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221B1 -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221B1
KR102197221B1 KR1020190066484A KR20190066484A KR102197221B1 KR 102197221 B1 KR102197221 B1 KR 102197221B1 KR 1020190066484 A KR1020190066484 A KR 1020190066484A KR 20190066484 A KR20190066484 A KR 20190066484A KR 102197221 B1 KR102197221 B1 KR 10219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tient
bed
base fram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943A (ko
Inventor
김후영
Original Assignee
김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후영 filed Critical 김후영
Priority to KR102019006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221B1/ko
Priority to PCT/KR2020/003991 priority patent/WO2020246693A1/ko
Publication of KR2020013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84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ventilating means, e.g. mattress or cushion with ventilating holes or venti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가 개시된다.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는, 내부가 메시(mesh) 구조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난간이 형성됨; 상기 각각의 난간을 통해 고정되는 그물 부재; 및 상기 난간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 부재의 조절에 의해 상기 그물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가 감김에 따라 상기 그물 부재가 공중으로 부양될 수 있다.

Description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Patient bed for bathing}
본 발명은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용 침대(50)은 승하강 가능한 보호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 가이드 사이에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시트가 재치되어 있다. 이러한 환자용 침대를 의료 기관에서 이용하는 경우, 의료 기관의 입원실 출입문이 환자용 침대보다 크게 설계되어 이동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재가 보호 환자의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동시켜 목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침대 너비보다 방문 사이즈가 작아 침대 자체를 이동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환자용 침대 자체에 물빠짐을 위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환자 이동 없이 침대 위에서 목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0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1999-0038988호(1999.06.05)
본 발명은 환자 이동 없이 환자가 침대에 위치된 상태에서 목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욕창 방지를 위해 환자의 신체 일부분에 통풍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메시(mesh) 구조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난간이 형성됨; 상기 각각의 난간을 통해 고정되는 그물 부재; 및 상기 난간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 부재의 조절에 의해 상기 그물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가 감김에 따라 상기 그물 부재가 공중으로 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확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샤프트 부재에 의해 접합되되, 상기 샤프트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소정 각도로 굽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손잡이와 보조 바퀴 부재가 포함되되,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보조 바퀴 부재는 폴딩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바퀴 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되, 쿠션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매트; 및 상기 베이스 매트 상면에 배치되는 기능성 매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물 부재는 상기 기능성 매트 위에 배치되되, 환자가 상기 그물 부재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절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가 감김에 따라 상기 그물 부재는 상기 기능성 매트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공중 부양될 수 있다.
상기 확장 프레임의 저면에는 대칭 구조로 지지 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은 바퀴 부재가 연결되되, 상기 바퀴 부재는 바퀴 잠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는 물받이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 부재는 하부로 경사를 가지며 하부가 좁도록 형성되되, 하부에 고인 물은 배출 부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으로써, 환자 이동 없이 환자가 침대에 위치된 상태에서 목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욕창 방지를 위해 환자의 신체 일부분에 통풍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공중 부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공중 부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손잡이 및 보조 바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바퀴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상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공중 부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공중 부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손잡이 및 보조 바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바퀴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상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베이스 매트(120), 기능성 매트(130) 및 그물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침대의 몸체를 구성하며, 외주면을 제외한 내부 구조는 메시(mesh)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난간(111a, 111b)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좌측 및 우측에도 환자 보호를 위한 보호 프레임이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1 내지 도 9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침대의 기본 몸체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0)은 침대 및 침대 위에 눕는 환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튼튼한 재질로 구성되면, 철재, 알루미늄, 강화 플라스틱 등 그 재질에는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110)의 재질은 별도로 제한이 없으나, 환자가 침대에 위치하는 경우 환자를 수용한 상태로 변형 없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10)이 철재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침대에 있는 상태에서 환자를 별도로 이동시키지 않고, 침대 자체를 이동하여 환자 목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10)은 외주면을 제외한 내부면은 물이 잘 배수될 수 있도록 메시(mesh) 구조로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이 메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환자가 침대에 위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이동 없이 침대를 이용하여 화장실 등으로 이동하여 목욕하는 경우 물이 베이스 프레임(110) 하부로 빠지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베이스 매트(120)가 위치된다. 베이스 매트(120)는 쿠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매트(120)는 일반적인 매트리스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베이스 매트(120)는 복수로 분할된 서브 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환자의 목욕을 위해 침대 이동시, 베이스 매트(120)는 침대에서 분리되는 구성으로, 베이스 매트(120)를 손쉽게 침대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복수로 분할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베이스 매트(120)의 상면에는 기능성 매트(130)가 배치된다. 기능성 매트(130)는 욕창 방지 매트와 같은 특수 기능이 구비된 매트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매트(130)의 형상은 매우 다양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능성 매트(130)가 욕창 방지 매트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기능성 매트(130)는 욕창 방지 매트 이외에도 환자 돌봄을 위한 특정 기능을 포함하는 매트인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매트(130)는 일 예를 위해 도시된 것일 뿐, 반드시 환자용 침대에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환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반드시 베이스 매트(120) 위에 기능성 매트가 놓여질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매트(120) 및 기능성 매트(130)는 환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비 가능한 구성으로, 환자용 침대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베이스 매트(120) 및 기능성 매트(130)의 구성대로 반드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물 부재(140)는 환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분을 공중 부양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그물 부재(140)의 양단에는 결합 부재가 형성되며, 결합 부재(141a, 141b)는 침대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난간(111a, 111b)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 부재(160a, 160b)에 걸리며 고정 부재(160a, 160b)를 관통하여 침대의 난간 또는 베이스 프레임(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된 조작 부재(170)에 연결된다. 결합 부재(141a, 141b)는 예를 들어, 끈과 같은 줄 형태일 수 있다. 즉, 결합 부재(141a, 141b)는 그물 부재(140)를 당기고 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물 부재(140)의 공중 부양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결합 부재(141a, 141b)는 고정 부재(160a, 160b)에 걸린 상태로 고정 부재(160a, 160b)를 관통하기 때문에 난간에 걸린 상태로 조작 부재(17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작 부재(170)의 조절에 의해 결합 부재(141a, 141b)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그물 부재(140)가 공중에 부양하는 정도가 결정되게 된다(도 5 참조).
결합 부재(141a, 141b)가 조작 부재(170)의 조절에 의해 감김에 따라 그물 부재(140)는 공중 부양하게 되며, 그물 부재(140)와 베이스 매트(120) 및 기능성 매트(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침대 위에 환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환자를 별도 이동하지 않고서도 그물 부재(140)의 공중 부양에 의해 생성된 공간에 의해 손쉽게 베이스 매트(120)와 기능성 매트(130)를 침대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는 결합 부재(141a, 141b)가 그물 부재(140)의 양단의 중심부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 부재(141a, 141b)는 그물 부재(140)의 양단의 모서리 부분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170)를 조작함에 따라 그물 부재(140)의 양단 모서리에 결합된 결합 부재(141a, 141b)가 당겨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평소 환자가 침대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물 부재(140)는 베이스 매트(120) 또는 기능성 매트(130) 상면에 펼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환자를 이동하거나 욕창 방지를 위해 환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상체)를 베이스 매트(120) 또는 기능성 매트(13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 부재(170)를 조절하는 경우 조작 부재(170)에 연결된 결합 부재(141a, 141b)가 감기며 그물 부재(140)가 당겨짐으로 인해 환자의 적어도 신체 일부가 공중 부양되게 된다.
다시 정리하면, 평소에는 그물 부재(140)는 베이스 매트(120) 또는 기능성 매트(130)의 상위에 놓여지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조작 부재(170)의 조작에 따라 그물 부재(14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감기는 경우 그물 부재(140)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매트(120) 또는 기능성 매트(130)와 이격되어 공중 부양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환자의 적어도 신체 일부가 베이스 매트(120) 또는 기능성 매트(130)와 떨어지게 되며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되여 욕창 방지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물 부재(140)는 각각 양단에 지지대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가 그물 부재(14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됨에 따라 조작 부재(170)의 조작에 따라 그물 부재(14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감겨서 그물 부재(140)가 부양되는 경우 그물 부재(140)의 좌우 모서리가 들어 올려짐에 따라 환자가 안정적으로 등을 기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환자의 목욕을 위해 침대를 이동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면, 조작 부재(170)의 조작에 따라 그물 부재(14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가 각각 감기며 그물 부재(140)가 공중으로 부양되어 환자의 신체 또한 공중 부양 상태가 된다.
그물 부재(140)에 의해 환자가 공중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물에 젖으면 안 되는 베이스 매트(120)와 기능성 매트(130)를 침대(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베이스 매트(120)와 기능성 매트(130)가 침대(100)에서 제거된 상태에서 조작 부재(170)의 조작에 따라 그물 부재(140)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가 풀리며 그물 부재(140)는 베이스 프레임(110) 위에 놓여진 상태가 되며, 환자도 그물 부재(140)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침대를 목욕 가능한 위치(화장실)로 이동시켜 환자를 목욕시킬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장기간 돌보는 간병인 또는 가족들이 목욕을 위해 환자를 직접 일으켜 이동시키는 것은 체력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일이며, 간병인 또는 가족들이 환자 돌봄을 힘들게 하는 이유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100)는 환자를 이동시키지 않고, 그물 부재(140)를 통해 환자를 공중 부양시켜 베이스 매트(120) 및 기능성 매트(130)를 간편하게 침대에서 분리시킨 후 침대 자체를 그대로 목욕 가능한 공간(예를 들어, 화장실 등)으로 이동시켜 환자 목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베이스 프레임(110)이 접히지 않는 단일 면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베이스 프레임(110)은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접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20)의 접합면은 샤프트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샤프트 부재가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부 프레임(310)이 하부 프레임(320)을 대향하여 굽어지게 된다. 이에, 화장실 등으로 환자를 이동시키는 경우, 환자가 베이스 프레임(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310)을 올림으로써 환자가 앉은 상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베이스 프레임(110)과 확장 프레임에 대해 상부 프레임이 함께 올라가고 내려가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0)만 상부 프레임이 올라가고 내려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0)이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2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같이 세분화되어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부 프레임은 중간 프레임을 대향하여 제1 방향으로 굽히며, 하부 프레임은 중간 프레임의 저면을 대항하여 제2 방향으로 굽힐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즉, 중간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부 프레임은 상단이 올라가는 방향으로 굽어지며, 하부 프레임은 하단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굽힐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부 프레임(310)의 저면에는 손잡이(610)와 보조 바퀴 부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손잡이(610) 및 보조 바퀴 부재(620)는 기본 상태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 폴딩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부 프레임이 올려지는 경우 손잡이(610) 및 보조 바퀴 부재(620)는 펼쳐질 수 있다(도 7 참조). 여기서, 보조 바퀴 부재(62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일단이 폴딩 가능한 구조로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며, 타단은 보조 바퀴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이 올려진 상태에서, 보조 바퀴 부재(620)를 펼치는 경우, 보조 바퀴 부재(620)에 형성된 지지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보조 바퀴 부재(620)에 형성된 지지부는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이를 펼침으로써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도 8 참조).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프레임이 올려진 상태에서 그물 부재(140)의 일부가 당겨져 환자의 상체가 공중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띄워진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0)만 위치된 상태에서 그물 부재(140)의 일부가 당겨짐에 따라 환자의 상체 일부만 공중으로 띄워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 위에 베이스 매트(120)와 기능성 매트(130)가 위치된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를 통해 환자의 등 부분에 통풍이 잘되도록 함으로써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310)은 헤드 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헤드 프레임(미도시)은 머리를 받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환자 목욕시 머리를 받친 상태에서 샴푸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31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10), 헤드 프레임(미도시) 등의 최대 회전 이동 각도는 90도 일 수 있으며, 90도 범위 이내에서 상부 프레임(310)과 헤드 프레임(미도시)의 회전 이동 각도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 측면으로 확장 프레임(910)이 각각 형성된다. 확장 프레임(91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 저면으로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으로 확장 프레임(910)이 수용된 형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침대의 프레임보다 가정집 문틀의 가로 사이즈가 더 크다. 따라서, 환자가 일상 생활을 하는 침대를 환자 이동 없이 이동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00)는 환자가 일상 생활시 불편함이 없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확장 프레임(910)을 확장시켜 생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목욕 등을 이유로 환자를 이동시키는 경우, 환자가 침대에 있는 상태에서 침대를 그대로 이동 가능하도록 확장 프레임(910)을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문을 통과하도록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 프레임(910)의 가로 사이즈는 예를 들어, 10~ 20cm 일 수 있으며, 세로 사이즈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세로 사이즈와 동일하게 형성될수 있다.
다만, 확장 프레임(9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은 소정의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장 프레임(910)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확장 프레임(910)의 가장 높은 위치인 상면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의 높이와 동일하므로, 해당 높이만큼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환자는 베이스 프레임(110) 및 확장 프레임(910) 위에서 생활하는 것이 아니며, 베이스 매트(120)와 기능성 매트(130)가 베이스 프레임(110)과 확장 프레임(91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단차로 인한 일상 생활의 불편의 거의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확장 프레임(910)의 하부에는 바퀴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프레임(910)의 양 단부에 각각 바퀴 부재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퀴 부재는 침대의 이동뿐만 아니라 침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장 프레임(910)의 양 단부에 대칭으로 지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630)의 일단은 확장 프레임(910) 의 저면 일부와 결합되며, 지지 부재(630)의 타단은 바퀴 부재(64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퀴 부재(640)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이동 없이 침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100)는 환자가 침대를 이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환자 이동 없이 목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용 침대(100)의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확장 프레임(910)을 밀어 넣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 수용시킴으로써 침대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어, 환자용 침대(100)에 구비된 조작 부재(170)를 조절하여 그물 부재를 들어 올림으로써 환자를 소정 높이만큼 공중 부양할 수 있다. 그물 부재(140)에 의해 환자가 공중 부양됨에 따라 베이스 매트(120) 및 기능성 매트(130)와 환자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 매트(120)와 기능성 매트(130)를 침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어, 조작 부재(170)를 다시 조절하여 그물 부재(140)를 풀어 내림으로써 환자를 베이스 프레임(110)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로 환자용 침대를 이동하여 환자를 목욕시킬 수 있다. 물론,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프레임(310)의 상단이 들어 올리도록 들어 올림으로써 상부 프레임(310)이 굽히며 환자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 환자용 침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310) 저면에 형성된 손잡이(610)를 펼쳐 보다 편하게 침대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부 프레임(310)이 들어 올려져 굽힘으로써 중심이 달라져 침대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310)의 저면에 형성된 보조 바퀴 부재(620)를 펼쳐 중심을 잡아줄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310)이 올려짐에 따라 펼쳐지는 보조 바퀴 부재(62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는 물받이 부재(150)가 더 위치될 수 있다. 물받이 부재(15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0) 저면에 걸릴 수 있으며, 해당 물받이 부재(150)는 목욕이 완료된 후 베이스 프레임(110) 등 침대에서 떨어지는 물을 모으기 위한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경사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받이 부재(150)의 하부에 고인 물은 배출 부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물받이 부재(150)가 하나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받이 부재(150)는 복수로 구획된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침대가 상단이 접히는 구조인 경우, 물받이 부재(150)는 상부 물받이 부재와 하부 물받이 부재로 나누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물받이 부재와 하부 물받이 부재는 각각 배출 부재를 포함하며, 상부 물받이 부재와 하부 물받이 부재의 배출 부재는 종단에서 하나로 통합되어 통합 배출 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부 물받이 부재의 배출 부재로 상부 물받이 부재의 물이 고이며, 하부 물받이 부재의 배출 부재로 하부 물받이 부재로 낙수된 물이 고이게 되고, 하부 물받이 부재와 상부 물받이 부재의 배출 부재로 각각 고인 물은 종단의 통합 배출 부재로 흐르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물받이 부재는 침대의 폴딩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획 공간으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침대
110: 베이스 프레임
120: 베이스 매트
130: 기능성 매트
140: 그물 부재

Claims (8)

  1. 내부가 메시(mesh) 구조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난간이 형성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로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확장 프레임;
    상기 각각의 난간을 통해 고정되는 그물 부재; 및
    상기 난간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 부재의 조절에 의해 상기 그물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가 감김에 따라 상기 그물 부재가 공중으로 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확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샤프트 부재에 의해 접합되되,
    상기 샤프트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소정 각도로 굽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손잡이와 보조 바퀴 부재가 포함되되,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보조 바퀴 부재는 폴딩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바퀴 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되, 쿠션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매트; 및
    상기 베이스 매트 상면에 배치되는 기능성 매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물 부재는 상기 기능성 매트 위에 배치되되, 환자가 상기 그물 부재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절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가 감김에 따라 상기 그물 부재는 상기 기능성 매트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공중 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레임의 저면에는 대칭 구조로 지지 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은 바퀴 부재가 연결되되, 상기 바퀴 부재는 바퀴 잠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는 물받이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 부재는 하부로 경사를 가지며 하부가 좁도록 형성되되, 하부에 고인 물은 배출 부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 부재의 양단에는 가로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KR1020190066484A 2019-06-05 2019-06-05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KR10219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84A KR102197221B1 (ko) 2019-06-05 2019-06-05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PCT/KR2020/003991 WO2020246693A1 (ko) 2019-06-05 2020-03-24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84A KR102197221B1 (ko) 2019-06-05 2019-06-05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943A KR20200139943A (ko) 2020-12-15
KR102197221B1 true KR102197221B1 (ko) 2020-12-31

Family

ID=7365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84A KR102197221B1 (ko) 2019-06-05 2019-06-05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7221B1 (ko)
WO (1) WO2020246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588B1 (ko) * 2021-01-15 2024-01-24 이진희 환자용 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98A (ja) * 2000-02-10 2001-08-14 Yuji Ikeno 介護用ベット
KR101510817B1 (ko) 2014-04-22 2015-04-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US20160220434A1 (en) 2014-03-11 2016-08-04 Luping Li Extendable hospital bed
JP2019000729A (ja) 2011-12-24 2019-01-10 飯田 一喜 入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911Y2 (ko) * 1989-02-21 1991-09-09
JPH087854Y2 (ja) * 1993-12-20 1996-03-06 明伸興産株式会社 入浴介護用三点セット
KR100256926B1 (ko) 1997-11-08 2000-05-15 장재호 환자용 침대
KR20010087012A (ko) * 2000-03-06 2001-09-15 박승부 욕조 겸용 침대
KR100752479B1 (ko) * 2005-10-06 2007-08-27 서효석 욕조가 달린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98A (ja) * 2000-02-10 2001-08-14 Yuji Ikeno 介護用ベット
JP2019000729A (ja) 2011-12-24 2019-01-10 飯田 一喜 入浴装置
US20160220434A1 (en) 2014-03-11 2016-08-04 Luping Li Extendable hospital bed
KR101510817B1 (ko) 2014-04-22 2015-04-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943A (ko) 2020-12-15
WO2020246693A1 (ko)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408A (en) Apparatus for lifting invalids
EP2560523B1 (en) Crib
ES2610227T3 (es) Dispositivo elevador de cama
JPH09500803A (ja) 患者用ベッド
US20060000017A1 (en) Ramp and rail system for a child's crib or bed
TW202100122A (zh) 照護裝置
KR102197221B1 (ko)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US1218519A (en) Bed-frame.
KR102289619B1 (ko) 휠체어 탈부착식 침대
JP3967751B2 (ja) 万能スライド座椅子
KR101814284B1 (ko)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간이 욕조
JP4409382B2 (ja) 鉄道車両の優先席ガード装置
CN101933867B (zh) 一种救护车用折叠椅
JPH09290004A (ja) 患者載せ台せり出し介助車椅子並びに患者 載せ台せり出しストレッチャー
JP2740835B2 (ja) 折畳み式格納型柵を備えた小児用ベッド
EP4017450A1 (en) Extension of patient support deck
JPH0852179A (ja) 寝たきり患者用入浴装置を備えるベッド
CN215274015U (zh) 一种方便行动困难患者使用的防护式病床
JPS601650Y2 (ja) 寝台用転落防止装置
KR101954648B1 (ko) 이동식 리프트 장치
JP3066615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を備えた昇降ベツド
JP4384705B1 (ja) 建物
KR100721936B1 (ko) 이불거치대가 내설된 공동주택 발코니 난간
JPS5822614Y2 (ja) ベツド
JPH1119140A (ja) 介護用昇降台車及び介護用入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