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849Y1 - 유모차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849Y1
KR200224849Y1 KR2019980021005U KR19980021005U KR200224849Y1 KR 200224849 Y1 KR200224849 Y1 KR 200224849Y1 KR 2019980021005 U KR2019980021005 U KR 2019980021005U KR 19980021005 U KR19980021005 U KR 19980021005U KR 200224849 Y1 KR200224849 Y1 KR 200224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pring
shock
coupled
dr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260U (ko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2019980021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84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2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849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석을 지지하는 지지축과 구동바퀴에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지면으로 부터의 층격을 용이하게 흡수함으로써 유아의 충격으로 인한 놀램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유모차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그 기술적인 구성은, 구동바퀴(3)가 결합되는 하부지지판(5)과 이에 제1스프링(6)으로 연결되는 상부지지판(9)으로 구성되는 제1완충부(1);와, 상기 상부지지판(9)에 지지축(13)이 연결되는 연결바(20)가 제2스프링(12)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제2완충부(2);로 이루어 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모차용 완충장치
본 고안은 유아의 산책등에 사용되는 유모차에 있어서, 좌석을 지지하는 지지축과 구동바퀴에 다중의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지면으로 부터의 층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충격으로 인한 유아의 놀램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유모차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단에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하부지지판을 개재되는 제1스프링에 의해 돌기삽입요홈이 형성되는 상부지지판의 저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완충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삽입요홈의 내측으로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제2스프링을 개재하여 결합되며, 타단이 좌석을 지지하는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아등이 눕혀지는 좌석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의 단부에는 구동바퀴가 연결되어 이동가능토록 되고, 상기 유모차는 지지축을 축으로 접었다 폈다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미사용시 유모차를 접어서 편리하게 보관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아를 눕히거나 앉도록 각도가 조절되는 좌석을 4개의 지지축(52)의 내측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축(52)은 X형상으로 그 일측이 교차토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52)의 각 단부에 구동바퀴(53)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유모차에 있어서는, 일측이 힌지로 고정되는 X형상의 지지축(52)을 펼쳐 그 내측에 결합되는 좌석(51)의 각도를 조정하여 유아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토록 하고, 상기 지지축(52)의 저 단부에는 구동바퀴(53)가 결합되어 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구동 가능토록 하고, 상기 유모차(54)를 미 사용할 때 지지축(52)을 접어 부피를 최소로 유지하여 보관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모차에 있어서는, 좌석을 지지하는 지지축(52)의 단부에 별도의 완충장치가 없이 구동바퀴(53)가 곧바로 연결되어 구동바퀴(53)에 전달되는 지면의 충격이 지지축(52)을 통하여 좌석(51)에 위치하는 유아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유아가 충격 등에 쉽게 놀래거나, 유모차(54)의 주행중 편안안 상태를 지속하기 힘들고, 주행중 잦은 충격에 의해 모든 것이 완성된 상태가 아닌 유아의 건강을 해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좌석를 지지하는 지지축과 이에 연결되는 구동바퀴에 완충장치를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 지고, 구동바퀴에 전달되는 지면으로 부터의 충격이 완충장치에 용이하게 흡수하여 진동을 방지함으로써 유모차의 주행중 유아가 놀래는 현상을 방지하며, 유모차의 주행중 편안안 상태를 지속하고, 완충장치에 의헤 주행중 잦은 충격에 의한 진동시 유아의 건강상 피해를 방지하는 유모차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유모차용 구동바퀴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가 장착된 유모차용 구동바퀴를 도시한
요부 개략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지지축 연결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바퀴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제1완충부 2...제2완충부
5...하부지지판 6...제1스프링
8...힌지핀 9...상부지지판
11...고정돌기 12...제2스프링
13...지지축 20...연결바
21...고정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하단에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하부지지판에 일정각을 갖도록 정형화 되는 제1스프링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스프링의 타측이 상측에 돌기삽입요홈이 형성되는 상부지지판에 고정되어 제1완충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기삽입요홈의 내측으로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제2스프링을 개재하여 결합되며 타단이 좌석을 지지하는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완충부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모차용 완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가 장착된 유모차용 구동바퀴를 도시한 요부 개략도이고, 도3 및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지지축 연결부와 구동바퀴 연결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로서 본 고안은 제1완충부(1)와 제2완충부(2)로 이루어 진다.
하단에 결합되는 구동바퀴(3)로 부터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제1완충부(1)는, 구동바퀴(3)가 저단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판(5)에 일정각을 갖도록 정형화 되는 제1스프링(6)의 일측이 밀착판(7)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스프링(6)의 타측이 하부지지판(5)에 힌지핀(8)으로 연결되는 상부지지판(9)에 고정판(10)으로서 결합되며, 상기 상부지지판(9)의 상측에 스프링지지홈(17)이 연결되는 돌기삽입요홈(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완충부(1)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1완충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지지축(1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완충부(2)는, 상기 돌기삽입요홈(15)의 내측으로 일단에 고정돌기(11)가 형성되는 연결바(20)가 제2스프링(12)을 개재하여 결합되며,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턱(19)이 좌석을 지지하는 지지축(13)의 하단에 형성되는 밀착홈(16)에 압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도면부호 14,14`는 제1스프링(6)이 삽입토록 상,하부지지판(9)(5)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요홈이고, 도면부호 18은 고정돌기(11)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볼트이며, 도면부호 22,23은 결합볼트(18)가 밀착 및 결합되는 볼트밀착홈과 볼트삽입홈 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지지판(9)과 제1스프링(6)을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지지판(5)으로 구성되는 제1완충부(1)는, 하부지지판(5)의 하단부에 지면과 접촉되어 용이하게 이동토록 되는 구동바퀴(3)가 일반적인 베어링이나 힌지축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구동바퀴(3)가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될 때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은 상,하부지지판(9)(5)에 연결되는 제1스프링(6)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된다.
또한, 도4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부지지판(9)(5)에 양측이 고정되는 제1스프링(6)은, 일정각을 갖도록 정형화 되어 하단부가 구동바퀴(3)를 고정하는 결합축(미도시)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스프링(6)의 일측이 밀착판(7)에 의해 하부지지판(5)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정판(10)으로서 상부지지판(9)에 결합되며, 이때 제1스프링(6) 및 상,하부지지판(9)(5)을 관통하는 힌지핀(8)으로 연결되어 구동바퀴(3)의 충격을 흡수한다.
계속하여, 상기 상,하부지지판(9)(5)에 고정판(10)과 밀착판(7)을 이용하여 결합될 때 이에 고정되는 제1스프링(6)의 양측면은 스프링고정요홈(14)(14`)에 삽입되어 요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판(9)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삽입요홈(15)에 일단이 삽입되어 타단이 지지축(13)에 연결됨으로써 제1완충부(1)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는 충격을 2차로 흡수하는 제2완충부(2)는, 상기 돌기삽입요홈(15)에 연결바(20)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1)가 제2스프링(12)을 개재한 고정수단(21)에 의해 결합되며, 이때 상기 고정수단(21)은, 고정돌기(11)의 하단에 형성되는 볼트삽입홈(23)에 결합볼트(18)가 결합되어 연결바(2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연결바(20)의 상승시 볼트밀착홈(22)에 결합볼트(18)의 일측이 밀착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20)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턱(19)이 지지축(13)의 일측에 형성되는 밀착홈(16)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지지축(13)과 일체로 되고,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1)가 제2스프링(12)을 개재하여 상부지지판(9)의 돌기삽입요홈(15)에 고정된다.
이에더하여, 상기 연결바(20)를 상부지지판(9)에 연결하는 고정수단(21)은, 상기 고정돌기(11)가 돌기삽입요홈(15)에 삽입될 때 고정돌기(11)의 주연에 삽입되는 제2스프링(12)은 돌기삽입요홈(15)에 연결되는 스프링지지요홈(17)에 삽입되어 요동이 방지토록 된다.
또한,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바퀴(3)에 충격이 전달될때 상,하부지지판(9)(5)에 고정되어 일정각을 갖도록 정형화 되는 제1스프링(6)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제 1완충부(1)와, 상기 제1완충부(1)에 의해 흡수되지 않는 충격은 상부지지판(9)에 제2스프링(12)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연결바(20)가 상,하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제2완충부(2)에 의해 충격을 완전하게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완충장치에 의하면, 좌석를 지지하는 지지축과 이에 연결되는 구동바퀴에 완충장치를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 지고, 구동바퀴에 전달되는 지면으로 부터의 충격이 완충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되어 진동을 방지함으로써 유모차의 주행중 유아가 놀래는 현상을 방지하며, 유모차의 주행중 편안안 상태를 지속하고, 완충장치에 의헤 주행중 잦은 충격에 의한 진동시 유아의 건강상 피해를 방지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동바퀴(3)가 결합되는 하부지지판(5)에 제1스프링(6)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하부지지판(5)에 힌지핀(8)으로 연결되는 상부지지판(9)에 제1스프링(6)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1완충부(1)와,
    상기 상부지지판(9)의 상단으로 일측이 지지축(13)에 결합되는 연결바(20)의 타측이 제2스프링(12)을 개재하여 고정수단(21)으로 연결되는 제2완충부(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1)와 제2완충부(2)를 연결하는 고정수단(21)은, 연결바(20)의 타측에 고정돌기(11)가 형성되어 상부지지판(9)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삽입요홈(15)에 삽입될 때 고정돌기(11)의 하단에 결합볼트(18)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완충장치
KR2019980021005U 1998-10-31 1998-10-31 유모차용 완충장치 KR200224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05U KR200224849Y1 (ko) 1998-10-31 1998-10-31 유모차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05U KR200224849Y1 (ko) 1998-10-31 1998-10-31 유모차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60U KR19990004260U (ko) 1999-01-25
KR200224849Y1 true KR200224849Y1 (ko) 2001-07-31

Family

ID=6950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005U KR200224849Y1 (ko) 1998-10-31 1998-10-31 유모차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8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60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2071B2 (ja) 車両のパワ−ユニツト支持装置
CN101973304A (zh) 婴儿承载装置及其车轮组件
KR200224849Y1 (ko) 유모차용 완충장치
JP4930868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ベビーカー
KR200224850Y1 (ko) 유모차용 완충장치
CN113044100B (zh) 一种缓冲防护性高的婴儿推车及其工作方法
CN200939895Y (zh) 一种婴儿车的吸震结构
JPS62292543A (ja) 座席装置
JP2017087893A (ja) 折り畳み式乳母車
KR100373825B1 (ko) 자전거의 완충장치
KR102647831B1 (ko) 차량용 쇼크업소버
KR102083900B1 (ko)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CN213017602U (zh) 一种齿轮箱底座
KR101941920B1 (ko)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US3536313A (en) Inertia-offset vehicle ride damper
JP2006087552A (ja) 電動車椅子の防振構造
JP6134549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608816B1 (ko) 전동 킥보드 후방 서스펜션 장치
KR200153472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와 쇽 어브소버 장착구조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KR200308049Y1 (ko) 유아용 자전거 안장의 완충장치
KR20000054953A (ko) 자동차용 시트의 서스펜션 구조
KR19990035387A (ko) 로워링크의 완충장치
JP2566708Y2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JP3418152B2 (ja) チルト式キャブ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