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905B1 -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905B1
KR101805905B1 KR1020160074613A KR20160074613A KR101805905B1 KR 101805905 B1 KR101805905 B1 KR 101805905B1 KR 1020160074613 A KR1020160074613 A KR 1020160074613A KR 20160074613 A KR20160074613 A KR 20160074613A KR 101805905 B1 KR101805905 B1 KR 10180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frame
connection
guide roll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우정
정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Priority to KR102016007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905B1/ko
Priority to PCT/KR2017/006223 priority patent/WO20172177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변환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변환 조절 장치는, 침대 프레임의 양 측에 구비되어 등받이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로서, 상기 침대 프레임과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 및 일측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가이드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DEVICE FOR POSTURE CHANGING CONTROL AND BED FRAME OF THE SAME}
본 발명은 자세 변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침대는 환자나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과 간호하는 사람의 편의를 위해 침대의 작동이 전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침대의 높낮이와 등받이 프레임의 각도가 전동으로 작동되며, 이를 위해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액츄에이터 및 작동 기구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등받이 프레임의 상승 작동 시, 허벅지나 다리가 위치한 부분의 침대 프레임도 함께 상승되면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는 등받이 프레임의 상승 동작 시, 사용자가 뒤로 쓸리거나 밀리는 문제점을 방지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침대 프레임의 구조상 해당 침대 프레임의 구조에 맞는 신체 조건이 아닌 사람이 이용할 경우, 등받이 프레임의 상승 동작 시, 여전히 밀리거나 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8510호(2014.05.16)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침대의 등받이 조절 시,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밀리거나, 침대와 맞닿는 부분이 쓸리거나, 사용자의 밀림이 발생하지 않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변환 조절 장치는, 침대 프레임의 양 측에 구비되어 등받이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로서, 상기 침대 프레임과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 및 일측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가이드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침대 프레임의 상승 동작 시, 상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침대 프레임의 하강 동작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끝단은 일측방향으로, 일측 끝단은 타측 방향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침대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같이 타측끝단은 일측방향으로, 일측 끝단은 타측 방향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변환 조절 장치는, 상기 침대 프레임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제1 연결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기 설정된 높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맞닿아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롤러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만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1 연결부 및 제1-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연결부 및 제1-2 연결부의 상단은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까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강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롤러의 높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대응되는 폭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폭이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점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침대 프레임의 등받이 프레임 조절 시, 사용자의 자세 변환 조절 장치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밀리거나 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변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자세 변환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의 각도 조절을 위한 자세 변환 조절부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과 자세 변환 조절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의 각도 조절을 위한 자세 변환 조절부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과 자세 변환 조절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의 각도 조절을 위한 자세 변환 조절부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과 자세 변환 조절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의 각도 조절을 위한 자세 변환 조절부의 작동도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변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변환 장치(100)는 지지부(102), 침대 프레임(104), 등받이 프레임(106) 및 자세 변환 조절부(108)를 포함한다.
자세 변환 장치(100)는 자세 변환 장치(1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구비되는 바, 이하에서는 자세 변환 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된 구성들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102)는 침대 매트리스(5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2)는 지면과 수평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102)의 상측에 위치되는 침대 매트리스(5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02)는 지지부(102)가 지면과 마주보는 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102-1)를 구비함으로써, 지면과 수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02-1)는 지지부(102)와 지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침대 프레임(104)은 지지부(102)에 위치되는 침대 매트리스(50)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대 프레임(104)은 지지부(102)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지지부(102)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침대 프레임(104)은 침대 매트리스(50)의 크기에 따라 길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침대 프레임(104)은 상기 침대 매트리스(50)의 양 측단면에 등받이 프레임(106)과 연결되기 위한 자세 변환 조절부(108)를 구비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06)은 상기 침대 프레임(104)의 측면에 구비된 자세 변환 조절부(108)의 동작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 프레임(106)은 침대 매트리스(50)에서 사용자의 머리부터 허리까지 닿는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침대 매트리스(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06)은 사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 프레임(106)은 상호 이격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등받이 측면 프레임(106a)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단부에서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등받이 연결 프레임(106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 변환 조절부(108)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세 변환 조절부(108)는 침대 프레임(104)의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세 변환 조절부(108)는 침대 프레임(104) 또는 침대 매트리스(50)에서 사용자의 허리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침대 프레임(100)은 자세 변환 조절부(108)가 사용자의 허리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침대 매트리스(50)의 각도가 조절 되도록 작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밀리거나 사용자의 몸이 침대 매트리스(50)에 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자세 변환 조절부(108)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자세 변환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세 변환 조절부(108)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12), 제1 연결부(114), 가이드 홀(116), 가이드 롤러(118), 제2 연결부(120) 및 동력 전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2)은 자세 변환 조절부(108)의 각 구성이 구비되는 프레임으로, 침대 프레임(104)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2)은 침대 매트리스(5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2)은 침대 프레임(104) 또는 침대 매트리스(50)에서 사용자의 허리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2)은 침대 프레임(104)과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침대 프레임(104)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2)은 침대 프레임(104)과 연결된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12)은 침대 프레임(104)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114)는 자세 변환 조절부(108)와 등받이 프레임(106)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는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 사이에 베이스 프레임(112)이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프레임(106)의 단부가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삽입된 등받이 프레임(106)과 고정 부재(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 등)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14)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측면 프레임(106-1)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의 일측 단부는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등받이 프레임(106)의 종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의 일측 단부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06)의 종단과 결합된 부분이 상호 연결되어 등받이 프레임(106)이 제1 연결부(114)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12)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12)의 가이드 홀(116)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의 타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 홀(116)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4)의 타측 단부 외면(즉, 가이드 홀(116)과 연결된 부분의 외면)은 후술하는 동력 전달부(122)와 연결되기 위해 돌출된 돌출부(114-3)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홀(116)은 베이스 프레임(112)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홀(116)은 베이스 프레임(112)의 하단부에서 베이스 프레임(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홀(116)은 베이스 프레임(112)의 일측 방향(즉, 제1 연결부(114)와 등받이 프레임(106)이 연결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홀(116)은 가이드 홀(116)에 연결된 제1 연결부(114)가 침대 프레임(1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가이드 홀(116)이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홀(116)은 베이스 프레임(112)의 일측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측 방향으로 경사가 증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 롤러(118)는 제1 연결부(114)와 가이드 홀(116)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롤러(118)는 가이드 홀(116)에 마련되어,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를 연결시킬 수 있다. 가이드 롤러(118)는 가이드 홀(116)을 이동하기 위한 롤러 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가이드 롤러(118)가 가이드 홀(116)을 이동함으로써, 가이드 롤러(118)와 연결된 제1 연결부(114)가 움직이게 되고, 제1 연결부(114)와 연결된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2 연결부(120)는 베이스 프레임(112)과 제1 연결부(114)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는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의 사이에 베이스 프레임(112) 및 제1 연결부(114)가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두 개의 면이 서로 대향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의 일측 단부는 각각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의 외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의 타측 단부는 각각 베이스 프레임(112)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1 연결부(120-1)의 일측 연결부(120-3) 및 제2-2 연결부의 일측 연결부(미도시)는 각각 제1-1 연결부(114-1) 및 제1-2 연결부(114-2)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고, 제2-1 연결부(120-1)의 타측 연결부(120-4) 및 제2-2 연결부의 타측부(미도시)는 각각 베이스 프레임(112)의 외측면 및 내측면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의 고정 결합 및 힌지 결합이 각각 이루어 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1 연결부(120-1) 및 제2-2 연결부는 상기 고정 결합 및 힌지 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2 연결부(120)는 베이스 프레임(112)와 힌지 결합되는 부분이 사용자의 허리가 위치하는 부분(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고관절이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0)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 조절 시, 베이스 프레임(112)과 연결된 힌지(120-7)가 힌지(120-7)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0)는 두 개의 면이 서로 대향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바, 이하에서는 제1 연결부(114)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제2-1 연결부(120-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2-1 연결부(120-1)는 일정 각도 휘어져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연결부(120-1)는 일측 연결부(120-3) 및 타측 연결부(120-4)가 일정 각도를 갖고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일측 연결부(120-3)는 제1-1 연결부(114-1)의 외면과 고정 결합된 위치에서 제1 연결부(114)의 타측 끝단(즉, 제1 연결부(114)가 가이드 홀(116)과 연결된 부분)방향으로 제1 연결부(114)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타측 연결부(120-4)는 타측 끝단 방향으로 형성된 일측 연결부(120-3)의 끝단부에서 상측으로 일정 각도를 갖고 기울어져, 베이스 프레임(112)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된 부분일 수 있다.
즉,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2 연결부(120)는 사용자의 허리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 조절 시, 제1 연결부(114)가 가이드 홀(116)을 따라 가이드되면, 제 2연결부(120)와 베이스 프레임(112)을 연결시키는 힌지(120-7)가 힌지(120-7)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를 통해, 등받이 프레임(106)과 제2 연결부(120)가 고정 결합된 부분은 일정 위치에서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 조절 시, 사용자가 밀리거나 침대 매트리스(50)에 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동력 전달부(122)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가 조절되기 위한 동력을 제1 연결부(114)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122)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가 조절되기 위한 동력을 구동부(미도시)로부터 받아, 이를 제1 연결부(114)에 구비된 돌출부(114-3)에 전달함으로써,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침대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전달부(122)는 구동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푸쉬-풀 와이어(PUSH-PULL WIRE) 등이 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22)는 자세 변환 장치(100)의 양 측면에 구비된 두 개의 제1 연결부(114)과 각각 연결되어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동력 전달부(122)는 침대 프레임(100)의 양 측면에 구비된 두 개의 제1 연결부(114)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제1 연결부(114)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의 상승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의 작동도이다.
도 3의 (a)는 등받이 프레임(106)이 상승 동작 되기 전(즉, 침대 매트리스(5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14)와 베이스 프레임(112)이 연결된 부분(즉, 제1 연결부(114)의 돌출부(114-3)가 위치한 부분)은 가이드 홀(116)의 타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14-3)는 제2 연결부(120)와 베이스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힌지(120-7)의 힌지(120-7) 축과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의 (b)는 등받이 프레임(106)이 일정 각도 상승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14)가 동력 전달부(1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가이드 홀(116)의 가이드에 따라 일측 방향(즉, 침대 매트리스(50)에서 사용자의 위치하게 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114)의 돌출부(114-3)가 위치한 부분은 상기 가이드 홀(116)의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제2 연결부(120)와 베이스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힌지(120-7)는 힌지(102-7)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도 3의 (c)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이 완료 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14)는 가이드 홀(116)을 따라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114)의 돌출부(114-3)가 위치한 부분은 상기 가이드 홀(116)의 일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20)와 베이스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힌지(120-1)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멈추게 된다.
도 3의 (d)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기 도 3의 (a), (b) 및 (c)와 같은 일련의 상승 동작에서 제1 연결부(114)와 제2 연결부(120)가 고정 결합된 부분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연결부(114)와 제2 연결부(120)가 고정 결합된 부분은 일정 위치에서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 조절 시, 제1 연결부(114)가 가이드 홀(118)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연결부(120)와 베이스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힌지(120-7)가 힌지(120-7)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2 연결부(120)가 제1 연결부(114)와 고정 결합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세 변환 장치(100)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 조절 시, 사용자가 밀리거나 침대 매트리스(50)에 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10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등받이 프레임(106)의 하강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108)는 상기 상승 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으로 등받이 프레임(106)의 하강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과 자세 변환 조절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되거나 또는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자세 변환 조절부(208)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12), 제1 연결부(214), 가이드 홀(216), 가이드 롤러(218), 제2 연결부(220) 및 동력 전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2)은 자세 변환 조절부(208)의 각 구성이 구비되는 프레임으로, 침대 프레임(104)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2)은 일측(구체적으로, 등받이 프레임(106)과 가까운 측) 상단 모서리에 후술하는 제2 연결부(220)가 연결되기 위한 홈(2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212-1)은 제2 연결부(220)가 베이스 프레임(212)에 제1 힌지(212-2)로 연결되는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212-1)은 윗변이 아랫변보다 길게 형성되고, 일측의 면이 직각인 사다리 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14)는 자세 변환 조절부(208)와 등받이 프레임(106)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1 연결부(214-1), 제1-2 연결부(214-2) 및 제1-3 연결부(21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214-1) 및 제1-2 연결부(214-2)는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1 연결부(214-1) 및 제1-2 연결부(214-2)는 베이스 프레임(212)에 삽입되도록 베이스 프레임(212)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214-1) 및 제1-2 연결부(214-2)는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바, 이하에서는 제1-1 연결부(214-1)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1-1 연결부(214-1)는 일측과 타측에 경사를 갖고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214-1)는 하측(즉, 지면과 가까운 측)이 상측(하측의 반대측)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 연결부(214-1)의 하측은 베이스 프레임(212)의 길이와 유사 또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214-1)의 일측(구체적으로, 등받이 프레임(106)과 가까운 측)은 타측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 연결부(214-1)의 상측은 제1-1 연결부(214-1)의 일측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 연결부(214-1)의 상측은 제1-1 연결부(214-1)의 일측과 타측에 경사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214-1) 및 제1-2 연결부(214-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12)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214-1) 및 제1-2 연결부(214-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212)의 가이드 홀(216)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214-1) 및 제1-2 연결부(214-2)의 타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 홀(216)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제1-3 연결부(214-3)는 상기 제1-1 연결부(214-1) 및 제1-2 연결부(214-2)의 상측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3 연결부(214-3)는 제1-1 연결부(214-1)와 제1-2 연결부(214-2)의 일측 끝 단부에서 상측 끝 단부까지(즉, 상측 끝 단부에서 타측으로 경사를 갖고 형성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제1-1 연결부(214-1)와 제1-2 연결부(214-2)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14)의 타측 단부 외면(즉, 가이드 홀(216)과 연결된 부분의 외면)은 후술하는 동력 전달부(222)와 연결되기 위해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20)는 베이스 프레임(212)과 제1 연결부(214)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220)는 제1 연결부(114)의 두 개의 평행한 면 외측(또는, 내측)에 제2 힌지(212-3)를 통해 힌지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면은 베이스 프레임(212)의 홈(212-1)에 제1 힌지(212-2)로 힌지 결합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1 연결부(214)과 베이스 프레임(21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힌지(212-3)는 제1 연결부(214)의 상단(구체적으로, 제1-3 연결부(214-3)와 가까운 부분)에 제1-1 연결부(214-1) 및 제1-2 연결부(214-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20)는 일정 각도 휘어져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220)는 사다리 꼴로 형성된 홈(212-1)의 빗변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220)는 베이스 프레임(212)의 상측면과 일정 기울기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2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2)의 상측면과 동일한 선 상에서 일정 기울기를 갖고 기울어진 형상을 갖게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의 상승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의 작동도이다.
도 5의 (a)는 등받이 프레임(106)이 상승 동작 되기 전(즉, 침대 매트리스(5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14)와 베이스 프레임(212)이 연결된 부분(즉, 제1 연결부(214)의 돌출부(214-3)가 위치한 부분)은 가이드 홀(216)의 타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가 조절되기 전에, 베이스 프레임(212)은 제1 연결부(214)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의 (b)는 등받이 프레임(206)이 일정 각도 상승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14)가 동력 전달부(2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가이드 홀(216)의 가이드에 따라 일측 방향(즉, 침대 매트리스(50)에서 사용자의 위치하게 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214)의 돌출부(214-3)가 위치한 부분은 상기 가이드 홀(216)의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제2 연결부(220)와 베이스 프레임(212)을 연결하는 제1 힌지(212-2)는 제1 힌지(212-2)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220)와 제1 연결부(214)를 연결하는 제2 힌지(212-3)는 제 2 힌지(212-3)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연결부(220)는 베이스 프레임(212)와 이루고 있는 각이 커지면서 제1 연결부(214)가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등받이 프레임(206)이 상승 되도록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c)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14)는 가이드 홀(216)을 따라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214)의 돌출부(214-3)가 위치한 부분은 상기 가이드 홀(216)의 일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의 (b)의 작용으로 인해 들어올려지는 제1 연결부(214)는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20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등받이 프레임(106)의 하강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208)는 상기 상승 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으로 등받이 프레임(106)의 하강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과 자세 변환 조절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되거나 또는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세 변환 조절부(308)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312), 제1 연결부(314), 가이드 홀(361), 가이드 롤러(318), 제2 연결부(320) 및 동력 전달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12)은 자세 변환 조절부(308)의 각 구성이 구비되는 프레임으로, 침대 프레임(104)과 같은 높이로 구비되고, 침대 프레임(104)과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4)는 자세 변환 조절부(308)와 등받이 프레임(106)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는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 사이에 베이스 프레임(312)이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는 베이스 프레임(312)에 삽입되도록 베이스 프레임(312)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의 일측 단부는 등받이 프레임(106)과 고정 부재(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 등)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의 일측 단부는 등받이 프레임(106)에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연결부(314)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측면 프레임(106-1)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312)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312)의 가이드 홀(361)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214-2)의 타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 홀(361)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제1-3 연결부(314-3)는 상기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의 상측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3 연결부(314-3)는 제1-1 연결부(314-1)와 제1-2 연결부(314-2)의 일측 끝 단부에서 후술하는 제2 연결부(320)가 베이스 프레임(312)에 힌지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제1-1 연결부(314-1)와 제1-2 연결부(314-2)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14)는 일측(또는 타측)의 내면에 제2 가이드 롤러(314-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314)는 후술하는 제2 연결부(320)에 마련된 제2 가이드 홀(320-3)의 가이드에 따라 이동되기 위한 제2 가이드 롤러(314-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롤러(314-4)는 제1 연결부(314)를 제2 가이드 홀(320-3)에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로, 제1-1 연결부(314-1) 및 제1-2 연결부(314-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드 롤러(314-4)는 가이드 롤러(318)가 가이드 홀(361)을 이동함에 따라, 제2 가이드 홀(320-2)에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314)의 타측 단부 외면(즉, 가이드 홀(216)과 연결된 부분의 외면)은 동력 전달부(322)와 연결되기 위해 돌출된 돌출부(314-3)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홀(361)은 베이스 프레임(312)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홀(361)은 베이스 프레임(312)의 하단부에서 베이스 프레임(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홀(361)은 베이스 프레임(312)의 일측 방향(즉, 제1 연결부(314)와 등받이 프레임(106)이 연결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홀(361)은 가이드 홀(361)에 연결된 제1 연결부(314)가 침대 프레임(1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홀(361)은 일측 방향 끝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 전달부(322)는 제1 연결부(314)가 가이드 홀(361)을 따라 가이드 될 때, 기 설정된 동력으로 제1 연결부(314)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는 베이스 프레임(312)과 제1 연결부(314)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가이드 홀(3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는 베이스 프레임(312)의 상단에 힌지(320-2)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힌지(320-2)는 제1-1 연결부(314-1)와 제1-2 연결부(314-2)의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320-2)는 가이드 홀(36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는 일정 각도 휘어져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320)는 일측 연결부(320-3) 및 타측 연결부(320-4)가 일정 각도를 갖고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각도 조절 장치(100)가 작동하기 전(즉, 침대 매트리스(50)가 평행한 상태), 일측 연결부(320-3)는 베이스 프레임(312)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타측 연결부(320-4)는 타측 끝단 방향으로 형성된 일측 연결부(320-3)의 끝단부에서 상측으로 일정 각도를 갖고 기울어져, 베이스 프레임(312)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측 연결부(320-3)에는 제2 가이드 홀(32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홀(320-1)은 제2 가이드 롤러(314-5)를 이용해 제1 연결부(314)와 제2 연결부(32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320)는 상기 가이드 홀(320-1)의 가이드 방향으로 제1 연결부(314)가 가이드 될 때, 상기 제2 가이드 롤러(314-5)가 상기 제1 가이드 홀(361)에 가이드 되면서 제2 가이드 홀(320-1)에도 가이드가 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의 상승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의 작동도이다.
도 7의 (a)는 등받이 프레임(106)이 상승 동작 되기 전(즉, 침대 매트리스(5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14)와 베이스 프레임(312)이 연결된 부분(즉, 제1 연결부(314)의 돌출부는 가이드 홀(361)의 타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320)의 일측 연결부(320-3)는 베이스 프레임(312)과 평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등받이 프레임(106)이 일정 각도 상승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14)가 동력 전달부(3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가이드 홀(361)의 가이드에 따라 일측 방향(즉, 침대 매트리스(50)에서 사용자의 위치하게 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가이드 롤러(314-4)도 가이드 홀(361)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때, 등받이 프레임(106)은 상기 가이드 홀(361)의 경사각에 따라 상승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다 제2 가이드 롤러(314-4)가 제2 가이드 홀(320-3)의 일측 끝단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등받이 프레임(106)은 상기 제2 가이드 롤러(314-4)와 제2 가이드 홀(320-3)이 맞닿은 부분의 회전 반경에 따라 상승 동작을 하게 된다. 즉, 등받이 프레임(106)은 상기 가이드 홀에 가이드 되는 제1 연결부(314) 및 제2 가이드 롤러(314-4)가 상기 가이드 홀(361)의 경사에 의해 상승력이 발생되어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의 (c)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이 완료 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14)는 가이드 홀(361)을 따라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314)의 돌출부가 위치한 부분은 상기 가이드 홀(361)의 일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이 완료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세 변환 조절부(308)는 10cm 이상의 높이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자세 변환 조절부(308)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도록 두 개의 가이드 홀(구체적으로, 가이드 홀(361) 및 제2 가이드 홀(320-3))에서 제1 연결부(314) 및 제2 가이드 롤러(314-4)가 구비됨으로써, 자세 변환 조절부(308)의 높이가 최소화 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30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등받이 프레임(106)의 하강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308)는 상기 상승 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으로 등받이 프레임(106)의 하강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과 자세 변환 조절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되거나 또는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자세 변환 조절부(408)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412), 제1 연결부(414), 가이드 롤러(416) 및 동력 전달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12)은 자세 변환 조절부(408)의 각 구성이 구비되는 프레임으로, 침대 프레임(104)과 같은 높이로 구비되고, 침대 프레임(104)과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412)은 양측 끝단이 침대 프레임(104)과 같은 높이로 구비되고, 베이스 프레임(412)은 양측 끝단을 제외한 끝단은 침대 프레임(104)의 높이보다 낮도록 경사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프레임(412)의 상측은 베이스 프레임(4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끝단은 일측방향으로, 일측 끝단은 타측 방향(즉, 양측 끝단에서 베이스 프레임(412)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12)은 측면에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416)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412)은 베이스 프레임(412)의 형상(구체적으로, 양측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에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412)의 끝단부에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416)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가이드 롤러(416)가 베이스 프레임(412)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롤러(416)는 베이스 프레임(412)의 양측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412)의 상측단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가이드 롤러(416-1)는 후술하는 제1 연결부(414)가 가이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롤러(416-1)는 기 설정된 높이(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제1 연결부(414)의 절곡면과 되응되는 폭)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베이스 프레임(412)의 측면에 맞닿아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가이드 롤러(416-1)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412)의 측면에 복수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롤러(416-1)는 원형 샤프트, 구름 베어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412)의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414)는 자세 변환 조절부(408)와 등받이 프레임(106)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는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 사이에 베이스 프레임(412)이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의 일측 단부는 등받이 프레임(106)과 고정 부재(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 등)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의 일측 단부는 등받이 프레임(106)에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연결부(414)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측면 프레임(106-1)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412)과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412)의 가이드 롤러(416)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의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즉, 등받이 프레임(106)과 연결되는 부분)는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414-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2)의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414-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2)의 형상과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4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 끝단은 일측 방향으로, 일측 끝단은 타측 방향(즉, 양측 끝단에서 베이스 프레임(412)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414-1)는 상기 가이드 롤러(416)를 따라 가이드 되도록 가이드부(414-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연결부(414-1)의 내측(즉, 베이스 프레임(412)과 마주보는 측)은 등받이 프레임(106)이 가이드 롤러(416-1)를 따라 가이드 되도록 가이드 롤러(416-1)에 대응하는 가이드부(41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414-1)는 베이스 프레임(412)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1 연결부(414-1)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롤러(416-1)의 높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형성되고, 등받이 프레임(106)과 연결되는 타측단에 가까워질수록 등받이 프레임(106)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14-3)는 가이드 롤러(416-1)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h)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14-3)의 상단 및 하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롤러(416-1)에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412)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14-3)의 상단 및 하단은 가이드 롤러(416-1)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가이드 롤러(416-1)에 접촉되어 등받이 프레임(106)이 가이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14-3)의 상단 및 하단은 가이드 롤러(416-1)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단 및 하단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끝단이 베이스 프레임(412)에 접촉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2 연결부(414-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2)의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연결부(414-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2)의 형상과 대응하고, 상기 제1-1 연결부(414-1)와 대응되어 양측 끝단이 침대 프레임과 같은 높이로 구비되고, 양측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세 변환 조절부(408)의 제1-1 연결부(414-1) 내측(즉, 베이스 프레임(412)과 마주보는 측)에 가이드부(414-3)가 설치되어 가이드 롤러(416)를 따라 가이드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 연결부(414-2)에만 가이드 롤러가 형성되거나, 제1-1 연결부(414-1) 및 제1-2 연결부(414-2) 양측에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자세 변환 조절부(408)가 가이드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등받이 프레임(106)은 베이스 프레임(412)이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412)의 일측면(구체적으로, 외측면)에 가이드 롤러(416)가 베이스 프레임(412)의 상측단에 형성된 상기 하강 곡선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416)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부(413-3)를 통해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 시, 제1-1 연결부(414-1)의 타측단 외측과 연결된 동력 전달부(418)가 제1 연결부(414)를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당기는 힘에 의해 제1 연결부(414)는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제1 연결부(414)에 마련된 가이드부(414-3)는 상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강하다 상승하는 곡선을 갖고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412)의 상단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된 가이드 롤러(416-1)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자세 변환 조절부(408)는
자세 변환 조절부(408)는 상기 동력 전달부(418)에서 제1 연결부(414)를 당기는 힘을 가이드 롤러(416-1)의 회전과 베이스 프레임(412)의 곡선 형상을 통해 등받이 프레임(106)을 상승시키는 힘으로 바꿈으로써 등받이 프레임(106)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의 상승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의 작동도이다.
도 9의 (a)는 등받이 프레임(106)이 상승 동작 되기 전(즉, 침대 매트리스(5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414)와 베이스 프레임(412)이 연결된 부분은 가이드 홀(361)의 타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9의 (b)는 등받이 프레임(106)이 일정 각도 상승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414)가 동력 전달부(41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가이드 롤러(416)의 가이드에 따라 일측 방향(즉, 침대 매트리스(50)에서 사용자의 위치하게 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때, 등받이 프레임(106)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412)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각에 따라 상승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의 (c)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이 완료 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414)는 가이드 롤러(416)을 따라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414)와 동력 전달부(418)가 연결된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412)의 일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이 완료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등받이 프레임(106)의 상승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40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등받이 프레임(106)의 하강 동작 시, 자세 변환 조절부(408)는 상기 상승 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으로 등받이 프레임(106)의 하강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 침대 매트리스
100 : 자세 변환 장치
102 : 지지부
102-1 : 지지대
104 : 침대 프레임
106 : 등받이 프레임
106a : 측면 프레임
106b : 등받이 연결 프레임
108, 208, 308, 408 : 자세 변환 조절부
112, 212, 312, 412 : 베이스 프레임
212-1 : 홈
212-2 : 제1 힌지
114, 214, 314, 414 : 제1 연결부
114-1, 214-1, 314-1, 414-1 : 제1-1 연결부
114-2, 214-2, 314-2, 414-2 : 제1-2 연결부
114-3 : 돌출부
116, 216, 361 : 가이드 홀
118, 218, 318, 416 : 가이드 롤러
120, 220, 320 : 제2 연결부
120-1 : 제2-1 연결부
120-3, 320-3 : 일측 연결부
120-4, 320-4 : 타측 연결부
120-7 : 힌지
122, 222, 322, 418 : 동력 전달부
214-3, 314-3 : 제1-3 연결부
320-3 : 제2 가이드 홀
320-4 : 제2 가이드 롤러

Claims (10)

  1. 침대 프레임의 양 측에 구비되어 등받이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로서,
    상기 침대 프레임과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일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맞닿아 회전 가능한 복수의 가이드 롤러; 및
    일측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고, 곡선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상기 가이드 롤러에 접촉되는 가이드부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의 가이드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가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침대 프레임의 상승 동작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침대 프레임의 하강 동작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동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끝단은 일측방향으로, 일측 끝단은 타측 방향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침대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같이 타측끝단은 일측방향으로, 일측 끝단은 타측 방향으로 하강 곡선을 갖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환 조절 장치는,
    상기 침대 프레임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제1 연결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1 연결부 및 제1-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연결부 및 제1-2 연결부의 상단은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까지 연결되어 형성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 방향은, 상기 가이드 롤러의 높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방향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대응되는 폭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폭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점 넓게 형성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에 고정되는 침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지면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자세 변환 조절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5 및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세 변환 조절 장치가 장착되는, 침대 프레임.
KR1020160074613A 2016-06-15 2016-06-15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KR10180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13A KR101805905B1 (ko) 2016-06-15 2016-06-15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PCT/KR2017/006223 WO2017217774A1 (ko) 2016-06-15 2017-06-15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13A KR101805905B1 (ko) 2016-06-15 2016-06-15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905B1 true KR101805905B1 (ko) 2017-12-07

Family

ID=6066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13A KR101805905B1 (ko) 2016-06-15 2016-06-15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5905B1 (ko)
WO (1) WO2017217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4133A (zh) * 2020-10-22 2021-01-29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核磁共振检测用体位调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676B1 (ko) * 2000-11-11 2003-02-26 송인성 매트리스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건강침대
US6763536B2 (en) 2000-04-11 2004-07-20 Cimosys Ag Motor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the upholstery of a piece of furniture that is used for sitting and/or laying upon
US7036166B2 (en) 2001-03-27 2006-05-02 Hil-Rom Service, Inc. Hospital be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526B1 (ko) * 2014-04-22 2014-09-15 최영숙 병원침대
KR101809934B1 (ko) * 2015-12-24 2017-12-18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3536B2 (en) 2000-04-11 2004-07-20 Cimosys Ag Motor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the upholstery of a piece of furniture that is used for sitting and/or laying upon
KR100372676B1 (ko) * 2000-11-11 2003-02-26 송인성 매트리스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건강침대
US7036166B2 (en) 2001-03-27 2006-05-02 Hil-Rom Service, Inc. Hospital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774A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6617B2 (ja) ベッド装置
US20160361218A1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Including Person Repositioning Assemblies
TWI722171B (zh) 斜倚式床
JP2010508101A (ja) 調節可能なヘッドレストを有する介護ベッド
KR101809934B1 (ko)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KR101805905B1 (ko)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KR101680870B1 (ko) 의료용 침대
KR20140003301A (ko) 의료용 침대의 등판작동시스템
JP6193607B2 (ja) ベッド装置
CN112206477A (zh) 一种下肢康复理疗设备
CN110974596B (zh) 一种按摩椅框架结构
JP6668179B2 (ja) 足ボトム支持構造および寝台装置
KR20120109216A (ko) 전동식 요양용 침대
CN205612693U (zh) 联动式牙科治疗椅
KR20140027726A (ko) 전동 침대용 높이 조절 장치
KR102561170B1 (ko) 모션베드
KR101686952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US20230363962A1 (en) Automated patient turner system
JP2017070440A (ja) 寝台装置
EP2873399A1 (en) Person support apparatus
CN219049270U (zh) 按摩床设备
WO2018171104A1 (zh) 提升机构
KR101510817B1 (ko)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WO2021051797A1 (zh) 一种支撑结构及包括支撑结构的轮椅
KR101444400B1 (ko)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