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573A -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573A
KR20190065573A KR1020170164858A KR20170164858A KR20190065573A KR 20190065573 A KR20190065573 A KR 20190065573A KR 1020170164858 A KR1020170164858 A KR 1020170164858A KR 20170164858 A KR20170164858 A KR 20170164858A KR 20190065573 A KR20190065573 A KR 20190065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hread
rubber
insula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791B1 (ko
Inventor
박종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7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mechanically, e.g. having frictionally-engaging springs as damp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1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pring characteri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Abstract

후방 쇽업소버를 구성하는 부시의 상단부 및 하단부 좌면에 부시 고무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마련하여 튜닝시 부시의 압축량 증가를 위해 추가로 부시 재설계가 필요없도록 한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1)로, 측면에 차체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1 하우징(10) 내에 압입되는 부시고무(2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 캡(40)과, 상기 제1 하우징(10) 하부에 구성되는 제2 하우징(5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4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고무압축량 조절수단(100)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Insulator of shock absorb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 쇽업소버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부시고무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마련하여 튜닝시 부시의 압축량 증가를 위해 추가로 부시 재설계가 필요 없도록 한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상하 방향의 연결이 유연하여야 하고 휠에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및 선회시 발생되는 원심력등을 극복할 수 있는 수평방향의 결합이 견고하여야 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그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구분되며, 차량의 현가장치중 승용차의 경우 프런트 샤프트에는 차축을 분할하여 양휠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되어 승차감과 안전성이 좋은 독립 현가장치가 주로 적용된다.
또한, 후륜에 장착되는 리어 샤프트에는 차체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륜 현가장치가 적용되며, 그 후륜 현가장치는 브레이크 드럼에 고정 장착된 너클에 리어 스트러트가 고정되어 차체의 하단을 지지하고 리어 스트러트가 장착되는 너클의 하측에는 리어서스펜션 암이 차폭방향으로 제공되는 센터멤버의 일측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후륜을 지지하며, 리어서스펜션 암의 일측으로 사이드 멤버와 결합하는 트레일링 암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횡력을 받게 된다.
그중 차량의 리어서스펜션은 주로 섀시 스프링과 쇽 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성되며, 그중 섀시 스프링은 차체와 차륜을 지지하고 있는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타이어측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 기계부품으로, 이 섀시 스프링은 크게 판스프링(leaf spring), 코일스프링, 및 에어스프링등으로 대별된다.
또한, 그 쇽 업소버는 섀시 스프링과 일체화되어 조립되거나,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 주행중 섀시 스프링이 받는 충격이나 고유진동을 흡수하고 감쇠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기존 후륜 쇽 업소버를 구성하는 인슐레이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이루어진 제1 하우징(10)에 부시고무(20)를 압입하고 별물의 스토퍼(30)를 얹어 상단부를 코킹하여 상기 부시고무(20)를 압축하고, 그 위에 수분유입 방지를 위한 상부 캡(40)을 압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쇽 업소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이 고정되어 있어 이음이나 R&H 혹은 NVH와 같은 성능상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지역별 특성을 고려 튜닝 사양을 이원화할 경우에 부시고무(20)를 신규로 설계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그에 따른 투자비와 개발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제1 하우징(10)에서 휠 스트로크의 범프량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범프 스토퍼 좌면부 위치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알루미늄 금형 신작으로 이어지며 신규 사양에 대한 알루미늄 금형 육성(기공 관련)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시고무의 특성 치 설정시 차종마다 압축/인장 시의 최적 특성 치가 존재하며 이는 지역별 차량 특성별 그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는 부시 포함 인슐레이터의 사양 다원화로 투자비 증대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0200524호 (1999.03.10 공보)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58149호 (2012.06.07 공개)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00177호 (2004.01.03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후방 쇽업소버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 2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부시고무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마련하여 튜닝시 부시의 압축량 증가를 위해 추가로 부시 재설계가 필요 없도록 한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는,
측면에 차체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압입되는 부시고무; 및
상기 제1 하우징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제1 하우징 하부에 구성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부시고무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고무압축량 조절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후방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부시고무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의 부시고무 압축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후방 쇽업소버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하우징과, 상부 캡에 설치된 조절수단에 의해 튜닝시 부시의 압축량 증가를 위해 추가로 부시 재설계가 필요 없도록 함으로써, 투자비 절감효과를 도모할 수가 있다.
셋째, 지역별 사양 이원화 시 스토퍼의 최적 위치를 개별적으로 세팅 가능하게 함으로서, 별도의 개발 부품 없이 바로 대응이 가능하다.
넷째, 상부 캡, 제1 및 제2 하우징, 제1 및 제2 스토퍼 링을 모듈화함으로써, 부시의 특성 및 범프스트로크를 차량 그레이드(크기) 및 종류(세단/SUV)에 따라 가변 세팅이 가능하도록 상기 부품(캡, 하부스토퍼, 몸체)을 조립하여 하나의 인슐레이터 구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부품개발이 필요 없어 투자비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필드 이음 발생 문제시 부품 변경 없이 부시 압축량 조정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여섯째, 다원화 튜닝시에 필요한 부품을 별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제작 기간이 필요 없고 튜닝 시간이 축소되므로 개발 기간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후륜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후륜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후륜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좀더 자세하게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써,
(a)는 도 3의 a부분 요부확대도 이고, (b)는 b부분 요부 확대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스토퍼 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1)를 구성하는 부시고무(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좌면에 부시 고무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100)을 마련하여 튜닝시 부시의 압축량 증가를 위해 추가로 부시 재설계가 필요 없도록 한 차량용 후륜쇽업소버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차체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1 하우징(10) 내에 압입되는 부시고무(20) 및 상기 압입된 부시고무(20) 상부에 수분유입압지를 위해 압입되는 상부 캡(40)과, 상기 제1 하우징(10) 하부에 구성되는 제2 하우징(50)으로 이루어진 쇽업소버(1)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고무(20)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우징(10,50)에 상기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고무압축량 조절수단(100)이 더 설치된 것을 본 발명의 특장점으로 한다.
상기 고무압축량 조절수단(100)은 제 1하우징(10), 제2 하우징(50), 상부 캡(40)으로 구성되는데. 기 제1 하우징(1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존과 마찬가지로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의 외부면 상부와 하부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11)과 제3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3 나사산(11.12)은 수나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캡(40) 하부 내측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하우징(50) 상부 내측에 제4 나사산(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및 제4 나사산(41.51)은 암나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하우징(10)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5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50)의 하부에는 범프스토퍼 고정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3 나사산(11,12) 즉 제1 나사산(11)에는 제1 스토퍼 링(110)이, 제3 나사산(12)에는 제2 스토퍼 링(120)이 각각 나사맞춤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링(110) 및 제2 스토퍼 링(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각각 나사산(111,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무압축량 조절수단(100)의 조립구성은;
먼저 원통형상을 이루는 제1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나사산(11)에는 제1 스토퍼 링(110)이, 하부에 형성된 제3 나사산(12)에는 제2 스토퍼 링(120)이 나사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 하부에 형성된 제3 나사산(12)이 제2 하우징(50)에 형성된 제4 나사산(51)에 나사맞춤되고, 제1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나사산(11)에 상부 캡(40) 내측에 형성된 제2 나사산(41)이 체결 조립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 고무압축량 조절수단(100)을 이용항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의 조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절방법은 제1 하우징(10)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1)과 상기 상부 캡(40) 내측에 형성된 제2 나사산(41)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 나사산(11)에는 제1 스토퍼 링(110)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40)의 위치를 결정한다.
두 번째 조절방법은 제1 하우징(10) 외주면 하부에 형성된 제3 나사산(12)과 상기 제2하우징(50) 상부에 형성된 제4 나사산(51)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또한, 제1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나사산(11)에 체결되는 제1 스토퍼 링(110)은 상부 캡(40)이 설정된 값 이하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또 제1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나사산(12)에 체결되는 제2 스토퍼 링(120)에 의해 제2 하우징(50)과의 나사결합 정도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이 결합되는 본 발명은 제1 하우징(1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캡(40)과 제2 하우징(50)의 체결 정도에 의해 압축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제1 및 제2 스토퍼링(110,120)는 상부 캡(40) 및 제2 하우징(50)의 고정위치를 결정하며, 동시에 외력에 의해 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부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는 상부 스토퍼를 없앰으로써 경량화 및 부품수 절감에 따른 비용절감을 도모 할 수가 있으며, 제1 하우징(10), 상부 캡(40), 제2 하우징(50), 제1 및 제2 스토퍼링(100,120)이 각각 모듈화되어 부시 특성 및 범프 스트로크를 차량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가변 세팅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는 상부는 상단 캡(40)에 의해 부시고무(20)를 제1 하우징(10)에 압입된 상태로 체결하고, 하부는 범프 스토퍼의 좌면 부 역할과 더불어 부시의 하단스토퍼 역할을 동시에 하는 하단 제2 하우징(50)에 의해 체결되며, 이들은 압축량 조절수단(100)에 의해 고무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인슐레이터 10 : 제1 하우징
11 : 제1 나사산 12 : 제3 나사산
20 : 부시고무 40 : 캡
41 : 제2 나사산 50 : 제2 하우징
51 : 제4 나사산 100 : 고무압축량 조절수단
110 : 제1 스토퍼 링 120 : 제2 스토퍼 링

Claims (8)

  1. 측면에 차체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1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내에 압입되는 부시고무(2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 캡(4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하부에 구성되는 제2 하우징(5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4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고무압축량 조절수단(1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압축량 조절수단(100)은;
    상기 제1 하우징(10)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1); 및
    상기 상부 캡(40) 내측에 형성된 제2 나사산(4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나사산(11)과 상기 제2 나사산(41)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속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제1 나사산(1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4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스토퍼 링(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속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압축량 조절수단(100)은;
    상기 제1 하우징(10)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나사산(12); 및
    상기 제 2하우징(50) 상부에 형성된 제4 나사산(5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나사산(12)과 상기 제4 나사산(51)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시고무(20)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속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제2 나사산(1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50)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스토퍼 링(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속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6. 측면에 차체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1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내에 압입되는 부시고무(2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 캡(4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하부에 구성되는 제2 하우징(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1); 및
    상기 상부 캡(40) 내측에 형성된 제2 나사산(41)의 나사결합 정도가 상기 제1나사산(11)에 고정되는 제1 스토퍼링(110)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속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7. 측면에 차체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1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내에 압입되는 부시고무(2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 캡(40); 및
    상기 제1 하우징(10) 하부에 구성되는 제 2하우징(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10)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나사산(12); 및
    상기 제 2하우징(50) 상부에 형성된 제4 나사산(51)의 나사결합 정도가 상기 제3 나사산(12)에 고정되는 제2 스토퍼링(120)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속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50)의 하단부에 범프스토퍼 고정부(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속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020170164858A 2017-12-04 2017-12-04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0241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858A KR102416791B1 (ko) 2017-12-04 2017-12-04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858A KR102416791B1 (ko) 2017-12-04 2017-12-04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73A true KR20190065573A (ko) 2019-06-12
KR102416791B1 KR102416791B1 (ko) 2022-07-05

Family

ID=6684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858A KR102416791B1 (ko) 2017-12-04 2017-12-04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79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85Y2 (ko) * 1983-04-20 1988-01-28
KR19980049135A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현가장치용 가변스프링장치
KR100200524B1 (ko) 1996-11-08 1999-06-15 류정열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트로크 증가장치
KR20040000177A (ko) 2002-06-24 200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JP2007100889A (ja) * 2005-10-06 2007-04-19 Bridgestone Corp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07333057A (ja) * 2006-06-14 2007-12-27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08230447A (ja) * 2007-03-22 2008-10-02 Tokai Rubber Ind Ltd アッパーサポート及びショックアブソーバに対するアッパーサポートの取付構造
KR20120058149A (ko) 2010-11-29 2012-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 업소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85Y2 (ko) * 1983-04-20 1988-01-28
KR100200524B1 (ko) 1996-11-08 1999-06-15 류정열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트로크 증가장치
KR19980049135A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현가장치용 가변스프링장치
KR20040000177A (ko) 2002-06-24 200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JP2007100889A (ja) * 2005-10-06 2007-04-19 Bridgestone Corp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07333057A (ja) * 2006-06-14 2007-12-27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08230447A (ja) * 2007-03-22 2008-10-02 Tokai Rubber Ind Ltd アッパーサポート及びショックアブソーバに対するアッパーサポートの取付構造
KR20120058149A (ko) 2010-11-29 2012-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 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791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1285A (en) Rear suspension for vehicle
KR20190065573A (ko) 차량용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JP2003191736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用ブッシュ
US5005855A (en) Insulator device for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of automobile
CN108215687A (zh) 一种纵向臂扰动杆式独立悬架结构
CN108150571A (zh) 一种悬梁架减震器衬套结构
JP3701958B2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KR102226548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20070102133A (ko) 차량용 위시본식 현가장치
KR20140062628A (ko) 부시 구조
KR20090045728A (ko)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조절장치
CN116587784A (zh) 一种悬架系统总成
KR20100007181A (ko) 스트럿 어셈블리용 스프링 어퍼시트
KR10029367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아암 장착 부시 시스템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KR2003004124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 장치용 범퍼 스토퍼
KR20040000177A (ko)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KR20020035337A (ko)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마운팅 구조
JP2003028230A (ja) 油圧緩衝器のナックル取付構造
KR20090081701A (ko) 자동차의 코너링 제어장치
KR100522512B1 (ko)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장치
KR20150069840A (ko) 멀티링크식 현가장치
JPH0238120A (ja) 車両懸架装置
KR200294385Y1 (ko) 스트러트의 스프링 시트 프랜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