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586A -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586A
KR20170121586A KR1020160050244A KR20160050244A KR20170121586A KR 20170121586 A KR20170121586 A KR 20170121586A KR 1020160050244 A KR1020160050244 A KR 1020160050244A KR 20160050244 A KR20160050244 A KR 20160050244A KR 20170121586 A KR20170121586 A KR 20170121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ifting screw
lifting
screw cas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흠
Original Assignee
신용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흠 filed Critical 신용흠
Priority to KR102016005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1586A/ko
Publication of KR2017012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3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separate from the vehicle, e.g. fixed on the pa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4Stationary fixed means, e.g. fixed to a surface or 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2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과 함께 휠체어 접근을 위한 회전 기능으로 보다 용이한 휠체어 사용환경을 구성하도록하는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10)는 베이스(11)로 무게 중심을 잡으며 베이스(11)와 결합하여 내부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리프팅 스크류(미도시)를 구비하고있는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를 포함한다.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와 연결되어 평행한 위치에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동작레일부(14)를 가지며 동작레일부(14)와 연결되어 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40)로 구성된다. 이승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의 내부의 리프팅 스크류와 연결되어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구동하는 승하강모터부(30)를 포함하고, 승하강모터부(30) 하측에 구비되고 베이스(11)에 결합하여 고정되되 승하강모터부(30)와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동작레일(14), 시트(40)를 함께 회전 시키는 회전모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져 침대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배변대로, 혹은 방바닥으로 장애인을 옮길 수 있는 트랜스퍼 장치이자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는 간병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또한, 시트를 단차가 없이 제공하여 편의성을 제공하고 회전 기능으로 옮겨 타고자 하는 이동 보조 장치로 보다 편하게 접근하여 안정감 있게 이승이 가능하며 안정화된 전장 모듈과 리모컨 제어함으로써 편리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HOIST DEVICE FOR PATIENT}
본 발명은 이동보조기구 탑승을 위한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리프팅과 함께 휠체어 접근을 위한 회전 기능으로 보다 용이한 휠체어 사용환경을 구성하도록 하는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이동보조기구를 상지로만 신체를 제어하여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 및 고령자는 손목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어 염좌, 골절 등의 부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2차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승 보조 장치의 상용화가 필요하다.
근력의 약화로 이동보조기구에 착석이 어렵고 손목 및 어깨에 무리로 병원을 찾아 치료 및 수술을 받는 장애인이 년간 약 5만 여명 이상이며 의료보험 지출이 높은 실정이다.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 제한이 되는 상황에 부가적인 치료 행위 발생으로 일상생활의 차여가 더 어려운 상활을 야기하고 있으며 사 후 치료를 위한 의료보험 지출보다 예방 차원의 이승 보조 장치와 같은 보조 기기의 지원이 보다 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호자가 배변, 목욕, 치료, 식사 등의 일상생활에서 환자를 이송시키는 상황이 다수이며 가정에서는 고령의 배우자가 직접 간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인 환자를 수시로 이송시키면서 보호자도 근골격계에 손상이 발생하여 장애인을 돌봄에 있어 높은 신체적 부담감을 호소하고 있다.
시중에 이승 보조 장치의 국내 현황은 수입 유통 업체로 부터 제공받는다. 해외 업체에서 OEM으로 생산된 제품을 독점형태로 수입하여 국내 유통되어 지고 있으며 해외업체의 단종된 모델을 위탁생산업체로 부터 수입하여 기능보다 저렴한 모델로 시장에 유통 중이나 A/S 발생에 대한 사 후 처리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제품들은 휠체어와 유사한 형태로 단순히 위, 아래로 리프팅 기능만 보유하여 장애인이 이동보조기구로 옮겨 탈 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정 극복을 위해 기술을 제안하는 국내의 보조 이승 장치 관련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171521호 "환자 이송용 멀티리프트"는 바닥의 지면에 놓이는 대차의 측면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침대나 욕조에 누워있는 환자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환자의 무게로 인해 리프트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리더라도 리프트가 기울어 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0-1159702호 "환자 이송용 기능성 휠체어"는 높낮이 조절 기능을 추가하여 병원 침대와 가정에서 사용하는 침대까지 다양한 높이의 침대에서 환자 이송이 간편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무게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있으나 이송 시 환자가 안전사고 발생하지 않도록 안착하여 고정되기에는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편, 휠체어 형상에 시트만 승강되는 구조로 제작되어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구동방법에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침대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배변대로, 혹은 방바닥으로 장애인을 옮길 수 있는 트랜스퍼 장치이자 이승 보조 장치는 간병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 주는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높낮이 뿐만 아니라 회전기능으로 옮겨 타고자 하는 이동보조기구로 보다 편한게 접근하고 이승 가능한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와 결합하여 내부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리프팅 스크류를 구비하는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와; 상기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와 연결되어 평행한 위치에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동작레일부(14)와; 상기 동작레일부(14)와 연결되어 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40)와; 상기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의 내부의 리프팅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구동하는 승하강모터부(30); 및 상기 승하강모터부(30)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1)에 결합하여 고정되되 상기 승하강모터부(30)와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동작레일(14), 시트(40)를 함께 회전 시키는 회전모터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는 상기 승하강모터부(30)와 상기 회전모터부(20)를 제어하는 전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전장 모듈을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는 상기 시트(40) 하강 시, 상기 시트(40)의 하측 어느 한 곳에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시트(40) 아래로 사용자가 하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에서 상기 시트(40)는 이승 시, 마찰과 신체적 부담을 줄이도록 단층이 없는 경사진 좌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에 따르면, 베이스(11)와 리프팅 스크류를 구비하는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동작레일부(14), 시트(40)를 포함하고,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구동하는 승하강모터부(30) 및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동작레일(14), 시트(40)를 함께 회전 시키는 회전모터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침대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배변대로, 혹은 방바닥으로 장애인을 옮길 수 있는 트랜스퍼 장치이자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는 간병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또한, 시트를 단차가 없이 제공하여 편의성을 제공하고 회전 기능으로 옮겨 타고자 하는 이동 보조 장치로 보다 편하게 접근하여 안정감 있게 이승이 가능하며 안정화된 전장 모듈과 리모컨 제어함으로써 편리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의 동작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모듈을 설정하는 관련 기술,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 모듈과 리모컨 네트워크 관련 기술, 각 모터들의 연결하는 구동 관련 기술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의 동작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10)는 이와 같은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에 따르면, 베이스(11)와 리프팅 스크류를 구비하는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동작레일부(14), 시트(40)를 포함하고,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구동하는 승하강모터부(30) 및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동작레일(14), 시트(40)를 함께 회전 시키는 회전모터부(20)로 구성된다.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10)는 베이스(11)로 무게 중심을 잡는다. 베이스(11)와 결합하여 내부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리프팅 스크류(미도시)를 구비하고있는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를 포함한다.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와 연결되어 평행한 위치에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동작레일부(14)를 가지며 동작레일부(14)와 연결되어 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40)로 구성된다. 이승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의 내부의 리프팅 스크류와 연결되어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구동하는 승하강모터부(30)를 포함하고, 승하강모터부(30) 하측에 구비되고 베이스(11)에 결합하여 고정되되 승하강모터부(30)와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동작레일(14), 시트(40)를 함께 회전 시키는 회전모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1)는 접근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가능하며 도면 과 같이 4갈래의 다리로 형성되어 무게 중심을 잡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11)하측에 바퀴를 더 포함하여 구동가능하도록 적용 가능하다.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는 베이스와 연결되어 승하강모터부(30)에 의해 구동되는 리프팅 스크류를 감싸고 있다. 이때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는 동작레일부(14)와 함께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10)의 기둥 역할을 하도록 한다.
동작레일부(14)는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시트(40)는 등판 프레임(41)과 좌판 프레임(42)이 결합부(미도시)로 결합되어져 시트(40)를 형성하도록 한다. 등판 프레임(41)을 가로 질러 구비되어 지지되는 또다른 등판 프레임(41)과 리프팅 스크류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12)를 구비하여 승하강모터부(30)가 구동하여 움직이는 리프팅 스크류에 의해 제 1 연결부(12)로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한다.
등판 프레임(41)의 양측면에는 제 2 연결부(15)를 구비하여 동작레일부(14)와 결합한다. 제 2 연결부(15)는 동작레일부(14)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한다.
승하강모터부(30)는 동작레일부(14)와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시트(40)와 연결되어 회전모터부(40)가 구동시 같은 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
회전모터부(20)는 베이스(11)와 연결되어져 바닥과 고정되어진다.
이와 같은 보조 이승 장치(10)는 승하강모터부(30)와 상기 회전모터부(20)를 제어하는 전장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전장 모듈을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리모컨을 더 포함하여 편리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시트(40) 하강 시, 시트(40)의 하측 어느 한 곳에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시트(40) 아래로 사용자가 하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시트(40)는 이승 시, 마찰과 신체적 부담을 줄이도록 단층이 없는 경사진 좌면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승하강모터부(30), 회전모터부(40)인 동작 구동부에 있어서 승하강모터부(30)는 900N 이상의 파워를 가지며 직선운동의 저소음 엑츄에이터를 적용하도록 하고, 회전모터부(40)는 양방향 회전 모터를 장착하도록 한다.
전장 모듈은 유선 리모컨으로 엑츄에이터 및 모터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고 충전 배터리 장착과 배터리 전원 공급을 하도록하며 시트(40)의 하면에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체가 끼는 안전사고를 예방 하도록 한다.
120kg의 하중을 견디도록 시트(40)와 각 프레임들은 S45C 재질로 적용가능하고 시트(40)는 110°경사진 형태로 제공하도록 한다. 경사진 좌면으로 신체적 부담을 감소 시키고 적정한 경도의 쿠션을 제공하여 의류등와 마찰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커버를 적용하도록 하고 측면으로 넘어지지 안도록 손잡이부(45)를 포함한다. 시트(40)는 사용자 몸 전체를 감싸는 듯한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접고 펼수 있도록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는 사용자 하중 120kg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회전 기능에 따른 원형 베이스로 적용가능하며 규격 60*60 이상의 SS400 재질로 밴딩과 용접으로 제작한다.
사용자가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10)의 외형에 부딪히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마감재을 적용하고 사용시 접을 수 있고 다른 장소로 이동 할 때는 펼 수 있는 가변 바퀴 구조로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10)는 베이스(11)와 리프팅 스크류를 구비하는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동작레일부(14), 시트(40)를 포함하고,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구동하는 승하강모터부(30) 및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동작레일(14), 시트(40)를 함께 회전 시키는 회전모터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침대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배변대로, 혹은 방바닥으로 장애인을 옮길 수 있는 트랜스퍼 장치이자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는 간병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또한, 시트를 단차가 없이 제공하여 편의성을 제공하고 회전 기능으로 옮겨 타고자 하는 이동 보조 장치로 보다 편하게 접근하여 안정감 있게 이승이 가능하며 안정화된 전장 모듈과 리모컨 제어함으로써 편리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 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11 : 베이스
12 : 제 1 연결부
13 :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
14 : 동작레일부
15 : 제 2 연결부
20 : 회전모터부
30 : 승하강모터부
40 : 시트
41 : 등판프레임
42 : 좌판프레임
43 : 등판
44 : 좌판
45 : 손잡이부

Claims (5)

  1.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와 결합하여 내부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리프팅 스크류를 구비하는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와;
    상기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와 연결되어 평행한 위치에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동작레일부(14)와;
    상기 동작레일부(14)와 연결되어 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40)와;
    상기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의 내부의 리프팅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40)를 승하강 하도록 구동하는 승하강모터부(30); 및
    상기 승하강모터부(30)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1)에 결합하여 고정되되 상기 승하강모터부(30)와 리프팅 스크류 케이스(13), 동작레일(14), 시트(40)를 함께 회전 시키는 회전모터부(20)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모터부(30)와 상기 회전모터부(20)를 제어하는 전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모듈을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40) 하강 시, 상기 시트(40)의 하측 어느 한 곳에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시트(40) 아래로 사용자가 하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40)는 이승 시, 마찰과 신체적 부담을 줄이도록 단층이 없는 경사진 좌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KR1020160050244A 2016-04-25 2016-04-25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KR20170121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244A KR20170121586A (ko) 2016-04-25 2016-04-25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244A KR20170121586A (ko) 2016-04-25 2016-04-25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586A true KR20170121586A (ko) 2017-11-02

Family

ID=6038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244A KR20170121586A (ko) 2016-04-25 2016-04-25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5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777A (ko) 2022-05-24 2023-12-01 (주)공생 이승 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777A (ko) 2022-05-24 2023-12-01 (주)공생 이승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833B1 (ko) 신체적 약자를 위한 이동 이승을 위한 보조 로봇
US20150272797A1 (en) Patient transfer device
JP2004506484A (ja) 身体障害者のためのベッドの構成、およびこの構成を有するベッド
JP6302769B2 (ja) 離着座補助装置
CN214967884U (zh) 一种医疗护理用轮椅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US9925105B1 (en) Patient transfer device
CN104546320B (zh) 瘫痪老人洗澡用转运系统
KR20170121586A (ko)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동보조기구 탑승 보조를 위한 이승 보조 장치
KR20160129986A (ko) 기립 보조장치
KR101448887B1 (ko)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US11478082B2 (en) Care chair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2001187089A (ja) 介助支援装置
JP2008029676A (ja) 歩行補助装置
JP6343215B2 (ja) ベッド用サイドレ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起立補助装置付きベッド
JP2003325582A (ja) 抱き上げ介助装置
CN216222059U (zh) 全自动化辅助康复移动装置
JP3724406B2 (ja) 移乗機
JP3006428U (ja) 介護用ベッド
JP3165117U (ja) 足上げ機能を備えた身体障害者移乗補助装置
KR20240030526A (ko) 휠체어를 사용하는 환자의 침대이동용 보조장치
JPH02164364A (ja) 立ち上がり補助装置
JP3134929U (ja) 自立支援具
TWM627578U (zh) 全自動化輔助康復移動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