재(61)를 중심으로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으로 회전하는 동작(도 5의 상태에서 관통구멍(63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으나, 상기 회전브라켓(63)의 회전은 어퍼프레임(21b)과의 접촉시 구속되어 더 이상의 진행이 불가하게 된다.
반대방향 회전은 스프링부재(64)의 구속력에 의해 진행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핀(73)이 도 5에 도시된 (F)의 위치에 도달한 후 가이드홈(63a)의 입구(63f)로 진입한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42)를 가압하고 있던 시트 착석자의 몸통이 베이스플레이트(42)로부터 일순간 떨어지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73)은 도 5에 도시된 (G)의 위치에서 하부돌기(63e)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핀(73)이 (G)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는 도 6 (K)의 상태이며, 이때 헤드레스트(30)는 도 7 (O)의 상태와 같이 상승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승 이동한 상태의 헤드레스트(30)는 착석자의 머리를 향해 전방측으로 상승 이동하여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착석자의 후두부가 상승 이동한 상태의 헤드레스트(30)와 접촉하여 헤드레스트(30)를 가압하게 되더라도 하부돌기(63e)에 걸려진 가이드핀(73)에 의해 하강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추돌 사고 발생시 보다 효과적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착석자의 목 부위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추돌 사고시 파손되지 않는 한 재차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도 7의 (O)와 같이 상승 이동하여 위치가 고정된 헤드레스트(30)를 도시 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전방으로 당기면서 더 상승 이동시키게 되면, 도 5의 (G)의 위치에 있던 가이드핀(73)은 걸림돌기(63i)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H)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핀(73)이 (H)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는 도 6 (L)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기면서 더 상승 이동시켜주고 있던 헤드레스트(30)를 놓아주게 되면, 헤드레스트(30)와 상하부아마추어부재(45,44) 및 베이스플레이트(42)는 자중에 의해 수직 낙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5의 (H)의 위치에 있던 상기 가이드핀(73)은 가이드홈(63)의 출구(63g)를 통해 빠져나와 최초 위치인 (D)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도 인장스프링(43)의 복원력을 전달받아 전진이동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42) 및 가이드핀(73)이 복귀하게 되면 도 3과 같은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추돌 사고 발생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기능을 보다 확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착석자의 목 부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상기 어퍼프레임(21b)의 밑면 중 가이드구멍(21c)사이의 위치에서 하부아마추어부재(44)를 향해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상부브라켓(51)과;
    상기 상부브라켓(51)에서 상부아마추어부재(45)가 있는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쪽으로만 상기 어퍼프레임(21b)과 맞닿기 전까지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 및 전방을 향해 입구(63f)와 출구(63g)를 갖춘 가이드홈(63a)이 형성된 회전스토퍼수단(60)과;
    상기 상부브라켓(51)에서 회전스토퍼수단(60)이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스토퍼수단(60)과 근접 거리로 이격된 후 하부아마추어부재(44)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71)과;
    상기 하부브라켓(71)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돌출된 선단의 일부가 상기 회전스토퍼수단(6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회전스토퍼수단(60)과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아마추어부재(44)의 승강 이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홈(63a)에 삽입되면서 가이드홈(6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핀(73);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토퍼수단(60)은,
    상기 상부브라켓(51)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고정축부재(61)와;
    상기 고정축부재(61)의 선단에 일측으로 편심된 부위가 관통되어 고정부재(62)를 매개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하부브라켓(71)을 향한 전면에 상기 가이드홈(63a)이 형성된 회전브라켓(63)과;
    상기 고정축부재(61)의 외주면에 다수번 권선되면서 고정축부재(61)와 일체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고정축부재(61)에 권선되지 않은 일단은 다수번 절곡되면서 시트백프레임(21)의 전방쪽을 향하는 회전브라켓(63)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21)의 전방쪽으로 회전브라켓(63)이 축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키도록 하는 스프링부재(6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63)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3a)은,
    상기 고정축부재(61)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63b)이 형성된 일측의 편심 부위에서 상기 스프링부재(64)의 일단이 걸려지는 일측면의 바깥 테두리 직선구간(63c)을 따라 돌출 형성된 상부돌기(63d) 및,
    상기 관통구멍(63a)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상부돌기(63d)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 하부돌기(63e)와의 사이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63a)은 시트백프레임(21)의 후방쪽으로 연통되는 입구(63f) 및 시트백프레임(21)의 전방쪽으로 연통되는 출구(63g)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기(63e)는 입구(63f)와 출구(63g)사이의 바깥 테두리 일부 원호구간(63h)을 따라 형성되는 곡면돌기(63e-1)와, 상기 출구(63g)쪽을 향한 곡면돌기(63e-1)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돌기(63d)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직선돌기(63e-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돌기(63d)는 관통구멍(63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테두리에서 상기 곡면돌기(63e-1)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63a)의 입구(63f)로 삽입된 후 곡면돌기(63e-1)와 직선돌기(63e-2)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가이드핀(73)이 재차 상기 가이드홈(63a)의 입구(63f)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돌기(63i);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63)의 측면에 해당하는 바깥 테두리의 직선구간(63c)에는 상기 스프링부재(64)의 일단이 걸려지도록 걸림턱(63j)이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20070001214A 2007-01-05 2007-01-05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78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214A KR100786007B1 (ko) 2007-01-05 2007-01-05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214A KR100786007B1 (ko) 2007-01-05 2007-01-05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007B1 true KR100786007B1 (ko) 2007-12-14

Family

ID=3914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214A KR100786007B1 (ko) 2007-01-05 2007-01-05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0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478A (zh) * 2014-12-14 2015-04-22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
KR101518646B1 (ko) * 2013-12-29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KR20210065316A (ko) * 2019-11-27 2021-06-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718A (ko) * 2004-06-17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718A (ko) * 2004-06-17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5-0119718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46B1 (ko) * 2013-12-29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CN104527478A (zh) * 2014-12-14 2015-04-22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
KR20210065316A (ko) * 2019-11-27 2021-06-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KR102293587B1 (ko) 2019-11-27 2021-08-2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933B1 (ko)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KR101073958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JP4936823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786007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JP5153794B2 (ja) バックレスト支持機構
KR102060093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
KR101053515B1 (ko) 차량시트용 충격흡수장치
KR100706440B1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KR101875430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다이브 시트
JP2008238969A (ja) シートバック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JP5229524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101438849B1 (ko) 차량용 시트
KR20080016060A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KR102590092B1 (ko) 시트백 충격흡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KR20070065720A (ko) 여객 운송기 시트용 액티브 헤드 레스트 구동장치
KR100569365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KR20080015218A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569366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분할 시트백
KR200222048Y1 (ko) 차량용 안전의자
KR100513550B1 (ko) 자동차 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20050115108A (ko) 차량 시트의 안전장치
JP2004189097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20033614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