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588B1 -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 Google Patents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588B1
KR101068588B1 KR1020110029380A KR20110029380A KR101068588B1 KR 101068588 B1 KR101068588 B1 KR 101068588B1 KR 1020110029380 A KR1020110029380 A KR 1020110029380A KR 20110029380 A KR20110029380 A KR 20110029380A KR 101068588 B1 KR101068588 B1 KR 10106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height
pillow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홍
현후길
Original Assignee
윤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길홍 filed Critical 윤길홍
Priority to KR102011002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눕는 자세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개에 관한 것이며,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이격거리를 형성하면서 마련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쿠션부재;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을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누름력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또 다른 누름력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상판간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높이조정수단은, 상기 바닥판 상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상판 저면에 상단부가 고정되며, 하단부는 상기 고정체 내부로 삽입되고, 외면에 상사점과 락 포인트를 갖는 순환홈이 형성되는 이동체; 상기 고정체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체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일단은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체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상사점 또는 락 포인트에 걸리게 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ADJUSTABLE PILLOW OF ITS HEIGHT}
본 발명은 베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눕는 자세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에 대한 기술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 24시간 중 대략 5 ~ 8 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하게 된다. 수면을 통해 생활 중 신체에 쌓이게 되는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게 되며, 새로운 활기를 충전하게 된다.
적당한 수면 시간을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면의 질도 중요하다. 즉, 아무리 오랜 시간 잠을 자더라도 깊게 잠들지 못하고 뒤척이는 상태가 되면 전혀 피로가 해소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수면시 등을 바닥에 대고 곧은 자세로 누워자게 되지만 어떤 사람들은 모로 누워서 잠을 자기도 한다. 또한, 바로 누웠다가 모로 눕기도 하는 것과 같이 수시로 수면 자세를 달리하는 사람들도 있다.
수면시에는 머리를 심장보다 다소 높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적당한 높이의 베개로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수면 자세에 따라 베개의 적당한 높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필요에 따라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들이 다수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09521호(2010.10.08 공개)의 "높이조절 베개장치"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높이조절 베개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며, X 자형으로 교차되는 승강 조절대(20)와 다수의 댐퍼(30a, 30b, 30c, 30d), 유동방지판(40), 이동체(45) 등을 포함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지나치게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게 되며, 조절휠(53)을 회전 조작하여 베개의 높낮이를 조정해야 했으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09521호(2010.10.0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면서 조작도 간편하여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이격거리를 형성하면서 마련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쿠션부재;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을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누름력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또 다른 누름력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상판간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높이조정수단은, 상기 바닥판 상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상판 저면에 상단부가 고정되며, 하단부는 상기 고정체 내부로 삽입되고, 외면에 상사점과 락 포인트를 갖는 순환홈이 형성되는 이동체; 상기 고정체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체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일단은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체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상사점 또는 락 포인트에 걸리게 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는, 자바라 형상의 신축성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바닥판과 상판의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는 사용자가 수면 자세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하게 베개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높이조절 베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높이조정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높이조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높이조정수단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높이조정수단의 조립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에서 높이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높이조정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높이조정수단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높이조정수단의 조립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는 바닥판(100), 상판(200), 쿠션부재(300), 높이조정수단(400)을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는 통상적인 베개의 형상과 같이 사각형 등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바닥판(100)은 대략 소정 넓이를 갖는 직사각형 판상체와 같은 것이며, 바닥판(100)과 이격되어 바닥판(100) 상측에 상판(200)이 마련된다. 상판(200)은 바닥판(10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적합하고, 바닥판(100)과 상판(200)은 신축성 연결부재(500)로 서로 구속되는 것으로 한다.
신축성 연결부재(500)는 바닥판(100)과 상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판(200)과 바닥판(100)을 연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신축성 연결부재(500)로 본 실시예에서는 자바라 형태의 접힙부를 갖는 것으로 한다.
신축성 연결부재(500)는 그 외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바닥판(100)과 상판(200)간 거리에 따라 늘어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소재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상판(200)의 상면에는 라텍스와 같이 푹신한 쿠션부재(300)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쿠션부재(300)에 머리가 놓여지게 되기 때문에 적당한 두께가 되어 사용상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바닥판(100)과 상판(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하나 이상의 높이조정수단(400)이 마련된다. 높이조정수단(400)은 바닥판(100)과 상판(200)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의 높이조정수단(400)이 사용될 수 있다.
높이조정수단(400)은 기본적으로 바닥판(100)과 상판(200)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며, 상판(200)에 하방으로의 누름력이 작용하면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판(200)이 하강되어 락 상태가 되고, 이후 또 다른 누름력이 작용하면 락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판(200)은 다시 상승하여 바닥판(100)과 상판(200)간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베개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베개는 바닥판(100)과 상판(200) 사이에 마련되는 높이조정수단(400)의 길이변화를 통해서 베개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정수단(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높이조정수단(400)은 고정체(410), 이동체(420), 스프링(430), 링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높이조정수단(400)은 일종의 실린더와 피스톤과 같은 구조로 고정체(410)에 대해 이동체(42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체(410)의 하단부는 바닥판(100) 상면에 고정 연결되며, 이동체(420)의 상단부는 상판(200) 저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체(420)의 하단부는 고정체(4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고정체(4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체(410) 내부에 스프링(430)이 내장된다. 스프링(430)에 이동체(420)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상태가 되어 스프링(430)의 반발력이 이동체(420)로 작용하게 된다. 즉, 이동체(420)가 하강되면 스프링(430)은 압축되고, 이동체(420)의 상승시에는 스프링(430)에 저장된 반발력에 의해 이동체(420)는 원활하게 상승하게 된다.
고정체(410)에 삽입되는 이동체(420)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되, 고정체(410)로부터 이탈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누름력에 의해 이동체(420)가 하강되어 하사점에 오게 되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락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한편, 락 상태에서 누름력이 작용되면 락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체(420)는 상승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베개의 높이가 조절되며, 이를 위해 고정체(410)와 이동체(420)를 연결하게 되는 링크(440)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링크(440)는 ㄷ 자 형태로 절곡된 철사와 같은 것으로 하고 있다. 링크(440)의 일단은 고정체(4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체(4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순환홈(G)에 걸리도록 한다.
특히, 고정체(410)에 연결되는 링크(440)의 일단은 고정체(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링크(440)의 일단을 감싸는 고정링(450)에 의해 확실히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체(420) 외면에 형성되는 순환홈(G)에 링크(440)의 타단이 걸리는 상태가 되고, 링크(440)의 타단이 순환홈(G)의 특정 위치에 오게 되면 락 상태가 형성되어 하강된 이동체(420)의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6과 같이 링크(440)의 타단이 순환홈(G)을 따라 1회 왕복하면 이동체(420)가 하강되어 락 상태로 되었다가 다시 상승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사점(G1)은 이동체(420)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링크(440)의 타단이 걸리게 되는 부위이며, 락 포인트(G2)는 이동체(420)가 하강되어 하사점에 위치되는 부위이다. 링크(440)의 타단은 락 포인트(G2)에 진입하여 걸리게 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사점(G1)에 링크(440)의 타단이 걸려 있다가 상판(200)에 누름력이 작용하여 이동체(420)가 하강되면, 링크(440)의 타단은 순환홈(G)을 따라 예정된 경로를 타고 락 포인트(G2)로 진입하게 되고, 락 포인트(G2)에 링크(440)의 타단이 걸리면 베개의 높이가 낮아지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판(200)에 누름력이 한번 더 작용하면 이동체(420)가 하사점보다 조금 더 하강된 후 락 포인트(G2)를 벗어나게 되고, 이동체(420)가 상승함에 따라 링크(440)의 타단은 순환홈(G)을 따라 하강하여 상사점(G1)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이때는 베개의 높이가 가장 높아지는 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의 구체적인 사용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등을 바닥에 대고 똑바로 눕는 경우는 베개의 높이를 가장 낮은 상태가 되게 하며, 이후 한 자세로 오래 누워있는 것이 불편하여 몸을 모로 눕히게 되면 머리의 위치는 똑바로 눕는 경우보다 지면에서 더 먼 거리가 된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사용자는 머리를 이용하여 누운 상태에서 상판(200)에 하방으로 누름력을 제공하면, 락 상태로 있던 이동체(420)는 락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즉, 모로 누움에 따라 머리의 위치가 높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베개의 높이도 소정 높이만큼 높아진다.
이후 반대로 똑바로 눕는 경우 머리의 위치가 낮아져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머리로 상판(200)을 눌러줌으로써 이동체(420)가 하강되도록 하여 링크(440)의 타단이 순환홈(G)의 락 포인트(G2)에 걸리게 하여 락 상태가 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머리로 상판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적정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는 보다 편안한 수면을 위해 누운 자세에서 간편하게 베개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개에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100 : 바닥판 200 : 상판
300 : 쿠션부재 400 : 높이조정수단
410 : 고정체 420 : 이동체
430 : 스프링 440 : 링크
450 : 고정링 G : 순환홈
G1 : 상사점 G2 : 락 포인트

Claims (2)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이격거리를 형성하면서 마련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쿠션부재;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을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누름력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또 다른 누름력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상판간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높이조정수단은,
    상기 바닥판 상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상판 저면에 상단부가 고정되며, 하단부는 상기 고정체 내부로 삽입되고, 외면에 상사점과 락 포인트를 갖는 순환홈이 형성되는 이동체;
    상기 고정체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체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일단은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체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상사점 또는 락 포인트에 걸리게 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는 자바라 형상의 신축성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2. 삭제
KR1020110029380A 2011-03-31 2011-03-31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KR10106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380A KR101068588B1 (ko) 2011-03-31 2011-03-31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380A KR101068588B1 (ko) 2011-03-31 2011-03-31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588B1 true KR101068588B1 (ko) 2011-09-30

Family

ID=4495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380A KR101068588B1 (ko) 2011-03-31 2011-03-31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5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42Y1 (ko) * 2014-01-15 2014-11-10 김태엽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2029765B1 (ko) * 2018-04-20 2019-10-08 김문희 경추 교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71U (ja) * 1990-07-18 1994-03-22 柄翰 朱 風池穴指圧枕
KR20100091693A (ko) * 2009-02-11 2010-08-19 최상화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71U (ja) * 1990-07-18 1994-03-22 柄翰 朱 風池穴指圧枕
KR20100091693A (ko) * 2009-02-11 2010-08-19 최상화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42Y1 (ko) * 2014-01-15 2014-11-10 김태엽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2029765B1 (ko) * 2018-04-20 2019-10-08 김문희 경추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3610B1 (en) Mattress arrangement, such as a bed, having adjustable firmness
AU2016201581B2 (en) Conforming back for a seating unit
KR101679795B1 (ko)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KR102047770B1 (ko) 간편 조절 팔걸이
JP2011528941A (ja) 多層支持構造体
US20160353899A1 (en) Adjustable mattress structure
AU2015397741B2 (en) Adjustable mattress structure
KR101068588B1 (ko)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CA2881101C (en) Mattress including flat springs
KR200483469Y1 (ko) 베개
KR20120119037A (ko)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CN204336355U (zh) 一种双向可调式椅子扶手
KR200479160Y1 (ko) 퍼즐 조립식 매트리스
KR20047514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0388934Y1 (ko) 2중 탄성구조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KR101054449B1 (ko) 매트리스용 측면 보강재
SE531517C2 (sv) Anordning vid säng
CN108514259B (zh) 一种坐具
JP2022533142A (ja) 着座又は横臥のための家具
TWI604810B (zh) Adjustable mattress structure
WO2018103068A1 (zh) 一种床垫
EP2443969A1 (en) Suspension structure for mattress support
KR20140013444A (ko) 높낮이 및 경추각도 조절 베개
JP6837101B2 (ja) 枕保持器具
KR200474130Y1 (ko)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