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177A -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177A
KR20040000177A KR1020020035346A KR20020035346A KR20040000177A KR 20040000177 A KR20040000177 A KR 20040000177A KR 1020020035346 A KR1020020035346 A KR 1020020035346A KR 20020035346 A KR20020035346 A KR 20020035346A KR 20040000177 A KR20040000177 A KR 2004000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fixing
rod
vehicl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177A/ko
Publication of KR2004000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1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06Anatomical models comprising real biological tiss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상부구조중에 차량 실내로 돌출되는 부분을 축소시킴과 아울러, 부싱의 결합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캡에 수평으로 고정핀이 결합되고, 그 고정핀에 의해 완충재를 갖는 고정링이 관통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고정링은 쇽 업소버의 로드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고정핀이 관통 결합되도록 중공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그 상부캡은 하부에 하부캡과 결합되며, 상부에 고정핀이 관통 결합되도록 통공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캡의 내부에 로드가 지지되어 차량 실내 공간의 증대로 인한 공간 활용성이 우수해질뿐만 아니라, 소음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a superstucture for mounting of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차량용 쇽 업소버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를 개선시켜 차량 실내로 돌출되는 높이를 단축시킴과 아울러, 소음 발생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상하 방향의 연결이 유연하여야 하고 휠에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및 선회시 발생되는 원심력등을 극복할 수 있는 수평방향의 결합이 견고하여야 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그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구분되며, 차량의 현가장치중 승용차의 경우 프런트 샤프트에는 차축을 분할하여 양휠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되어 승차감과 안전성이 좋은 독립 현가장치가 주로 적용된다.
또한, 후륜에 장착되는 리어 샤프트에는 차체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륜 현가장치가 적용되며, 그 후륜 현가장치는 브레이크 드럼에 고정 장착된 너클에 리어 스트러트가 고정되어 차체의 하단을 지지하고 리어 스트러트가 장착되는 너클의 하측에는 리어서스펜션 암이 차폭방향으로 제공되는 센터멤버의 일측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후륜을 지지하며, 리어서스펜션 암의 일측으로 사이드 멤버와 결합하는 트레일링 암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횡력을 받게 된다.
그중 차량의 리어서스펜션은 주로 섀시 스프링과 쇽 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성되며, 그중 섀시 스프링은 차체와 차륜을 지지하고 있는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타이어측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 기계부품으로, 이 섀시 스프링은 크게 판스프링(leaf spring),코일스프링, 및 에어스프링등으로 대별된다.
또한, 그 쇽 업소버는 섀시 스프링과 일체화되어 조립되거나,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 주행중 섀시 스프링이 받는 충격이나 고유진동을 흡수하고 감쇠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게 된다.
종래 쇽 업소버의 일 예를 보인 도 3 및 도 4는 섀시 스프링(20)과 일체화된 것으로, 쇽 업소버(30)가 섀시 스프링(20)의 내부에 장착되고 그 섀시 스프링(20)이 쇽 업소버(30)의 하부측과 차체 프레임중 사이드 멤버(60)의 하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자세히 설명하면, 쇽 업소버(30)는 실린더(33)의 상부에 로드(32)가 설치되고 그 로드(32)의 외측으로 하부캡(36)과 상부캡(35)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로드(32)의 상단부와 상부캡(35)이 너트(70)로 지지되고, 로드(32)의 외주면에 완충기능을 갖는 부싱(45;BUSHING)이 설치된 상부 결합구조를 갖는다.
그 부싱(45)은 로드(32)의 외주면에 상,하부 부싱이 철판을 경계로 상호 결합되는 로드타입의 결합방식을 따르고 있다.
미 설명부호 "50"은 차량의 후륜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차량에서 쇽 업소버의 상부 결합구조가 상부캡과 부싱의 결합구조의 특성상 차체의 실내 바닥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실내로 돌출되는 높이만큼 트렁크 또는 차체 후방의 실내 공간을 축소시킬 수 밖에 없는 공간 제약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하 부싱이 결합된 부싱의 구조특성상 쇽 업소버의 상,하 이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철판과의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소음 발생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차량용 쇽 업소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쇽 업소버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쇽 업소버32 : 로드
33 : 실린더35 : 상부캡
110 : 고정링120 : 완충재
210 : 고정핀220 : 고정너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한 로드의 외측에 설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고정핀으로 관통되도록 핀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과 고정핀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완충재와, 상기 고정핀의 단부에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 실린더(33)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캡(35)에 수평으로 고정핀(210)이 결합되고, 그 고정핀(210)에 의해 고정링(110)이 관통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링(110)은 쇽 업소버(30)의 로드(32)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고정핀(210)이 관통 결합되도록 중공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그 상부캡(35)은 하부에 하부캡(36)과 결합되며, 상부에 고정핀(210)이 관통결합되도록 통공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링(110)과 고정핀(210)의 사이에 부싱의 기능을 갖는 완충재(120)가 개재 설치되며, 그 완충재(120)는 소프트한 재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계열의 것을 채용함이 바람직하고 고정링(110)은 로드(32)와 동일재질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핀(210)의 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그 나사홈에 고정링(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너트(220)가 체결된다.
즉, 본 발명의 쇽 업소버(30)는 그 로드(32)의 상부 취부구조가 링타입의 고정링(110)에 상부캡(35)에 관통된 고정핀(210)이 핀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이며, 고정핀(210)과 고정링(110) 사이에 완충재(120)가 개재되어 설치된 것이다.
한편, 로드(32)와 고정링(110)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방식과, 용접 방식으로 일체화시키는 방식등이 있을 수 있으나, 주물등의 방식을 통해 제조방법에서 일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 설명 부호 "60"은 상,하부캡(35,36)이 장착되는 사이드 멤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쇽 업소버(30)의 상부구조를 마운팅하기 위한 조립과정은 로드(32)의 상부에 일체 형성된 고정링(110)을 상부캡(35)의 통공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시킨 다음에, 고정핀(210)을 수평으로 상부캡(35)의 통공으로 밀어 넣으면, 고정핀(210)이 상부캡(35)과 고정링(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로드(32)를 상부캡(35)에 고정시키게된다.
이때, 완충재(120)는 고정링(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210)과 결합되므로, 고정핀(210)과 고정링(110)의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것이다.
이후에, 상부캡(35)의 다른 통공으로 돌출된 고정핀(210)의 단부에 고정너트를 체결시켜 고정핀(210)이 고정링(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 조립과정이 완료된다.
이어서, 차량 주행중 쇽 업소버(30)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로드(32)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운동 에너지가 완충재(120)에 의해 완충되어 전달되므로, 완충재(120)를 통해 부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드(32)의 상부가 고정되는 부위의 높이를 상부캡(35)의 상부 내주면에 고정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상부구조중에 차량 실내로 돌출되는 부분을 축소시킴과 아울러, 부싱의 결합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캡의 내부에 로드가 지지되어 차량 실내 공간의 증대로 인한 공간 활용성이 우수해질뿐만 아니라, 소음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실린더(33)의 상부에 위치한 로드(32)의 외측에 설치되는 상부캡(35)과,
    상기 상부캡(35)에 고정핀(210)으로 관통되도록 핀결합되며 상기 로드(32)의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링(110)과,
    상기 고정링(110)과 고정핀(210)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완충재(120)와,
    상기 고정핀(210)의 단부에 체결되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너트(22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KR1020020035346A 2002-06-24 2002-06-24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KR20040000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346A KR20040000177A (ko) 2002-06-24 2002-06-24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346A KR20040000177A (ko) 2002-06-24 2002-06-24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177A true KR20040000177A (ko) 2004-01-03

Family

ID=3731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346A KR20040000177A (ko) 2002-06-24 2002-06-24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01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74B1 (ko) * 2008-06-16 2009-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업쇼버 마운팅 기구
KR20190065573A (ko) 2017-12-04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2186U (ko) * 1975-06-19 1976-12-23
JPH022550A (ja) * 1988-06-13 1990-01-08 Mitsubishi Paper Mills Ltd 写真用樹脂被覆紙の製造方法
KR19990021012U (ko) * 1997-11-28 1999-06-25 양재신 쇽업소버의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2186U (ko) * 1975-06-19 1976-12-23
JPH022550A (ja) * 1988-06-13 1990-01-08 Mitsubishi Paper Mills Ltd 写真用樹脂被覆紙の製造方法
KR19990021012U (ko) * 1997-11-28 1999-06-25 양재신 쇽업소버의 마운팅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74B1 (ko) * 2008-06-16 2009-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업쇼버 마운팅 기구
KR20190065573A (ko) 2017-12-04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99017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KR20040000177A (ko)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JP3701958B2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CN213472687U (zh) 悬架系统、车轮及车辆
CN221023159U (zh) 一种四轮独立悬挂机构
KR20080042345A (ko) 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100779331B1 (ko) 고무를 이용한 차량용 맥퍼슨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412518B1 (ko)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트러트 고정구조
JP6297077B2 (ja) 車両懸架装置
KR100192406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20060115437A (ko)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구조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1028545B1 (ko) 차량용 레이디어스 로드유닛
JPH08295114A (ja) 車両の後輪懸架装置
KR19980054163A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구조
KR20010045889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00482684B1 (ko) 자동차용 리어 서스펜션부의 고정구조
KR20080023557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구조
KR100199945B1 (ko) 이중 스트럿 마운트를 구비한 프론트 현가장치
KR20070027086A (ko) 차량의 스트러트용 인슐레이터
JPS6127289Y2 (ko)
KR19990033837A (ko) 하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20140074076A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트러트 어셈블리
KR19980046563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부시
KR19980052266U (ko)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의 가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