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17B1 -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817B1
KR101510817B1 KR20140048192A KR20140048192A KR101510817B1 KR 101510817 B1 KR101510817 B1 KR 101510817B1 KR 20140048192 A KR20140048192 A KR 20140048192A KR 20140048192 A KR20140048192 A KR 20140048192A KR 101510817 B1 KR101510817 B1 KR 10151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lifting
bracke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혁
배주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4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메인프레임을 바닥에 근접한 높이에서부터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초저상화를 구현함과 더불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가정 등의 좁은 문을 통과하여 원하는 장소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는, 바닥에 놓여지는 2개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선형구동기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와;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삽입홈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에 걸쳐져 승강프레임의 승강 운동을 프레임지지대에 전달하는 와이어 및; 끝단부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지지대의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지지대와 함께 승강 운동하는 제1메인프레임 및 제2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메인프레임 및 제2메인프레임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Knockdownable Low-floor Electrically-adjustable Bed}
본 발명은 침대의 높낮이를 전동식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의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메인프레임을 바닥에 근접한 위치에서부터 일정 높이까지 승강시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오르내릴 수 있거나 간병인이 환자를 편리하게 돌볼 수 있는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전동침대는 고령자 또는 환자의 생활 및 간병을 지원하는데 유용한 기기이다. 특히 승강기능은 침대의 메트리스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오르거나 내리기 쉽게 하고, 간병인들이 환자를 돌볼 때 유용한 기능으로, 좌식생활을 하는 한국의 가정에서는 침대의 메트리스 지지판이 바닥에 가까이 있으면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도 침대에 오를 수 있고, 낙상 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간병을 위한 높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침대의 메트리스 지지판이 바닥까지 내려가는 초저상침대는 고령자 및 환자의 생활 및 간병에 유용하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76660호와 등록특허 제10-0339486호 등에는 모터와 풀리, 모터와 X자형 링크를 이용하여 침대의 매트리스 높이를 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침대의 승강장치들은 모터와 같은 구동기구들이 침대의 중앙식 하부에 배치되어 침대의 높이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어 저상화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전동식 침대를 가정에서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립식 구조를 구현하여 손쉽게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여야 하지만 기존의 전동식 침대는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하여 가정의 좁은 문을 통과해서 실내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376660호(등록일자 2014년03월14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의 구동장치 및 구성요소" 등록특허 제10-0339486호(등록일자 2002년05월22일) "침대 승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의 매트리스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메인프레임을 바닥에 근접한 높이에서부터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초저상화를 구현함과 더불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가정 등의 좁은 문을 통과하여 원하는 장소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는, 바닥에 놓여지는 2개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선형구동기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와;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삽입홈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에 걸쳐져 승강프레임 및 도르래의 승강 운동을 프레임지지대에 전달하는 와이어 및; 끝단부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지지대의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지지대와 함께 승강 운동하는 제1메인프레임 및 제2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메인프레임 및 제2메인프레임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운동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부가 침대의 머리판과 발판 부분에 해당하는 양쪽 끝부분에 구성되므로 제1,2메인프레임의 승강 높이를 바닥에 거의 맞닿는 높이까지 낮출 수 있어 초저상화가 가능하며, 도르래를 이용한 승강메커니즘으로 프레임지지대를 승강시키므로 승강 구조물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메인프레임을 서로 조립이 가능한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고, 승강구동부인 프레임지지대에 간편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요양원, 병원 등의 좁은 문을 통해서도 쉽게 드나들 수 있게 되고, 원하는 장소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의 메인프레임을 프레임지지대에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로, 메인프레임이 프레임지지대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의 측면도로, 도 4는 메인프레임의 높이가 최저로 조절된 상태이고, 도 5는 메인프레임의 높이가 최고로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의 정면도로, 도 6은 메인프레임의 높이가 최저로 조절된 상태이고, 도 7은 메인프레임의 높이가 최고로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의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의 메인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연결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의 메인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가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의 메인프레임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연결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를 나타낸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는 바닥에 놓여지는 2개의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20)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선형구동기(40)와, 상기 승강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30)와,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삽입홈(51)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지지대(50)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지지대(50)에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30)에 걸쳐져 승강프레임(20)의 승강 운동을 프레임지지대(50)에 전달하는 와이어(32)와, 끝단부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지지대(50)의 삽입홈(5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는 끼움부(61a, 62a)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프레임지지대(50)에 연결되는 제1메인프레임(61) 및 제2메인프레임(62)과, 상기 제1메인프레임(61) 및 제2메인프레임(62)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양측부에는 바닥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캐스터휠(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승강프레임(20)과 프레임지지대(5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이 실시예에서 2개)의 가이드부재(12)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2)는 원형봉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이외에도 공지의 가이드레일과 같은 가이드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승강프레임(20)은 서로 이격된 2개의 판상 부재로 구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가이드부재(1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가이드보스(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중앙부는 상기 선형구동기(40)에 연결되어 선형구동기(4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부재(12)를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프레임(20)을 승강시키기 위한 선형구동기(40)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로드(42)와, 상기 모터(41)의 동력을 승강로드(42)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변환부는 기어와 스크류축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선형구동기(40)는 볼스크류와 모터, 또는 벨트와 풀리와, 체인과 스프로켓, 랙&피니언 기어 등 공지의 선형운동 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르래(30)는 2개가 승강프레임(20)의 양측 단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프레임(2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도르래(30)에 걸쳐진 와이어(32)는잘 연신되지 않는 금속 재질의 케이블이나 로프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프레임(2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장력을 프레임지지대(50)에 전달하여 프레임지지대(50)가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지지대(50)는 직육방체 형태를 가지며, 양측 단부 하측에 상기 제1메인프레임(61) 또는 제2메인프레임(62)의 끼움부(61a, 62a)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삽입홈(51)과 끼움부(61a, 62a)에는 볼트나 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지지대(50)는 상기 가이드부재(12)를 따라 승강하는 가이드보스(52)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프레임(20)과 함께 가이드부재(12)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프레임(20)과 프레임지지대(50)가 동일한 가이드부재(12)를 공유하여 승강 운동하게 되면, 구성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승강프레임(20)과 프레임지지대(50)의 승강 운동시 부드럽고 원활한 승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지지대(50)는 상기 도르래(30)에 걸쳐진 와이어(3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승강프레임(20) 및 도르래(30)의 승강 거리의 2배의 거리로 승강 운동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지지대(50)의 양측에는 상기 와이어(32)의 다른 일단부,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연결되는 부분이 통과하는 관통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지지대(50)의 양측 단부 상부면에는 역 'U'자형의 난간프레임(55)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은 대략 'ㄷ'자 형태를 갖도록 되어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이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프레임지지대(50)의 삽입홈(51)에 끼워지는 끼움부(61a, 62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 상에는 침대 매트리스가 안착되어 지지되는데,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환자의 자세를 원하는 대로 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지의 자세전환기구(8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이 서로에 대해 조립 및 분리 가능함과 더불어 프레임지지대(50)에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면,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프레임(10)-프레임지지대(50)-승강프레임(20)-선형구동기(40) 등이 구성된 승강구동부와, 상기 제1메인프레임(61) 및 제2메인프레임(62)이 서로 접철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좁은 문도 쉽게 통과할 수 있으며, 운반과 보관도 용이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이 연결되는 끝단부 각각에는 다각형 형태의 결합홈(6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65)에는 연결수단인 연결바아(70)가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연결바아(70)가 제1메인프레임(61)의 결합홈(65)과 제2메인프레임(62)의 결합홈(65)에 삽입된 후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의 연결 부분 각각에는 상기 결합홈(65) 내측으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제1볼트체결공(63)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아(70)에는 상기 제1볼트체결공(63)과 대응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볼트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아(70)가 결합홈(65)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볼트체결공(63) 및 제2볼트체결공(미도시)을 통해 볼트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제1,2메인프레임(61, 62)이 프레임지지대(50)와 분리된 상태에서 제1메인프레임(61)의 끝단부의 결합홈(65)에 연결바아(70)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제1메인프레임(61)의 끼움부(61a)를 프레임지지대(50)의 삽입홈(51)에 삽입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제2메인프레임(62)의 끝단부의 결합홈(65)에 연결바아(70)의 나머지 부분을 끼워서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을 연결한 다음, 제1,2메인프레임(61, 62)의 제1볼트체결공(63)과 연결바아(70)의 제2볼트체결공(미도시)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제1,2메인프레임(61, 62)을 단단히 결합시킨다. 이어서 제2메인프레임(62)의 끼움부(62a)를 다른 한 프레임지지대(50)의 삽입홈(51)에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러한 침대의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순서는 반드시 상술한 순서대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즉, 제1,2메인프레임(61, 62)을 2개의 프레임지지대(50)에 먼저 연결한 다음, 제1,2메인프레임(61, 62)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고, 제1,2메인프레임(61, 62)을 먼저 연결한 다음 제1,2메인프레임(61, 62)을 2개의 프레임지지대(50)에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1,2메인프레임(61, 62) 상호 간의 결합과 제1,2메인프레임(61, 62) 및 프레임지지대(50) 간의 결합을 통해 침대의 프레임 구조체가 모두 조립되면, 상기 제1,2메인프레임(61, 62) 상에 자세전환기구(80)를 추가로 조립하면 침대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침대의 매트리스 높이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 선형구동기(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선형구동기(40)를 작동시키면, 선형구동기(40)의 승강로드(42)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승강프레임(20)이 가이드부재(12)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 또는 하강 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20)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승강프레임(20)의 도르래(30)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도르래(30)의 와이어(32)에 연결된 프레임지지대(50) 및 제1,2메인프레임(61, 62)이 도르래의 원리에 의해 승강프레임(20)의 행정거리의 2배의 행정거리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메인프레임(61)과 제2메인프레임(6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다각형의 연결바아(70)로 이루어졌으나, 도 11 및 도 12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수단이 상기 제1메인프레임(6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양측부에 제1체결공(74)이 형성된 체결편(73)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1브라켓(71)과, 상기 제1브라켓(71)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핀(72)과, 상기 제2메인프레임(62)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핀(72)이 삽입되는 장공형의 절개홈(76)과 상기 제1체결공(74)과 대응하는 제2체결공(77)이 형성되어 있는 제2브라켓(75) 및, 상기 제1체결공(74) 및 제2체결공(77)을 통해 삽입되면서 제1브라켓(71)과 제2브라켓(75)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나 스크류,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71)은 일측부가 대략 U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메인프레임(61)의 일단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며, 다른 일측부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75)과 포개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수단을 이용한 제1,2메인프레임(61, 62)의 연결 과정을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브라켓(71)이 제1메인프레임(61)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브라켓(75)을 제2메인프레임(62)에 고정시킨 다음, 제1브라켓(71)의 가이드핀(72)과 제2브라켓(75)의 절개홈(76)을 정렬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72)이 제2브라켓(75) 절개홈(76)에 삽입되도록 제1메인프레임(61) 또는 제2메인프레임(62)을 서로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제2브라켓(75)이 제1브라켓(71)과 포개어지면서 연결된다. 이어서, 제1브라켓(71)의 제1체결공(74)과 제2브라켓(75)의 제2체결공(77)을 통해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하면 제1브라켓(71)과 제2브라켓(75)이 단단히 상호 고정되면서 제1,2메인프레임(61, 62)이 연결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는 승강 운동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부가 침대의 머리판과 발판 부분에 해당하는 양쪽 끝부분에 구성되므로 제1,2메인프레임(61, 62)의 승강 높이를 바닥에 거의 맞닿는 높이까지 낮출 수 있어 초저상화가 가능하며, 도르래(30)를 이용한 승강메커니즘으로 프레임지지대(50)를 승강시키므로 승강 구조물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메인프레임을 서로 조립이 가능한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고, 승강구동부인 프레임지지대(50)에 간편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요양원, 병원 등의 좁은 문을 통해서도 쉽게 드나들 수 있게 되고, 원하는 장소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 : 베이스프레임 12 : 가이드부재
20 : 승강프레임 22 : 가이드보스
30 : 도르래 32 : 와이어
40 : 선형구동기 41 : 모터
42 : 승강로드 50 : 프레임지지대
51 : 삽입홈 52 : 가이드보스
55 : 난간프레임 61 : 제1메인프레임
62 : 제2메인프레임 61a, 62a : 끼움부
70 : 연결바아 71 : 제1브라켓
72 : 가이드핀 73 : 체결편
74 : 제1체결공 75 : 제2브라켓
76 : 절개홈 77 : 제2체결공
80 : 자세전환기구

Claims (7)

  1. 바닥에 놓여지는 2개의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20)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선형구동기(40)와;
    상기 승강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30)와;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삽입홈(51)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지지대(50)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지지대(50)에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30)에 걸쳐져 승강프레임(20) 및 도르래(30)의 승강 운동을 프레임지지대(50)에 전달하는 와이어(32)와;
    끝단부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지지대(50)의 삽입홈(5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는 끼움부(61a, 6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지지대(50)와 함께 승강 운동하는 제1메인프레임(61) 및 제2메인프레임(62) 및;
    상기 제1메인프레임(61) 및 제2메인프레임(62)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메인프레임(6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양측부에 제1체결공(74)이 형성된 체결편(73)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1브라켓(71)과, 상기 제1브라켓(71)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핀(72)과, 상기 제2메인프레임(62)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핀(72)이 삽입되는 장공형의 절개홈(76)과 상기 제1체결공(74)과 대응하는 제2체결공(77)이 형성되어 있는 제2브라켓(75) 및, 상기 제1체결공(74) 및 제2체결공(77)을 통해 삽입되면서 제1브라켓(71)과 제2브라켓(75)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부재(12)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20) 및 프레임지지대(50)는 상기 가이드부재(12)를 따라 승강 운동하도록 가이드부재(1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프레임(61) 및 제2메인프레임(62)은 'ㄷ'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40048192A 2014-04-22 2014-04-22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KR10151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192A KR101510817B1 (ko) 2014-04-22 2014-04-22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192A KR101510817B1 (ko) 2014-04-22 2014-04-22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17B1 true KR101510817B1 (ko) 2015-04-10

Family

ID=5303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8192A KR101510817B1 (ko) 2014-04-22 2014-04-22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943A (ko) * 2019-06-05 2020-12-15 김후영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175A (ja) 1999-07-21 2001-02-06 Kansai Seisakusho:Kk 電動低床式昇降ベッド
JP2003339478A (ja) * 2002-05-24 2003-12-02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JP2004147887A (ja) 2002-10-31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ベッド
JP2004290267A (ja) * 2003-03-25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機構を備えたベ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175A (ja) 1999-07-21 2001-02-06 Kansai Seisakusho:Kk 電動低床式昇降ベッド
JP2003339478A (ja) * 2002-05-24 2003-12-02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JP2004147887A (ja) 2002-10-31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ベッド
JP2004290267A (ja) * 2003-03-25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機構を備えたベッ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943A (ko) * 2019-06-05 2020-12-15 김후영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KR102197221B1 (ko) 2019-06-05 2020-12-31 김후영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8983B2 (ja) ベッド装置
JP5444223B2 (ja) 無段階に高さ調節可能な乳児用マットレス支持体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1781495B1 (ko) 도수치료장치
KR100960094B1 (ko)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US20150000034A1 (en) Electrically Elevated Baby Crib
KR101510817B1 (ko)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CN108498097A (zh) 一种核磁共振用检查床
US10617218B2 (en) Method for adjusting mattresses into an operating position and mechanism for performing said method
KR20120092484A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승하강 구조
JP6668179B2 (ja) 足ボトム支持構造および寝台装置
CN108903242A (zh) 一种升降桌
US3271795A (en) Hi-low frame for hospital bed
EP3989902A1 (en) Adjustable pedestal structure of the bed
JP2018015067A (ja) ベッド柵
KR200481575Y1 (ko) 전동수동겸용 병원침대 전동전환장치
WO1998020829A1 (en) A suspension system, and a height-adjustable bed incorporating the suspension system
CN220046335U (zh) 一种多功能电动护理超低床
CN202908989U (zh) 电动护理床
JP2015019755A (ja) 介護用リフター
CN211658434U (zh) 辅助如厕装置
CN114795731B (zh) 一种医学全科护理用康复护理床
JP6114094B2 (ja) ベッド装置
CN215193213U (zh) 人体转移机构
KR100950561B1 (ko) 리프트장치
CN111134922A (zh) 辅助如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