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734U - 스탠딩 리프트 - Google Patents

스탠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734U
KR20090012734U KR2020080007692U KR20080007692U KR20090012734U KR 20090012734 U KR20090012734 U KR 20090012734U KR 2020080007692 U KR2020080007692 U KR 2020080007692U KR 20080007692 U KR20080007692 U KR 20080007692U KR 20090012734 U KR20090012734 U KR 200900127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ser
hinged
support member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271Y1 (ko
Inventor
남기백
Original Assignee
남기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백 filed Critical 남기백
Priority to KR2020080007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27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7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7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탠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 이동시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스탠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며 지면에 대해 이동가능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각도 회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재를 승하강시키는 링크와 실린더를 구비한 작동부재;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이동부재를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스탠딩 리프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앉아있거나 서있거나 누워있는 등의 사용자들의 거취상태에 상관없이 옮겨타거나 내리는 동작이 편안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스탠딩 리프트, 장애인, 환자, 이동

Description

스탠딩 리프트{Standing Lift}
본 고안은 스탠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 이동시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스탠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이하, 사용자)은 몸이 불편하기 때문에 특정한 장소를 이동할 경우에는 보호자나 보조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보조수단으로는 휠체어(Wheel Chair)가 널리 알려져 있다. 휠체어는 특히 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휠체어는 직접 사용자 스스로 바퀴를 조작함에 따라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보호자가 휠체어의 손잡이를 잡고 밀면서 걸음에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휠체어와 같은 이동수단은 이동자체에 편리성을 강조한 것일 뿐, 사용자가 일단 휠체어로 옮겨타거나 휠체어로부터 내리는 과정이 매우 힘들고 번거롭다. 예를 들어, 환자가 화장실에 용무가 있을 경우, 휠체어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화장실의 변기에 옮겨 앉기가 매우 힘들게 된다. 또한, 옮겨 앉은 이후 휠체어로 다시 옮겨 타는데에도 힘들게 된다.
더욱이, 휠체어는 그 구조상 사용자가 앉아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신에 깁스를 한 환자의 경우와 같이 앉기 불편한 사용자는 사용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거취상태에 상관없이 옮겨 타거나 내리는 동작이 용이해지는 스탠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며 지면에 대해 이동가능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각도 회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재를 승하강시키는 링크와 실린더를 구비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이동부재를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스탠딩 리프트를 제공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격부재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격부재에 힌지결합되는 제3링크;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제1실린더; 그리고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된 제2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사람의 키에 따라 그 이격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보호자의 조작을 돕기 위한 보호자손잡이와, 사용자가 탑승시 잡을 수 있는 사용자손잡이와, 탑승상태에서 사용자의 몸통 양측을 가이드 해주는 한 쌍의 가이더와,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체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탠딩 리프트에 따르면,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편안하게 리프트에 옮겨타거나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탠딩 리프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스탠딩 리프트에 대한 측면도로서 제1동작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2동작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3동작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탠딩 리프트(1)는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 위치되며 지면에 대해 이동가능한 이동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20)를 소정각도 회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재(10)를 승하강시키 작동부재(30)와, 상기 작동부재(3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20)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10)와 이동부재(20)를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는 보호자의 조작을 돕기 위한 보호자손잡이(15)와, 사용 자가 탑승시 잡을 수 있는 사용자손잡이(16)와, 탑승상태에서 사용자의 몸통 양측을 가이드 해주는 한 쌍의 가이더(11)와,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체지지판(13)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더(11)와 몸체지지판(13)은 쿠션이 있는 비닐소재나 푹신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이더(11)와 몸체지지판(13)에 위치되거나 지지되어 이동할 경우에 안전함을 보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더(11)와 몸체지지판(13)의 하부에는 금속으로 된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와 완곡된 곡선형태가 결합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직선형태를 갖는 프레임에는 전술한 몸체지지판(13)과 가이더(11)가 결합되고, 완곡된 곡선형태를 갖는 부분에는 보호자손잡이(151)와 사용자손잡이(16)가 형성된다.
이동부재(2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바닥판(21)과, 바닥판(21)에 결합되어 바닥판(21)이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퀴는 바닥판(21)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바퀴(23)와 바닥판(21)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바퀴(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바퀴(23)는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톱퍼(Stopper) 방식의 바퀴일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사용자를 스탠딩 리프트(1)에 위치시켜 옮길 경우(이하, 탑승)에는 스톱퍼를 조작하여 제1바퀴(23)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바닥판(21)을 지면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고, 스탠팅 리프트에 탑승된 사용자를 이동시킬 경우 제1바퀴(23)의 스톱퍼를 해제하여 스탠딩 리프트(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30)는 전술한 이동부재(20)를 소정각도 회동시키거나 상기 지 지부재(10)를 승하강시키면서 상기 지지부재(10)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링크와 실린더를 구비한다.
여기서, 링크는 상기 지지부재(1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31)와, 상기 제1링크(31)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격부재(40)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33)와, 상기 제1링크(31)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격부재(40)에 힌지결합되는 제3링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링크들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회절하면서 그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지지부재(10)를 소정각도 회동시키거나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을 가능하도록 링크는 상기 제1링크(31)와 상기 지지부재(10)에 결합된 제1실린더(37)와, 상기 제3링크(35)와 상기 이격부재(40)에 결합된 제2실린더(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린더(37)는 승하강에 따라 지지부재(10)와 제1링크(31) 사이를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린더(39)는 승하강에 따라 제3링크(35)와 이격부재(40) 사이를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하면서 제3링크(35)와 연결된 제1링크(31)와, 이격부재(40)와 연결된 제1링크(31)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술한 바와 가이 이동부재(2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격부재(40)는 작동부재(30)와 힌지결합되고 지지부재(10)와 결합되며 일 정한 높이를 갖는 수직부재(41)와, 수직부재(41)에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제3링크(35)와 힌지결합되는 수평부재(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격부재(40)는 상기 작동부재(3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20)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10)와 이동부재(20)를 상호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격부재(40)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스탠딩 리프트(1)를 탑승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높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부재(40)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미리 제작된 높이를 갖는데, 이격부재(40)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그 이격된 높이가 실린더 등으로 조절되도록 변형되어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스탠딩 리프트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딩 리프트는 이동부재(20)의 제1바퀴(23)가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는 상태이며 작동부재(30)의 제1실린더(37)가 상승된 상태로서 지지부재(10)가 기립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실린더(39)는 하강된 상태로 놓이도록 동작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1동작 상태에서, 보호자는 앉아 있거나 서있는 사용자가 사용자손잡이(16)를 잡을 수 있도록 가이드(11)와 몸체지지판(13)을 사용자의 전면에 근접위치시킨다.
사용자가 사용자손잡이(16)을 잡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했던 작동부재(30)의 제1실린더(37)를 하강시킨다. 그 결과, 보호자손잡이(15)가 제1실린더(37)을 중심으로 아래로 하강회동하면서 사용자는 지지부재(10)에 엎드린 상태로 탑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가 안전하게 탑승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30)의 제2실린더(39)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제2실린더(39)와 힌지결합된 제3링크(35)가 회전하면서 제1링크(31)를 밀어올리게 되고, 제1링크(31)와 연결된 제2링크(33) 역시 따라 올라간다. 그러므로 제1링크(31)에 결합된 이동부재(20)는 회동함과 동시에 상승하여 도시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3동작 상태에서의 지지부재(10)는 사용자의 다리가 지면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된다.
이때, 이동부재(20)의 제1바퀴(23)의 스톱퍼를 해제한 후 보호자는 이동부재(20)의 보호자손잡이(15)를 잡고 스탠딩 리프트(1)를 밀거나 당기면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앉아 있나 서있는 상태에서 본 리프트에 탑승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사용자가 누워있는 경우에는 제2동작이 완료된 도 3의 상태하에서 사용자를 누워있는 상태 그대로 사용자손잡이(16)를 잡게 하고 제3동작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리프트에 탑승시킬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앉아 있거나 서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편안하게 리프트에 타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 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탠딩 리프트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탠딩 리프트에 대한 측면도로서 제1동작 상태도.
도 3은 도 1의 제2동작 상태도.
도 4는 도 1의 제3동작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탠딩 리프트 10 : 지지부재
11 : 가이드 13 : 몸체지지판
15 : 보호자손잡이 16 : 사용자손잡이
20 : 이동부재 21 : 바닥판
23 : 제1바퀴 25 : 제2바퀴
30 : 작동부재 31 : 제1링크
33 : 제2링크 35 : 제3링크
37 : 제1실린더 39 : 제2실린더
40 : 이격부재 41 : 수직부재
43 : 수평부재

Claims (4)

  1.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며 지면에 대해 이동가능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각도 회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재를 승하강시키는 링크와 실린더를 구비한 작동부재;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이동부재를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스탠딩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격부재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격부재에 힌지결합되는 제3링크;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제1실린더; 그리고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된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사람의 키에 따라 그 이격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리프트.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보호자의 조작을 돕기 위한 보호자손잡이와, 사용자가 탑승시 잡을 수 있는 사용자손잡이와, 탑승상태에서 사용자의 몸통 양측을 가이드 해주는 한 쌍의 가이더와,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체지지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리프트.
KR2020080007692U 2008-06-10 2008-06-10 스탠딩 리프트 KR200450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692U KR200450271Y1 (ko) 2008-06-10 2008-06-10 스탠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692U KR200450271Y1 (ko) 2008-06-10 2008-06-10 스탠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34U true KR20090012734U (ko) 2009-12-15
KR200450271Y1 KR200450271Y1 (ko) 2010-09-16

Family

ID=4447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692U KR200450271Y1 (ko) 2008-06-10 2008-06-10 스탠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2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63B1 (ko) * 2018-10-24 2019-10-02 김채영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378A (ko) * 2014-06-10 2015-12-18 김은주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화장실용 리프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001B2 (ja) * 1994-10-14 2006-01-05 アイ・ソネックス株式会社 姿勢変換装置および姿勢変換方法
JP2003126163A (ja) 2001-10-23 2003-05-07 Nabco Ltd 移乗機
JP5036369B2 (ja) 2006-07-14 2012-09-26 株式会社 イーゼル 介護補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63B1 (ko) * 2018-10-24 2019-10-02 김채영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271Y1 (ko)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54267A1 (en) Transfer device
KR20210096580A (ko) 환자용 전동식 리프트
KR20200068846A (ko)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US2680855A (en) Attachment for lifting invalids in and out of bathtubs
JP2007202880A (ja) 歩行器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KR200450271Y1 (ko) 스탠딩 리프트
JP6029126B1 (ja) 移乗装置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JP3213846U (ja) 入浴用車椅子
JP4043773B2 (ja) 移乗介助機
JP3201241U (ja) 介護用ベッド
JP5105129B2 (ja) 介護用車椅子
JP2001129033A (ja) 介護補助装置
JP5710950B2 (ja) リハビリ介護用車椅子
TW202023509A (zh) 體弱者的獨立移動裝置
JP2001129032A (ja) 介護補助装置
JP2015029679A (ja) 車椅子
JP3195788U (ja) 介護用椅子型補助具
KR20190092826A (ko)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JP5671667B2 (ja) 車椅子の乗降支援装置
KR20230086002A (ko) 환자용 리프트
JP2012161505A (ja) 車椅子
KR101205094B1 (ko) 하반신 부자유자 이송용 의료보조기
JP2009268786A (ja) 介護用起立支援移動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