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170B1 - 모션베드 - Google Patents

모션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170B1
KR102561170B1 KR1020220137155A KR20220137155A KR102561170B1 KR 102561170 B1 KR102561170 B1 KR 102561170B1 KR 1020220137155 A KR1020220137155 A KR 1020220137155A KR 20220137155 A KR20220137155 A KR 20220137155A KR 102561170 B1 KR102561170 B1 KR 10256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rame
horizontal
suppor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선
김선상
Original Assignee
김선상
강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상, 강영선 filed Critical 김선상
Priority to KR102022013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170B1/ko
Priority to PCT/KR2022/016403 priority patent/WO202314606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및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복수 개로 분절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사용자의 하체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면서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구비하여, 모션베드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체부분을 상승시킬 때에 사용자의 하체부분이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하여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하부로 밀려서 상체나 머리 부분의 위치가 밀려 내려가 사용자의 자세가 어긋나거나 베개와 머리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자세와 머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스마트 베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션베드{MOTION BED ASSEMBLY}
본 발명은 모션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션베드의 상체 부분의 상승시에 사용자의 신체가 하부로 밀려 사용이 불편해지고 자세가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션베드에 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가구들이 다양해지면서, 침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션베드도 개발되었다. 과거 모션베드는 의료나 재활 기관 등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을 위해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였으나, 근래 들어 모션베드는 일반 생활 용도의 제품으로도 등장하고 있고, 침대에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사람들에게 양질의 수면을 위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종래의 모션베드는 모션베드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획하고,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복수의 모션베드 프레임을 각각 구동하여 모션베드 매트리스의 각도를 조절하여 구동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션베드는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시에 사용자의 상체와 머리가 지지되는 부분이 단순히 승하강 회전되고 있지만 베개의 위치는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상승 회전후의 사용자의 머리는 원래의 베개위치와 맞지 않게 되어 수면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모션을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모션베드는 사용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도록 모션베드의 상체 부분이 상승할 경우 사용자의 상체가 상승 및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가 모션베드의 하체측으로 밀려 내려가게 된다. 이 경우, 베개의 위치와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상체의 의복이 위로 밀려 올라가거나 사용자의 상체에 부착해 둔 의료장치 등이 이탈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5142호(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션베드의 상체 부분의 상승시에 사용자의 신체가 하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 베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모션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션베드는 사용자 및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복수 개로 분절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사용자의 하체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면서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바닥에 세워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시 신축되는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공간을 보충하는 보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프레임의 절곡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가 연결되는 돌출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는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링크가 연결되는 회동수직프레임과, 상기 회동수직프레임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수직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충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으로 배치되는 보충프레임과, 상기 보충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되 서로 연결되고 힌지회동하는 보충회동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수평이동시키면서 승강시키는 수평승강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수평승강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사용자의 하체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할 때에 사용자의 하체측으로 수평을 이루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승강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수평승강 구동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수평링크부재와, 상기 수평링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상기 수평링크부재를 승강시키는 헤드 회동부재와, 상기 수평링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헤드승강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링크부재는 상하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수직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회동부재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한 쌍의 헤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헤드 회동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링크부재에 연결되는 헤드회동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모션베드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체부분을 상승시킬 때에 사용자의 하체부분이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하여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하부로 밀려서 상체나 머리 부분의 위치가 밀려 내려가 사용자의 자세가 어긋나거나 베개와 머리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자세와 머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스마트 베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하체 부분의 지지플레이트가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할 때에 상체 부분의 지지플레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분절된 모션베드의 지지플레이트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모션베드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작동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션베드와 모션베드가 설치되는 스마트 베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션베드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션베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하강하여 각도를 이루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승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션베드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션베드는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모션베드만을 설치하는 모션베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션베드 시스템은 스마트 베개 어셈블리(1)와, 센서부(4)와,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베개 어셈블리(1)는 모션베드(2)에 설치되어 상기 모션베드의 동작과 연동하여 구동된다.
상기 모션베드(2)는, 복수의 서브 유닛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서브 유닛은 인접하는 서브유닛과의 접점에서 힌지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션베드(2)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제 1 서브유닛(2a)과, 사용자의 하체 중 허벅지 부분을 지지하는 제 2 서브유닛(2b)과, 사용자의 하체 중 무릎 이하를 지지하는 제 3 서브유닛(2c)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서브유닛(2a, 2b, 2c)으로 구획되어 설치되고, 상기 서브 유닛은 각각의 지지플레이트(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의 상부에는 모션베드의 매트리스(3)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4)는 베개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모션베드의 매트리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와, 상기 모션베드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스마트베개 어셈블리(1)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4c)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3 센서(4c)는 거리센서로 형성하여 상기 베개의 높이와 상기 모션베드의 각각의 서브 유닛의 높이와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션베드(2)는 지지플레이트(5)와, 프레임 유닛(210)과, 구동부(222)와, 회동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는 사용자 및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복수 개로 분절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 1 지지플레이트(5a)와, 사용자의 목과 상체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 2 지지플레이트(5b)와, 사용자의 상체의 허리 부분과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제 3 지지플레이트(5c)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 4 지지플레이트(5d)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플레이트는 서로 분절되어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후술하는 힌지부에 의해 서로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힌지부(216b)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프레임 유닛(2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 유닛(210)은 수평 지지프레임(211, 212)과, 수직 지지프레임(213)가, 횡방향 지지프레임(214)과, 지지프레임(2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수평 지지프레임(211)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중간 수평지지프레임(2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213)은 상기 모션베드의 길이방향의 양끝단에서 바닥에 세워 설치되며 높이 방향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중간 수평지지프레임이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214)은 상기 모션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좌우 양측의 상기 중간 수평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모션베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15)은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5d)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15)에는 후술하는 회동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를 승강 및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지지플레이트(5b)와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5c) 사이에는 보충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보충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5c)와 제 4 지지플레이트(5d)가 서로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할 때에, 상기 제 2 지지플레이트(5b)와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5c)가 신장되어 벌어질 때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들과의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공간을 보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충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으로 배치되는 보충프레임(216)을 포함하고, 상기 보충프레임의 하부에는 한 쌍의 링크부재가 상대적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충회동링크(216a)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플레이트(5b)와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5c)가 각각 세워지는 각도가 다를 때에 상기 링크부재가 서로 회동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는 구동부와 회동부재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상기 구동부(222)는,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회동프레임의 돌출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돌출바를 상기 모션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로 구동시킨다.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면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220)과, 회동링크(221)와, 돌출바(220c)와, 회동수직프레임(223)과, 승강가이드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220)은 ㅅ자 형상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동프레임(220)은, 일측은 길게 형성되는 제 1 회동프레임부(220a)와, 타측은 짧게 형성되는 제 2 회동프레임부(220b)를 포함하고, 절곡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의 상기 돌출부는 돌출바(220c)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돌출바(220c)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구동부의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돌출바가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회동프레임이 상기 절곡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의 하부에는 회동수직프레임(223)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수직프레임(223)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세워 설치된다.
상기 회동수직프레임(223)의 양측 끝단에는 승강가이드부(224)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224)는 일측은 상기 회동수직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중간 수평지지프레임 및 바닥 수평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예를 들면 볼 부쉬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수직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회동프레임부(220a)의 끝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15)이 연결되는 상기 회동링크(221)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동프레임부(220b0)의 끝단은 상기 회동수직프레임(223)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및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의 구동을 살펴보면, 상기 모션베드의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 부분이 상승될 때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상기 돌출바가 회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회동프레임이 회동된다. 상기 회동프레임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회동링크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수직프레임은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제 4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동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된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도 하향으로 경사져 이동하면서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와 제 3 지지플레이트는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 및 회동되고, 이로써 사용자의 상체가 상승할 때에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 및 제 4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어 하부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모션베드는 수평승강부를 더욱 구비한다.
상기 수평승강부는 제 1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와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하면, 평평한 상태에 비하여 제 1 지지플레이트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상기 모션베드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를 사용자의 하체측으로 수평을 이루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승강부는, 수평승강 구동부(232)와, 수평링크부재(217)와, 헤드 회동부재(230)와, 헤드승강가이드부(231)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승강 구동부(232)는,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헤드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모션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로 구동시킨다.
상기 헤드회동부재(230)은 ㅅ자 형상을 절곡되는 제 1 헤드회동프레임(230a)와 제 2 헤드회동프레임(230b)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헤드회동프레임(230a)은 헤드회동링크를 통해 상기 수평링크부재(217)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헤드회동프레임(230b)은 상기 수평승강 구동부에 연결된다.
상기 수평링크부재(217)는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1 수평부재(217a)와 상기 제 1 수평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수평부재(217c)와, 상기 제 1 수평부재와 상기 제 2 수평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링크(217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평부재(217c)에는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헤드승강가이드부(231)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승강가이드부(231)는 예를 들면 볼 부쉬 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수평가이드부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회동링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4 지지플레이트가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하강하면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도 이에 따라 경사를 이루면서 하향 구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승강 구동부가 구동되고, 상기 수평승강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회동부재가 회동되면, 상기 헤드회동부재에 연결된 헤드회동링크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헤드승강가이드부를 따라 상승하는 상기 수평링크부재는 하부의 제 2 수평부재는 상기 헤드승강가이드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평부재는 상기 수직링크를 따라 회동하면서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늘어난 상기 제 3 지지플레이트까지의 거리를 보상할 수 있다.
이로써, 하체 부분의 지지플레이트가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할 때에 상체 부분의 지지플레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분절된 모션베드의 지지플레이트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모션베드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작동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스마트 베개 어셈블리
2 : 모션베드
5 : 지지프레임
217 : 수평링크부재
220 : 회동프레임
222 : 구동부

Claims (8)

  1. 사용자 및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복수 개로 분절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사용자의 하체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면서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프레임의 절곡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가 연결되는 돌출바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링크가 연결되는 회동수직프레임과,
    상기 회동수직프레임의 양단에 연결되고 수평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수직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바닥에 세워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시 신축되는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공간을 보충하는 보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베드.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으로 배치되는 보충프레임과,
    상기 보충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되 서로 연결되고 힌지회동하는 보충회동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베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수평이동시키면서 승강시키는 수평승강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수평승강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사용자의 하체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각도를 이루면서 하강할 때에 사용자의 하체측으로 수평을 이루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베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승강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수평승강 구동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수평링크부재와,
    상기 수평링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승강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상기 수평링크부재를 승강시키는 헤드 회동부재와,
    상기 수평링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헤드승강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베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링크부재는, 상하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수직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회동부재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한 쌍의 헤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헤드 회동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링크부재에 연결되는 헤드회동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베드.


KR1020220137155A 2022-01-26 2022-10-24 모션베드 KR10256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155A KR102561170B1 (ko) 2022-10-24 2022-10-24 모션베드
PCT/KR2022/016403 WO2023146065A1 (ko) 2022-01-26 2022-10-26 모션베드 및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155A KR102561170B1 (ko) 2022-10-24 2022-10-24 모션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170B1 true KR102561170B1 (ko) 2023-08-08

Family

ID=8756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155A KR102561170B1 (ko) 2022-01-26 2022-10-24 모션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1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70B1 (ko) * 2006-05-12 2006-12-27 주식회사 해피베드 밀림방지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식 환자용 침대
KR200475142Y1 (ko) 2014-01-15 2014-11-10 김태엽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180047873A (ko) * 2016-11-01 2018-05-10 코웨이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링크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KR20180065408A (ko) * 2016-12-07 2018-06-18 코웨이 주식회사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70B1 (ko) * 2006-05-12 2006-12-27 주식회사 해피베드 밀림방지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식 환자용 침대
KR200475142Y1 (ko) 2014-01-15 2014-11-10 김태엽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180047873A (ko) * 2016-11-01 2018-05-10 코웨이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링크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KR20180065408A (ko) * 2016-12-07 2018-06-18 코웨이 주식회사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0784A (en) Adjustable articulated bed
US5392479A (en) Multipurpose sickbed
KR101227967B1 (ko)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US4535492A (en) Pillow bed mechanism
KR102561170B1 (ko) 모션베드
CN111481373A (zh) 一种护理床
KR101680870B1 (ko) 의료용 침대
KR101223769B1 (ko)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
JP6193607B2 (ja) ベッド装置
JP2003275061A (ja) ベッド
KR100619432B1 (ko) 환자 이송 침대
CN114081740A (zh) 一种三折翻身床垫
KR101805905B1 (ko)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KR20210102625A (ko) 의료용 전동 침대
JP3321134B2 (ja) 介護用ベット
CN218898973U (zh) 一种电动床腿部升降机构及电动床
JP2019198746A (ja) 寝台装置
KR200324936Y1 (ko)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
EP2873399B1 (en) Person support apparatus
CN216603332U (zh) 一种三折翻身床垫
KR102532369B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CN218607127U (zh) 一种安全系数高的护理床
CN114569320B (zh) 按摩装置
CN208065377U (zh) 一种利于病人处于特定姿势的护理床
CN108836673A (zh) 一种具有调整入便姿态的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