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42Y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42Y1
KR200475142Y1 KR2020140000320U KR20140000320U KR200475142Y1 KR 200475142 Y1 KR200475142 Y1 KR 200475142Y1 KR 2020140000320 U KR2020140000320 U KR 2020140000320U KR 20140000320 U KR20140000320 U KR 20140000320U KR 200475142 Y1 KR200475142 Y1 KR 200475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pillow
height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엽
Original Assignee
김태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엽 filed Critical 김태엽
Priority to KR2020140000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 압력조절수단을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2 단계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면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면과 힌지결합 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와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는 압력조정수단; 및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상부면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면과 힌지결합 되며,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취침시 사용자의 눕는 자세와 관계없이 목이 편안하게 이완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가 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A HEIGHT ADJUSTABLE PILLOW}
본 고안은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시에 사용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 압력조절수단을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2 단계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것으로,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자는 경우에 머리와 경추부를 적당하게 받쳐주는 침구의 일종을 말한다.
이러한 베개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여야만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목뼈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데, 베개의 높이는 가슴높이 정도로 괴는 것이 가장 좋고, 베개를 베었는지 모를 정도의 편안한 높이를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낮은 베개를 베거나 아예 베개를 베지 않으면 일자목이 되어 목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고, 너무 높은 베개는 뒷목과 어깨 근육을 경직시켜 목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골격 발달을 저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베개는 천의 내부에 스펀지나 솜, 메밀, 씨앗 등을 채워서 만들거나 나무를 깍아서 조립하여 만들기도 하는데, 베개는 한번 만들어지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습관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구입시에 사용자에 맞는 베개를 구입하여야 하지만, 직접 사용해 보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소득수준의 상승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운동이나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등, 건강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수면시 나쁜 자세로 인해 발생되는 목디스크나 심한 코골이 증상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면시 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머리와 경추부를 받쳐주는 베개가 개발되고는 있지만, 사용자마다 각각 다른 체형을 감안하지 않고 평균치인 일정한 높이(크기)로만 양산됨에 따라 오히려 경추부에 무리를 주거나 심지어는 그로 인하여 목디스크를 더욱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부에 에어백이 형성되어 공기주입량의 조절을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형 베개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높이조절형 베개의 일 예로, 한국 특허공개 제10-2002-0070185호 (2002.09.05.공개)에는 공기튜브를 쿠션재로 감싸고 에어튜브와 공기펌프를 공기주입호스로 연결하며 공기주입호스에 조절밸브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베개가 공개되어 있으며, 한국 특허공개 제10-2009-0123653호(2009.12.13.공개)에는 천으로 제작되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베개외피와, 이 배개외피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삽입되는 공기튜브와, 이 공기튜브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는 부채꼴 형상의 공기펌프와, 상기 베개외피의 내부 속 공기튜브 위로 들어가는 쿠션으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 베개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이조절형 베개의 경우에는, 공기튜브 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펌프가 공기주입호스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어 연결됨에 따라 취침시 공기주입호스가 걸리적거리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튜브가 내부 전면적에 걸쳐 내장됨에 따라 단지 사용자가 원하는 수직높이만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머리나 목을 단순히 지지하는 쿠션침구로만 사용될 수 있을 뿐, 목을 편안하게 이완시키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2-0070185호(2002년 9월 5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123653호(2009년 12월 13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34244호(2010년 12월 23일 공개)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 압력조절수단을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2 단계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취침시 사용자의 눕는 자세와 관계없이 목이 편안하게 이완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가 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면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면과 힌지결합 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와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는 압력조정수단; 및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상부면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면과 힌지결합 되며,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에어 쇽업쇼바(shock absorbar), 유압 쇽업쇼바(shock absorbar), 유압 실린더 또는 에어 댐퍼(air damp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사용자가 똑바로 누워 취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머리의 하중에 의해 길이 신축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측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세로로 누워 취침하는 경우에는 압축력이 해제되어 길이 신장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상측에 고정됨으로써, 2 단계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력조정수단과 X자 형상을 이루도록 교차 배치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압력조정수단의 압축력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조정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압력조정수단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나사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나사가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보조 스프링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보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압력조정수단 및 지지부재 외측에 위치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 압력조절수단을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2 단계로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취침시 사용자의 눕는 자세와 관계없이 목이 편안하게 이완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가 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복잡한 기구적 설계를 채용하지 않고도 베개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충분한 산소의 공급과 원활한 혈류의 흐름을 제공하여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척추 건강에도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서 베개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서 취침시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서 베개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서 취침시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10)는 사용자(400)가 베개(10)를 베고 취침하는 경우 사용자(400)의 눕는 자세에 따라 베개(10)의 높낮이가 2 단계로 조정되어 사용자(400)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400)가 목을 편안하게 이완시킬 수 있어 목이나 어깨가 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잡한 기구적 설계를 채용하지 않고도 사용자(400)가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승강 플레이트(200) 및 높이조절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1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고, 수면시 사용자(400)의 목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베개(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판재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상기 베개(10)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면과 바닥면과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목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구성하거나 기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에는 높이조절부재(300)의 일단이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사용자(400)의 목 부분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판재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동일하게 목재를 이용하거나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고, 기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는 상부면이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판재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400)의 후두부나 목부분이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승강 플레이트(200) 사이에 설치되고, 압력에 의해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2 단계, 즉,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라 똑바로 누웠을 때는 최소점의 위치에 위치하고, 세로로 누웠을 때는 최대점의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라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300)의 양단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승강 플레이트(200)의 일단면과 대각선 방향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300)는 압력조절부(310) 및 고정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부(310)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10)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승강 플레이트(20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여 베개(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조절부(310)는 압력에 따라 길이 신장되거나 신축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승강 플레이트(20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310)는 압력조정수단(314) 및 지지부재(312)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정수단(314)은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 상부면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타측 하부면과 대각선 방향으로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정수단(314)는 사용자(400)가 상기 베개(10)를 베고 눕는 자세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신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승강 플레이트(200)의 이격 거리를 2 단계로 조절하여 상기 베개(10)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400)가 취심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똑바로 누워서 베개(10)를 베는 경우에는 사용자(400) 머리의 하중에 의해 상기 베개(100)의 승강 플레이트(200)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여 고정된다. 즉, 사용자(400) 머리의 하중은 승강 플레이트(200)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는 압력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압력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와 대각선 방향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 압력조정수단(314)(예를 들어, 유압 쇽업쇼바(shock absorbar))을 하측 방향으로 눌러 길이 신축되게 한다. 이때,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압력조정수단(314)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수평 방향으로 미는 분력 및 높이 방향으로 미는 분력으로 나눌 수 있는데, 도 5와 같이 승강 플레이트(200)가 하강하여 압력조정수단(314)이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 미는 분력이 높이 방향으로 미는 분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고, 이러한 수평 방향으로 미는 분력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가 최소점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400)가 취침 중에 몸을 뒤척이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누워서 베개(10)를 베는 경우에는 사용자(400)의 어깨로 머리의 하중을 일정 부분 분산시키므로 상기 압력조정수단(314)(예를 들어, 유압 쇽업쇼바(shock absorbar))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 신장되게 된다. 즉, 사용자(4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누워서 취침하는 경우에는 똑바로 누워서 베개(10)를 베는 경우보다 상기 압력조정수단(314)에 더 적은 수직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렇게 감소된 압력은 상기 압력조정수단(314)의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일정량 해제시켜 대각선 방향으로 길이 변형되어 신장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사용자(400)가 세로로 누워서 베개(10)를 베는 경우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압력조정수단(314)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높이 방향으로 미는 분력이 수평 방향으로 미는 분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고, 이렇게 높이 방향으로 미는 분력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지 않고 사용자(400)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10)에서 상기 압력조정수단(314)은 에어 쇽업쇼바(shock absorbar), 유압 쇽업쇼바(shock absorbar), 유압 실린더 또는 에어 댐퍼(air damp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2)는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타측 상부면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일측 하부면과 힌지결합 되며,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2)는 상기 압력조정수단(314)과 전체적으로 X자 형상을 이루도록 교차 배치되고, 상기 압력조정수단(314)과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베개(10)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10)는 상기 압력조정수단(314)의 압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보조 스프링(3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프링(35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정수단(314)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프링(350)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압력조정수단(314), 즉 유압 쇽 업쇼바(shock absorbar)는 상기 보조 스프링(3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좀더 용이하게 길이 신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10)에서 상기 보조 스프링(350)은 상기 압력조정수단(314)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정수단(314)과 교차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스프링(350)은 상기 압력조정수단(314) 일단에 구비된 고정나사(352)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나사(352)는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나사(352)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는 보조 스프링(35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보조 스프링(350)의 전체적인 탄성 복원력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332)는 상기 압력조정수단(314) 및 지지부재(312)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승강 플레이트(2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승강 플레이트(200)가 상기 압력조정수단(314) 및 지지부재(312)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10)는 사용자(400)가 베개(10)를 베고 취침하는 경우 사용자(400)의 눕는 자세에 따라 베개(10)의 높낮이가 2 단계로 조정되어 사용자(400)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400)가 목을 편안하게 이완시킬 수 있어 목이나 어깨가 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강상 매우 유익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베개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0; 승강 플레이트 300; 높이조절부재
310; 압력조절부 312; 지지부재
314; 압력조정수단 332; 고정부
350; 보조 스프링 352; 고정나사
400; 사용자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면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면과 힌지결합 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와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는 압력조정수단; 및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상부면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면과 힌지결합 되며,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에어 쇽업쇼바(shock absorbar), 유압 쇽업쇼바(shock absorbar), 유압 실린더 또는 에어 댐퍼(air damp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사용자가 똑바로 누워 취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머리의 하중에 의해 길이 신축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측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세로로 누워 취침하는 경우에는 압축력이 해제되어 길이 신장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상측에 고정됨으로써, 2 단계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력조정수단과 X자 형상을 이루도록 교차 배치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압력조정수단의 압축력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조정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압력조정수단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나사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나사가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보조 스프링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보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압력조정수단 및 지지부재 외측에 위치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20140000320U 2014-01-15 2014-01-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0475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0U KR200475142Y1 (ko) 2014-01-15 2014-01-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0U KR200475142Y1 (ko) 2014-01-15 2014-01-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42Y1 true KR200475142Y1 (ko) 2014-11-10

Family

ID=5228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20U KR200475142Y1 (ko) 2014-01-15 2014-01-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93Y1 (ko) * 2016-06-28 2017-12-18 여완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경침 겸용 목침
KR102435665B1 (ko) 2022-01-26 2022-08-23 강영선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스마트 베개 제어방법
KR102561170B1 (ko) 2022-10-24 2023-08-08 김선상 모션베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071A (ja) * 1994-01-21 1995-08-08 Eiko Aida
KR101068588B1 (ko) * 2011-03-31 2011-09-30 윤길홍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KR101166297B1 (ko) * 2009-03-30 2012-07-18 조신복 높이조절 베개장치
KR101172851B1 (ko) * 2010-12-27 2012-08-14 윤성훈 베개 자세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071A (ja) * 1994-01-21 1995-08-08 Eiko Aida
KR101166297B1 (ko) * 2009-03-30 2012-07-18 조신복 높이조절 베개장치
KR101172851B1 (ko) * 2010-12-27 2012-08-14 윤성훈 베개 자세조절장치
KR101068588B1 (ko) * 2011-03-31 2011-09-30 윤길홍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93Y1 (ko) * 2016-06-28 2017-12-18 여완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경침 겸용 목침
KR102435665B1 (ko) 2022-01-26 2022-08-23 강영선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스마트 베개 제어방법
KR102561170B1 (ko) 2022-10-24 2023-08-08 김선상 모션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6940B1 (en) Custom therapeutic seat cushion
US9078528B2 (en) Therapeutic cushion for relieving lower back pain
US20180256387A1 (en) A pillow
KR101547263B1 (ko) 머리 무게를 이용한 지압과 목 교정이 가능한 베개
US20180103763A1 (en) Seat cushion
CN105768742A (zh) 可调头枕、可调理疗床头枕、可调椅背头枕及可调桌面头枕
KR20047514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0978285B1 (ko) 숙면용 베개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US7562409B2 (en) Adjusting structure for adjusting the rise and fall of a mattress by air spring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CN102232753A (zh) 带自动升降功能的枕头托架
US20230000260A1 (en) Pillow support
JP2009125256A (ja) 安眠枕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KR101149574B1 (ko) 경추 및 척추 지지 베개
KR20160004497U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CN209219671U (zh) 一种保健腰枕及腰枕坐垫组件
KR10063302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CN209269228U (zh) 一种充气抱枕
CN218044435U (zh) 一种午睡枕
JP3223359U (ja) 枕保持器具
US20060137100A1 (en) Prone position support apparatus
KR20160004049U (ko) 나무베개
KR101835987B1 (ko) 목 디스크 예방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