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800B1 -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 Google Patents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800B1
KR102327800B1 KR1020210062019A KR20210062019A KR102327800B1 KR 102327800 B1 KR102327800 B1 KR 102327800B1 KR 1020210062019 A KR1020210062019 A KR 1020210062019A KR 20210062019 A KR20210062019 A KR 20210062019A KR 102327800 B1 KR102327800 B1 KR 10232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ubber
hole
locking devi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금
Priority to KR102021006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는 의자의 하부체에 설치되고 상기 의자의 등판이 연결되며 상기 의자의 등판을 탄성력을 통해 지지하는 고무럭킹 장치로, 상기 하부체에 고정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고정관으로부터 돌출되며 양단부에 상기 등판이 연결되는 토션 샤프트; 상기 고정관과 상기 토션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관 및 상기 토션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고무체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샤프트가 상기 등판에 의해 회전될 시, 상기 고무체는 상기 고정관을 기준으로 비틀어지며 상기 토션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등판을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Rubber locking device and weight-sensitive chai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의자에는 등판을 뒤로 젖혀지게 하는 럭킹장치를 부설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펴게 함으로써 장기착석에서 오는 허리의 통증과 복부의 압박감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에 육체적인 긴장감이나 피로감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상체를 뒤로 젖히면, 탄성스프링이 구비된 럭킹장치에 사용자의 체중이 전달됨에 따라 뒤쪽을 향해서 제쳐지면서 등판이 일정각도만큼 뒤로 제쳐졌다가 상체를 앞으로 원위치 시키면 럭킹장치의 복원력에 의해 등판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의자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5259호의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가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의자의 경우, 의자에 적용된 럭킹 매커니즘은 사용상 기능이 복잡하여 설명서 없이는 고급기능을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기존 의자는 탄성력이 탄성스프링을 통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틸팅 강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틸팅 강도를 조절하고 등판을 젖혀보며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틸팅 강도가 될 때까지 이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의자의 경우, 사용자가 등판을 틸팅하는 경우에 부드럽게 작동하지 못한 문제점과, 의자를 오랫동안 사용하거나 외부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탄성스프링에 녹이 발생하여 소음이 크게 발생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부품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틸팅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틸팅 강도를 제공할 수 있어, 틸팅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이 생략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는 의자의 하부체에 설치되고 상기 의자의 등판이 연결되며 상기 의자의 등판을 탄성력을 통해 지지하는 고무럭킹 장치로, 상기 하부체에 고정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고정관으로부터 돌출되며 양단부에 상기 등판이 연결되는 토션 샤프트; 상기 고정관과 상기 토션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관 및 상기 토션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고무체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샤프트가 상기 등판에 의해 회전될 시, 상기 고무체는 상기 고정관을 기준으로 비틀어지며 상기 토션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등판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체는 니트로부타디엔 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감응형 의자는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하단이 고정되는 중심봉; 상기 중심봉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에 고정되는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토션 샤프트에 연결되고 사람의 등이 접촉되는 등판; 및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토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사람이 안착되는 좌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고정관의 전면측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고무체의 전면측에는 상기 걸림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 및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무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체의 전면측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한 쌍의 고정바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제1 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전방 및 좌우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유동공간에 연통되는 제2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동공간에 연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상기 제1 유동공간에 삽입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고 전방 및 좌우측이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유동바; 상기 제1 유동바의 후단부에 전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바; 상기 돌출바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바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돌출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걸림바; 상기 제2 유동공간에 삽입되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좌측 전방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안착홀과, 상기 제1 안착홀로부터 우측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 안착홀과,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홀 및 제2 안착홀을 연통시키는 사선홀이 형성된 제2 유동바; 상기 가이드홀, 관통홀, 사선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브라켓, 제1 유동바, 제2 유동바를 연결시키는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동바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2 유동바에 밀려 상기 제1 유동바를 후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걸림홀 및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체는 내부 전방측에 상기 고무럭킹 장치가 배치되는 제1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후방측에 상기 중심봉의 상단부가 노출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고정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는 상기 제1 공간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는 고무체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틸팅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틸팅 강도를 제공할 수 있어, 틸팅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이 생략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는 고무체의 비틀림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탄성스프링에 비해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할 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이 고무럭킹 장치를 통해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틸팅됨으로써, 체형에 관계없이 부드럽게 틸팅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의 고무럭킹 장치, 중심봉, 하부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의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의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10)는 의자의 하부체(40)에 설치되고 의자의 등판(50)이 연결되며, 의자의 등판(50)을 탄성력을 통해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10)는 고정관(100), 토션 샤프트(200), 고무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관(100)은 의자의 하부체(40)에 고정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관(100)은 하부체(40)에 고정됨으로써,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토션 샤프트(200)는 고정관(100)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토션 샤프트(200)는 양단부(210)가 고정관(100)으로부터 돌출되며 양단부(210)에 등판(5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a) 및 (b)를 참고하면, 토션 샤프트(200)는 등판(50)이 사용자에 의해 젖혀질 경우, 회전될 수 있다.
고무체(300)는 고정관(100)과 토션 샤프트(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관(100) 및 토션 샤프트(2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무체(300)는 토션 샤프트(2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무체(300)는 니트로부타디엔 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니트로부타디엔 고무는 부타디엔을 주원료로 하는 합성고무 소재로, 고강도에 높은 인장력을 가질 수 있다.
정리하면, 토션 샤프트(200)는 고무체(30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등판(5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체(300)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틸팅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틸팅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무체(300)의 비틀림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탄성스프링에 비해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감응형 의자(1)는 지지부(20), 중심봉(30), 하부체(40), 고무럭킹 장치(10), 등판(50), 좌판(6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는 시중에 유통되는 바퀴가 달린 의자 다리로 마련될 수 있다.
중심봉(30)은 지지부(20)에 하단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로 마련된 중심봉(30)은 상단부에 헤드(미도시)가 마련되고, 헤드(미도시)가 눌러짐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하부체(40)는 중심봉(3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고, 고무럭킹 장치(10)는 하부체(4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관(100)은 하부체(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토션 샤프트(200)의 양단부(210)는 하부체(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토션 샤프트(200)의 양단부(210)에는 등판(50)이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토션 샤프트(200)는 고무체(30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등판(5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체(300)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틸팅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틸팅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무체(300)의 비틀림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탄성스프링에 비해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하부체(40)는 중심봉(3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고, 전방부에 개구부(40p)가 형성되고, 하부 후방측에 중심봉(3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홀(40q)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하부체(40)는 내부 전방측에 제1 공간(A1) 및 내부 후방측에 제2 공간(A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A1)에는 고무럭킹 장치(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간(A2)에는 중심봉(30)의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 공간(A2)에는 중심봉(30)의 상단부에 마련된 헤드(미도시)를 눌러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무럭킹 장치(10)의 고정관(1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100b)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체(40)는 제1 공간(A1) 측으로 돌출되고 고정홀(100b)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턱(4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관(100)은 하부체(40)에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고무럭킹 장치(10)의 고무체(3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고정홀(100b)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30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홈(300b)에는 고정턱(41)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무체(300)의 비틀림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션 샤프트(200)의 최대 회전각도는 고정홈(300b)에 고정턱(41)이 삽입되는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등판(50)은 고무럭킹 장치(10)의 토션 샤프트(200)의 양단부(210)에 연결되고 사람의 등이 접촉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등판(50)은 등판브라켓(51)을 통해 토션 샤프트(200)의 양단부(210)에 각각 고정되어 토션 샤프트(20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좌판(60)은 고무럭킹 장치(10)의 토션 샤프트(200)에 연결되고 사람이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중 감응형 의자(1)는 싱크로나이즈드 틸팅(사용자가 등판(50)에 기대어 앉을 때 좌판(60)이 등판(50)과 다른 각도로 기울어지는 기술)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토션 샤프트(200)의 양단부(210)에는 각각 마감홈이 형성된 마감부재(MB)가 끼워져, 등판브라켓(51)이 토션 샤프트(200)의 양단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토션 샤프트(200)의 양단부(210)에는 각각 단부홀(210h)이 형성될 수 있고, 마감부재(MB)는 일부분이 단부홀(210h)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좌판(60)은 토션 샤프트(200)에 연결되지 않고, 하부체(4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좌판(60)의 하부 양측부에는 팔걸이부재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5, 도 7,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감응형 의자(1)는 고정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럭킹 장치(10)의 고정관(100)의 전면측에는 걸림홀(10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무럭킹 장치(10)의 고무체(300)의 전면측에는 걸림홀(100a)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300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70)는 걸림홀(100a) 및 걸림홈(300a)에 삽입되어 고무체(30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판(50)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고정부(70)는 가이드부(7100), 제1 유동바(7200), 돌출바(7300), 지지스프링(7400), 걸림바(7500), 제2 유동바(7600), 연결핀(77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7100)는 고정바(7110), 가이드브라켓(7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바(711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하부체(40)의 전면측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7120)은 한 쌍의 고정바(7110)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제1 유동공간(7120a)이 형성되며, 전방 및 좌우측이 개방되고 제1 유동공간(7120a)에 연통되는 제2 유동공간(7120b)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1 유동공간(7120a)에 연통되는 가이드홀(7120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7100)는 제1 유동바(72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제2 유동바(76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유동바(7200)는 제1 유동공간(7120a)에 삽입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고 전방 및 좌우측이 개방된 삽입공간(7200a)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삽입공간(7200a)에 연통되는 관통홀(7200b)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바(7300)는 제1 유동바(7200)의 후단부에 전단부가 연결되고 가이드브라켓(7120)의 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스프링(7400)은 돌출바(730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바(73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바(7500)는 돌출바(7300)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바(7500)는 걸림홀(100a) 및 걸림홈(300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지지스프링(7400)은 일단부가 제1 유동바(7200)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걸림바(7500)에 접촉되어, 걸림바(75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유동바(7600)는 제2 유동공간(7120b)에 삽입되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좌측 전방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안착홀(7600a)과, 제1 안착홀(7600a)로부터 우측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 안착홀(7600b)과,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제1 안착홀(7600a) 및 제2 안착홀(7600b)을 연통시키는 사선홀(7600c)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핀(7700)은 가이드홀(7120c), 관통홀(7200b), 사선홀(7600c)을 관통하여 가이드브라켓(7120), 제1 유동바(7200), 제2 유동바(76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동바(76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연결핀(7700)은 제2 유동바(7600)에 밀려 제1 유동바(7200)를 후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걸림바(7500)는 걸림홀(100a) 및 걸림홈(30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연결핀(7700)은 제2 안착홀(7600b)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동바(76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연결핀(7700)은 제2 유동바(7600)에 밀려 제1 유동바(7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걸림바(7500)는 걸림홀(100a) 및 걸림홈(300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7700)은 제1 안착홀(7600a)에 위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2 유동바(76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연결핀(7700)은 사선홀(7600c)을 따라 제2 안착홀(7600b)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7700)은 가이드홀(7120c)을 따라 후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연결핀(7700)에 연결된 제1 유동바(7200)는 후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바(7500)는 걸림홀(100a) 및 걸림홈(30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판(50)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유동바(72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연결핀(7700)은 사선홀(7600c)을 따라 제1 안착홀(7600a)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7700)은 가이드홀(7120c)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연결핀(7700)에 연결된 제1 유동바(720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바(7500)는 걸림홀(100a) 및 걸림홈(300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10)는 보조관(500) 및 보조고무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관(500)은 고정관(10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고, 보조관(500)의 내부에는 고정관(100)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관(500)의 전방에는 걸림홀(10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관홀(500a)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고무체(600)는 보조관(500)과 고정관(100)의 사이에 배치되고 보조관(500) 및 고정관(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조고무체(600)의 전방에는 걸림홀(10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고무체홀(60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바(7500)는 보조관홀(500a), 보조고무체홀(600a), 걸림홀(100a) 및 걸림홈(300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관(500) 및 보조고무체(600)는 걸림홀(100a) 및 걸림홈(300a)에 삽입된 걸림바(7500)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10)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1)는 고무체(300)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틸팅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틸팅 강도를 제공할 수 있어, 틸팅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이 생략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10)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1)는 고무체(300)의 비틀림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럭킹 장치(10)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1)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할 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50)이 고무럭킹 장치(10)를 통해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틸팅됨으로써, 체형에 관계없이 부드럽게 틸팅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 : 체중 감응형 의자
10 : 고무럭킹 장치 100 : 고정관
100a : 걸림홀 100b : 고정홀
200 : 토션 샤프트 300 : 고무체
300a : 걸림홈 300b : 고정홈
500 : 보조관 600 : 보조고무체
20 : 지지부 30 : 중심봉
40 : 하부체 A1 : 제1 공간
A2 : 제2 공간 41 : 고정턱
50 : 등판 51 : 등판브라켓
60 : 좌판 70 : 고정부
7100 : 가이드부 7110 : 고정바
7120 : 가이드브라켓 7120a : 제1 유동공간
7120b : 제2 유동공간 7120c : 가이드홀
7200 : 제1 유동바 7200a : 삽입공간
7200b : 관통홀 7300 : 돌출바
7400 : 지지스프링 7500 : 걸림바
7600 : 제2 유동바 7600a : 제1 안착홀
7600b : 제2 안착홀 7600c : 사선홀
7700 : 연결핀 MB : 마감부재

Claims (6)

  1.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하단이 고정되는 중심봉;
    상기 중심봉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에 고정되는 고무럭킹 장치;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토션 샤프트에 연결되고 사람의 등이 접촉되는 등판; 및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토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사람이 안착되는 좌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무럭킹 장치는,
    상기 하부체에 고정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고정관으로부터 돌출되며 양단부에 상기 등판이 연결되는 토션 샤프트;
    상기 고정관과 상기 토션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관 및 상기 토션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고무체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샤프트가 상기 등판에 의해 회전될 시, 상기 고무체는 상기 고정관을 기준으로 비틀어지며 상기 토션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등판을 지지하고,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고정관의 전면측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고무체의 전면측에는 상기 걸림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 및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무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체는 니트로부타디엔 고무로 마련되는 체중 감응형 의자.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체의 전면측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한 쌍의 고정바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제1 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전방 및 좌우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유동공간에 연통되는 제2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동공간에 연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상기 제1 유동공간에 삽입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고 전방 및 좌우측이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유동바;
    상기 제1 유동바의 후단부에 전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바;
    상기 돌출바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바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지지스프링;
    상기 돌출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걸림바;
    상기 제2 유동공간에 삽입되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좌측 전방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안착홀과, 상기 제1 안착홀로부터 우측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 안착홀과,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홀 및 제2 안착홀을 연통시키는 사선홀이 형성된 제2 유동바;
    상기 가이드홀, 관통홀, 사선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브라켓, 제1 유동바, 제2 유동바를 연결시키는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동바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2 유동바에 밀려 상기 제1 유동바를 후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걸림홀 및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체중 감응형 의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는 내부 전방측에 상기 고무럭킹 장치가 배치되는 제1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후방측에 상기 중심봉의 상단부가 노출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럭킹 장치의 고정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는 상기 제1 공간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턱이 마련되는 체중 감응형 의자.
KR1020210062019A 2021-05-13 2021-05-13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KR102327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019A KR102327800B1 (ko) 2021-05-13 2021-05-13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019A KR102327800B1 (ko) 2021-05-13 2021-05-13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800B1 true KR102327800B1 (ko) 2021-11-18

Family

ID=7871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019A KR102327800B1 (ko) 2021-05-13 2021-05-13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8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565A (ja) * 2004-09-14 2006-03-30 Toshimitsu Sasaki 加工竹の連結部構造及び加工竹を用いた荷重支持構造体
JP2016131616A (ja) * 2015-01-16 2016-07-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反力機構、及び、それを用いる椅子
KR101960336B1 (ko) * 2018-12-05 2019-03-20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등판 틸팅 모듈러용 토션바 스프링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565A (ja) * 2004-09-14 2006-03-30 Toshimitsu Sasaki 加工竹の連結部構造及び加工竹を用いた荷重支持構造体
JP2016131616A (ja) * 2015-01-16 2016-07-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反力機構、及び、それを用いる椅子
KR101960336B1 (ko) * 2018-12-05 2019-03-20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등판 틸팅 모듈러용 토션바 스프링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4615B (fi) Järjestely nojatuoliin, jossa on säädettävä selkänoja
US6439661B1 (en) Chair mechanism
US4695093A (en) Work chair
US3369840A (en) Chair tilting mechanism
EP0722283B1 (en) Split back chair
JPH0146127B2 (ko)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US20060103221A1 (en) Ergonomic chair
KR101143619B1 (ko)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H10290730A (ja) 背もたれ用弾性可動手段を備える椅子
US11337525B1 (en) Reclining seatback support device
KR101763159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JP4627931B2 (ja) 椅子の背もたれの支持機構
JP3553302B2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KR101232825B1 (ko) 의자
KR101095572B1 (ko) 의자용 좌판 회전장치
KR102327800B1 (ko) 고무럭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응형 의자
US5366273A (en) Chair or the like
KR20190135813A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1691858B1 (ko) 의자 어셈블리
KR102074844B1 (ko) 안락성이 개선된 의자
KR200382308Y1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US10702066B2 (en) Office chair
KR101931630B1 (ko) 기능성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