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130Y1 -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 Google Patents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130Y1
KR200474130Y1 KR2020120005185U KR20120005185U KR200474130Y1 KR 200474130 Y1 KR200474130 Y1 KR 200474130Y1 KR 2020120005185 U KR2020120005185 U KR 2020120005185U KR 20120005185 U KR20120005185 U KR 20120005185U KR 200474130 Y1 KR200474130 Y1 KR 200474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assembly
stone bed
angl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405U (ko
Inventor
김양선
Original Assignee
김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선 filed Critical 김양선
Priority to KR2020120005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13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foot-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foot-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type
    • A47C20/027Back supports, e.g. for sitting in b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foot-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foot-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돌침대 본체(10) 위에서 상부 양측에 조립공(16)을 갖는 조립구(15a)(15b)를 삽입 설치하고, 별도의 등받이(20)를 마련하되 상기 등받이 배면 양측에 공지의 각도 조절기(30)(30)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31)(31)을 조립구의 조립공(16)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돌침대 본체(10)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20)를 설치 구성함은 물론 상기 돌침대 본체(10) 위에서 상부 양측의 조립구(15a)(15b) 간격 만큼 이격된 중앙 위치에 양측으로 조립구(15c)(15d)를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20)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31)(31)을 조립구(15a)(15b) 이외에 조립구(15a)(15c) 또는 조립구(15b)(15d) 또는 조립구(15c)(15d)에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위치를 조절하도록 제공하므로서, 돌침대에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음은 물론 등받이의 각도 조절 및 위치 조절로 다양한 위치에서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고 돌침대 중앙으로 위치 조절하여 책 등을 읽을 수 있는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 만족성,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Stone bed}
본 고안은 돌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는 등받이를 마련하되, 상기 등받이의 각도 조절은 물론 등받이 위치를 돌침대 위에서 상부 또는 상부 양측방으로 위치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고 돌침대 위에서 중앙으로 위치 조절하여 책 등을 읽을 수 있는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 만족성, 편리성이 우수한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침대는 침구 수단의 하나로서, 온도 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돌침대는 사각 형태의 돌침대 프레임 상부면에 맥반석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돌판과 상기 돌판을 온돌처럼 가열하는 발열수단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돌침대는 사용자가 앉아서 생활할 때 의자, 쇼파 등과 같이 등받이가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특허등록 제10-391374호에서와 같이 돌침대 상부에 헤드를 마련하여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헤드의 각도 조절이 곤란하여 안락한 자세를 취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물론, 종래 특허출원 제2010-78809호, 실용신안출원 제2006-18685호에서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한 쇼파 등이 개시된 바 있으나 돌침대에서는 이와 같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적용된 기술은 없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돌침대의 헤드 또는 쇼파의 등받이는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어 사용자가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는 위치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즉, 돌침대의 경우에 돌침대 상부 위치의 헤드 이외에 사용자가 돌침대의 측방이나 중앙 위치에서 앉고자 할 경우에 등을 기댈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돌침대에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는 등받이를 마련하되, 상기 등받이의 각도 조절은 물론 등받이 위치를 돌침대 위에서 상부 또는 상부 양측방으로 위치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고 돌침대 위에서 중앙으로 위치 조절하여 책 등을 읽을 수 있는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 만족성,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등받이를 돌침대에 조립 및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분리가 간단히 제공되어 사용 편리성을 더욱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돌침대 본체 위에서 상부 양측에 조립공을 갖는 조립구를 삽입 설치하고, 별도의 등받이를 마련하되 상기 등받이 배면 양측에 공지의 각도 조절기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을 조립구의 조립공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돌침대 본체 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를 설치 구성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돌침대 본체 위에서 상부 양측의 조립구 간격 만큼 이격된 중앙 위치에 양측으로 조립구를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 배면 양측에 설치된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을 조립구 또는 조립구 또는 조립구에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위치를 조절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에는 상하로 걸림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조립구의 조립공는 내주연에 스프링에 의해 탄발 출몰하면서 조립봉의 걸림홈에 탄발 삽입되어 조립봉을 지지하는 스톱핀을 설치하여 상기 조립봉을 승하강 이동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돌침대 위에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는 등받이를 마련하되, 상기 등받이의 각도 조절은 물론 등받이 위치를 돌침대 위에서 상부 또는 상부 양측방으로 위치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고 돌침대 위에서 중앙으로 위치 조절하여 책 등을 읽을 수 있는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 만족성, 편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등받이를 돌침대에 조립 및 분리가 간단히 제공되어 사용 편리성이 더욱 우수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돌침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등받이의 수평 절첩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등받이가 각도 조절된 상태의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 등받이의 다양한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침대 본체(10) 위에서 상부 양측에 조립공(16)을 갖는 조립구(15a)(15b)를 삽입 설치하고, 별도의 등받이(20)를 마련하되 상기 등받이 배면 양측에 공지의 각도 조절기(30)(30)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31)(31)을 조립구의 조립공(16)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돌침대 본체(10) 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20)를 설치 구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기(30)는 등받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2)과 돌침대 본체에 조립되는 조립봉(31) 및 상기 조립봉에 고정 설치되고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브라켓을 각도 조절하는 공지의 각도 조절부(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기(30)의 조립봉(31)에는 상하로 걸림홈(31a)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조립구의 조립공(16)은 내주연에 스프링(18)에 의해 탄발 출몰하면서 조립봉의 걸림홈(31a)에 탄발 삽입되어 조립봉(31)을 지지하는 스톱핀(17)을 설치하여 상기 조립봉(31)을 승하강 이동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2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돌침대 본체(10) 위에서 상부 양측의 조립구(15a)(15b) 간격 만큼 이격된 중앙 위치에 양측으로 조립구(15c)(15d)를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20) 배면 양측에 설치된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31)(31)을 조립구(15a)(15c) 또는 조립구(15b)(15d) 또는 조립구(15c)(15d)에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등받이(20)의 각도 조절기를 도 8에서와 같이 조립구(15a)(15c) 또는 조립구(15b)(15d)에 조립 설치하는 경우에 돌침대의 측방에서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는 것이고, 도 7에서와 같이 조립구(15c)(15d)에 조립 설치하는 경우에 등받이(20)를 수평으로 각도 조절하고 높낮이를 높게 한 후 등받이 밑으로 양 발이 삽입되게 앉아 등받이를 책 받침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침대 본체(10) 하부에는 스톱 및 이동을 선택할 수 있는 이동캐스터(5)가 마련되어 돌침대 본체(10)를 간편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3은 돌판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돌침대 본체(10) 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20)를 설치 사용함은 물론 상기 등받이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위치에 등받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침대 본체(10) 위에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조립구(15a)(15b)의 조립공(16)으로 등받이(20)의 배면 양측에 고정 설치된 공지의 각도 조절기(30)(30)를 조립 설치한다.
즉, 상기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31)(31)을 조립구의 조립공(16)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기(30)의 조립봉(31)에 상하로 형성된 걸림홈(31a)이 상기 조립구의 조립공(16) 내주연에서 스프링(18)에 의해 탄발 출몰하는 스톱핀(17)에 의해 탄발 걸림 작동하면서 등받이(20)를 이탈 방지되게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등받이의 조립봉(31)을 강제로 승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조립봉(31)의 상하로 형성된 걸림홈(31a)에 스톱핀(17)이 탄발 출몰하여 선택적으로 삽입 지지하면서 등받이(20)의 높낮이도 조절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침대 본체(10)에 설치되는 등받이(20)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면서 사용한다.
이는 상기 각도 조절기(30)(30)의 각도 조절부(33)에 의해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데, 상기 각도 조절부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돌침대 본체(10)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20)를 설치하여 안락하게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등받이(20)의 위치를 조절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등받이(20) 배면 양측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기(30)(30)의 조립봉(31)(31)을 조립구(15a)(15b)에서 분리한 후 돌침대 본체 위에서 상부와 중앙 양측방에 위치하는 조립구(15a)(15c) 또는 조립구(15b)(15d)에 조립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등받이(20)가 돌침대 본체 위에서 양 측방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돌침대 본체의 측방을 향해서 기대어 앉을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등받이(20) 배면 양측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기(30)(30)의 조립봉(31)(31)을 조립구(15a)(15b)에서 분리한 후 도 7에서와 같이 돌침대 본체 위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조립구(15c)(15d)에 조립 설치하고, 상기 등받이(20)를 수평 상태로 각도 조절함과 함께 상부로 돌출되게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등받이(20) 하부로 발을 삽입 위치시켜 등받이에 책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 등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돌침대 본체(10) 위에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는 등받이(20)를 마련하되, 상기 등받이(20)의 각도 조절은 물론 등받이 위치를 돌침대 위에서 상부 또는 상부 양측방으로 위치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고 돌침대 중앙으로 위치 조절하여 책 등을 읽을 수 있는 받침대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침대 본체(10) 위에서 상부 양측의 조립구(15a)(15b)를 하부 양측에 대향 설치하여 전술한 등받이(20)(20)를 상부 및 하부에 조립 설치하므로 돌침대를 쇼파 대용으로 사용시 상기 등받이가 팔걸이 기능을 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돌침대 본체에 등받이 설치 위치를 변형하여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하는 정도의 변형 정도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모두 귀속됨을 밝혀둔다.
10: 돌침대 본체 15a,b,c,d: 조립구
16: 조립공 20: 등받이
30: 각도 조절기 31: 조립봉
31a: 걸림홈 18: 스프링
17: 스톱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돌침대 본체(10) 위에서 상부 양측에 조립공(16)을 갖는 조립구(15a)(15b)를 삽입 설치하고,
    별도의 등받이(20)를 마련하되 상기 등받이 배면 양측에 공지의 각도 조절기(30)(30)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각도 조절기의 조립봉(31)(31)을 조립구의 조립공(16)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돌침대 본체(10) 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20)가 설치 구성되도록 구성되는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기(30)의 조립봉(31)에는 상하로 걸림홈(31a)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조립구의 조립공(16)에는 내주연에 스프링(18)에 의해 탄발 출몰하면서 조립봉의 걸림홈(31a)에 탄발 삽입되어 조립봉(31)을 지지하는 스톱핀(17)을 설치하여 상기 조립봉(31)을 승하강 이동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2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KR2020120005185U 2012-06-18 2012-06-18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KR200474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185U KR200474130Y1 (ko) 2012-06-18 2012-06-18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185U KR200474130Y1 (ko) 2012-06-18 2012-06-18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405U KR20130007405U (ko) 2013-12-27
KR200474130Y1 true KR200474130Y1 (ko) 2014-08-27

Family

ID=5200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185U KR200474130Y1 (ko) 2012-06-18 2012-06-18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1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4975B (zh) * 2022-01-05 2023-08-15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一种床架及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779A (ja) * 1994-06-10 1995-12-19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JP2002000393A (ja) * 2000-06-21 2002-01-08 France Bed Co Ltd 休息用家具及び背上げ式ベッ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779A (ja) * 1994-06-10 1995-12-19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JP2002000393A (ja) * 2000-06-21 2002-01-08 France Bed Co Ltd 休息用家具及び背上げ式ベッ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405U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376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of an office chair
KR101679795B1 (ko)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US20110215623A1 (en) Height-Adjusting Assembly for Office Chair Backrest
AU2005211844A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CA2837141C (en) Lumbar support for a chair
JP6754758B2 (ja) 姿勢のサポートを備えるベッド及びベッドインサート
CA2734571A1 (en) Chair with tiltable seat
CA2720519C (en) Nursing chair
CN212213172U (zh) 椅背组件和办公椅
KR200474130Y1 (ko)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KR20190047879A (ko) 겨드랑이 지지체
KR20047514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EP1921950A1 (en) Piece of furniture
CN201641143U (zh) 办公椅靠背的升降调整装置
KR200472790Y1 (ko)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101495603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CN205214733U (zh) 一种可躺式椅子
KR100939677B1 (ko)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1449665B1 (ko) 책상용 자세 교정장치
KR100605035B1 (ko) 의자 일체형 책상
KR200460292Y1 (ko) 폭 조절이 가능한 좌판
KR101113502B1 (ko) 의자용 겨드랑이받침장치
CN210930439U (zh) 一种椅子
KR20110000368U (ko) 조립이 용이한 소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6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7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8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