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887B1 -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887B1
KR101448887B1 KR1020120033613A KR20120033613A KR101448887B1 KR 101448887 B1 KR101448887 B1 KR 101448887B1 KR 1020120033613 A KR1020120033613 A KR 1020120033613A KR 20120033613 A KR20120033613 A KR 20120033613A KR 101448887 B1 KR101448887 B1 KR 101448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tanding
user
frame parts
s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088A (ko
Inventor
송원경
김경
이정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3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88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를 침대나 보조기구로부터 이동식침대 또는 검진을 위한 장치로 이송함에 있어, 높이의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도 손쉽게 옮길 수 있고, 환자의 기립 또는 착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회전식 이송수단, 높낮이 조절수단및 낙상 방지용 안전장치부를 구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수의 보조인력을 수반하지 않고도 환자를 이송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본 발명은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를 이동식침대 또는 검진을 위한 장치로 이송을 함에 있어, 손쉬운 이송과 더불어 환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안전하게 지원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한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0-0134949호(2010년 12월 24일 공개,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과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029699호(2011년 03월 23일 공개, 이하 "선행문헌2"라 함)가 있다.
첫째, 선행문헌1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환자침대와 환자이동침대사이, 혹은 환자이동침대와 각종 검사장치로 서로 이송할 때, 환자를 손쉽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 이송 장치로, 선행문헌1은 누워있는 환자의 몸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환자이동침대의 상판 이동판이 환자 침대 매트리스 위로 움직일 때, 이송암(transfer arm)과 이송암 위를 움직이는 활차(滑車, wheeled chassis)가 자동적으로 같이 움직여서 상판 이동판이 환자 침대 매트리스 위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또 상판 이동판이 환자의 몸쪽으로 쉽게 기울일 수 있도록 링크(linkage) 장치가 상판 이동판 밑에 설치되어 있어, 상판 이동판에 환자의 몸을 쉽게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 환자 이송 장치이다.
선행문헌1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단순히 몸을 옆으로 세움으로서 환자이동침대에 싣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는 이송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적은 인원으로 환자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이송을 위해 별도의 외부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별도 부속장치의 설치 및 철수 과정이 필요 없어 운영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장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었다.
둘째, 선행문헌2는 기능적으로는 사용편의성과 심미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전동식 구동기와 간단한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제품의 슬림화를 도모하면서 기립지원 및 등판을 기울이는 리클라이닝(reclining)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고령자 및 장애인 등을 위한 전동식 기립보조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좌면과; 상기 의자 좌면에 연결되어 의자 좌면을 움직이는 전동식 구동기와; 상기 전동식 구동기의 작동시 의자 좌면과 등판의 운동을 안내하는 시트가이드와; 상기 의자 좌면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판과; 상기 의자 좌면에 연결되어 등판을 받치면서 등판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는 등판지지대와; 상기 의자 좌면의 이동시 연동하여 눕거나 서게 되는 상기 등판지지대의 운동을 안내하는 등판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립보조의자를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들은 침대와 침대 사이, 혹은 침대와 각종 검사 장치 사이의 이송만 가능한 장치에 불과하여, 환자의 높낮이 변동이 요구될 때, 활용도가 떨어지고, 환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가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0-0134949호(2010년 12월 24일 공개, 환자 이송 장치)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029699호(2011년 03월 23일 공개, 기립보조의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환자가 비교적 제한된 공간에 있을 때에도, 환자의 침대와 환자이동침대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휠체어나 보행보조기와 같은 보조시스템에서 높이 변화가 필요한 침대나 검진장치로의 이송에도 문제가 되지 않고, 환자의 기립 및 착석 동작이 이루어질 때, 이를 원활하고 안전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는, 상하 프레임부; 상기 상하 프레임부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탑승 의자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로 지지 구조를 갖는 좌후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반신, 어깨, 복부 또는 허벅지를 감싸는 제 1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 프레임부에 좌우 병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를 기립하여 지지하는 제 2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프레임부의 최하부에는 설치된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와 침대 또는 침대와 검진 및 의료장치로의 환자 이송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휠체어, 보행보조시스템 등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기구물로부터 이송하고자 하는 목적 대상체로 환자를 쉽고 안전하게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바닥으로부터 또는 휠체어 등의 보조시스템의 높이에서 침대 높이로 이송할 시에, 회전 및 병진 운동을 이용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체의 근력이 약하거나, 관절에 손상이 있는 사람이라도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기립/착석하는 동작에 도움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의 운용개념도,
도 2는 탑승 의자부의 회전 및 상하 위치 조절의 원리도,
도 3은 안전장치부의 고정 및 좌우프레임에서의 병진운동이 가능한 원리도,
도 4는 하지 보조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안전 지지대,
도 5는 하지 보조시스템의 안전 지지대와 통용가능한 안전장치부의 이용 개념도,
도 6은 사용자의 기립/착석을 지원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의 운용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환자를 옮기기 위한 장치적 구성으로 환자가 앉을 수 있는 탑승 의자부(200), 상기 탑승 의자부(200)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하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작된 회전부(250),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이동을 위한 바퀴부(350) 및 사용자의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신체의 일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부가 구성됨을 도시하고 있다.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탑승 의자부의 회전 및 상하 위치 조절의 원리를 나타낸다.
환자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휠체어나 보조장치는 표준화되지 않아 각각의 장치마다 높낮이가 일정치 않으므로 본 장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탑승 의자부(200)에 일면이 고정되어 지지하면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의 외면을 따라 원형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250)는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미도시)을 갖는다.
상하 위치 조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일반적인 성인이 탑승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하여 보호자나 치료사가 근력만을 이용하여 상하 조절을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리프팅 장치(쟈키 또는 리프팅 모터 등)를 그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가 환자나 장애인이라는 특성상 재활기관이나 병원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인 병동의 환자실에서, 침대와 침대 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가 많아서 "선행문헌1"의 기술과 같은 장치로는 이송에 필요한 넓은 반경이 요구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회전부(250)를 통해 착석한 환자를 회전하는 방식으로 이송시키므로 장치에 요구되는 움직임 즉, 이동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환자의 용이한 이송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50)에 따른 환자의 이송 동작을 보면, 침대나 보행보조기 등에서 탑승 의자부(200)에 착석한 뒤, 이송의 목적지가 되는 대상체(도면에서는 침대: 500)방향으로 회전한 뒤, 상기 대상체의 높이로 상하조절하여 환자를 옮기게 된다. 여기에서, 상하조절보다 회전이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환자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린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경우, 환자의 낙상사고 발생 시, 부상의 정도가 심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무게중심이 하단에 있는 상태보다 안정성이 떨어져 기울거나 쓰러질 수 있어 2차적인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회전이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무게중심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성 있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의 하단부 또는 상기 바퀴부(350)측의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에서 상기 바퀴부를 구성하여 이동식 장치로 예시하였으나, 본 장치를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에 부착하거나 침대와 일체형으로 설계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제 2 안전장치부(305)의 고정 및 좌우 프레임부(110)에서 병진운동이 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안전장치로서 사용자의 상반신, 어깨, 복부, 허벅지 중 어느 하나 이상, 즉 신체의 일부를 고정하는 제 1 안전장치부(300)와 상하 프레임부(100)의 상단에 구성된 좌우 프레임부(11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전장치부(300)로는, 환자가 착용하는 하네스(harness)를 그 예로 들 수 있는데, 상기 하네스는 사용자의 상반신, 어깨, 복부, 허벅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 안아서 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낙상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통상 제 1 안전장치부(300)는 탑승용 의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 제 2 안전장치부(305)와 연계하여 동작할 때를 대비하여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전장치부(300)와 제 2 안전장치부(305)는 서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으며, 나아가 제 1 안전장치부(300)와 제 2 안전장치부(305)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에 결속되어 사용자를 기립하여 지지할 수 있는 제 2 안전장치부(305)는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병진운동이 가능하다.
이는 환자를 이송하고자 하는 위치로 상기 탑승 의자부(200)를 회전시켜 이송할 때, 필요에 따라 환자의 위치 조절이 요구되는 상황이 있을 경우에 유용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의 하단방향에 개방된 홈이 구성되고, 내부로는 상기 제 2 안전장치부(305)가 결속될 수 있는 연결부(미도시)가 병진운동 가능하도록 레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병진운동이 가능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기능에 목적을 두는 것이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는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 2 안전장치부(305)를 좌우 프레임부(110)에 결속하여 안전수단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 1 안전장치부(300)를 상기 탑승 의자부(200)의 일측에 고정하고, 사용자가 제 1 안전장치부(300)를 착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낙상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는 상기 탑승 의자부(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상기 탑승 의자부(20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에 연결부분도 회전가능하게 설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의 형상에 있어서, 도 3에서는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를 중심으로 밸런스를 고려하여 'T'자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안정적인 설계가 이루어지면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ㄱ"자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하지 보조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안전 지지대(310), 도 5는 하지 보조 시스템의 안전 지지대(310)와 통용가능한 제 2 안전장치부(305)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및 기립/착석 동작을 보조하는 워커(walker) 타입의 하지 보조시스템은 환자의 장애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전 지지대(310)를 착용할 수 있으며, 보행 시 신체를 지탱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상기 제 2 안전장치부(305)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 환자가 상기 안전 지지대(310)를 착용한 상태로 하지 보조시스템(400)의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상기 제 2 안전장치부(305)에 결속한 뒤, 탑승하여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동시킨다.
도 6은 사용자의 기립/착석을 지원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위의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보행 및 기립/착석 동작을 보조하는 워커 타입의 하지 보조시스템과, 각종 보행보조기 또는 방바닥에서 생활이 많은 국내환경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이송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높이에 맞게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하 프레임부(100)를 따라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기립 및 착석 동작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탑승 의자부(200)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를 따라 회전부(250)가 위쪽으로 움직임으로써 결합된 탑승 의자부(200)가 상부로 위치 조절되어 사용자는 기립 동작을 보조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서 있는 상태에서 앉기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회전부(250)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착석 동작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의 무릎 관절 등의 하지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줄 수 있다. 이러한 기립/착석 보조기능은 특히, 하지 근력이 약한 고령자 또는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상하 프레임부 110: 좌우 프레임부
200: 탑승 의자부 250: 회전부
300: 제 1 안전장치부 305: 제 2 안전장치부
310: 안전 지지대 350: 바퀴부
400: 하지 보조시스템 500: 침대

Claims (6)

  1. 상하 프레임부;
    상기 상하 프레임부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하 프레임부를 등지고 걸터앉을 수 있는 탑승 의자부; 및
    상기 상하 프레임부의 최하부에는 설치된 바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반신, 어깨, 복부 또는 허벅지를 감싸는 제 1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로 지지 구조를 갖는 좌후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레임부에 좌우 병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를 기립하여 지지하는 제 2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좌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KR1020120033613A 2012-03-30 2012-03-30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KR101448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13A KR101448887B1 (ko) 2012-03-30 2012-03-30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13A KR101448887B1 (ko) 2012-03-30 2012-03-30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088A KR20130111088A (ko) 2013-10-10
KR101448887B1 true KR101448887B1 (ko) 2014-10-13

Family

ID=4963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613A KR101448887B1 (ko) 2012-03-30 2012-03-30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2005B2 (en) 2017-09-19 2021-07-06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handles for patient ambulation
US11116680B2 (en) 2017-09-19 2021-09-14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ient ingress and egress
US11160705B2 (en) 2017-10-20 2021-11-02 Stryker Corporation Adjustable patient support apparatus for assisted egress and ingr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05A (ja) * 1991-05-28 1996-01-16 Shigeo Ishioka 身障者入浴装置
JP2000300626A (ja) * 1999-04-23 2000-10-31 Toshiaki Mitarai 補助用リフト装置
KR20040018066A (ko) * 2002-08-22 2004-03-02 김광표 이동 리프트
JP2004135855A (ja) * 2002-10-17 2004-05-13 Naoaki Kamitsukuri 介護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05A (ja) * 1991-05-28 1996-01-16 Shigeo Ishioka 身障者入浴装置
JP2000300626A (ja) * 1999-04-23 2000-10-31 Toshiaki Mitarai 補助用リフト装置
KR20040018066A (ko) * 2002-08-22 2004-03-02 김광표 이동 리프트
JP2004135855A (ja) * 2002-10-17 2004-05-13 Naoaki Kamitsukuri 介護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088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023B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US8336133B2 (en) Multi-functional patient transfer device
US10299977B2 (en) Multi-functional and multipositional bed
US6173461B1 (en) Support unit
US201002196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KR20140050884A (ko)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US11523957B2 (en) Patient transfer system
JP2004506484A (ja) 身体障害者のためのベッドの構成、およびこの構成を有するベッド
JP2008279232A (ja) 移乗装置
KR101448887B1 (ko)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KR20170101333A (ko)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KR101642442B1 (ko) 기립보조장치가 결합된 변신형 침대
JP2014144036A (ja) 移乗補助装置
KR20200002529A (ko)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KR20130098508A (ko) 와상환자용 이동수단
KR101878411B1 (ko) 특수재난 환자이송침상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US20210282994A1 (en) Assistant for stabilizing, mobilizing and securing a patient
JP6343215B2 (ja) ベッド用サイドレ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起立補助装置付きベッド
US10813810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isting persons from a lying position to a sitting position and a sitting position to a lying position
CN214484919U (zh) 下肢活动式单侧支撑型护理设备
KR101205094B1 (ko) 하반신 부자유자 이송용 의료보조기
KR20170121586A (ko)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