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020Y1 - 쿠션베개 - Google Patents

쿠션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020Y1
KR200337020Y1 KR20-2003-0026729U KR20030026729U KR200337020Y1 KR 200337020 Y1 KR200337020 Y1 KR 200337020Y1 KR 20030026729 U KR20030026729 U KR 20030026729U KR 200337020 Y1 KR200337020 Y1 KR 200337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arpenter
support
cushion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이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규 filed Critical 이창규
Priority to KR20-2003-0026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0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쿠션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신에게 맞는 높이로 베개를 베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깨를 받쳐주어 어깨 결림등이 없어 편안함은 물론, 내부에 설치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베개를 사용시 혈행의 개선과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쿠션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쿠션베개는, 목의 뒤쪽이 내부에 베갯속부재(111)를 베갯속직물로 감싼 제1속피(110)가 제1외피(120)에 삽입되고, 제1속피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편하게 받쳐주도록 제1외피와 제1속피에 의해 중앙에 오목하게 이루어진 목수용받침부(130)를 갖는 제1베개(100)와, 목수용받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목수용부(210)가 형성됨과 더불어 목수용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사람의 어깨를 제2외피(220)와 제2속피(2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돌출된 어깨지지부(240)를 갖는 제2베개(200)와, 상기 목수용받침부와 목수용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이동할 때 상기 제1베개와 제2베개의 상호간에 밀착되도록 한 밀착면에는 상호간에 고정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한쌍의 탈부착수단(300)을 포함하고, 제1,2속피의 직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석(150,260)이 고정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쿠션베개{A CUSHION PILLOW}
본 고안은 쿠션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신에게 맞는 높이로 베개를 베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깨를 받쳐주어 어깨결림등이 없이 편안함은 물론, 내부에 설치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베개를 사용시 혈행의 개선과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쿠션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취침 또는 휴식을 위해 누울 때 사람의 머리를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것들이 공지되어 있다.이를 위해 베개는 대부분 내부에 솜을 넣어 적절한 부드러움을 확보하거나, 또는 곡물 껍질, 합성수지제의 칩등을 적당히 넣어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칩이 적절히 유동됨으로써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근래에는 위와 같은 솜이나 칩 대신 내부에 공기를 적당히 불어 넣어 머리의 움직임에 보다 확실하게 유동될 수 있는 튜브를 사용한 베개도 제안되어 있다. 또한 쿠션은 솜이나 스펀지 등을 넣어 폭신하게 만들어 놓은 물건으로서, 소파등에 놓을 경우에 등받이나 가슴등의 허전함을 달래기 위해서 끌어 안고 사용한다.
종래 베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16433호로 "베개"가 공지되어 있는바, 베갯속(11')을 포위하고, 전체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부(15c)가 형성되고, 양쪽 단부에는 취침자 쪽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받침부(12)가 형성된 베갯잇(15)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부(15c)에 의해 사용자가 베었을 때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전체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게 되며, 상기 보조받침부(12)에 의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경우 머리의 측부 및 안면부의 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일저와수직부(15c)에 의해서 목의 뒷덜미가 부드럽게 받쳐주지 못하고, 높낮이를 조절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받침부(12)가 어깨를 받쳐주시 못하고 단지 얼굴을 돌려서 베는 것으로만 사용하게 되므로 어깨를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부분을 부드럽게 받쳐주면서, 이동해가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얻을 수 있는 쿠션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을 받쳐주면서 어깨도 부드럽체 받쳐주도록 하여 어깨 결림이 없이 편안함을 주도록 한 쿠션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설치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베개를 사용시 혈행의 개선과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쿠션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베개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슴에 안을 수 있도록 된 쿠션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쿠션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제1베개 110 제1속피
111 베갯속부재 120 제1외피
130 목수용받침부 140 레이스
150 자석 170 이동방지 및 미간주름억제부
200 제2베개 210 목수용부
220 제2외피 230 제2속피
240 어깨지지부 250 레이스
260 자석 300 탈부착수단
310 벨크로 320 비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쿠션베개는, 내부에 베갯속부재를 직물로 감싼 제1속피가 제1외피에 삽입되고, 제1속피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목의 뒤쪽을 편하게 받쳐주도록 상기 제1외피와 제1속피에 의해 중앙에 오목하게 이루어진 목수용받침부를 갖는 제1베개와, 상기 목수용받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목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수용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사람의 어깨를 지지하는 위치에 제2외피와 내부에 베갯속부재를 망사와 같은 직물로 감싼 제2속피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사람쪽으로 돌출된 어깨지지부를 갖는 제2베개와, 상기 제1베개와 제2베개의 상호간의 밀착면에는 상호간에 고정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탈부착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쿠션베개는 상기 제1,2속피의 각각의 베갯속직물위에 심리안정과 혈행을 개선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원형 자석이 고정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쿠션베개는 탈부착수단이 상기 제1베개와 제2베개에 부착되는 벨크로 또는 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쿠션베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베개는, 내부에 베갯속부재(111)를 망사와 같은 직물로 감싼 제1속피(110)가 제1외피(120)에 삽입되고, 상기 제1속피(11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목의 뒤쪽을 편하게 받쳐주도록 상기 제1외피(120)와 제1속피(110)에 의해 중앙에 오목하게 계곡형태로 이루어진 목수용받침부(130)를 갖는 제1베개(100)와, 상기 목수용받침부(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오목하게 계곡형태로 들어간 목수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목수용부(210)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사람의 어깨를 지지하는 위치에 제2외피(220)와 내부에 베갯속부재(231)를 망사와 같은 직물로 감싼 제2속피(2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사람쪽으로 돌출된 어깨지지부(240)를 갖는 제2베개(200)와, 상기 제1베개(100)와 제2베개(200)의 상호간에 상기 목수용받침부(130)와 목수용부(210)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포개놓을 때 밀착되도록 한 밀착면에는 상호간에 고정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탈부착수단(3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베개(200)의 목수용부(210)로 목의 뒤쪽이 위치하도록 누우면서 양쪽 어깨가 상기 어깨지지부(2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베개(100)의 목수용받침부(130)에 목의 뒤쪽이 지지되도록 하면서 제1베개(100)의 위치를 앞뒤로 이동하게 되면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제1,2베개(100,200)가 상호간에 고정되었다가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외피(120)와 제2외피(220)는 본 실시예에서 면과 폴리에스테르가 섞인 혼방이다.
상기 제1베개(100)와 제2베개(200)의 외주면을 따라 레이스(140,250)가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이스(140,250)가 형성되면 베개를 사용하는 사람은 심미감을느끼면서 포근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레이스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직조된 것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속피(110,230)의 각각의 직물위에 심리안정과 혈행을 개선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자석(150,260)이 고정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속피는 본 실시예에서 망사이고, 상기 자석(150,260)은 본 실시예에서 원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150,260)이 고주파처리로 부착되나, 또 다른 부착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베개(100)에 설치된 자석(150)은 상기 목수용받침부(130)와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위치에 N극이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취침하는 사람의 심리적안정을 도와 준다.
또한 상기 제2베개(200)에 설치된 자석(260)은 목수용부(210)에는 상부로 N극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심리적안정을 도와주고, 상기 어깨지지부(240)에는 S극이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혈행을 개선하게 된다.
또 상기 제1,2베개(100,200)에 설치되는 자석(260)은 필요에 따라서 N극과 S극이 선택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위치로 제1,2베개(100,200)의 크기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자석(260)이 고주파처리로 상기 제1,2속피(110,230)에 설치될 때 밀봉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일측이 개구되어 필요에 따라서 자석(260)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제1베개(100)와 제2베개(200)에 부착되는 한쌍의 암수 형태로 된 벨크로(310)이거나, 또는 상기 제1베개(100)와 재2베개(200)에 각각 부착되어 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베개(100)와 재2베개(200)의 제1,2외피(120,220)보다 마찰력이 큰 부재(320)로, 즉 비닐도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벨크로(310) 또는 비닐(320)이 상기 제1베개(100)의 하부에 부착된 것의 면적이 제2베개(200)의 상부에 부착된 것의 면적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베개(100)는 하트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베개(100)의 제1속피(110)는 중앙에 베갯속부재의 쏠림을 방지하고 또 상기 제1속피(110)와 제1외피(120)에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경우에 공간이 형성되어 눈주위의 미간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하로 미싱된 이동방지 및 미간주름억제부(1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베개(200)의 제2속피(230)에는 상기 베갯속부재(231)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상하로 미싱되어 박음질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베개(100,200)는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상이나 둥근형상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베개가 쿠션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베개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슴에 안을 수 있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쿠션베개는 목수용받침부와 목받침부에 의해서 목 부분을 부드럽게 받쳐주면서, 제1베개와 제2베개를 전후 좌우로이동해가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쿠션베개는 목수용받침부와 목받침부에 의해서 목을 받쳐주면서 제2베개의 어깨지지부에 의해 어깨도 부드럽게 받쳐주도록 하여 어깨 결림이 없이 편안함을 주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쿠션베개는 제1,2베개의 속피에 설치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베개를 사용시 혈행의 개선과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쿠션베개는 베개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슴에 안을 수 있도록 된 쿠션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베갯속부재를 직물로 감싼 제1속피가 제1외피에 삽입되고, 제1속피에 의해 지지되어 목을 받쳐주도록 상기 제1외피와 제1속피에 의해 중앙에 오목하게 이루어진 목수용받침부를 갖는 제1베개와,
    상기 목수용받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목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수용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사람의 어깨를 지지하는 위치에 제2외피와 내부에 베갯속부재를 직물로 감싼 제2속피에 의해 지지하도록 돌출된 어깨지지부를 갖는 제2베개와,
    상기 목수용받침부와 목수용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포개놓을 때 상기 제1베개와 제2베개의 상호간의 밀착면에는 상호간에 고정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한쌍의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쿠션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속피의 각각의 베갯속직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다수개의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베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제1베개와 제2베개에 각각 부착된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베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제1베개와 재2베개의 제1,2외피보다 마찰력이 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베개.
KR20-2003-0026729U 2003-08-20 2003-08-20 쿠션베개 KR200337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729U KR200337020Y1 (ko) 2003-08-20 2003-08-20 쿠션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729U KR200337020Y1 (ko) 2003-08-20 2003-08-20 쿠션베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421A Division KR20050019575A (ko) 2003-08-20 2003-08-20 쿠션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020Y1 true KR200337020Y1 (ko) 2004-01-07

Family

ID=4942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729U KR200337020Y1 (ko) 2003-08-20 2003-08-20 쿠션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0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51B1 (ko) * 2007-05-17 2008-11-10 임희봉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51B1 (ko) * 2007-05-17 2008-11-10 임희봉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136B2 (en) Restorative head and neck pillow
US7584515B2 (en) Snuggle pockets
US6412127B1 (en) Head cradle with body support
US5644810A (en) Pillow for supine and side-orientated sleeping positions
US5437070A (en) Multiple use pillow
US4908893A (en) Pillows with portions which do not promote facial wrinkles
US7216387B2 (en) Arched pillow assembly
US4606086A (en) Lounge chair for reading
US20190045950A1 (en) Relaxation and meditation pillow
US20100205743A1 (en) Head and neck supporting device for use while sun tanning, resting prone during massage without a massage table
US9516951B2 (en) Anatomy conformed support pillow
US20210068561A1 (en) Support utility cushion for head, neck, and body
JP2007082590A (ja) 機能性枕
KR20050019575A (ko) 쿠션베개
CN205358976U (zh) 婴儿床垫结构
US6029295A (en) Annular pillow with metal mesh material cover
KR20200115393A (ko) 체형 맞춤 시스템 베개
KR200337020Y1 (ko) 쿠션베개
US10806278B1 (en) Body pillow with pillow pocket
US6694551B1 (en) Facial support device
JP2006340942A (ja) マットレス及び該マットレスを備えたベッド
US20050137509A1 (en) Back support
JP2000279301A (ja)
GB2323277A (en) Pillow with airway to facilitate breathing
CN210130664U (zh) 一种硬度高度调节枕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