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316A -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316A
KR20210065316A KR1020190153908A KR20190153908A KR20210065316A KR 20210065316 A KR20210065316 A KR 20210065316A KR 1020190153908 A KR1020190153908 A KR 1020190153908A KR 20190153908 A KR20190153908 A KR 20190153908A KR 20210065316 A KR20210065316 A KR 20210065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rame
headrest
protrus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587B1 (ko
Inventor
박찬욱
장우정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5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74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2Head-res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고, 센터프레임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웡아웃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윙아웃프레임에는 슬라이더돌기가 형성된 링크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 배치되고,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에는 윙아웃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경우, 슬라이더돌기가 이동되는 환형이동로가 형성된 돌기가이드부가 배치되며, 환형이동로의 중앙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DEVICE FOR SUPPORTING WING OUT HEADREST OF VEHICLE}
본 발명은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머리로부터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커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승객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는 승객이 착좌하는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시트백과, 머리부를 지지하도록 시트백의 상부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중 헤드레스트는 승객의 목과 머리를 지지하여 목 부분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추돌 사고시에는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막아주어 목 부분의 상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승객에게 보다 우수한 안락함을 제공하고자 최근에는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윙아웃 헤드레스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의 양측에서 힌지프레임(3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윙아웃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프레임(30)의 중앙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에 결합된 힌지핀(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프레임(30)의 일측에는 윙아웃프레임(20)의 힌지장착구(22)와 결합되는 고정단(3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토퍼(14)와 선택적으로 체결, 분리가 되는 고정핀(32)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스토퍼(14)의 끝단에는 고정핀(32)이 삽입되어 체결될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윙아웃 헤드레스트는 승객이 윙아웃프레임(20)을 시트 전면방향으로 잡아당겨 도 3과 같이 고정핀(32)이 스토퍼(14)의 요홈에 체결하게 한 뒤 사용하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머리 뒤쪽 측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에세 보다 우수한 안락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는 승객의 머리로부터 큰 지지력(8 kgf 초과)을 받는 경우 고정핀(32)이 스토퍼(14)의 요홈에서 이탈하게 되어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원상태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93848호(2016.02.03)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큰 지지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태를 유지하여 승객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대한 성능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성을 단순화하여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고, 센터프레임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웡아웃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윙아웃프레임에는 슬라이더돌기가 형성되어 윙아웃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링크부가 배치되고,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에는 윙아웃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경우, 슬라이더돌기가 이동되는 환형이동로가 형성된 돌기가이드부가 배치되며, 환형이동로의 중앙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환형이동로에는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대향된 방향으로 슬라이더돌기가 삽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환형이동로의 걸림홈은 개방구 방향으로 형성되며,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 또는 센터프레임에는 일측이 윙아웃프레임과 맞닿아 윙아웃프레임을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윙아웃프레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슬라이더돌기가 개방구측 또는 걸림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이동로를 형성하는 측벽 중 걸림홈에 대향되는 측벽에는 걸림홈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저항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환형이동로를 형성하는 측벽 중 제1저항홈이 형성된 측벽에는 제1저항홈에 인접하여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중앙방향으로 제2저항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에는 슬라이더돌기에 대향되는 방향에 일측이 개방된 링크결합후크가 형성되고, 윙아웃프레임에는 링크부의 링크결합후크가 체결되는 링크회동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윙아웃프레임에는 센터프레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프레임에는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윙아웃회동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센터프레임에는 스프링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스프링은 중앙에 스프링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센터프레임과 윙아웃프레임에는 스프링의 일측과 타측이 맞닿는 스프링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사용위치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중에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추가 부하를 가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사용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의도하지 않게 본래 위치로 복귀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전체적인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품질의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주요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회동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링크부 및 돌기가이드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인 도 4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결합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며,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의 일면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200),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의 일면에 배치되고 센터프레임(20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웡아웃프레임(300)으로 구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프레임(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윙아웃프레임(300)이 전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에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윙아웃프레임(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링크부 및 돌기가이드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돌기(410)가 형성된 링크부(4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의 전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400)의 슬라이더돌기(4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환형이동부(510)가 형성된 돌기가이드부(500)가 결합된다. 이때 환형이동부(510)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5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윙아웃프레임(300)이 센터프레임(200)에서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의 전면 방향 및 후면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링크부(400)의 슬라이더돌기부(410)는 환형이동부(510)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 중 걸림홈(520) 부분에서 걸려 윙아웃프레임(300)의 회동을 구속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링크부(400) 및 돌기가이드부(5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에서 설명한 환형이동로(510)에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돌기부(410)가 삽입되는 개방구(530)가 형성되며, 윙아웃프레임(300)이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에 가장 가깝게 있는 상태(이하에서는 '초기상태'라 함)에서 슬라이더돌기(410)는 개방구(530)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며, 윙아웃프레임(300)이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으로부터 소정각도로 회동하여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기 용이한 각도를 구성하는 경우(이하에서는 '사용상태'라 함)에 슬라이더돌기(410)는 환형이동로(510)의 걸림홈(520)에 배치하도록 구성하며, 이때 걸림홈(520)의 방향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돌기(410)가 걸림홈(520)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더돌기(410)의 진행방향에 걸림홈(520)을 형성하여 상호 걸릴 수 있도록 구성한 바, 걸림홈(520) 또는 슬라이더돌기(410)가 마모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경우라면 윙아웃프레임이 다시 초기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윙아웃프레임(300)이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 승객의 머리와 헤드레스트가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슬라이더돌기(410)가 걸림홈(520) 상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슬라이더돌기(410)에 지속적인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윙아웃프레임(300)과 맞닿아 윙아웃프레임(300)을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10)을 배치하여 슬라이더돌기(410)가 걸림홈(520) 상에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더돌기(410)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차량의 진동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슬라이더돌기(41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형이동로(510)를 형성하는 측벽 중 걸림홈(520)에 대향되는 측벽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5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저항홈(5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저항홈(535)은 초기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윙아웃프레임(300)을 회동시키는 경우, 슬라이더돌기(410)가 제1저항홈(535)에 맞닿아 윙아웃프레임(300)을 회동시키는 승객의 손에 저항감을 발생시켜, 해당 위치에서 윙아웃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도록 신호를 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승객이 윙아웃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힘을 줄이는 경우 슬라이더돌기(410)는 제1저항홈(535)에 대향되는 걸림홈(520)으로 이동하여 윙아웃프레임(300)을 사용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환형이동로(510)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제1저항홈(535)이 형성된 측벽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항홈(535)에 인접하여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의 중앙방향으로 제2저항홈(54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객이 윙아웃프레임(300)을 사용상태에서 다시 초기상태로 변화시키는 경우 승객은 윙아웃프레임(300)을 시트 전면 방향으로 잡아당겨 윙아웃프레임(300)을 회동시키고, 슬라이더돌기(410)가 제2저항홈(540)으로 이동하여 걸림으로써 승객에게 슬라이더돌기(410)가 걸림홈(520)에서 이탈된 상태의 신호를 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승객은 윙아웃프레임(300)에 힘을 줄이면 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저항홈(540)에 위치한 슬라이더돌기(410)는 환형이동로(510)를 따라 개방구(5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초기상태로 돌아간다.
승객에게 사용상태, 사용상태에서 벗어나는 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저항홈(535), 제2저항홈(54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520)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앞에서 검토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윙아웃프레임(300)과 링크부(400)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링크부(400)에는 슬라이더돌기(410)에 대향되는 방향에 일측이 개방된 링크결합후크(420)가 형성되고, 윙아웃프레임(300)에는 링크부(400)의 링크결합후크(420)가 체결되는 링크회동축(320)이 형성되어 윙아웃프레임(300)의 회동시 링크부(400)가 링크회동축(320)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링크부(400)의 슬라이더돌기(410)가 이동하는 돌기가이드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돌기가이드베이스(50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가이드베이스(501)는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에 걸림결합을 할 수 있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였으나, 본딩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윙아웃프레임(30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프레임(200)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330)가 형성되고, 센터프레임(200)에는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3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윙아웃회동축(230)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회동축(320)은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330) 사이에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330)가 결합되는 윙아웃회동축(230)은 1개만 형성되어도 윙아웃프레임(200)의 회동 자체에는 문제가 없으나,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330)와 윙아웃회동축(230)이 1개만 형성되는 경우 윙아웃프레임(200)의 회동시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으며, 윙아웃프레임(200)의 회동시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 슬라이드돌기(410)가 환형이동로(510)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330)와 윙아웃회동축(230)은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링크회동축(320)은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3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310)을 체결하기 위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프레임(200)에는 스프링 체결돌기(210)가 형성되고, 스프링(310)의 중앙에는 스프링 체결돌기(210)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스프링 체결돌기(210)가 체결홀에 삽입되어 고정시키고, 센터프레임(200)과 윙아웃프레임(300)에는 스프링(310)의 일측과 타측이 맞닿는 스프링 이탈방지턱(211, 311)이 형성되어 스프링(310)이 스프링 체결돌기(210) 상에서 요동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의 작동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 ①은 초기상태를 의미하며, ②는 초기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윙아웃프레임(300)을 변경하기 위해 윙아웃프레임(300)을 최대한 회동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③은 사용상태를 의미하며, ④는 사용상태 이후에 초기상태로 변경하기 위하여 윙아웃프레임(300)을 최대한 회동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① 상태에서는 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윙아웃프레임(300)이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100)에 근접하게 있는 상태로, 슬라이더돌기(410)는 도 6의 (b)와 같이 개방구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② 상태로 윙아웃프레임(300)을 회동시키면 슬라이더돌기(41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이동로(510)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저항홈(535)에 위치한다. 제1저항홈(535)에 슬라이더돌기(410)가 위치하면 제1저항홈(535)을 구성하는 환형이동로(510)의 측벽에 슬라이더돌기(410)가 맞닿게 되며, 윙아웃프레임(300)의 회동시키는 승객의 손에 반발력(저항감)을 발생시켜 승객에게 사용상태에 가장 가깝게 윙아웃프레임(300)이 회동되었다는 신호를 부여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윙아웃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키면 슬라이더돌기(410)는 걸림홈(520)으로 이동하여 ③ 상태를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승객이 윙아웃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하여 ③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③ 상태에서 ④ 상태로 윙아웃프레임(300)을 회동시키면 슬라이더돌기(410)는 제2저항홈(5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객에게 ③ 상태를 벗어낫음의 신호를 주며, 윙아웃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힘을 줄이거나 제거하면 슬라이더돌기(410)는 환형이동로(510)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구 방향으로 이동하며 다시 ① 상태가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 200 : 센터프레임
210 : 스프링 체결돌기 211 : 스프링 이탈방지턱
230 : 윙아웃회동축 300 : 웡아웃프레임
310 : 스프링 311 : 스프링 이탈방지턱
320 : 링크회동축 330 :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
400 : 링크부 410 : 슬라이더돌기
420 : 링크결합후크 500 : 돌기가이드부
501 : 돌기가이드 베이스 510 : 환형이동로
520 : 걸림홈 530 : 개방구
535 : 제1저항홈 540 : 제2저항홈

Claims (8)

  1.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과,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과,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프레임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웡아웃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윙아웃프레임에는 슬라이더돌기가 형성된 링크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 배치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윙아웃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돌기가 이동되는 환형이동로가 형성된 돌기가이드부가 배치되며, 상기 환형이동로의 중앙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형이동로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대향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돌기가 삽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환형이동로의 걸림홈은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 또는 센터프레임에는 일측이 상기 윙아웃프레임과 맞닿아 상기 윙아웃프레임을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윙아웃프레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돌기가 개방구 측 또는 상기 걸림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형이동로를 형성하는 측벽 중 상기 걸림홈에 대향되는 측벽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저항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환형이동로를 형성하는 측벽 중 상기 제1저항홈이 형성된 측벽에는 상기 제1저항홈에 인접하여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프레임의 중앙방향으로 제2저항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돌기에 대향되는 방향에 일측이 개방된 링크결합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윙아웃프레임에는 상기 링크부의 링크결합후크가 체결되는 링크회동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윙아웃프레임에는 상기 센터프레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프레임에는 상기 윙아웃프레임 결합후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윙아웃회동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터프레임에는 스프링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프레임과 윙아웃프레임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과 타측이 맞닿는 스프링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KR1020190153908A 2019-11-27 2019-11-27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KR10229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08A KR102293587B1 (ko) 2019-11-27 2019-11-27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08A KR102293587B1 (ko) 2019-11-27 2019-11-27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16A true KR20210065316A (ko) 2021-06-04
KR102293587B1 KR102293587B1 (ko) 2021-08-25

Family

ID=7639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908A KR102293587B1 (ko) 2019-11-27 2019-11-27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5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07B1 (ko) * 2007-01-05 2007-12-14 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1593848B1 (ko) 2014-12-29 2016-02-12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93847B1 (ko) * 2014-12-29 2016-02-15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07B1 (ko) * 2007-01-05 2007-12-14 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1593848B1 (ko) 2014-12-29 2016-02-12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93847B1 (ko) * 2014-12-29 2016-02-15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587B1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126B2 (en) Seat-back frame and vehicle seat
JP4850476B2 (ja) 車両用シート
US6270158B1 (en) Lumbar support locking apparatus for a car seat
JP2005029151A (ja) 第1の要素を第2の要素にロッ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シート
US20110080029A1 (en) Storage assist device for vehicle seat
JP5233525B2 (ja) ヘッドレスト
KR102293587B1 (ko) 차량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JP4451549B2 (ja) 座席用テーブル
JPH11170912A (ja) インナーミラーの回避構造
JP2002337595A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H07315088A (ja) 車両用シート
US10640013B2 (en) Seat for vehicles
JP3695161B2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構造
JP2001252147A (ja) シートバックのヒンジ構造
KR20100033581A (ko) 2도어 타입 승용차의 이지엔트리 장치
KR20050110265A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400055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を取り付け可能な車両用シート
JPH10114352A (ja) カバー部材のオープンロック機構
JP3776685B2 (ja) 椅子
JP4988238B2 (ja) シートバック用テーブル
KR100546933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슬라이드구조
JP2018090038A (ja) ヘッドレスト
JP2002186542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200101044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344857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