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648B1 - 이동식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648B1
KR101954648B1 KR1020170083568A KR20170083568A KR101954648B1 KR 101954648 B1 KR101954648 B1 KR 101954648B1 KR 1020170083568 A KR1020170083568 A KR 1020170083568A KR 20170083568 A KR20170083568 A KR 20170083568A KR 101954648 B1 KR101954648 B1 KR 10195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support
support frame
supporting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088A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6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근처의 바닥을 지지하여 무게 중심을 잡아, 환자를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식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기둥부; 및 상기 지지기둥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환자를 이동시켜 주는 리프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리프트 장치{MOVABLE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이동식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 근처의 바닥을 지지하여 무게 중심을 잡아, 환자를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식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와 같이 자력으로 의자나 앉거나 침대에 눕기 어려운 사람들을 의자 또는 침대와 같은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장애인을 안아 올려야 하므로 보호자에게는 큰 힘이 요구되며, 특히 차량이나 열차 또는 비행기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공간상의 제약을 크게 받기 때문에 보호자에게 보다 큰 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장애인을 손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장애인용 리프트가 요구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장애인의 복지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열차나 항공기와 같은 탑승시설을 비롯하여 관공서,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곳에서 이러한 장애인 탑승리프트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5273호(2013.12.19 등록)는 이동식 환자 리프트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지면에 지지되며 캐스터가 형성되어 이동 가능한 받침대와, 받침대의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외팔보 형태로 수평으로 결합되는 붐대와, 붐대의 일단에 결합되며 환자가 안착되는 행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가격이 저렴하고 안정적이며 미세조정이 가능하며 하나의 리프트로 침대, 휠체어, 화장실, 욕조, 자동차 등을 사용하는데 다양한 용도로 이용이 가능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91521호(2007.12.27 등록)는 이동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 장소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동식 장애인용 리프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지면에 놓이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몸체를 지면에 수직상태로 지지하는 고정지지프레임과, 고정지지프레임측으로 수평회동되도록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몸체를 지면에 수직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회동지지프레임과, 몸체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 하향 회동되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상부로부터 끼움 결합되어 수직바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브라켓 및 회동브라켓에 힌지결합된 리프트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리프트 장치는, 운용 시에는 침대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지만, 보관 시에는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 외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활용이 편리하지만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도 가능하면서도 보관 시에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 이외에 별도의 추가적인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이동식 리프트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527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9152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 근처의 바닥을 지지하여 무게 중심을 잡아, 환자를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식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필요한 경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도, 보관 시에는 침대와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더라도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 이외에 추가적인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이동식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기둥부; 및 상기 지지기둥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환자를 이동시켜 주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의 일측에 회동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재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1보조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기둥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기둥부는, 상기 지지기둥부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기둥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리프트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기둥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부재; 일측이 상기 지지바부재에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지지기둥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부재의 회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실린더부재; 및 상기 지지바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부재가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 견인용 안장에 앉은 환자를 들어 올려주기 위한 리프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지지바부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되는 보조조절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프레임부재;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2보조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 근처의 바닥을 지지하여 무게 중심을 잡아, 환자를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식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침대와 가까운 곳에 휠체어를 위치시켜 휠체어에 타고 있는 환자를 침대로 빠르게 옮기거나 침대에 누운 환자를 휠체어에 빠르게 이동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또한, 일반적인 종래의 리프트 장치는, 바닥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잡기 어려웠으며, 이에 장치가 넘어지고, 환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으나, 침대 근처부분의 바닥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환자를 이동시킬 시에, 환자의 무게 등으로 인해 장치가 움직이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 또는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에 설치된 기둥이 회전하며, 무게중심을 잡는 프레임이 회동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둥을 회전시킴으로써,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리프트가 침대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침대에 있는 환자에게 리프트가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리프트는, 환자를 옮기지 않을 때에는, 기둥에 의해 침대의 외부방향으로 회전되어, 침대에 있는 환자가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트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 리프트부 및 이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지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트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있는 지지부를 다른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지지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제2보조프레임부재를 다른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트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트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지지부(100), 리프트부(200), 지지기둥부(3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바닥을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100)는, ‘ㄷ’자 형태 또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100)는,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침대 일측을 위치시켜, 침대 일측의 바닥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기둥부(300)는, 지지부(10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리프트부(200)는, 지지기둥부(3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환자를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리프트부(200)는, 견인용 안장에 환자를 앉힌 후에,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환자를 올려주고, 다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환자를 내려주어 환자를 침대 또는 휠체어에서 휠체어 또는 침대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침대 근처의 바닥을 지지하여 무게 중심을 잡아, 환자를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침대와 가까운 곳에 휠체어를 위치시켜 휠체어에 타고 있는 환자를 침대로 빠르게 옮기거나 침대에 누운 환자를 휠체어에 빠르게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종래의 리프트 장치는, 바닥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잡기 어려웠으며, 이에 장치가 넘어지고, 환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으나,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침대 근처부분의 바닥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환자를 이동시킬 시에, 환자의 무게 등으로 인해 장치가 움직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 지지기둥부 및 리프트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0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를 포함하며, 리프트부(200)는, 지지바부재(210), 실린더부재(220), 리프트부재(230)를 포함하며, 지지기둥부(300)는, 가이드부재(310)를 포함한다.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는, 바닥을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일측에 회동 결합되어,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와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는,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를 고정 설치하여, 여러 곳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바퀴는, 일측에 체결장치를 형성하여, 지지부(100)의 이동이 완료되면, 고장장치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부(100)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퀴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양측 하부(바람직하게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일단(바람직하게는, 말단부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는, 예를 들면 볼트와 같은 체결장치를 통해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가, 체결장치를 해제하여 회동한 다음에, 다시 체결장치를 통해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는, 침대의 크기에 따라 침대의 하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는, 제1보조프레임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프레임부재(121)는,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보조프레임부재(121)는, 일측이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되어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길이를 늘려줄 수 있다. 이 때, 제1보조프레임부재(121)는, 인출된 다음에, 체결장치(예를 들면, 볼트, 못 등)에 의해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에 체결되어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지지바부재(210)는, 일측이 지지기둥부(300)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리프트부(200)에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바부재(210)는, 실린더부재(220)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예를 들어, 실린더부재(220)의 길이가 신장되면 지지바부재(210)가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실린더부재(220)의 길이가 줄어들면 하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실린더부재(220)는, 일측이 지지바부재(210)에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지지기둥부(300)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바부재(210)의 회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실린더부재(220)는, 전원을 공급받아 지지바부재(210)의 회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리프트부재(230)는, 지지바부재(2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바부재(210)가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 견인용 안장에 앉은 환자를 들어 올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리프트부재(230)는, 견인용 안장을 걸어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를 구비하여, 견인용 안장에 환자가 앉으면, 안장에 구비된 줄을 걸림고리에 걸어주어 환자를 이동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프트부(200)는, 보조조절바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조절바부재(240)는,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지지바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조절바부재(240)는, 일측이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측이 리프트부재(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조절바부재(240)는, 일측이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지지바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되어 지지바부재(210)의 길이를 늘려줄 수 있다. 이 때, 보조조절바부재(240)는, 인출된 다음에, 체결장치(예를 들면, 볼트, 못 등)에 의해 지지바부재(210)에 체결되어 지지바부재(21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기둥부(300)는,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기둥부(300)는, 지지기둥부(300)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도록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10)는, 가이드홈(111)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311)를 포함하며,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재(31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를 감싸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상단에 가이드홈(111)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31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지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에 회동 결합된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를 회동시켜 지지부(100)를 ‘ㄷ’자 형태로 형성하며, 이에 이동식 리프트 장치(10)의 무게중심을 잡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는, 이동식 리프트 장치(10)의 무게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된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를 외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지지부(100)를 ‘ㄱ’자 형태로 형성하며, 이에 이동식 리프트 장치(10)의 무게중심을 잡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트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와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사이공간에 침대를 위치시켜 바닥을 지지하며, 휠체어에 앉아 있던 환자를 견인용 안장에 옮긴 다음에, 리프트부재(230)에 걸어 준다. 그런 다음에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지지기둥부(300)를 휠체어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실린더부재(220)를 상부방향으로 구동하여 리프트부(200)가 환자를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이 때,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휠체어를 침대와 최대한 가까이에 위치시켜 환자를 침대로 빠르게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지지기둥부(300)를 침대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실린더부재(220)를 하부방향으로 구동하여 리프트부(200)가 환자를 침대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와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의 사이공간에 침대를 위치시켜 줌으로써, 침대 근처의 바닥을 지지하여 이동식 리프트 장치(10)의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침대 또는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지지기둥부(300)가 회전하며,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와 제2지지프레임부재(120)가 회동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지지기둥부(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기둥부(300)의 상부에 형성된 리프트부(200)가 침대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침대에 있는 환자에게 리프트부(200)가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리프트부(200)는, 환자를 옮기지 않을 때에는, 지지기둥부(300)에 의해 침대의 외부방향으로 회전되어, 침대에 있는 환자가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있는 지지부를 다른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상기 설명한 실시 예와 조합하여 실시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0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 제2지지프레임부재(120),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지지프레임부재(110),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는, 바닥을 지지한다.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지지프레임부재(110)를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지지프레임부재(12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지지프레임부재(110, 120)는 서로 직교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지지프레임부재(110, 120)는 'ㄱ'자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일측이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지지바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되어 지지바부재(210)의 길이를 늘려줄 수 있다. 이 때,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인출된 다음에, 체결장치(예를 들면, 볼트, 못 등)에 의해 지지바부재(210)에 체결되어 지지바부재(21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를 고정 설치하여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내부를 출입할 수 있다. 이 때, 바퀴는, 제2보조프레임부재(130)의 하부 일단(바람직하게는, 말단부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지지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는, 무게중심을 잡기 위해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를 지지바부재(210)의 내부로 삽입시켜 주거나, 제1보조프레임부재(121)를 제2지지프레임부재(120)에서 슬라이딩하여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는, 지지부(100)의 무게중심이 올바르지 않을 경우에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를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서 인출하여 지지부(100)의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제2보조프레임부재를 다른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제1지지프레임부재(110)의 내부 착탈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무게중심을 잡을 시에 일측이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 삽입되며, 무게중심을 잡지 않을 시(즉, 사용하지 않을 시)에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 삽입된 일측을 완전히 인출할 수 있다(도 8의 (a) 참조).
일 실시 예에서,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일측이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지지바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되어 지지바부재(210)의 길이를 늘려줄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일 실시 예에서, 제2보조프레임부재(130)는, 상황에 따라 일측이 지지바부재(210)의 내부에 붙어 있거나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이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이동식 리프트 장치
100: 지지부
110: 제1지지프레임부재
111: 가이드홈
120: 제2지지프레임부재
121: 제1보조프레임부재
130: 제2보조프레임부재
200: 리프트부
210: 지지바부재
220: 실린더부재
230: 리프트부재
240: 보조조절바부재
300: 지지기둥부
310: 가이드돌기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형성되어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의 일측에 회동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1보조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2보조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기둥부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재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지지기둥부; 및
    일측이 상기 지지기둥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부재와, 상기 지지바부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슬라이딩 체결되는 보조조절바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기둥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환자를 이동시켜 주는 리프트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바부재에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지지기둥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부재의 회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실린더부재; 및
    상기 지지바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부재가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 견인용 안장에 앉은 환자를 들어 올려주기 위한 리프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트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83568A 2017-06-30 2017-06-30 이동식 리프트 장치 KR101954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68A KR101954648B1 (ko) 2017-06-30 2017-06-30 이동식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68A KR101954648B1 (ko) 2017-06-30 2017-06-30 이동식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88A KR20190003088A (ko) 2019-01-09
KR101954648B1 true KR101954648B1 (ko) 2019-05-23

Family

ID=6501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568A KR101954648B1 (ko) 2017-06-30 2017-06-30 이동식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6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963A (ja) 1998-11-18 2000-06-06 Paramount Bed Co Ltd 介護リフト
JP3106918B2 (ja) * 1995-07-06 2000-11-06 オンキヨー株式会社 低域通過フィルタ回路
JP2002011053A (ja) 2000-06-28 2002-01-15 Hitoshi Murakami 介護用アーム回転式リフト
JP2002345904A (ja) * 2001-05-24 2002-12-03 Sadamu Mizobuchi 折り畳み脚式介護用移動リフ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918U (ja) * 2004-07-30 2005-01-27 力雄 荒井 移動式介護補助吊り上げ装置
KR100791521B1 (ko) 2006-11-14 2008-01-04 남기백 이동식 장애인용 리프트
KR101345273B1 (ko) * 2012-04-30 2013-12-26 노태진 이동식 환자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918B2 (ja) * 1995-07-06 2000-11-06 オンキヨー株式会社 低域通過フィルタ回路
JP2000152963A (ja) 1998-11-18 2000-06-06 Paramount Bed Co Ltd 介護リフト
JP2002011053A (ja) 2000-06-28 2002-01-15 Hitoshi Murakami 介護用アーム回転式リフト
JP2002345904A (ja) * 2001-05-24 2002-12-03 Sadamu Mizobuchi 折り畳み脚式介護用移動リフ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88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196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CA2935667C (en) Nesting wheeled personal conveyances
JPS61255657A (ja) 病院用ベツド
JP2748227B2 (ja) 電動式車椅子
JP2004506484A (ja) 身体障害者のためのベッドの構成、およびこの構成を有するベッド
US8622412B2 (en) Wheelchair with lift
JP2007090020A (ja) 自力乗り移り車椅子
CN109620564A (zh) 用于icu患者下床活动的多功能椅
KR101954648B1 (ko) 이동식 리프트 장치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CN101933867B (zh) 一种救护车用折叠椅
KR101588698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20130020711A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101448887B1 (ko)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KR102197221B1 (ko)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JPH08196573A (ja) 介護移動装置
KR101890143B1 (ko) 의료용 침대
KR200450271Y1 (ko) 스탠딩 리프트
JP6317625B2 (ja) 移動補助装置
KR101223774B1 (ko) 휠체어 부착용 환자리프트
KR102445702B1 (ko)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JP2001314458A (ja) 支柱回転型走行介護リフト
JP3698430B2 (ja) 被介護者用の車両乗降装置
CN112451225B (zh) 一种用于急救车的推床
JPH1176323A (ja) 介護用昇降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