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693A -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693A
KR20100091693A KR1020090011005A KR20090011005A KR20100091693A KR 20100091693 A KR20100091693 A KR 20100091693A KR 1020090011005 A KR1020090011005 A KR 1020090011005A KR 20090011005 A KR20090011005 A KR 20090011005A KR 20100091693 A KR20100091693 A KR 2010009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height adjustment
adjustment ring
r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화
Original Assignee
최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화 filed Critical 최상화
Priority to KR102009001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693A/ko
Publication of KR2010009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2Bedding to assist in intercour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평상시에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출장 또는 여행시에도 사용이 용이하고, 베개 몸체와, 높이 조절링과, 받침바닥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어 여행이나 나들이를 할 때 휴대하기가 용이하며,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체형이나 특성에 따라 다수개의 높이 조절링을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베개 몸체가 경추(목)부위와 머리아래부분의 일부만을 받혀주어 숙면 중에 생길 수 있는 머리의 온도나 땀의 발생을 줄여 주고, 베개 몸체의 하단부가 앞뒤로 기울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목 부분을 편안하게 해줌과 더불어 기도의 흐름을 유지시켜 주며, 높이 조절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닥받침이 바닥판과 고정 볼트로 구성되어 베개가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휴대 겸용 베개는 경추와 머리의 하부를 받혀주며, 하부 중앙에 높이 조절링에 끼워져 높이 조절링과 고리가 고정되게 하는 고리와 고정핀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사출성형물과, 상기 사출성형물의 상부에 부착되어 경추와 머리 부분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인체와의 접촉 시 편안한 촉감을 느끼게 하여 주는 커버 천을 포함하는 베개 몸체와; 상기 베개 몸체를 구성하는 사출성형물의 고리부분의 돌출된 부분이 높이 조 절링의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링과; 상기 높이 조절링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이 바닥판의 홈에 끼워져 고정되어 베개 몸체를 지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높이 조절링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받침바닥;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겸용 베개, 몸체, 높이 조절링, 받침바닥, 고정 볼트, 휴대용이, 높이조절, 땀 발생 억제, 편안함, 기도 흐름 유지.

Description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Carrying combination pillow and the use method}
본 발명은 베개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평상시에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음 은 물론 출장 또는 여행시에도 사용이 용이하고, 베개 몸체와, 높이 조절링과, 받침바닥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어 여행이나 나들이를 할 때 휴대하기가 용이하며,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체형이나 특성에 따라 다수개의 높이 조절링을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베개 몸체가 경추(목)부위와 머리아래부분의 일부만을 받혀주어 숙면 중에 생길 수 있는 머리의 온도나 땀의 발생을 줄여 주고, 베개 몸체의 하단부가 앞뒤로 기울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목 부분을 편안하게 해줌과 더불어 기도의 흐름을 유지시켜 주며, 높이 조절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닥받침이 바닥판과 고정 볼트로 구성되어 베개가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 베개의 높이가 맞지 않아 고생하는 사람이 많이 있다. 하지만 평소에 사용하는 베개를 가지고 다니기에는 베개의 부피가 너무 크고, 외적인 장소에서는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베개는 휴대는 할 수 있으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항상 숙면에 대한 만족감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가정에서 자기 체형에 맞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출장 또는 여행시에도 사용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어 여행이나 나들이를 할 때 휴대하기가 용이하며,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체형이나 특성에 따라 다수개의 높이 조 절링을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베개 몸체가 경추(목)부위와 머리아래부분의 일부만을 받혀주어 숙면 중에 생길 수 있는 머리의 온도나 땀의 발생을 줄여 주고, 베개 몸체의 하단부가 앞뒤로 기울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목 부분을 편안하게 해줌과 더불어 기도의 흐름을 유지시켜 주며, 높이 조절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닥받침이 바닥판과 고정 볼트로 구성되어 베개가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휴대 겸용 베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베개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평상시에 가정에서 자기 체형에 맞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출장 또는 여행시에도 사용이 용이한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 몸체와, 높이 조절링과, 받침바닥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어 여행이나 나들이를 할 때 휴대하기가 용이한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체형이나 특성에 따라 다수개의 높이 조절링을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 몸체가 경추(목)부위와 머리아래부분의 일부만을 받혀주어 숙면 중에 생길 수 있는 머리의 온도나 땀의 발생을 줄여 주는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 몸체의 하단부가 앞뒤로 기울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목 부분을 편안하게 해줌과 더불어 기도의 흐름을 유지시켜 주는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조절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닥받침이 바닥판과 고정 볼트로 구성되어 베개가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는 경추와 머리의 하부를 받혀주며, 하부 중앙에 높이 조절링에 끼워져 높이 조절링과 고리가 고정되게 하는 고리와 고정핀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사출성형물과, 상기 사출성형물의 상부에 부착되어 경추와 머리 부분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인체와의 접촉 시 편안한 촉감을 느끼게 하여 주는 커버 천을 포함하는 베개 몸체와; 상기 베개 몸체를 구성하는 사출성형물의 고리부분의 돌출된 부분이 높이 조절링의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링과; 상기 높이 조절링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이 바닥판의 홈에 끼워져 고정되어 베개 몸체를 지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높 이 조절링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받침바닥;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실리콘과 메모리 폼과 같은 충격을 완충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링은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다수개가 끼워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링과 바닥판에 고정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의 사용방법은 바닥받침을 안전한 위치에 놓는 단계와; 상기 바닥받침을 구성하는 바닥판의 홈에 신체의 크기에 알맞도록 필요한 높이조절용 링의 돌기 부분이 삽입되어 끼우는 단계와; 상기 높이 조절링의 홈에 베개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를 끼우는 단계와; 상기 높이 조절링과 바닥판에 고정 볼트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단계와; 베개 몸체 부분을 카버 천으로 덮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베개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평상시에 가정에서 자기 체형 에 맞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출장 또는 여행시에도 사용이 용이하다.
둘째, 본 발명은 베개의 몸체와, 높이 조절링과, 받침바닥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어 여행이나 나들이를 할 때 휴대하기가 용이하다.
셋째, 본 발명은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체형이나 특성에 따라 다수개의 높이 조절링을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베개 몸체가 경추(목)부위와 머리아래부분의 일부만을 받혀주어 숙면 중에 생길 수 있는 머리의 온도나 땀의 발생을 줄여 준다.
다섯째, 본 발명은 베개 몸체의 하단에가 앞뒤로 기울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목 부분을 편안하게 해줌과 더불어 기도의 흐름을 유지시켜 준다.
여섯째, 본 발명은 높이 조절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닥받침이 바닥판과 고정 볼트로 구성되어 베개가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를 구성하는 베개 몸체를 분리하여 정면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를 구성하는 받침바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는 사출성형물(10), 쿠션부재(20), 커버 천(30), 고리(40), 고정핀(41), 베개 몸체(50), 높이 조절링(60), 높이 조절링의 홈(61), 바닥받침(70), 바닥판(71), 고정 볼트(72), 바닥판의 홈(73) 등으로 구성된다.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겸용 베개는 경추와 머리의 하부를 받혀주며, 하부 중앙에 높이 조절링에 끼워져 높이 조절링과 고리가 고정되게 하는 고리(40)와 고정핀(41)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사출성형물(10)과, 상기 사출성형물의 상부에 부착되어 경추와 머리 부분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쿠션부재(20)와,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인체와의 접촉 시 편안한 촉감을 느끼게 하여 주는 커버 천(30)을 포함하는 베개 몸체(50)와; 상기 베개 몸체를 구성하는 사출성형물의 고리부분의 돌출된 부분이 높이 조절링의 홈(61)에 끼워져 고정되며,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링(60)과; 상기 높이 조절링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이 바닥판의 홈(73)에 끼워져 고정되어 베개 몸체를 지탱하는 바닥판(71)과, 상기 바닥판과 높이 조절링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72)를 포함하는 받침바닥(70); 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 겸용 베개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개 몸체(50)는 경추와 머리의 하부를 받혀주며, 하부 중앙에 높이 조절링에 끼워져 높이 조절링과 고리가 고정되게 하는 고리(40)와 고정핀(41)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사출성형물(10)과, 상기 사출성형물의 상부에 부착되어 경추와 머리 부분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쿠션부재(20)와,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인체와의 접촉 시 편안한 촉감을 느끼게 하여 주는 커버 천(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재(20)는 실리콘과 메모리 폼과 같은 충격을 완충하는 재질인 것이다.
상기 높이 조절링(60)은 상기 베개 몸체를 구성하는 사출성형물의 고리부분의 돌출된 부분이 높이 조절링의 홈(61)에 끼워져 고정되며, 베개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링(60)은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다수개가 끼워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받침바닥(70)은 상기 높이 조절링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이 바닥판의 홈(73)에 끼워져 고정되어 베개 몸체를 지탱하는 바닥판(71)과, 상기 바닥판과 높이 조절링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72)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링(60)과 바닥판(71)에 고정 볼트(72)가 관통할 수 있는 홈(61, 7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 겸용 베개가 조립되어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받침(70)을 안전한 위치에 놓는다. 이후 상기 바닥받침(70)을 구성하는 바닥판의 홈(73)에 신체의 크기에 알맞도록 필요한 높이조절용 링(60)의 돌기 부분이 삽입되어 끼운다. 이어서 상기 높이 조절링의 홈(61)에 베개의 몸체(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40)를 끼운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 조절링(60)과 바닥판(71)에 고정 볼트(72)를 관통시켜 고정한다. 이후 베개 몸체(50) 부분을 카버 천(30)으로 덮어서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를 구성하는 베개 몸체를 분리하여 정면과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를 구성하는 받침바닥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겸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출성형물 20: 쿠션부재
30: 커버 천 40: 고리
41: 고정핀 50: 베개 몸체
60: 높이 조절링 61: 높이 조절링의 홈
70: 바닥받침 71: 바닥판
72: 고정 볼트 73: 바닥판의 홈

Claims (5)

  1. 휴대 겸용 베개에 있어서,
    경추와 머리의 하부를 받혀주며, 하부 중앙에 높이 조절링에 끼워져 높이 조절링과 고리가 고정되게 하는 고리와 고정핀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사출성형물과, 상기 사출성형물의 상부에 부착되어 경추와 머리 부분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인체와의 접촉 시 편안한 촉감을 느끼게 하여 주는 커버 천을 포함하는 베개 몸체와;
    상기 베개 몸체를 구성하는 사출성형물의 고리부분의 돌출된 부분이 높이 조절링의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링과;
    상기 높이 조절링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이 바닥판의 홈에 끼워져 고정되어 베개 몸체를 지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높이 조절링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받침바닥;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겸용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실리콘과 메모리 폼과 같은 충격을 완충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겸용 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링은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다수개가 끼워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겸용 베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링과 바닥판에 고정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겸용 베개.
  5. 휴대 겸용 베개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바닥받침을 안전한 위치에 놓는 단계와;
    상기 바닥받침을 구성하는 바닥판의 홈에 신체의 크기에 알맞도록 필요한 높이조절용 링의 돌기 부분이 삽입되어 끼우는 단계와;
    상기 높이 조절링의 홈에 베개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를 끼우는 단계와;
    상기 높이 조절링과 바닥판에 고정 볼트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단계와;
    베개 몸체 부분을 카버 천으로 덮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겸용 베개의 사용방법.
KR1020090011005A 2009-02-11 2009-02-11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KR20100091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05A KR20100091693A (ko) 2009-02-11 2009-02-11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05A KR20100091693A (ko) 2009-02-11 2009-02-11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93A true KR20100091693A (ko) 2010-08-19

Family

ID=4275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005A KR20100091693A (ko) 2009-02-11 2009-02-11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16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88B1 (ko) * 2011-03-31 2011-09-30 윤길홍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KR102029765B1 (ko) * 2018-04-20 2019-10-08 김문희 경추 교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88B1 (ko) * 2011-03-31 2011-09-30 윤길홍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KR102029765B1 (ko) * 2018-04-20 2019-10-08 김문희 경추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31078B2 (en) Sleepy heads neck pillow
US6023802A (en) Infant sleeper
US20130254998A1 (en) Travel pillow for sleeping in a vertical or near-vertical reclined position
US9392878B2 (en) Multi-functional supporting cushion
KR200485725Y1 (ko) 숙면 유도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부재 교체식 베개
US20150089743A1 (en) Multi-sleep position head and neck pillow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103844744B (zh) 枕头
US20080216242A1 (en) Orthopedic pillow having improved incremental compressive resistance for improved cervical support
KR200482254Y1 (ko) 충전부재 교체식 경추보호,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 및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20100091693A (ko) 휴대 겸용 베개 및 그 사용방법
US20120084923A1 (en) Neck and head support pillow
KR200477586Y1 (ko) 기능성 베개
KR101053093B1 (ko) 높이 조절 베개
KR200377121Y1 (ko) 유아용 베개
KR200441285Y1 (ko) 경추베개
CN201268248Y (zh) 平安头靠枕
JP2019110966A (ja)
KR101626219B1 (ko) 여러 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0421926Y1 (ko) 기능성 어깨.등베개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JP3181802U (ja) 座席用ヘッドレスト
KR200430098Y1 (ko) 어깨 등베개
KR200491545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200337020Y1 (ko) 쿠션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