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916B1 - 의자경사장치 - Google Patents

의자경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916B1
KR101524916B1 KR1020130064355A KR20130064355A KR101524916B1 KR 101524916 B1 KR101524916 B1 KR 101524916B1 KR 1020130064355 A KR1020130064355 A KR 1020130064355A KR 20130064355 A KR20130064355 A KR 20130064355A KR 101524916 B1 KR101524916 B1 KR 101524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ompression
support
plat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814A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3006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9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Abstract

의자 사용자의 편안함을 위한 한 방법으로 좌판을 전후로 경사지게 한다. 좌판의 경사가 부드럽게 작용하고, 또 원위치로의 복귀를 위해서 신축탄성부재를 채용하였다. 상기 신축탄성부재의 한 예로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을 보였으며, 이들이 안정되게 작용하도록 구성을 개선하였다.

Description

의자경사장치 {Tilting Device of Chair}
본 발명은 의자 좌판의 경사가 변동됨으로써 작업자의 인체를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작용하는 의자, 걸상의 경사조절장치에 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앉는 용도를 주목적으로 수많은 의자가 생산되어 왔으나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전체적인 형태는 거의 차이가 없다. 의자간의 경쟁력과 차별화라고는 그저 모양에 약간의 변화를 주는 디자인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앉아 있는 사용자에게 척추에 대한 피로감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등받이가 있는 의자가 있고, 사람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좀 더 편안함을 주기 위하여 주로 뒤로 틸팅이 되거나 탄성력을 갖춘 것 등이 있다.
이러한 방식 등은 사용자가 뒤로 기댈 때, 엉덩이는 앞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되어 편안하지 않게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몸을 작업을 위해 작업대 쪽으로 접근하여 숙일 때 허벅지 부근이 의자의 전방에 압박되는 경향이 있어서 혈액순환에도 좋지 않고 이는 불편함으로 느끼게 된다. 이에 대해 필자는 오랫동안 고민해 왔고, 좌판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고 앞뒤로 기울일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생각해 왔다. 그러한 고민의 한 결과가 2010년에 특허출원한 출원번호 10-2010-0129972(특허 제 10-1133846호)로 제안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몸을 뒤로 기울였을 때에도 의자의 형태가 그에 부드럽게 추종하여 사용자를 잘 지지하게 하기 위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로서 스프링을 구성한 방법을 보였다. 그리고 그러했을 때나, 평상시에도 사용자의 다리가 의자 아래 뒤쪽으로 둘 때에도 거치적거림이 없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탄성부재의 구성위치가 의자의 뒤쪽에 구성할 수 있도록 매우 고민하였다.
많은 고민을 하여 출원번호 10-2010-0129972(특허 제 10-1133846호)와 같은 구상을 출원하였으나 구성이 복잡하고 작동도 마음에 썩 들지는 않았다.
특히 위 특허는 회전지지부(58)를 주요 구성품으로 하는데, 이의 사용으로 인한 구성위치도 마음에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았다.
무엇보다 의자 좌판의 전방회전에 대응하는 인장스프링이 구성된 인장스프링집합에 있어서, 사용자가 좌판의 경사를 뒤로 기울일 경우에 인장스프링은 이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인장스프링집합을 구성하는 하단판(54)이 회전지지부(58)에 크게 뚫린 구멍을 통과하여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여기서 회전지지부(58)에 크게 뚫린 구멍은 하단판(54)이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커서 좌판이 전후로 기울여서 회전할 때 불안정하게 위치할 가능성이 크며 하단판이 꼭 정중앙으로 걸림이 없이 잘 통과하기를 의도하지만 불안정함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상방이동억제요소(55)를 충분히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인력조절자핸들(57)을 작동하여 하단판(54)를 이동하여 조절한 후 다시 상방이동억제요소(55)를 위로 이동하여 위치를 잡게 된다. 이렇게 여러 단계를 거치는 것도 마음에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았다.
이러한 고민으로 인하여 출원번호 10-2011-0125857(특허 제 10-1232984)에서 압축탄성력만을 이용한 탄성부재로 구성한 예를 보였다. 하지만, 좌판과 지지부가 좌판이 회전함에 따라 분리되는 모델이어서, 복귀시 정확히 재 위치하는 것에 주의하여 정확한 제작을 요하였다.
이러한 고민으로 인하여 좌판의 앞뒤 회전 중 어느 한쪽이라도 크게 주의하지 않고도 정확히 재위치하는 것을 연구하여 출원번호 10-2011-0125838에 적어도 앞뒤 회전 중 어느 한 쪽에 비틀림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좌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를 구성하는데, 경사에 저항하는 부재로 신축탄성부재를 채택했다. 신축탄성부재의 상단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단에는 인장상단판(70a)을 결합하고, 이 인장상단판(70a)은 좌판(15)의 하부에 고정하였다. 인장상단판(70a)은 분리되는 판이거나 좌판에 형성해도 되고 이러한 부분을 통칭한다.
신축탄성부재의 하단은 인장하단판(79a)과 결합한다.
인장하단판(79a)은 봉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인력조절대(56)와 나사결합한다.
인력조절대(56) 아래쪽 단부는 인장핸들(57)이 결합하며, 인장핸들(57)의 상부는 인장지지대(93b)의 하부에 접하여 인장핸들이 상부 쪽으로 이동하려는 이동이 제한된다.
인장하단판(79a) 아래 인력조절대(56)의 하부는 인력조절대(56)가 좌판에 의해 눌릴 때, 아래쪽으로는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인장지지대(93b)에는 인력조절대(56)의 아래쪽 단부가 관통하여 결합하는 관통공이 뚫려 있다.
이 관통공의 모양과 크기는 인력조절대(56)가 잘 통과하기 위한 정도이고, 인장하단판은 통과하지 못한다.
의자의 좌판이 회전하며 인력조절대(56)를 누를 때, 인장하단판(79a)도 아래로 눌리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인장하단판(79a)이 상기 인장지지대(93b)에 도달하여 겹쳐질 때, 계속 아래로 눌리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인장지지대(93b)가 상부지지대(93)에 슬라이딩하도록 결합하여 슬라이딩 되며 더 눌릴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의자의 좌판이 회전하며 인력조절대(56)를 누를 때, 인장하단판(79a)도 아래로 눌리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인장하단판(79a)이 상기 인장지지대(93b)에 도달하여 겹쳐질 때, 계속 아래로 눌리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인장지지대(93b)가 의자의 좌판 회전축인 수평축(91)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눌릴 때 저항하지 않고 더 눌릴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각각의 경우의 여러 구성에 더하여 좌판의 일 방향 기울임에 저항하고, 타 방향 기울임에 순응하는 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신축탄성부재와 협력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더 포함하는 압축탄성부재의 하단은 압축지지대(93a)에 고정되는데 이 압축지지대(93a)가 움직이지 않는 고정지지대로서 역할하게 하는 경우이다.
상기한 각각의 경우의 여러 구성에 더하여 좌판의 일 방향 기울임에 저항하고, 타 방향 기울임에 순응하는 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신축탄성부재와 협력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더 포함하는 압축탄성부재의 하단은 압축지지대(93a)에 고정되는데, 압축탄성부재가 신장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에는 상기 압축지지대(93a)가 저항하지 않고 순응하여 압축지지대(93a)도 회전 가능한 회전지지대로 역할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문단의 구성에 있어서, 압축탄성부재의 상단은 압축상단판(79)에 결합하며, 압축상단판은 봉상의 압력조절대(76)와 나사결합하며, 압력조절대의 상부는 좌판의 하부에 고정된 압축어댑터(70)에 접촉결합한다. 좌판이 회전하여 압축탄성부재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할 때 압력조절대의 상부와 압축어탭터가 분리되지는 않으나, 자유로이 움직일 수는 있도록 결합해 주는 어댑터커버(701)를 포함한다.
선행 출원된 출원번호 10-2010-0129972(특허 제 10-1133846호)에 비교하여,
1. 의자 사용자가 뒤로 기울일 경우에 대응하는 기능에 유사한 효과를 주도록 하면서도 구성을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제작상의 절감과 고장요소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2. 작동시 좌판이 전후로 기울여서 회전할 때 앞서 언급한 세 선행 출원의 인력조절자(56)에 대응하는 인력조절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3. 또한, 인장력의 조정에 있어서도 조정하는 단계의 수를 줄임으로써 편리함을 주게 된다.
4. 이러한 구성을 압축탄성력을 이용한 구성과 병행사용함으로써 이하 제시한 도면에서 보듯이, 의자의 앞뒤 쪽 경사에 대응하는 탄성요소를 모두 의자의 뒤쪽에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 됨으로써 의자 앞쪽 아래는 다리의 이동에 걸림이 없는 쾌적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전후 경사장치의 한 예가 구성된 외관
[도 2] 고정 인장지지대를 포함한 예 후면 1
[도 3] 고정 인장지지대를 포함한 예 후면 2
[도 4] 슬라이딩 인장지지대를 포함한 예
[도 5] 회전 인장지지대를 포함한 예
[도 6] 회전 인장지지대를 포함한 예 분해도
도 1에 좌판의 경사장치를 구성한 한 예의 전체 외관을 보였다.
도 2~도 6은 경사장치의 여러 예의 구성에 대해서 해당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도 1~도 3에서, 인장스프링(53)의 상단은 인장상단판(70a)에 결합되어있다. 이 인장상단판(70a)은 좌판(15)의 하부에 고정된다.
인장상단판(70a)은 인장스프링의 상단을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분리되거나, 좌판이 직접 인장상단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인장스프링(53)의 상단과 결합된 부분을 통칭하여 인장상단판(70a)이라 한다.
인장스프링(53)의 하단은 인장하단판(79a)에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은 강결합으로 하는 것이 좋다.
봉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인력조절대(56)는 인장하단판(79a)과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좌판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장스프링(53)을 늘린 상태로 하여 인장스프링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하였을 때, 인장하단판(79a) 상부 쪽으로 돌출한 인력조절대(56)의 상단은 좌판(15)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된다.
좌판의 회전에 저항하는 인장력의 조절은 다음과 같다.
인력조절대(56)의 아랫단에 결합한 인장핸들(57)을 돌리면 인력조절대(56)의 상부와 인장상단판(70a)은 접촉되어 있을 뿐 회전에 대해서 상관없이 계속 접촉만 유지되는 구성이나, 인력조절대(56)와 나사 결합된 인장하단판(79a)은 상하이동하는데 그 이동의 방향이 인장스프링(53)을 늘이거나 줄이게 되며, 그에 따라 인장스프링에 잠재되는 힘의 정도가 달라지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인력조절대(56)를 돌릴 때 인장스프링(53)에 고정된 인장하단판(79a)이 확실히 따라 돌지 않도록 하려면 돌릴 때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장하단판(79a)이 아래로 내려오도록 인력조절대(53)를 돌리면,
인장하단판(79a)이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인장스프링(53)의 상단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장스프링(53)은 점점 늘어나게 되고, 이에 인장스프링(53)은 복귀하려는 힘이 점점 커진 채 잠재되게 된다. 이 잠재된 힘이 크면 클수록 그 힘에 더하는 방향으로 좌판이 회전하게 되면 좌판의 회전은 저항을 받게 된다.
인력조절대(56)는 인장지지대(93b)를 자유로이 관통하여 그 아래에 인장핸들(57)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인장지지대(93b)에 뚫린 관통공은 좌판이 앞뒤로 경사지게 움직일 때, 인력조절대(56)의 인장하단판 아랫부분만이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을 정도의 모양과 크기로 뚫는다. 당연히 인장하단판(79a)은 통과하지 못한다.
인장지지대(93b)는 의자의 상부지지대(93)에 강결합되어 있다.
작동상태를 보면,
좌판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가하면,
인장하단판(79a)에 연결된 인장스프링(53) 하단은 위로는 움직이지 못하고, 인장상단판(70a)에 연결된 인장스프링(53)만 위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인력조절대(56)의 상부는 좌판과 결합된 것이 아니므로 좌판과 점점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반면에 인장지지대(93b)를 관통하여 인장핸들(57)과 연결된 인력조절대(56)는 인장지지대(93b)에 걸려서 위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위로 당겨지는 인력스프링(53)만 힘을 받아 늘어나게 된다.
당겨지는 인력스프링(53)은 좌판이 앞으로 더 기울여짐에 따라 더 저항하게 되고, 이 힘은 좌판을 부드럽게 앞으로 숙이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의자 사용자가 다시 좌판을 평행하게 정위시키고자 할 때 복귀력으로 작용한다.
좌판이 뒤로 기울어지면,
좌판은 인장상단판(70a)을 누르게 되고 이 힘은 인력조절대(56)의 상부를 누르는 힘이 되어 인력조절대(56)는 아래로 눌리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눌릴 때 저항하는 힘은 없다. 즉 예의 도 1 구성은 인장스프링(53)이 좌판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힘에만 저항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도와 이하 도면에서 도시된 예는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의 도면으로 예를 들었으나 신축할 수 있는 탄성부재라면 무엇이라도 된다. 즉,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축탄성부재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인력조절대(56)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인장지지대(93b)는, 좌판의 회전에 의해 인력조절대(56)에 결합된 인장하단판(79a)이 같이 아래로 밀리는 과정에서 인장지지대(93b)와 충돌하지 않을 정도로 여유있게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L형으로 된 인장지지대(93b)를 보였다. 도 4와 같이 인장지지대(93b)의 꺾인 윗부분은 상하로 가이드 되는 천공 홈이 파여 있다. 이 인장지지대(93b)에 겹쳐지는 상부지지대(90)에는 도 4에 보인 고정핀(110)이 끼워져 있다. 이 고정핀(110)은 상하로 움직이지는 않는다. 이 고정핀(110)은 상부지지대(93)와 인장지지대(93b)를 결합하고, 인장지지대(93b)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여유로 결합되어있다. 따라서 인장지지대(93b)는 상하로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다.
작동상태를 보면,
좌판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가하면,
앞서 도 2, 도 3에서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다시 좌판이 뒤로 기울어지면,
인력조절대(56)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인력조절대(56)와 결합된 인장하단판(79a)도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내려가다 인장하단판(79a)이 인장지지대(93b)에 걸릴 정도가 되면 이제는 인장하단판(79a)이 인장지지대(93b)를 밀며 더 내려갈 수 있게 된다.
물론 복귀할 때는 인장지지대(93b)는 위로 올라가는 인장핸들(57)에 밀려서 위로 슬라이딩 되며 복귀하게 된다.
도 5, 도 6은, 좌판이 뒤로 회전하여, 인장하단판(79a)이 인장지지대(93b)를 밀게 되는 정도가 될 때, 밀림을 당하는 인장지지대(93b)가 회전하게 된 것이다.
이 인장지지대의 회전축은 수평축(91)을 쓰도록 예시되어 있으며, 좌판의 회전축이 되는 이 수평축(91)을 인장지지대의 회전축으로도 써서 회전축을 일치시킨 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 예는 대회전(大回轉)에도 유리한 예이다. 하지만, 따로 회전축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회전축을 수평축(91)에 평행한 축으로 형성하고 그 축을 회전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평축(91)을 지지하는 브래킷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대의 인근에 또 하나의 브래킷을 세우고 수평축(91)에 평행한 축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은 좌판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하게 될 때,
인장지지대(93b)도 인장핸들(57)에 밀려서 따라 올라오다가, 인장지지대(93b)의 한쪽에 형성한 커팅부분이 수평축(91)을 지지하는 브래킷에 형성한 돌출부인 걸림턱(130)에 걸려서 더 이상 위쪽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좌판이 앞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인장스프링(53)만 더 늘어나게 되는 예이다.
당연히 걸림턱(130)의 위치나 형상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의 채용은 아래 설명할 압축스프링의 채용에 비해서, 보다 큰 회전이 가능하다. 압축스프링은 압축되어 스프링의 간격이 없어지면 더 이상 압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스프링을 채용한 선행출원 출원번호 10-2011-0125857(특허 제 10-1232984)와 같은 경사조절은 인장스프링의 채용에 비교하며, 경사의 한계 각도가 보다 작게 되는 본질적인 한계가 있다.
하지만, 압축스프링의 채용은 압축시에 압축됨에 따라 힘의 작용점이 점점 더 넓어지므로 보다 안정적이나, 인장스프링의 인장시에는 힘의 작용점이 점점 더 좁아져서 내구성에 불리하게 되는 면이 있다.
한편, 인장스프링만을 채용한 경사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본 예시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스프링과 같이 써서 의자의 전후 한쪽 방향에 다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의자의 후방에 이러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의자 전방, 좌판 아래의 공간이 자유롭게 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때 다리의 움직임이 훨씬 편리하고 안전하게 된다.
도 1~도 4에 압축탄성부재인 압축스프링(73)을 지지하는 압축지지대(93a)가 상부지지대(93)에 고정된 예를 보였다.
압축스프링(73)의 상단은 압축상단판(79)에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은 강결합으로 하는 것이 좋다.
압력조절대(76)는 압축상단판(79)과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압축상단판(79) 상부 쪽으로 돌출한 압력조절대(76)의 상단은 좌판(15)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된다.
압력조절대(76)의 상단이 좌판을 지지하며 회전에 저항하는 힘의 조절은 다음과 같다.
압력조절대(76)의 아랫단에 결합한 압축핸들(77)을 돌리면 압력조절대(76)의 상부와 압축어댑터(70)은 접촉되어 있을 뿐 회전에 대해서 상관없이 계속 접촉만 유지되는 구성이나 압력조절대(76)와 나사 결합된 압축상단판(79)은 상하이동하는데 이동의 방향이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정도에 따라 압축스프링에 잠재되는 힘의 정도가 달라지게 조절된다.
압력조절대(76)를 돌릴 때 압축스프링(73)에 고정된 압축상단판(79)이 따라 돌지 않도록 확실히 하려면 돌릴 때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압축상단판(79)이 아래로 내려오게 돌리면,
압축스프링(73)의 하단은 움직이지 않는 고정지지대인 압축지지대(93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압축스프링(73)은 눌리어 점점 줄어들게 되고, 이에 압축스프링(73)은 복귀하려는 힘이 점점 커진 채 잠재되게 된다.
이 잠재된 힘이 크면 클수록, 이 힘에 반대 방향으로 좌판이 회전하려 하면 좌판은 더 크게 저항 받게 된다.
압축상단판(79) 위로 돌출한 압력조절대(76)의 상단은 압축어댑터(70)에 접촉 결합하여 의자 좌판을 지지한다. 이 압축어댑터(70)는 좌판(15)의 하부에 고정된다.
압축어댑터(70)는 압축스프링의 상단을 안정되게 수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분리되거나, 좌판에 직접 형상을 새겨 압축어댑터(70)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으며 압력조절대(76)의 상부를 수용하는 이 부분을 통칭하여 압축어댑터(70)라 한다.
압축어댑터(70)와 압력조절대(76)의 접촉부는 서로 잘 수용할 수 있는 모양을 가진다.
압력조절대(76)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지지대인 압축지지대(93a)를 자유로이 관통하여 그 아래에 압축핸들(77)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압축지지대(93a)에 뚫린 관통공은 좌판이 앞뒤로 경사지게 움직일 때, 압력조절대(76)가 상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을 정도의 모양과 크기로 형성한다.
압축스프링의 하단은 본 예에서와 같이 압축스프링의 하단을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해서 분리된 판에 고정 후, 압축지지대(93a) 상부에 결합하거나; 압축지지대(93a) 상부에 직접 결합할 수 있으며 이들의 결합은 강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상태를 보면,
좌판이 앞으로 기울어지면,
좌판은 압력조절대(76)과 분리되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 압축스프링(73)이 좌판의 전방회전에는 무관하게 된다. 즉, 예의 도 1~도 4의 압축스프링(73)에 대한 구성은 좌판이 뒤로 기울어지는 힘에만 저항하도록 구성된 예이다.
좌판이 뒤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가하면,
좌판이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가해진 힘은 압축어댑터(70)에 수용된 압력조절대(76)의 상부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조절대(76)는 압력조절대(76)에 나사결합된 압축상단판(79)과 함께 아래로 눌리게 되고, 압력조절대(76)는 압축지지대(93a)를 자유로이 통과하도록 뚫린 구멍을 따라 아래로 밀려 내려가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73) 하단은 압축지지대(93a)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아래로는 움직이지 못하고 눌리며 저항하게 된다.
즉, 압축상단판(79)에 결합된 압축스프링(73)만 아래로 눌리어 압축되게 된다.
압축되는 압축스프링(73)은 좌판이 뒤로 더 기울여짐에 따라 더 저항하게 되고, 이 힘은 좌판을 부드럽게 뒤로 젖혀지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의자 사용자가 다시 좌판을 원위치로 정위시키고자 할 때 복귀력으로 작용한다.
예시된 도면들은 압축스프링으로 예를 들었으나, 신축탄성력을 가진 신축탄성부재라면 되며, 특히 본 예와 같은 압축스프링은 압축탄성력을 이용한 압축탄성부재의 일(一) 예이다.
도 5, 도 6은, 도 1~도 4와 같은 구성에서 좌판이 앞으로 회전하게 될 때,
압력조절대(76)의 상단부가 압축어댑터(70)에서 분리되어 상관없이 되는 것과 달리, 압축지지대(93a)도 순응하여 같이 회전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해 압력조절대(76)의 상단부분이 압축어댑터(7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어댑터커버(701)를 씌운 것이다. 어댑터커버(701)는 압력조절대가 압축어댑터(7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뿐, 압력조절대(76)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좌판이 앞으로 회전할 때, 좌판(15)과 같이 움직이는 어댑터커버(701)는 압력조절대(76)를 당기게 된다. 이는 곧 압축지지대(93a) 아래쪽에 연장된 압력조절대(76)에 결합된 압축핸들(77)의 상부가 압축지지대(93a)를 위로 밀게 된다.
이제 이 과정이 좌판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압축지지대(93a)도 회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도 5, 도 6은 압축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회전하는 회전지지대를 포함하게 한 것으로 본 도에서 회전지지대의 예는 압축지지대(93a)를 나타내었다.
어댑터커버의 형상은 가운데에 압력조절대(76)가 통과하여 앞뒤로 운동할 수 있는 천공 홈이 파여진 U자형 형상을 포함하는 예를 보였으나, 좌판이 압력조절대(76)를 당길 때 압력조절대의 상단부분이 빠지지 않는 것이면 된다.
이 압축지지대(93a)의 회전축은 수평축(91)을 쓰도록 예시되어 있으며, 좌판의 회전축이 되는 이 수평축(91)을 압축지지대(93a)의 회전축으로도 써서 회전축을 일치시킨 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 예는 앞으로의 대회전(大回轉)에 유리한 예이다. 하지만, 작은 범위의 회전만을 위해도 상관없을 때는 따로 수평축(91)에 평행한 회전축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도 6에서,
좌판이 뒤로 회전하게 될 때,
도 5, 도 6서 예시한 압축지지대(93a)의 구성과 형상은,
좌판이 부가적으로 기울이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의 후방회전이 가능하지 않도록 압축지지대(93a)의 형상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 걸림턱이 의자의 후방회전시에 상부지지대(93)에 걸리게 한 것이다.
이때, 당연히 압축지지대(93a)에 형성한 걸림턱의 위치나 형상은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좌판이 후방회전하여 압축지지대(93a)가 일단 상부지지대(93)에 걸리면, 그 작동의 과정은 도 1~ 도 4와 같게 된다.
작동 모습에 있어서, 도 1~도 4의 구성은 좌판의 전방회전시에 압력조절대(76)의 상단이 좌판의 전방회전시에 좌판과 떨어지는데, 이는 복귀시 원위치로 정위(正位)되는 것이 불안해 보일 수가 있다.
도 5, 도 6은 이에 대한 염려를 할 필요 없이 확실히 보장하기 위한 예이다.
도 1~도 4의 구성에서 복귀시 정위되느냐 하는 것은 제작상 정밀성에 따르고, 그런 정밀성에서 보다 여유있게 되는 구성인 도 5, 도 6은 경제성의 문제가 따른다.
1: 등판 2: 지지체 15: 좌판
53: 인장스프링 56: 인력조절대 57: 인장핸들
70: 압축어댑터 70a: 인장상단판 73: 압축스프링
76: 압력조절대 77: 압축핸들 79: 압축상단판
79a: 인장하단판 82: 브레이크대 83: 브레이크틀
84: 브레이크케이스 90: 좌판지지재 91: 수평축
92: 의자구조체 93: 상부지지대 93a: 압축지지대
93b:인장지지대 94: 높이조절레버
110: 고정핀 130: 걸림턱 701: 어댑터커버

Claims (6)

  1. 좌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에 있어서,
    의자의 경사에 저항하는 신축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탄성부재의 상단과 결합한 인장상단판(70a)은 좌판(15)의 하부에 고정되고, 신축탄성부재의 하단은 인장하단판(79a)과 결합하며, 인장하단판은 봉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인력조절대(56)와 나사결합하며, 인력조절대(56) 아래쪽 단부는 인장핸들(57)이 결합하며, 인장핸들의 상부는 인장핸들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인장지지대(93b)를 포함하며; 인력조절대(56)의 인장하단판(79a) 아래쪽 단부는 인장지지대(93b)에 형성한 관통공을 통과하여 결합하며; 관통공은 인장하단판 아래 인력조절대 부분만이 통과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1항에 있어서, 인장지지대(93b)는 의자의 상부지지대(93)에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1항에 있어서, 인장지지대(93b)는 의자의 좌판 회전축인 수평축(91)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판의 일 방향 기울임에 저항하고 타 방향 기울임에 순응하는 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탄성부재의 하단은 고정지지대에 결합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축(91)에 수평하게 구성한 회전축을 가지며 좌판의 일 방향 기울임에 저항하고 타 방향 기울임에 순응하는 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탄성부재의 하단은 회전 가능한 회전지지대에 결합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5항에 있어서, 압축탄성부재의 상단은 압축상단판(79)에 결합하며, 압축상단판은 봉상의 압력조절대(76)와 나사결합하며, 압력조절대의 상부는 좌판의 하부에 고정된 압축어댑터(70)에 접촉결합하며, 압력조절대의 상부와 압축어탭터가 분리되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하는 어댑터커버(7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30064355A 2013-06-05 2013-06-05 의자경사장치 KR10152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355A KR101524916B1 (ko) 2013-06-05 2013-06-05 의자경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355A KR101524916B1 (ko) 2013-06-05 2013-06-05 의자경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814A KR20140142814A (ko) 2014-12-15
KR101524916B1 true KR101524916B1 (ko) 2015-06-01

Family

ID=5246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355A KR101524916B1 (ko) 2013-06-05 2013-06-05 의자경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138B1 (ko) * 2021-09-16 2023-06-16 전상익 자전거 안장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35B1 (ko) * 2008-12-31 2009-07-22 엄옥순 의자
KR101133846B1 (ko) * 2010-12-17 2012-04-06 박영호 의자 경사조절장치
KR20130005610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대하정공 다기능 의자 어셈블리
KR101232984B1 (ko) * 2011-11-29 2013-02-13 박영호 의자 좌판 경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35B1 (ko) * 2008-12-31 2009-07-22 엄옥순 의자
KR101133846B1 (ko) * 2010-12-17 2012-04-06 박영호 의자 경사조절장치
KR20130005610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대하정공 다기능 의자 어셈블리
KR101232984B1 (ko) * 2011-11-29 2013-02-13 박영호 의자 좌판 경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814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8478B1 (en) Child chair
US20110215623A1 (en) Height-Adjusting Assembly for Office Chair Backrest
US9414684B2 (en) Tilting type chair
KR101635485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EP3568046B1 (en) Chair back tilt mechanism
US9039087B2 (en) Chair with integrated back plate cell
KR101378400B1 (ko)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US20060284461A1 (en) Chair with recline control mechanism, recline limit control and back tilt mechanism
JP2011229896A (ja) 座る位置が調節される座板部の移動構造を有する椅子
JP6667019B2 (ja) 車いすのレッグレストのための装着デバイス
JP3177652U (ja) 椅子の座部ガイド装置
JP6215659B2 (ja) 椅子
KR101524916B1 (ko) 의자경사장치
KR20140065308A (ko) 의자의 머리받침 부재 조절 장치
JP5771383B2 (ja) ロッキング椅子
KR20190079955A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20190047879A (ko) 겨드랑이 지지체
KR101446462B1 (ko) 의자의 제어장치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KR200494583Y1 (ko) 등받이 의자
KR102330397B1 (ko) 등받이 의자
KR102320665B1 (ko) 요추 지지 성능 개선 의자
KR20100008565U (ko) 의자용 팔걸이
KR101912911B1 (ko)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JP2004248980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