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83Y1 - 등받이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83Y1
KR200494583Y1 KR2020170006133U KR20170006133U KR200494583Y1 KR 200494583 Y1 KR200494583 Y1 KR 200494583Y1 KR 2020170006133 U KR2020170006133 U KR 2020170006133U KR 20170006133 U KR20170006133 U KR 20170006133U KR 200494583 Y1 KR200494583 Y1 KR 200494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back plate
chair
heigh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296U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3696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69561A/ko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2020170006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8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Abstract

착석자에게 편안함을 주기 위하여 의자의 등받이는 형상을 인체의 형상에 최적화하거나 탄성을 준 것 등이 있었다. 이러한 것은 각기 높이가 다른 사용자의 체형에 최적화되지는 못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등받이는 또한 좌석에 앉은 채로 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게 하였으며, 앞뒤로 기울일 수도 있고, 앞위로 이동할 수도 있게 하여 각기 체형이 다른 사용자와, 자세가 변함으로 지지점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잘 대응하게 하였다.

Description

등받이 의자{Backed Chair}
본 고안은 등받이 의자에 대한 것으로 등받이의 변동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등받이는 의자 사용자가 등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장 단순하게는 의자의 일부를 좌판의 후방에 직각으로 상방으로 돌출시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게 한 것으로부터, 좀 더 안락감을 주기 위하여 등과의 접촉 부위에 쿠션을 보강하거나, 등받이에 탄력성을 준 것이 있으며, 좀 더 발전하여 등받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좀 더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한 것 등이 있다.
또는 인체 형상에 맞춘다고 등받이의 형상을 적절히 변형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사용자의 체형이 크거나, 작거나 할 경우에 등받이의 지지점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세를 바꿈으로 인하여도 등받이의 지지점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래 의도한 정도의 안락감을 주지 못하게 된다. 즉 등받이의 높이도 변동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필요에 의해 등받이의 높이를 변동하는 장치에 대해 제시된 것들이 있었다.
그런데 실제 이러한 장치는 의자의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의 일부를 지지하는 경우에 유용하기도 하고 필요하기도 한 것이어서, 하나의 등받이로 사용자의 등 전체를 다 지지하도록 형상을 최적화하여 형성한 큰 등받이에 있어서는 굳이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그 중요성을 그리 크지 않은 편이어서 그 작동에 대한 방법도 크게 신경 쓰지 않아서 단순히 등받이의 지지축에 나사조임 등의 방법을 쓴 것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았다. 그렇게 하여도 사용자는 큰 불편을 느낄 필요조차 없었다.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등받이의 경우는 오히려 등받이 단독으로 쓰일 때보다 등받이에 부수적으로 장착되어 요추받이로 쓰일 때가 그 필요성이 더 컸고,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한 출원들이 있었다.
하지만, 관람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의자의 경우 사용자의 체위변화가 크지 않으나 작업 학습 등을 위한 의자 사용자의 경우는 작업대를 대하여 체위를 앞뒤로 기울이는 동작이 빈번히 일어나게 된다. 이때 등받이의 지지점은 달라지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특히 높이 조절이 용이한 등받이의 필요성이 중요해 질 수 있다.
기존의 높이가 조절되는 등받이의 경우에는 체형이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즉 높이를 자주 바꿀 필요가 없다는 전제하에 구성을 한 것이다.
그에 비해 본 고안에서는 체형이 다른 사용자뿐만 아니라 동일한 사용자의 성장에 따른 체형 변화나, 사용 중 큰 자세 변동을 함으로써 등받이의 지지점이 달라지는 것에 대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특히 자리에서 이탈하거나 자세를 비틀거나 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냥 앉은 채로 손을 뒤로 하여 용이하게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하는 점에 주안을 두었다.
의자는 등받이를 구비한 것이다. 등받이의 등판(1)은, 등판과 결합하여 등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구조체(2)와 결합되어 있다. 등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구조체는 등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게 하거나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등판은 등판과 좌판 사이에 손이 들어갈 공간을 형성하며; 등판(1)에 고정되어 등판과 같이 움직이는 구조체b(1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조체b(104)에는 상기 구조체b(104)에 지지되고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캠(110)을 포함한 조절자를 포함하며; 상기 갬(110)의 작동에 의해 등판(1)의 상하이동을 단속할 수 있다.
구조체b(104)에 수평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고, 이 부분에 수평운동을 하도록 결합하여 수평운동을 하는 이동편(105)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편(105)은 등판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체(2)에 일면이 접하고, 다른 면은 캠에 접하여 캠에 의한 힘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등판과 좌판 사이에 손이 들어갈 공간을 형성하며; 조절자(108)는 구조체b(104)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구조체b(104) 하단에 손잡이를 결합하며; 손잡이 부분은, 등판의 하부 쪽으로 돌출하여 좌판 쪽에 앉은 채로 손을 뒤로하여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등받이는 구조체의 수직연장부에 힌지부를 두어서 앞뒤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등받이를 원하는 정도로 회전하고, 그 회전한 각도에서 등받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4)가 구성되어 포함된다.
등받이 구조체는 이동자(6)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하여 상하로 이동가능 하게 구성되어 등받이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등받이를 구성하는 구조체는 이동자(6)에 결합하고, 상기 이동자는 좌판, 또는 의자 프레임에 앞뒤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된다. 따라서 등받이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앞뒤로 이동하는 이동자를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등받이는 등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앞뒤로 회전할 수 있고,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에 더하여 착석자의 흉추부와 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방에 독립적인 등받이를 더 구성한다.
체형이 다른 사용자뿐만 아니라, 동일 사용자가 여러 가지로 체위를 바꿈으로 인하여 등받이에 지지받을 위치가 달라지는 것에도 대응하여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을 최적으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상용자에게 안락감을 주고, 장기 사용에 의한 피로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에 있어서 자리를 이탈하거나 자세를 많이 변동하지 않고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더욱 편리함을 주게 된다.
높이조절과 고정에 있어서 상하로 이동하는 등판을 캠의 작동에 의해 고정부분에 밀착하게 함으로써 밀착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다.
인체의 체위가 뒤로 기대거나 앞으로 숙이는 변화를 하게 되기도 하는데 이에 대응하여 의자의 등받이를 앞뒤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의자 등받이에 의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인체의 체위는 의자 좌판의 앞뒤로 옮기게 됨으로써 등받이의 지지위치에서 이탈할 수도 있으므로 등받이는 상하높이 조절과 더불어 앞뒤로 이동하게 하여 지지하게 함으로써 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 본 고안의 등받이가 구성된 의자의 실시 예
[도 2] 본 고안 등받이의 후방 사시도
[도 3] 본 고안 등받이의 우측전상방(右側前上方) 사시도
[도 4] 등받이 등판에 구성된 등판 높이조절장치 분해도
[도 5] 등판 높이조절장치의 또 다른 예
[도 6] 도 3의 분해도(좌판은 숨김)
[도 7] 단순한 등판 높이조절장치의 또 다른 예
[도 8] 단순한 등판 높이조절장치의 또 다른 예2
[도 9] 등받이의 후방에 등받이를 더 구성한 실시 예
본 고안의 실시와 적용례는 도 1과 같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 도 3, 도 8은 등판(1)과 등판을 지지하는 구조체(2)를 포함한 등받이를 나타낸다.
등받이의 구조체(2)의 수직 연장부를 중간 부위에서 분절하여 상부와 그 하부로 구분하고 그들을 축결합하여 힌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회전할 수 있게 하였다.
등받이의 등판을 지지하는 구조체는 하부로 연장된 수직부분에 힌지부를 구성하였을 때, 편의상 상하부로 나누어 상부를 구조체(2)라 하고, 하부를 구조체하부(5)라 구분하였으나, 단순히 등받이 구조체라 할 때는 이들 결합된 전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등받이는 구조체하부(5)가 이동자(6)에 결합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1)이 등판고정자(10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조체(2)에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은 자중에 의해서는 아래로 이동하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마찰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받이는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앞뒤로 회전할 수 있으며, 스토퍼(4)에 의해 적당히 조절된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동자(6)에 결합된 등받이는 또한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된 이동자가 의자의 앞뒤로 이동함에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등받이는 상하, 전후, 회전, 등판만의 상하높이 조정 등에 의하여 사용자의 체위 변화에 여러 방식으로 대응하여 최선의 안락감을 주게 된다.
먼저, 도 2, 도 4, 도 5에 구성된 등판(1)의 높이조절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등판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구조체b(104)의 일부는 고정자(103)에 의해 등판(1)에 고정된다. 구조체b(104)의 연장된 일부분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그 중간에 좌우를 구분하는 고정부(106)를 가진다.
구조체의 모양은 여기서는
Figure 112017119007965-utm00001
자 모양으로 구성했으나
Figure 112017119007965-utm00002
자 모양과 같이 수평부를 가지는 모양이면 된다.
상기 수평부에 이동편(105)이 결합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동편(105)은 같이 결합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07)에 의해 구조체(2)와 의도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예시된 도면에서는 이동편(105)이 구조체(2)에서 약간 떨어지도록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06)에는 이동편(105)의 좌우 운동을 작동하는 조절자(108)가 결합되어 있다.
조절자(108)은 하방으로 연장된 조절대(111)부분과 조절대의 하부에 형성한 손잡이(109)를 포함한다. 조절대는 길 수도 있고 짧게 형성하여 손잡이를 겸할 수도 있다.
도 2 ~ 도 5, 도 7에서 이동편(105)의 좌우 운동을 작동하는 조절자(108)의 한 방법으로 캠(110)을 형성한 것이며 고정부(106)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손잡이(109)를 돌림에 따라 조절자(108)에 형성한 캠(110)이 이동편(105)을 바깥쪽으로 밀어서 이동편(105)의 바깥쪽 끝이 구조체(2)에 밀착,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편(105)은 고정부(106)의 좌우에 구성되고, 탄성부재(107) 역시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등판(1)의 상하운동을 고정시키는 이동편(105)에 복원력을 주도록 되어 있다.
캠(110)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이동편(105)이 구조체(2)에 밀착, 압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의도한 정도의 밀착, 압착이 확실하게 된다.
이동편(105)이 구조체(2)에 밀착, 압착되어 등판의 상하이동을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정도는 접촉부에 적절한 거칠기를 형성하거나, 요철을 형성하거나, 마찰의 재질을 선택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등판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손잡이(109)를 회전하여 캠(110)의 작은 반경부를 대하게 하면, 이동편(105)은 탄성부재(107)의 복원력에 의해 가운데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구조체(2)와 분리되게 되고, 등판은 외력에 의해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캠에 의한 밀착, 압착은 일단 이루어지면 다시 손잡이(109)를 회전하여 여유를 주기 전까지 확실하게 유지된다.
도 2 ~ 도 5, 도 7에서 캠의 작용에 의한 이동편(105)의 밀착, 압착은 캠과 구조체(2)에서 일어나도록 하였는데, 이때 구조체는 등판의 지지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등판 상하운동의 가이드 역할을 겸하게 된다. 따라서 등판의 상하이동을 단속하는 이동편의 접촉은 따로 가이드를 구성하여 이에 작용하게 하여도 되며 이와 같은 변형은 용이하다. 따라서 여기서 언급하는 등판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체는 이러한 경우를 포함한다.
도 5는 이동편(105)의 수평운동을 작동하는 캠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조절자(108)는 도 4의 캠(110)이 원추기둥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이동편(105)의 면 역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손잡이(109)를 회전하면 고정자(106)와 손잡이 축에 형성된 나사에 의해 조절자(108)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절자(108)와 이동편(105)의 접촉형상에 의하여 이동편(105)을 좌우로 밀거나 풀어주게 된다. 이 작동은 가장 흔한, 축이 고정되고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는 캠과는 다르나, 축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가 작용하게 된다는 의미에서 그 작동은 흔한 캠과 같으며 캠의 범주에 포함한다.
또한, 도 5의 캠(110)에 도 4에 나타난 이동편(105)과 같은 형상을 조합할 수도 있으며 여러 다양한 형상의 조합이 가능하다.
도 7은 캠을 이용한 높이조절장치 중 단순한 구성을 보인 것이다.
등받이 구조체(2)를 1개의 지주로 해서 이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동편(105)을 도 4, 도 5와 같이 탄성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캠이 풀릴 때 탄성적으로 정위치에 있게 할 수도 있다.
도 7보다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도 8을 보였다. 이는 이동편(105)의 개입도 없이, 구조체(2) 또는 등판고정자(101)가 이동할 수 있는 역할만을 하는 별도의 가이드가 되는 구조체를 구성하고 이에 직접 캠(110)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구조체b(104)의 모양은 I자 모양 또는 단순히 조절자(108)를 결합시키는 역할만을 하는 모양일 수 있다. 따라서 구조체b(104)는 이러한 모양과 결합을 포함한다. 또한, 갬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의 작동 방향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캠을 고정하는 조절자의 형태도 조절대(111)와 손잡이와 겸한 I자 모양일 수 있다.
도 1 ~ 도 3, 도 7, 도 8에서 보이듯이 조절자(108)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조절대(111)를 포함하고, 그 하부에 손잡이(109)를 구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자리에서 이탈하거나, 자세를 크게 바꾸지 않고도 앉은 채로 단지 손을 뒤로하여 손잡이(109)를 조작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등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등판의 하부에 손이 들어갈 공간을 가지게 하였다. 예에서는 간단히 조절자(108)의 손잡이(109)를 등판의 하부에 돌출되게 구성한 것을 보였다.
구조체(2)와 하부구조체(5)의 결합부위는 도면과 같이 접촉면이 확장되도록 형성하며, 스토퍼(4)와 접촉하게 된다. 구조체(2)와 하부구조체(5)의 회전축핀의 역할을 하는 연결대a(3)는 양단에 손잡이 역할도 하는 스토퍼(4)와 결합된다. 스토퍼(4)는 등받이 구조체의 앞뒤 회전을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하게 한다.
스토퍼(4)와 구조체와의 접촉부는 압착시 회전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고정력을 줄 정도의 접촉면을 형성한다. 즉 적절한 요철을 형성하거나 충분한 마찰력을 줄 재질을 개입시킨다.
연결대a(3)와 접하는 구조체(2, 5)의 적어도 하나에는 나사결합하게 하여 스토퍼(4)의 회전에 의해 구조체(2, 5)의 접촉면이 압착되도록 한다.
나사결합은 연결대a(3)의 좌우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를 채용함으로써 구조체가 동시에 안쪽으로 밀리거나 바깥쪽으로 밀리도록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다 균형 잡힌 고정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대a(3)는 구조체(2)와 구조체(5)를 결합하는 축핀으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좌우 스토퍼를 결합하여 균형 잡힌 고정력을 얻을 수 있게 하며, 좌우 어느 쪽에서 스토퍼를 작동하더라도 어느 한쪽의 작동이 다른 쪽에도 전달하게 함으로써 편리함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등받이가 앞뒤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착석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할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여 등받이를 회전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등받이 구조체는 이동자(6)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를 조절하게 되며, 그 이동을 등받이스토퍼(16)에 의해 단속하게 하였다. 즉, 등받이스토퍼(16)는 여기서는 나사 결합한 예를 보였으며 나사 구멍은 구조체하부(5)와 고정자(6)가 결합한 관통공과 측방에서 관통하여 만나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스토퍼(16)를 전후진 함으로써 등받이의 구조체(5)를 압박하거나 풀어줌으로써 등받이의 상하이동을 단속하게 된다. 이 스토퍼는 나사결합뿐만 아니라 캠의 작동방식에 의해서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체형이 다른 사용자에게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되며, 동일 사용자의 성장 등에 따른 신체 변화에 대응뿐만 아니라, 동일 사용자의 큰 체위변화에도 대응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등받이의 구조체가 결합된 이동자(6)는 의자의 고정된 부분인 의자 프레임이나 좌판에,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10)에 결합하여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착석자가 엉덩이를 좌판의 앞으로 이동하여 등받이와 이격되므로써 등받이의 지지를 받지 못할 때, 등받이를 앞으로 당겨와서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즉, 등받이를 앞으로 당길 때에는 브레이크레버(8)를 작동하여 고정된 브레이크를 풀어서 등받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한 다음에 이동하고, 적정위치에 두었을 때에 다시 브레이크레버(8)를 작동하여 브레이크가 걸리게 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이동자의 전반부와 전방고정자(13) 사이에는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2)를 구성함으로써 이동자(6)는 앞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브레이크레버(8)을 작동하여 가이드레일(10)에 압착되어 있는 이동자(6)를 풀어주면 이동자는 앞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이와 결합된 등받이도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착석자가 엉덩이를 좌판의 앞으로 이동했을 때 등받이의 지지를 받기 위해서 시행할 수 있는 동작이 된다.
착석자가 다시 좌판의 후방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는 브레이크를 풀어주어, 이동자(6)가 자유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한 후에, 착석자의 등으로 등받이를 후방으로 밀어서 등받이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고정하고 이동하면 된다.
도 3과 그 분해도인 도 6에서 보면 브레이크 연결대(9)는 이동자부(6a)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동자의 전면부분인 이동자부(6a)는 이동자의 몸체부분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레버(8)를 회전하여 연결대(9)가 회전하면 연결대와 나사결합된 이동자부(6a)가 밀리거나, 당겨지게 된다. 이는 좌우측에서 동시에 작동하여 좌우로 이동한 이동자부(6a)는 가이드레일(10)에 압착되게 되어 브레이크 작용을 하게 된다. 연결대의 나사산의 방향은 좌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등받이의 효용성은 등받이가 작을 때 가장 효과적인 것이다. 그러한 경우 등 전체를 지지받고자 할 때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의 후방에 독립적인 등받이를 더 구성하여 사용자의 흉부와 두부를 적절히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적인 등받이는 이동하지 않는 등받이 일 수 있다.
즉 활동적인 의자 사용자의 경우는 본 고안의 도 1과 같은 등받이로써 효과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고 휴식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2중의 등받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는 특허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한다.
1: 등판 2: 등받이 구조체 3: 연결대a
4: 스토퍼 5. 구조체 하부 6: 이동자
7: 브레이크편 8: 브레이크레버 9: 브레이크대
10: 가이드레일 12: 탄성부재 13: 전방고정자
14: 커버 15: 좌판 16: 등받이스토퍼
101: 등판고정자 103: 고정자 104: 구조체b
105: 이동편 106: 고정부 107: 탄성부재
108: 조절자 109: 손잡이 110: 캠
111: 조절대

Claims (2)

  1. 등받이를 포함한 의자에 있어서,
    등판(1)과, 등판과 결합하여 등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구조체와; 등판과 좌판 사이에 손이 들어갈 공간을 형성하며; 등판(1)에 고정되어 등판과 같이 움직이는 구조체b(104)와; 상기 구조체b(104)에 지지되고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캠(110)을 포함한 조절자를 포함하며; 상기 캠(110)의 작동에 의해 등판(1)의 상하이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
  2.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자(108)는 구조체b(104)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구조체b(104) 하단에 손잡이를 결합하며; 손잡이 부분은, 등판의 하부 쪽으로 돌출하여 좌판 쪽에 앉은 채로 손을 뒤로하여 조작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
KR2020170006133U 2012-11-29 2017-11-29 등받이 의자 KR200494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33U KR200494583Y1 (ko) 2012-11-29 2017-11-29 등받이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962A KR20140069561A (ko) 2012-11-29 2012-11-29 등받이 의자
KR2020170006133U KR200494583Y1 (ko) 2012-11-29 2017-11-29 등받이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962A Division KR20140069561A (ko) 2012-11-29 2012-11-29 등받이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96U KR20170004296U (ko) 2017-12-20
KR200494583Y1 true KR200494583Y1 (ko) 2021-12-01

Family

ID=7889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133U KR200494583Y1 (ko) 2012-11-29 2017-11-29 등받이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8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888A (ja) * 2001-10-22 2003-05-07 Takano Co Ltd 回転防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796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167816B1 (ko) * 2011-07-25 2012-07-25 박영호 등받이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888A (ja) * 2001-10-22 2003-05-07 Takano Co Ltd 回転防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96U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4580A (ko) 의자 구조 및 의자
JP2017533069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US10321763B2 (en) Chair
EP2156766B1 (en) Chair (variants)
EP2580992A2 (en) Chair
JP2015073903A (ja) ティルティングタイプ椅子
KR1019626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200044401A (ko) 지압볼을 구비한 기능성의자
JP3169561U (ja) 椅子調整装置
KR200494583Y1 (ko) 등받이 의자
KR102330397B1 (ko) 등받이 의자
KR101527459B1 (ko)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KR101369405B1 (ko) 포워드 슬로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047514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JP2013255553A (ja) 背もたれの角度調整装置
KR20140068348A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KR101232984B1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CN105902003A (zh) 一种休闲椅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1524916B1 (ko) 의자경사장치
US9974387B2 (en) Mechanism for a chair with a synchro mechanism; weight adjustment method for improved dynamic sitting experience on the part of the seat user by means of a mechanism for a chair with a synchro mechanism
CN110710815A (zh) 一种动态托盘
KR101589156B1 (ko)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KR101367001B1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28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2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914

Effective date: 2021062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