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920B1 -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920B1
KR101941920B1 KR1020180135122A KR20180135122A KR101941920B1 KR 101941920 B1 KR101941920 B1 KR 101941920B1 KR 1020180135122 A KR1020180135122 A KR 1020180135122A KR 20180135122 A KR20180135122 A KR 20180135122A KR 101941920 B1 KR101941920 B1 KR 10194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elastic
shock absorber
suspension system
coil sp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진
김기철
Original Assignee
김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진 filed Critical 김국진
Priority to KR102018013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mechanical damper or dynamic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mechanically, e.g. having frictionally-engaging springs as dam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3Small sized city mot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상에 있는 코일스프링 보호링;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코일스프링 보호링 안에 있는 코일스트링; 상기 코일스프링 상의 스프링 패드;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하부판 상에 있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스프링 패드를 감싸며 차체와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를 갖는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A Auto Suspension System With Rubber Suspension Unit And A Automobile Using Auto Suspension System With Rubber Suspension Unit Thereof}
본 발명은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승용차의 독립 현가장치로 노면과 타이어 차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차단하여 차체의 충격을 줄이고, 탑승자에게 진동이나 소음이 감소 전달되어 승차감이 좋은 승용차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처럼 자동차의 현가장치(50)는 차체(도시되지 않음)와 휠(30)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차체와 휠 사이에서 타이어의 회전과 노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현가장치는 여러 종류로 개발되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
과 쇼크업소버 등을 통해 차체와 휠 사이를 지지하면서, 쇼크업소버의 상단에는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며, 마운팅 브라켓은 차체에 고정되고, 하단은 조향너클과
결합된다.
쇼크업소버에 장착된 코일스프링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완충되지만, 완벽하지
못하여 피로 하중이 누적되며 우수한 성능을 가진 현가장치가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8097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로, 차체와 휠 사이에서 타이어와 노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하여,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승용차용 현가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승차감이 좋은 자동차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기 완충몸체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상에 있는 스프링 보호링;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스프링 보호링 안에 있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 상의 스프링 패드;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하부판 상에 있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스프링 패드를 감싸며 차체와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은 나사구조를 포함한다.
중심연결부는 정사각 측면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몸체는 중심연결부가 2개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은 대칭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L자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 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나사구조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나사구조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기 완충몸체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상에 있는 코일스프링;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하부판 상에 있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코일스프링 상에 상부연결부재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 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기 완충몸체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상에 있는 코일스프링과 쇼크업쇼바;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하부판 상에 있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코일스프링과 쇼크업쇼바 상에 상부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와 휠 사이에서 타이어와 노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하여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승용차용 현가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를 제공한다.
또한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현가장치를 구현하여 승차감이 좋은 자동차를 제공하고 현가시스템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독립식 현가장치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를 사용한 자동차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 다른 측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하부판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의 연결축 부품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의 완충몸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의 완충 개념을 보여주는 개념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프링 보호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프링 보호링, 코일스프링, 스프링패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를 사용한 자동차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무탄성완충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변형 개념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고무 탄성 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를 사용한 자동차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동차는 엔진에 의해서 회전 추진될 때 타이어와 주행노면이 마찰되면서 추진력을 얻는 관계로 노면의 상태와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여 그러한 진동은 차체에 전달되어 승차감 및 차체 수명에 많은 영향을 준다.
자동차 현가시스템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시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정한 차 높이를 유지하고, 차의 무게를 중심으로 집중시키고, 주행방향을 조정하고, 적정한 휠 얼라이먼트를 유지하면서, 타이어 접지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은 독립식 맥퍼슨형식의 현가장치로 코일스프링, 쇼크업쇼버, 조향너클, 콘트롤암으로 구성된 기존의 현가시스템에서, 코일스프링과 쇼크업쇼바의 기능에 고무탄성완충기를 더 넣어서 현가시스템을 구성하거나, 고무탄성완충기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거나, 고무탄성완충기, 코일스프링 및 쇼크업쇼버를 일체형으로 하는 현가장치를 만드는 새로운 개념의 현가장치 시스템(100)이다.
자세한 설명은 해당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고무 완충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 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기 완충몸체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110),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상에 있는 스프링 보호링(120), 상기 고무탄성완충기(110)의 상부판 상의 스프링 보호링(120) 안에 있는 코일스프링(130), 상기 코일스프링(130) 상의 스프링패드(140)와 고무탄성완충기(110)를 연결하는 하부콘트롤아암(170)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현가장치는 코일스프링과 쇼크업쇼버를 주축으로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코일스프링(120)과 고무탄성완충기(110)를 직렬로 연결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이중으로 감소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현가장치이다.
자세한 원리는 해당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 다른 측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하부판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의 연결축 부품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의 완충몸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무탄성완충기의 완충 개념을 보여주는 개념 사진이다.
도 4, 5, 6, 7, 8.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무탄성완충기(110)의 핵심적인 원리는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정사각형 형태의 하우징(117) 내부 모서리에 고무탄성체(118)를 내장하고, 하우징(117) 중앙에 있는 중앙연결부(119)를 갖는 구조에서, 중앙연결부(119)를 통해서 좌우 사방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고무탄성체(118)에 의해서 흡수 완충되어 진동이나 충격이 없어지는 원리이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완충몸체는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118)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117)과, 상기 좌우 대칭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118)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118)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116)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을 갖고, 쌍을 이루어 있는 중앙연결부(119)를 갖는다.
중앙연결부(119)에 있는 홀 안에 들어갈 연결축(116)은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수나사, 암나사 및 링으로 구성된 나사 구조체로 형성된 연결축(116)이다.
중앙연결부(119)는 연결축(116)을 넣는 홀을 갖는다. 홀은 중앙에 하나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연결체의 모양에 따라서 2개 또는 4개를 배치하여 연결축(116)이 통과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몸체(도8)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114) 및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112)은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앙은 I형태에 양측면이 L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모양이 같으면서 연결 시 대칭구조로 연결된다.
양측면에 형성된 연결홀(113)은 연결축(116)이 관통되는 크기와 45˚ 경사각을 갖으면서 중앙연결부(119)의 홀 간결(D)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쌍을 이룬 연결홀(113)이 간격(D)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양측면의 간격(L)은 완충몸체(도 8)의 너비(L)가 되며, L자형에서 높이(H)는 승용차의 종류에 따라서 이격완충이 필요한 거리를 계산하여 설계할 수 있다.
각 부품을 조립하면 본 발명의 핵심인 도 4의 고무탄성완충기(110)가 완성이 되는데, 상기 고무탄성완충기(110)는 물리적으로 스프링 기능, 베어링 기능, 진동을 억제시키는 뎀핑(damping) 기능, 일정한 장력을 유지해주는 텐션닝(tensioning) 기능 등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프링 보호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프링 보호링, 코일스프링, 스프링패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112)과 접착 결합되어 적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코일스프링(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프링 보호링(120)이 있다. 상기 스프링 보호링(120)은 코일스프링(130)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으로 직경은 코일스프링(130)보다 약간 크고 높이는 코일스프링(130)의 완충 유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낮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코일스프링(130) 상에는 스프링패드(140)가 코일스프링(130)과 결합되어 추후에 차체와 연결될 때 상부 콘트롤 아암 마운팅 브라켓 안에 있으면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코일스프링(130) 하부에도 스프링패드를 형성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고무 탄성 완충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무탄성완충기(110)의 하부판과 접착 연결되어 조향너클, 또는 로어 컨트롤 아암(lower control arm: 170)과 연결되며, 연결부위는 조향너클 또는 로어 컨트롤 아암의 모양에 따라서 연결부위를 차종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포인트가 아님으로 단순하게 조향너클 또는 로어 컨트롤 아암과 접착되었으나, 도시된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차종에 맞게 차체의 조향너클 또는 로어 컨트롤 아암과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연결구조를 포함한다.
기타 스프링 보호링(120), 코일스프링(130), 스프링패드(14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으로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 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기 완충몸체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110)가, 양쪽 타이어 휠의 조향너클, 또는 로어 컨트롤 아암(lower control arm)과 좌우에서 결합되어있다.
상기 고무탄성완충기(110)의 상부판과 용접되어 연결되어있는 스프링 보호링(120) 안에 코일스프링(130)과 스프링패드(140)가 상부 콘트롤아암의 마운팅 브라켓에 연결되어 차량 차체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무탄성완충기(110)의 하부판과 연결되어있는 조향너클 또는 로어 컨트롤 아암과 연결되는 것은 차종에 따라서 하부판을 약간 변형하여 나사구조로 연결된다.
기존의 현가장치는 코일스프링(130)과 쇼크업쇼버(160)를 주축으로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코일스프링(130)과 고무탄성완충기(110)를 결합한 구조에서, 쇼크업쇼바(160)가 보조적으로 있는 새로운 개념의 현가장치이다.
기존의 현가장치와 비교 시 코일스프링(130)과 고무탄성완충기(110)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고 완충하기 때문에 소음뿐만 아니라 승차감이 훨씬 좋게 나타난다.
본 발명을 기아자동차 K7에 장착하여 필드테스트를 한 결과 소음은 4 데시벨(Db) 이상 낮아졌고 승차감은 현격히 좋음을 경험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무 탄성 완충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변형 개념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무탄성완충기(210)의 상부판에 코일스프링(220)을 바로 연결하면서, 고무탄성완충기(210)의 하부판에 조향너클과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재(240)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다양한 차종에 맞추어 본 발명의 사상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현가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 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기 완충몸체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210)가 중심에 있다.
상기 고무탄성완충기(210)의 상부판과 연결되어있는 코일스프링(220)과 용접접착 연결되어 차량 차체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연결부재(230)가 있다.
사진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코일스프링(220) 상단 및 하단에 스프링패드를 넣어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고 하단 패드는 스프링 보호링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무탄성완충기(210)의 하부판과 용접되어 연결되어 조향너클을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240)가 있다.
제 1 실시예의 스프링 보호링이 없으면서 유격거리를 더욱 확보하여 코일스프링(220)이 차량 높이를 조절하면서 완충역할을 해주어 간단하면서 승차감이 좋고 진동소음이 없는 자동차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노면이 고루지 못하여 심하게 상하로 차체가 흔들리는 주행에 있어서 코일스프링(220)이 완충역할을 해주고 고무탄성완충기(210)가 코일스프링(220)이 이중으로 진동을 잡아주기 때문에 제 1실시예와 비교 시 험한 노면에서 주행하는 차종에 유리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고무 탄성 완충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개념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무탄성완충기(310), 코일스프링(330) 및 쇼크업쇼버(320)를 일체화하여 현가장치를 만드는 본 발명의 특성중 하나인 고무탄성완충기(310)를 더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현가장치 시스템(300)이다.
상기 고무탄성완충기(310)의 상부판과 연결되어있는 탄성스프링(330)과 탄성스프링(330) 안에 쇼크업쇼버(320)를 설치하는 구조로 자동차 앞바퀴에 설치할 수 있도록 고무탄성완충기(310), 코일스프링(330) 및 쇼크업쇼버(320)를 일체화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은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하여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 탄성 완충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이용한 무진동 무소음의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확대하여 새로운 개념의 완충장치가 내장된 자전거 오토바이 등 운송 및 레저 장치로 황용 할 수 있다.
100, 200, 300: 고무탄성완충장치가 있는 현가시스템
110, 210, 310: 고무탄성완충기 12: 상부판
114: 하부판 116: 연결축
117: 하우징 118:고무탄성체
119: 중앙연결부 120: 스프링 보호링
130: 코일스프링 140: 스프링패드
160, 320:쇼크업쇼버 170: 조향너클, 또는 로어 컨트롤 아암

Claims (10)

  1.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상에 있는 스프링 보호링;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스프링 보호링 안에 있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 상의 스프링패드;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하부판 상에 있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스프링패드를 감싸며 차체와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를 갖는 것이 특징인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나사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인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연결부는 정사각 측면을 갖는 것이 특징인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몸체는 중심연결부가 2개를 갖는 것이 특징인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5. 제1항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
  6.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기 완충몸체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상에 있는 코일스프링;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하부판 상에 있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코일스프링 상에 상부연결부재를 갖는 것이 특징인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 하부면에 스프링패드를 갖는 것이 특징인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8. 제 6항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
  9. 중앙측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공간을 갖고 고무탄성체를 내장할 수 있는 직사각육면체 하우징과, 상기 좌우 대칭 공간 각각의 모서리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고무탄성체를 갖고, 상기 모서리에 있는 고무탄성체를 대칭 배열하면서 연결축을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있는 중심연결부를 갖는 완충몸체, 상기 완충몸체를 하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판과, 상기 완충몸체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고무탄성완충기;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상부판 상에 있는 코일스프링과 쇼크업쇼바;
    상기 고무탄성완충기의 하부판 상에 있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코일스프링과 쇼크업쇼바 상에 상부연결부재를 갖는 것이 특징인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10. 제 9항의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
KR1020180135122A 2018-11-06 2018-11-06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KR10194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122A KR101941920B1 (ko) 2018-11-06 2018-11-06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122A KR101941920B1 (ko) 2018-11-06 2018-11-06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920B1 true KR101941920B1 (ko) 2019-04-11

Family

ID=6616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122A KR101941920B1 (ko) 2018-11-06 2018-11-06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9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2075U (ko) * 1985-09-20 1987-03-31
KR19980027948A (ko) * 1996-10-18 1998-07-15 김영귀 자동차 현가장치의 하부 스프링시트구조
JP2005164015A (ja) * 2003-12-05 2005-06-23 Sumitomo Rubber Ind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け具
KR100867423B1 (ko) * 2008-05-07 2008-11-06 유노빅스이엔씨(주) 내진용 지지장치
KR100980979B1 (ko) 2004-12-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2075U (ko) * 1985-09-20 1987-03-31
KR19980027948A (ko) * 1996-10-18 1998-07-15 김영귀 자동차 현가장치의 하부 스프링시트구조
JP2005164015A (ja) * 2003-12-05 2005-06-23 Sumitomo Rubber Ind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け具
KR100980979B1 (ko) 2004-12-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KR100867423B1 (ko) * 2008-05-07 2008-11-06 유노빅스이엔씨(주) 내진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9958B2 (ja) 懸架装置の板ばねの共振振動を吸収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941920B1 (ko)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KR200311935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현가장치
KR200253062Y1 (ko) 차량용리어서스펜션
JP6297077B2 (ja) 車両懸架装置
CN215751783U (zh) 车辆的后悬架和具有其的车辆
KR200362004Y1 (ko) 대형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20020050610A (ko) 자동차용 리프스프링
KR100506654B1 (ko) 차축식 현가장치
KR1998002370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0140746Y1 (ko) 자동차의 판스 프링형 현가장치
KR100199945B1 (ko) 이중 스트럿 마운트를 구비한 프론트 현가장치
KR100522512B1 (ko)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80029768A (ko)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스트럿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 취부구조
KR0140743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97000466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상부스프링시트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KR19990033837A (ko) 하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90026952A (ko) 프런트 현가 장치의 서포터 범퍼 구조
KR20040000177A (ko)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KR19990020990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JP2000062423A (ja) タンデム車軸懸架装置
KR19990059797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