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400B1 -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400B1
KR101444400B1 KR1020120093671A KR20120093671A KR101444400B1 KR 101444400 B1 KR101444400 B1 KR 101444400B1 KR 1020120093671 A KR1020120093671 A KR 1020120093671A KR 20120093671 A KR20120093671 A KR 20120093671A KR 101444400 B1 KR101444400 B1 KR 10144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version
zone
electric bed
le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728A (ko
Inventor
하정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2009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4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2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00)와 모드 변환 브라켓(200) 간의 개선된 결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편리한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는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100)와,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100)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독립된 구역이 형성된 모드 변환 브라켓(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MODE CONVERTING APPARATUS FOR ELECTRIC BED}
본 발명은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에 대한 모드 변환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침대는 환자나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과 간호하는 사람의 편의를 위해 침대의 작동이 전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침대의 높낮이와 등받이부의 각도 및 다리 지지부의 각도 등이 전동으로 작동되며, 이를 위해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액츄에이터 및 작동 기구가 설치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동 침대의 경우 다리 지지부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때, 다리 지지부가 두 가지 모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종래의 경우 모드 변환시 사용자 또는 설치자가 다리 지지부를 한 손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머리를 다리 지지부 하측으로 이동시켜 다리 지지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부재의 연결 구성을 응시하면서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지지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모드 변환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모드 변환이 손쉽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모드 변환 브라켓 간의 개선된 결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편리한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는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리 지지부의 자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독립된 구역이 형성된 모드 변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에는 상기 다리 지지부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다리 지지부가 제1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1 모드용 구역과, 상기 다리 지지부가 제2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2 모드용 구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모드용 구역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 판넬과, 이 하부 판넬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판넬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모드용 구역은 상기 상부 판넬의 절곡된 위치에 형성된 공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에는 상기 제1 모드용 구역과 제2 모드용 구역을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에는 모드 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드용 구역과 제2 모드용 구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변환 유도 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 유도 블록의 측면 중 상기 통로의 일부를 이루는 측면은 상기 통로의 크기가 하측으로 내려갈 수록 점점 커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 유도 블록의 상면에는 모드 변환시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2 모드용 구역으로 도입되도록 유도하는 경로 유도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다리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 암과, 이 회동 암의 자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와, 상기 회동 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모드용 구역 또는 제2 모드용 구역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한 쌍의 위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 지지부의 자유단부 상측에는 모드 변환을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따르면, 다리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모드 변환 브라켓 간의 개선된 결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편리한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의 특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제1 모드용 구역에 지지 부재의 단부가 위치된 경우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가 제1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제2 모드용 구역에 지지 부재의 단부가 위치된 경우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가 제2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제1 모드용 구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변환 유도 블록의 상면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변환 유도 블록의 상면에서 제2 모드용 구역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제2 모드용 구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변환 유도 블록의 상면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변환 유도 블록의 상면에서 제1 모드용 구역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제2 모드용 구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모드용 구역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의 특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제1 모드용 구역에 지지 부재의 단부가 위치된 경우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가 제1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제2 모드용 구역에 지지 부재의 단부가 위치된 경우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가 제2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는 지지 부재(100)와, 모드 변환 브라켓(200)을 포함하며, 모드 변환을 위한 손잡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0)는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다리 지지부(2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다리 지지부(20)에 대한 지지 각도를 변화시켜 다리 지지부(20)의 모드 형상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다리 지지부(20)는 도시된 것처럼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2단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무릎지지판(21)과 다리지지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부재(100)는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리지지판(21)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 부재(10)는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다리지지판(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 암(110)과, 이 회동 암(110)의 자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120)와, 상기 회동 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1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블록(130)이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200)에 형성되는 특정 구역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때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모드가 변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130)은 마찰 계수가 적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활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원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블록(130)은 로울러 등의 구름 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상기 지지 블록(130)은 상기 연결 바(120)의 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 암(110)의 자유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 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연결 바(12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회동 암(110)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 상측 즉, 상기 다리지지판(22)의 단부 상측에는 모드 변환을 위한 손잡이(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손잡이(300)는 전동 침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의 밀림 방지 기능도 갖는다.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200)은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모드 형상을 변환할 때, 상기 지지 부재(100)의 단부 즉, 상기 지지 블록(130)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별도의 특정 구역들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100)가 상기 다리 지지부(20)를 변화된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200)은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내측부에 마주보도록 한 쌍이 설치되며, 부 프레임(1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 판넬(230)과, 이 하부 판넬(2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판넬(24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판넬(240)의 일측은 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 판넬(230)에 접촉되어 하부 판넬(230)과 상부 판넬(240) 사이의 일측을 폐쇄하며, 타측은 하 방향을 향해 "ㄴ"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 판넬(230)과 상부 판넬(240) 사이의 공간부는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다리 지지부(20)가 제1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1 모드용 구역(210)을 구성하고, 상기 상부 판넬(240)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확보되는 공간부는 상기 다리 지지부(20)가 제2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2 모드용 구역(220)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드 형상이라함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동 침대의 액츄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해 들어올림 암(40)이 회동하여 다리 지지부(2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경우 다리 지지부(20)의 무릎지지판(21)과 다리지지판(22) 및 상부 프레임(10)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러한 제1 모드 형상은 전동 침대를 일반적으로 사용할 경우 활용되는 모드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제2 모드 형상이라함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동 침대의 액츄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해 들어올림 암(40)이 회동하여 다리 지지부(2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경우 다리 지지부(20)의 무릎지지판(21)과 다리지지판(22) 및 상부 프레임(10)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지지판(22)이 대략적으로 상부 프레임(10)과 평행하게 되는 형상을 말하며, 이러한 제2 모드 형상은 전동 침대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리 환자일 경우 활용되는 모드 형상이다.
한편, 상기 제1 모드용 구역(210)과 제2 모드용 구역(220)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1 모드용 구역(210)과 제2 모드용 구역(220)을 연통하는 통로(250)가 형성되며, 모드 변환시 상기 통로(250)를 통해 상기 지지 부재(100)의 지지 블록(130)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드 변환 브라켓(200)에는 모드 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드용 구역(210)과 제2 모드용 구역(22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변환 유도 블록(2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 판넬(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하부 판넬(230)과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은 상부 프레임(10)의 내측면과 더불어 대략의 직방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ㄷ"자 단면을 갖는 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의 측면 중 상기 통로(250)의 일부를 이루는 측면(261)은 상기 통로(250)의 크기가 하측으로 내려갈 수록 점점 커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상부 판넬(240)의 단부와 인접한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262) 단부가 가급적 상기 상부 판넬(240)에 근접하도록 하여 모드 변환시 지지 부재(100)의 지지 블록(130)이 통로(25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하지 않고 제2 모드용 구역(220)에 제대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262)에는 모드 변환시 상기 지지 부재(100)의 단부 즉, 상기 지지 블록(130)이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모드용 구역(220)으로 점프하듯 이동될 때, 포물선 경로를 그리며 이동되도록 하는 경로 유도 돌기(26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블록(130)의 점프하듯 이동하는 구간의 수평 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블록(130)이 통로(25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하는 상황은 더욱더 방지될 수 있게 되어 모드 변환시 상기 지지 블록(130)이 제1 모드용 구역(210)으로 잘못 위치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되,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4를 부분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를 이용한 모드 변환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제1 모드용 구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에서 제2 모드용 구역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제2 모드용 구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에서 제1 모드용 구역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가 모드 변환을 위해 제2 모드용 구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모드용 구역에 위치되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100)의 지지 블록(130)이 제1 모드용 구역(210)에 위치된 상태일 때, 다리 지지부(20)는 도 3에 도시된 제1 모드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때, 모드 변환을 위해 지지 부재(100)에 설치된 손잡이(300)를 이용하여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를 들어주면 이에 따라 지지 부재(100)의 회동 암(110)이 회동하게 되고, 회동 암(110)의 단부에 위치한 지지 블록(130)은 도시된 화살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에 위치된다.
지지 블록(130)이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일 때, 지지 부재(100)에 설치된 손잡이(300)를 이용하여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에 하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면 지지 부재(100)의 회동 암(110)이 회동하게 되고, 회동 암(110)의 단부에 위치한 지지 블록(130)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경로를 따라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으로부터 제2 모드용 구역(220)으로 점프하듯 이동하면서 제2 모드용 구역(220)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다리 지지부(20)는 도 4에 도시된 제2 모드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에 형성된 경사진 측면(261)으로 인해 변환 유도 블록(260)과 제2 모드용 구역(220)을 형성하는 상부 판넬(240) 사이에 형성된 통로(250)의 수평 길이가 단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지지 블록(130)이 점프하듯 이동될 때 통로(25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하지 않고 제2 모드용 구역(220)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262)에 형성된 경로 유도 돌기(263)로 인해 상기 지지 블록(130)이 점프하듯 이동될 때 포물선 경로를 그리며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지지 블록(130)의 점프하듯 이동하는 구간의 수평 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블록(130)이 통로(25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하는 상황은 더욱더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적용된 지지 부재(100)의 지지 블록(130)이 제2 모드용 구역(220)에 위치된 상태일 때, 다리 지지부(20)는 도 4에 도시된 제2 모드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때, 모드 변환을 위해 지지 부재(100)에 설치된 손잡이(300)를 이용하여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를 들어주면 이에 따라 지지 부재(100)의 회동 암(110)이 회동하게 되고, 회동 암(110)의 단부에 위치한 지지 블록(130)은 도시된 화살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에 위치된다.
지지 블록(130)이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일 때, 지지 부재(100)에 설치된 손잡이(300)를 이용하여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에 하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되, 지지 블록(130)이 통로(25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지지 블록(130)은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모드용 구역(21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 블록(130)이 하부 판넬(230)에 접촉하게 될 때, 다리 지지부(20)의 자중에 의해 회동 암(110)이 회동하면서 지지 블록(130)은 도시된 화살표 경로를 따라 하부 판넬(23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러면 다리 지지부(20)는 도 3에 도시된 제1 모드 형상으로 유지된다.
한편, 제2 모드 형상에서 제1 모드 형상으로의 모드 변환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블록(130)이 제2 모드용 구역(220)에서 제1 모드용 구역(210)으로 바로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드 변환을 위해 지지 부재(100)에 설치된 손잡이(300)를 이용하여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를 들어주되, 상기 지지 블록(130)이 변환 유도 블록(260)의 경사진 측면(261)에 접촉될 때까지는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를 들어주고, 이후,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가 하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손잡이(30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지지 블록(130)은 하부 판넬(230)에 접촉하게 되고, 이후, 다리 지지부(20)의 자중에 의해 회동 암(110)이 회동하면서 지지 블록(130)은 도시된 화살표 경로를 따라 하부 판넬(23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위와 같은 모드 변환은 상기 손잡이(300)를 한손으로만 잡은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본 발명의 모드 변환 방식은 종래의 경우처럼 한 손으로 다리 지지부(2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지지 부재(100)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드 변환 방식과 비교할 때 사용자 또는 설치자에게 더욱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에 따르면, 다리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모드 변환 브라켓 간의 개선된 결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편리한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 상부 프레임 20 : 다리 지지부
100 : 지지 부재 110 : 회동 암
120 : 연결 바 130 : 지지 블록
200 : 모드 변환 브라켓 210 : 제1 모드용 구역
220 : 제2 모드용 구역 230 : 하부 판넬
240 : 상부 판넬 250 : 통로
260 : 변환 유도 블록 263 : 경로 유도 경로 유도 돌기

Claims (10)

  1.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100);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100)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독립된 구역이 형성된 모드 변환 브라켓(200);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200)에는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다리 지지부(20)가 제1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1 모드용 구역(210)과, 상기 다리 지지부(20)가 제2 모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2 모드용 구역(220)이 형성되며,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200)에는 모드 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드용 구역(210)과 제2 모드용 구역(22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변환 유도 블록(2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용 구역(210)은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 판넬(230)과, 이 하부 판넬(2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판넬(240)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용 구역(220)은 상기 상부 판넬(240)의 절곡된 위치에 형성된 공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 브라켓(200)에는 상기 제1 모드용 구역(210)과 제2 모드용 구역(220)을 연통하는 통로(2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의 측면 중 상기 통로(250)의 일부를 이루는 측면(261)은 상기 통로(250)의 크기가 하측으로 내려갈 수록 점점 커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환 유도 블록(260)의 상면(262)에는 모드 변환시 상기 지지 부재(100)의 단부가 상기 제2 모드용 구역(220)으로 도입되도록 유도하는 경로 유도 돌기(26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00)는 상기 다리 지지부(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 암(110)과, 이 회동 암(110)의 자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120)와, 상기 회동 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모드용 구역(210) 또는 제2 모드용 구역(220)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한 쌍의 위치 블록(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부(20)의 자유단부 상측에는 모드 변환을 위한 손잡이(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KR1020120093671A 2012-08-27 2012-08-27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KR10144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671A KR101444400B1 (ko) 2012-08-27 2012-08-27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671A KR101444400B1 (ko) 2012-08-27 2012-08-27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728A KR20140027728A (ko) 2014-03-07
KR101444400B1 true KR101444400B1 (ko) 2014-09-29

Family

ID=5064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671A KR101444400B1 (ko) 2012-08-27 2012-08-27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49B1 (ko) * 2018-02-06 2018-07-09 (주)퍼맥스 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627A (ja) 2008-03-03 2009-09-17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足ボトムの支持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627A (ja) 2008-03-03 2009-09-17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足ボトムの支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728A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969B2 (en) Bed apparatus
KR20170129183A (ko) 벽 근접 가구 부재 리클라이닝 기구
EP2428197B1 (en) Apparatus including a device for transferring a patient from a bed to the chair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JP5000710B2 (ja) 手術台の案内装置
US20100156160A1 (en) Seat structure
KR101708454B1 (ko) 환자용 평면 이동침대
TW201315412A (zh) 床裝置
JP6722668B2 (ja) 介助ロボット
TWI551766B (zh) 移動門用的腳輪框(二)
KR101444400B1 (ko)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JP6505410B2 (ja) 移動式テーブル
JP6337371B2 (ja) 電動ベッド
JP5304440B2 (ja) 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の駆動装置
KR20140027726A (ko) 전동 침대용 높이 조절 장치
JP6668179B2 (ja) 足ボトム支持構造および寝台装置
KR101809934B1 (ko) 자세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프레임
KR20180047873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링크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JP2014204896A (ja) ベッド装置
JP2006061257A (ja) 移動テーブル
JP6440068B2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JP3149869U (ja) 移動式流し台
KR101513713B1 (ko) 의료용 전동 의자 높이 조절 장치
JP2015202380A (ja) ベッド
JP3357344B2 (ja) 上下昇降式講演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