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132B1 -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132B1
KR102640132B1 KR1020230159767A KR20230159767A KR102640132B1 KR 102640132 B1 KR102640132 B1 KR 102640132B1 KR 1020230159767 A KR1020230159767 A KR 1020230159767A KR 20230159767 A KR20230159767 A KR 20230159767A KR 102640132 B1 KR102640132 B1 KR 10264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tilting
bracket
coupl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곤
김란순
Original Assignee
김현곤
김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곤, 김란순 filed Critical 김현곤
Priority to KR102023015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for changing a straight chair into an easy chair, e.g. by inverting or tilting seat and back-rest in the base frame or by overturning the whol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등받이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 및 등받이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의 외측에 회전 동작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틸팅브래킷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후방으로 틸팅 동작해서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APPARATUS FOR TILTING THE BACKREST AND CHAI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를 전후 방향의 회전시키는 틸팅 동작이 가능한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 문화가 점차 서구화되면서 좌식 생활 문화의 보급으로 인해 의자에 앉아 생활하게 되는 시간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사무직 근로자나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 보내게 됨에 따라, 의자의 기능적 중요성이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적용되는 어셈블리는 좌판의 높낮이 및 등판의 기울기를 각각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사용의 편리함과 더불어 안락함을 제공한다.
상기 등받이는 통상 수직으로 설치되고, 좌판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등받이를 좌판에 축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평 상태의 틸팅프레임이 별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등받이와 틸팅프레임을 각각 제작하는 경우, 원가를 상승시키고, 조립 공정이 추가되며, 구성이 복잡해진다. 그리고 등받이와 틸팅프레임이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로 연결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취약할 뿐 아니라, 고장율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는 탄발수단이 좌판의 배면에서 등받이의 중앙을 연결하기 때문에, 전후 유동과 함께 좌우 뒤틀림이 발생되어 안락감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저가의 보급형 의자에 용이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에 저가형 의자에 적용할 수 있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구성을 개시하여 특허 출원해서 등록받은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등받이의 양측에 구비되는 틸팅브래킷을 좌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래킷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등받이를 틸팅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 내부에 각각 복수의 돌기들을 서로 맞물리게 배치하고, 틸팅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틸팅 동작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각 브래킷의 성형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등받이가 틸팅 동작하는 과정에서 각 돌기들이 서로 맞림에 따라 내구성이 취약하고, 각 돌기들의 손상이나 파손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틸팅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성형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2366862호(2022년 2월 24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를 전후 방향으로 틸팅 동작시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가 하나로 구성되는 저가형 의자에 주로 적용해서 좌석부의 양측에 결합된 등받이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는 좌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 및 등받이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의 외측에 회전 동작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틸팅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좌판과 결합되는 내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좌판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마련된 체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을 결합하는 체결볼트와 슬리브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틸팅브래킷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 상기 고정브래킷의 외측면에 상기 결합부와 연결 형성되고 각 탄성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홈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 형성되어 스토퍼 기능을 하는 한 쌍의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브래킷은 내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외주링부, 상기 틸팅브래킷의 중앙부에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가 설치되는 결합돌부, 상기 외주링부에서 상기 결합돌부를 향해 연장되어 각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홈부 및 상기 틸팅브래킷의 틸팅 동작시 상기 한 쌍의 고정돌부가 각각 걸리는 스토퍼 기능을 하는 한 쌍의 지지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틸팅 동작해서 상기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힘이 해제되면 상기 등받이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가 적용된 의자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후측 양단에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석부의 좌판과 상기 등받이의 양측 하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등받이의 틸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틸팅 동작해서 상기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힘이 해제되면 상기 등받이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의하면,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틸팅 동작해서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부의 양측에 결합된 등받이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 부위의 내구성을 증대해서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합 부위의 손상이나 변형,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단순한 기능으로 등받이의 틸팅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저가형 의자를 고급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가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등받이의 틸팅장치를 틸팅 동작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등받이와 좌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시사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이 분해된 상태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좌석부를 중심으로 등받이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자의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의자의 전방'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가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등받이의 틸팅장치를 틸팅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20)가 적용된 의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다리부(11), 다리부(11)의 상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12) 및 좌석부(12)의 후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1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λ'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과 한 쌍의 지지프레임(14) 상부를 연결하는 지지샤프트(15)를 포함하고, 각 지지프레임(14)의 하단에는 각각 바퀴(16)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샤프트(15)는 좌석부(12)의 하부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지지샤프트(15)의 양단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프레임(14)이 연결될 수 있다.
다리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14) 상단에는 각각 사용자의 팔을 받칠 수 있도록 팔걸이(17)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걸이(17)는 다리부(11)의 각 지지프레임(14) 상단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좌석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으로,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석부(12)의 상부에는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판과, 좌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판 대신에 메시를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잇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쿠션재와 좌판, 메시를 좌판(21)으로 통칭한다.
등받이(13)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받이 프레임 및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 또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등받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위에 대응되도록 양측단 중앙 부분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 시트는 천이나 가죽 재질로 제조되거나, 메시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등받이(13)의 상단에는 머리받침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등받이(13)는 틸팅장치(20)를 이용해서 좌석부(12)의 양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동작, 즉 틸팅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21)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래킷(30) 및 등받이(13)의 양측에 마련되어 고정브래킷(30)의 외측에 회전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브래킷(40)을 포함한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고정브래킷(30)과 틸팅브래킷(4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등받이와 좌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시사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이 분해된 상태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고정브래킷(30)을 기준으로 틸팅브래킷(40)을 향하는 방향을 '외측'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내측'이라 한다.
각 고정브래킷(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31)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에 의해 좌판(21)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마련된 체결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30)의 내측부는 좌판(21)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고정브래킷(30)의 내측면(31)은 좌판(21)의 외면 및 결합홈(23)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면 또는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30)의 하면에는 상기한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가 관통해서 좌판(21)의 체결부(22)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각 고정볼트는 각 체결공부(32)를 관통한 후, 상단에 너트가 체결되어 좌판(21)과 고정브래킷(3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브래킷(30)의 중앙부에는 고정브래킷(30)과 틸팅브래킷(40)을 결합하는 체결볼트(24) 및 슬리브(25)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볼트(24)는 상기 결합부를 관통해서 틸팅브래킷(30)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결합돌부(43) 내부에 삽입된 인서트 너트(도면 미도시)와 체결될 수 있다.
슬리브(25)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리브(25)의 내측단에는 체결볼트(24)의 머리부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볼트(24)와 슬리브(25)를 적용해서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을 결합함에 따라, 체결볼트(24)와 결합부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체결볼트(24)의 유동 및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체결볼트(24) 및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 및 결합돌부(43)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 부위를 등받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등받이를 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 및 체결볼트의 손상이나 변형,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체결볼트(24)와 슬리브(25)가 관통 결합되는 제1 결합공부(33)와, 틸팅브래킷(4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부(43)가 결합되는 제2 결합공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공부(33)에는 슬리브(25)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제2 결합공부(34)에는 결합돌부(43)가 결합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공은 상기 제1 결합공의 내경에 비해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슬리브(25)의 플랜지는 외측단이 제1 및 제2 결합공부(33,34) 사이의 단차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공부(34)의 가장자리 부분은 대략 사각통체 형상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공부(34)를 중심으로 일측 상단과 타측 하단, 즉 의자에서 보았을 때, 제2 결합공부(34)의 전측 상단과 후측 하단에는 각각 탄성부재(35)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홈부(36)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35)는 틸팅브래킷(40)의 틸팅 동작시 본래 위치, 즉 후방으로 회전된 등받이(13)를 대략 수직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5)는 코일스프링이나 고무바 등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의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설치홈부(36)는 각각 제2 결합공부(34)의 좌측 상단과 우측 하단에서 좌측과 우측, 즉 의자에서 보았을 때 제2 결합공부(34)의 전방 및 하방과 후방 및 상방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한 쌍의 설치홈부(36)는 각각 '「' 형상과 '」'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 또는 곡률을 갖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측에 배치된 설치홈부(36)의 전단부와 후측에 배치된 설치홈부(36)의 후단부에는 각각 틸팅브래킷(40)에 마련된 외주링부(41)의 내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가이드부(37)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가이드부(37)는 고정브래킷(30)과 틸팅브래킷(40) 조립시, 외주링부(41)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틸팅 동작시 틸팅브래킷(4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외주링부(41)의 회전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홈부(36)의 일측 하단과 타측 상단, 즉 의자에서 보았을 때 설치홈부(36)의 전측 하단과 후측 상단에는 각각 하방과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돌부(38)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돌부(38)는 각각 틸팅브래킷(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부(44)와 지지홈부(45) 사이에 배치되고, 틸팅 동작시 회전하는 각 지지돌부(44)와 접촉해서 틸팅브래킷(40)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틸팅브래킷(40)은 등받이(13)의 양측 하단에서 대략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8)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이 구비되고, 각 틸팅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24)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틸팅브래킷(40)은 내측면이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틸팅브래킷(40)의 단면은 대략 원 형상이고, 틸팅브래킷(4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외주링부(4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틸팅브래킷(41)의 내부에는 고정브래킷(3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결합공부(34), 탄성부재(35), 설치홈부(36), 회전 가이드부(37) 및 고정돌부(38)가 삽입되는 삽입공간(42)이 마련될 수 있다.
틸팅브래킷(40)의 삽입공간(42) 중앙부에는 내부에 상기 인서트 너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24)가 체결되는 결합돌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부(43)는 고정브래킷(30)의 제2 결합공부(34)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결합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42)의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지지돌부(44)가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삽입공간(42)의 좌측 상단과 우측 하단, 즉 의자에서 보았을 때 후측 상단과 전측 하단에는 한 쌍의 지지홈부(45)가 마련될 수 있다.
각 지지돌부(44)는 틸팅 동작시 고정브래킷(30)의 고정돌부(38)에 걸려 틸팅브래킷(40)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홈부(45)는 각 탄성부재(35)의 일단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삽입공간(42)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지지홈부(45)는 좌측에 배치된 탄성부재(35)의 상단을 지지하고, 우측 하단에 배치된 지지홈부(45)는 우측에 배치된 탄성부재(35)의 하단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각 지지홈부(45)는 탄성부재(35)의 상단 또는 하단을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 형상과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틸팅 동작해서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의 틸팅장치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등받이의 틸팅장치(20)를 구성하는 틸팅브래킷(30)과 고정브래킷(40)을 서로 결합해서 조립한다.
이때, 틸팅브래킷(40)은 등받이(13)의 양측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2) 내측면에 마련된 상태이다.
이어서, 고정브래킷(30)을 틸팅브래킷(40)의 내측에 배치한 후, 외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브래킷(30)과 틸팅브래킷(40)을 결합한다.
이때, 틸팅브래킷(40)의 외주링부(41) 내측면와 고정브래킷(30)의 외측면 사이에는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결합링(5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고정브래킷(3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결합공부(34), 탄성부재(35), 설치홈부(36), 회전 가이드부(37) 및 고정돌부(38)는 틸팅브래킷(40)의 외주링부(41)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42)에 삽입된다.
이때, 고정브래킷(30)의 제2 결합공부(34)에 형성된 제2 결합공에는 틸팅브래킷(40)의 결합돌부(43)가 삽입되고, 고정돌부(38)는 지지돌부(44)와 지지홈부(45)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각 설치홈부(36)와 지지홈부(45) 사이에 각각 탄성부재(35)가 설치된다. 그래서 탄성부재(35)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설치홈부(36)와 지지홈부(45)에 지지될 수 있다.
그래서 고정돌부(38)는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돌부(4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고정브래킷(30)의 내측에서 제1 결합공부(33)에 체결볼트(24)와 슬리브(25)를 결합한다.
그러면, 체결볼트(24)는 제1 및 제2 결합공부(33,34)를 관통해서 결합돌부(43) 내부에 삽입된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어 고정브래킷(30)과 틸팅브래킷(40)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고정브래킷(30)과 틸팅브래킷(40)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브래킷(30)의 내측부를 좌판(2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3)에 결합한 후, 고정브래킷(30)의 체결볼트(24)를 관통해서 고정볼트를 체결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등받이의 틸팅장치(20)와 좌판(21) 및 등받이(13)가 조립되면, 작업자는 다리부, 팔걸이 등을 추가 조립한다.
한편, 의자(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좌석부(12)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틸팅브래킷(40)은 결합돌부(43)와 제2 결합공부(34)를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해서 틸팅 동작한다.
이때, 고정브래킷(30)에 마련된 회전 가이드부(37)는 틸팅브래킷(40)의 외주링부(41)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틸팅브래킷(4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등받이(13)는 사용자의 가압력에 따라 기울기가 조절된다.
이때, 지지돌부(44)와 지지홈부(45) 사이에 배치된 고정돌부(38)가 지지돌부(44)에 걸림에 따라, 틸팅브래킷(40)이 후방으로 회전하는 최대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이러한 등받이(13)의 틸팅 동작 과정에서 탄성부재(35)는 설치홈부(36)와 지지홈부(45)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길이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한편, 사용자가 등받이(13)를 가압하는 힘을 감소시키거나 해제하면, 틸팅브래킷(40)은 탄성 변형된 탄성부재(35)가 본래 길이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한다.
이때, 고정돌부(38)가 다시 지지홈부(45)와 접촉해서 걸림에 따라, 틸팅브래킷(40)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최대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가압력이 완전히 해제되면, 등받이(13)는 본래 상태, 즉대략 수직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틸팅 동작해서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석부의 양측에 결합된 등받이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 부위의 내구성을 증대해서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합 부위의 손상이나 변형,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간단하고 단순한 기능으로 등받이의 틸팅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저가형 의자를 고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틸팅 동작해서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기술에 적용된다.
10: 의자 11: 다리부
12: 좌석부 13: 등받이
14: 지지프레임 15: 지지샤프트
16: 바퀴 17: 팔걸이
18: 연장부
20: 등받이의 틸팅장치
21: 좌판 22: 체결부
23: 결합홈 24: 체결볼트
25: 슬리브
30: 고정브래킷 31: 내측면
32: 체결공부 33: 제1 결합공부
34: 제2 결합공부 35: 탄성부재
36: 설치홈부 37: 회전 가이드부
38: 고정돌부
40: 틸팅브래킷 41: 외주링부
42: 삽입공간 43: 결합돌부
44: 지지돌부 45: 지지홈부
50: 결합링

Claims (5)

  1. 좌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 및
    등받이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의 외측에 회전 동작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틸팅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좌판과 결합되는 내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좌판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마련된 체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브래킷과 틸팅브래킷을 결합하는 체결볼트와 슬리브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틸팅브래킷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
    상기 고정브래킷의 외측면에 상기 결합부와 연결 형성되고 각 탄성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홈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 형성되어 스토퍼 기능을 하는 한 쌍의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브래킷은 내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외주링부,
    상기 틸팅브래킷의 중앙부에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가 설치되는 결합돌부,
    상기 외주링부에서 상기 결합돌부를 향해 연장되어 각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홈부 및
    상기 틸팅브래킷의 틸팅 동작시 상기 한 쌍의 고정돌부가 각각 걸리는 스토퍼 기능을 하는 한 쌍의 지지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틸팅 동작해서 상기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힘이 해제되면 상기 등받이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내측부는 상기 좌판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내측면은 상기 좌판의 외면 및 상기 결합홈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면 또는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가 관통해서 상기 좌판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볼트와 슬리브가 관통 결합되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결합공부 및
    상기 결합돌부가 내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2 결합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공은 상기 제1 결합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의 외측단은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의 단차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외측면에는 상기 외주링부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삽입홈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틸팅브래킷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회전 가이드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외주링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외주링부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결합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틸팅장치.
  5.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등받이의 틸팅장치가 적용된 의자에 있어서,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후측 양단에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석부의 좌판과 상기 등받이의 양측 하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등받이의 틸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등받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틸팅 동작해서 상기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힘이 해제되면 상기 등받이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틸팅장치가 적용된 의자.
KR1020230159767A 2023-11-17 2023-11-17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KR10264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9767A KR102640132B1 (ko) 2023-11-17 2023-11-17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9767A KR102640132B1 (ko) 2023-11-17 2023-11-17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132B1 true KR102640132B1 (ko) 2024-02-22

Family

ID=9005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9767A KR102640132B1 (ko) 2023-11-17 2023-11-17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1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729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20130103988A (ko) * 2012-03-12 2013-09-25 주식회사 체어로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190135813A (ko) * 2018-05-29 2019-12-09 차지훈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2366862B1 (ko) 2021-12-13 2022-02-24 김현곤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KR102557970B1 (ko) * 2022-12-28 2023-07-20 주식회사 호수산업 소음 방지용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729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20130103988A (ko) * 2012-03-12 2013-09-25 주식회사 체어로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190135813A (ko) * 2018-05-29 2019-12-09 차지훈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2366862B1 (ko) 2021-12-13 2022-02-24 김현곤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KR102557970B1 (ko) * 2022-12-28 2023-07-20 주식회사 호수산업 소음 방지용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7679B1 (en) Chair
CN108289547B (zh) 可倾斜的凳子或可倾斜的休闲椅
JP7429275B2 (ja) 椅子
KR20120098633A (ko) 의자의 등받이
KR10213032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
KR102366862B1 (ko)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KR102640132B1 (ko)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JP5543117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JP6078290B2 (ja) 椅子
KR101541160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JP2009136370A (ja) 椅子
JP7217110B2 (ja) 椅子
KR101559889B1 (ko) 높이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0809265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JP5326118B2 (ja) 椅子
KR102251795B1 (ko) 의자 등받이의 탄성 결합구 체결구조
KR200159346Y1 (ko) 커버 착탈식 의자
JP7382187B2 (ja) 椅子
CN218635647U (zh) 靠背组件及椅子
JP7385405B2 (ja) 椅子
KR101448350B1 (ko) 의자 좌판수용부를 형성한 일체형 의자팔걸이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사무용의자
JP6705879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