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863B1 -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863B1
KR102027863B1 KR1020180127232A KR20180127232A KR102027863B1 KR 102027863 B1 KR102027863 B1 KR 102027863B1 KR 1020180127232 A KR1020180127232 A KR 1020180127232A KR 20180127232 A KR20180127232 A KR 20180127232A KR 102027863 B1 KR102027863 B1 KR 10202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upport
frame
kne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영
Original Assignee
김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영 filed Critical 김채영
Priority to KR102018012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6Upp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6Knee, upper or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8Ankle or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를 침대나 휠체어 또는 화장실 변기 등으로 이동시 한명의 보호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발이 놓여지는 발고정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프레임으로 연결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부 측으로 곡선지게 돌출 형성되어 엎어지는 환자의 가슴 부위가 지지되는 가슴지지대와;
상기 가슴지지대의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어 가슴지지대에 엎어진 환자의 팔 또는 어깨가 지지하는 거치프레임과;
상기 가슴지지대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슴지지대의 반대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발고정대에 발이 올려진 환자의 무릎이 지지되는 무릎지지대와;
상기 가슴지지대의 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무릎지지대의 양측에 형성되어 무릎지지대의 양측으로 무릎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바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Moving device for patient's transfer}
본 발명은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를 침대나 휠체어 또는 화장실 변기 등으로 이동시 한명의 보호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이하, 사용자)은 몸이 불편하기 때문에 특정한 장소를 이동할 경우에는 보호자나 보조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보조수단으로는 휠체어(Wheel Chair)가 널리 알려져 있다. 휠체어는 특히 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휠체어는 직접 사용자 스스로 바퀴를 조작함에 따라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보호자가 휠체어의 손잡이를 잡고 밀면서 걸음에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휠체어와 같은 이동수단은 이동자체에 편리성을 강조한 것일 뿐, 사용자가 일단 휠체어로 옮겨타거나 휠체어로부터 내리는 과정이 매우 힘들고 번거롭다. 예를 들어, 환자가 화장실에 용무가 있을 경우, 휠체어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화장실의 변기에 옮겨 앉기가 매우 힘들게 된다. 또한, 옮겨 앉은 이후 휠체어로 다시 옮겨 타는데에도 힘들게 된다.
더욱이, 휠체어는 그 구조상 사용자가 앉아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신에 깁스를 한 환자 또는 사지마비의 환자의 경우와 같이 앉기 불편한 사용자는 사용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027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를 침대나 휠체어 또는 화장실 변기 등으로 이동시 한명의 보호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발이 놓여지는 발고정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프레임으로 연결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부 측으로 곡선지게 돌출 형성되어 엎어지는 환자의 가슴 부위가 지지되는 가슴지지대와;
상기 가슴지지대의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어 가슴지지대에 엎어진 환자의 팔 또는 어깨가 지지하는 거치프레임과;
상기 가슴지지대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슴지지대의 반대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발고정대에 발이 올려진 환자의 무릎이 지지되는 무릎지지대와;
상기 가슴지지대의 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무릎지지대의 양측에 형성되어 무릎지지대의 양측으로 무릎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바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프레임의 중단부에는 수평으로 지지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가슴지지대에 지지된 환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가슴지지대에 엎어진 환자의 등을 받쳐주는 메인 받침벨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에는 무릎지지대에 지지된 환자의 무릎 또는 다리의 뒷쪽을 받쳐주어 환자의 다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리 받침벨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프레임의 상측 후면부에는 이동식 바퀴부를 통해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고정대의 하측에는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프레임의 하측 후면부에는 이동식 바퀴부를 통해 이동시,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 바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는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를 침대나 휠체어 또는 화장실 변기 등으로 이동시 한명의 보호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탑승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탑승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는 사지마비 경추 5,6번 환자(지체 1급 상,하지 장애인 대상) ASIA-A를 대상으로 사용하지만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장애인도 사용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들을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 침대에서 화장실 변기로 이동, 휠체어에서 화장실 변기로 이동 등 트랜스퍼(Transfer)하기 위한 이동장치로써, 메인 프레임(10)과, 발고정대(20)와, 가슴지지대(30)와, 거치프레임(40)과, 무릎지지대(50)와,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과, 이동식 바퀴부(8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된 프레임이 상호 이격되어 한쌍으로 수직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발고정대(20)와, 가슴지지대(30)와, 거치프레임(40)과, 무릎지지대(50)와,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을 지지해준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중단부에는 수평으로 지지 프레임(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에는 가슴지지대(30)에 지지된 환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가슴지지대(30)에 엎어진 환자의 등을 받쳐주는 메인 받침벨트(13)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받침벨트(13)는 양끝단부에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11)에 일측의 고정고리가 고정된 뒤, 환자의 등에 벨트의 중앙부가 위치하여 지지한 후, 타측이 지지 프레임(11)에 고정되며, 상기 환자의 등을 받쳐준 뒤, 길이 조절부를 통해 메인 받침벨트(13)의 줄 길이를 조절하여 가슴지지대(30)에 엎어진 환자를 밀착시켜 안전하게 고정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측 후면부에는 이동식 바퀴부(80)를 통해 메인 프레임(10)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부(1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2)에는 탄성재질의 손잡이(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환자의 보호자 또는 다른 사람이 손잡이부(12)를 잡고 메인 프레임(10)의 후면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이동식 바퀴부(80)를 통해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를 이동시킨다.
상기 발고정대(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한쌍의 메인 프레임(10) 사이에 형성되어 수평으로 플레이트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발고정대(20)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고정대(20)의 전방부는 지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을 끌어서 올려놓을 때 단턱이 생기지 않아 편안하게 발을 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진 발고정대(20)의 전방부에는 지면에 지지시 파손 및 충격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무패킹(미도시)이 더 설치된다.
상기 가슴지지대(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의 전면부 측으로 곡선지게 돌출 형성되어 엎어지는 환자의 가슴 부위가 지지되는데, 상기 가슴지지대(30)의 양측에는 가슴지지대 프레임(70)이 형성되어 가슴지지대(30)를 받쳐준다.
여기서, 상기 가슴지지대 프레임(70)은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연결되어 가슴지지대(30)와 동일하게 메인 프레임(10)의 전면부 측으로 곡선지게 돌출 형성되어 가슴지지대(30)를 고정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가슴지지대(30)의 일면에는 접촉되는 환자가 편안하게 엎어지도록 탄성재질의 패드(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상기 거치프레임(4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슴지지대(30)의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거치프레임(40)은 가슴지지대 프레임(70)의 측면에 곡선지게 돌출 형성되어 가슴지지대(30)에 엎어진 환자의 팔 또는 어깨 또는 겨드랑이가 거치되어 환자가 지지된다.
상기 무릎지지대(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의 전면부 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된 가슴지지대(3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는데, 상기 무릎지지대(50)는 가슴지지대(30)의 곡선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발고정대(20)에 발이 올려진 환자의 무릎이 접촉되면서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가슴지지대(30)와 무릎지지대(50)는 측면상 "S"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는 가슴지지대(30), 하부는 무릎지지대(50)로 구획되고, 상기 무릎지지대(50)의 일면에는 접촉되는 환자의 무릎이 편안하게 접촉되도록 탄성재질의 패드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무릎지지대(50)는 가슴지지대(30)와 반대방향으로 곡선지게 형성된 뒤, 끝단부가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되어 가슴지지대(30)에 엎어지는 환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슴지지대 프레임(70)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연결되는 가슴지지대 프레임(70)의 끝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은 무릎지지대(50)의 양측에 형성되어 무릎지지대(50)에 지지된 환자의 무릎이 무릎지지대(50)의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을 통해 환자의 무릎이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환자를 휠체어 또는 팔거리가 있는 의자에 앉힐 때 무릎이 휠체어나 의자의 팔거리에 부딛히거나 접촉되지 않아 안전하게 착석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은 일측이 가슴지지대 프레임(70)과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발고정대(20)에 고정되거나 메인 프레임(10)의 하부 전면부에 연결 고정되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이 메인 프레임(10)에 연결고정시, 발고정대(20)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 프레임(9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 프레임(90)은 측면상 반구형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받침 프레임(90)과 이동식 바퀴부(80)에 의해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가 세워진 상태로 구비할 수 있고, 이동시 손잡이부(12)를 메인 프레임(10)의 후면으로 기울리거나 바로 세울 때 곡선진 받침 프레임(90)이 중심점 역할을 해준다.
또한, 상기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에는 무릎지지대(50)에 지지된 환자의 무릎 뒷쪽 또는 다리의 뒷쪽을 받쳐주어 환자의 다리가 무릎지지대(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리 받침벨트(61)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다리 받침벨트(61)는 메인 받침벨트(13)와 유사한 형태, 기능이기에 별도의 기술은 더 하지 않고, 다만 다리 받침벨트(61)는 한쌍의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 중 일측의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에 연결된 상태에서 환자의 다리 또는 무릎 뒷쪽으로 벨트의 중앙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타측의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식 바퀴부(8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의 하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측 후면부 측에 형성되어 손잡이부(12)에 의해 기울릴 때 이동식 바퀴부(80)에 중심점이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측 후면부 또는 메인 프레임(10)의 후면부 중간에는 이동식 바퀴부(80)를 통해 이동시,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 바퀴부(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바퀴부는 이동식 바퀴부(80)와 동일 선상에 형성되지 않고 이동식 바퀴부(8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손잡이부(12)에 의해 기울리면 보조 바퀴부도 지면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바퀴부는 메인 프레임(10)에 힌지 연결되어 미사용시에는 메인 프레임(10) 측으로 접고, 사용시에는 내려지며, 상기 힌지 연결부위에는 고정 핀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보조 바퀴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환자(트랜스퍼용 이동장치의 사용자)가 침대 또는 휠체어에 걸쳐 앉은 상태에서 환자의 발 밑에 발고정대(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를 밀어 넣은 뒤,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를 받침 프레임(9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세운다. 이때, 상기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가 세워져도 받침 프레임(90)과 이동식 바퀴부(80)에 의해 세워지기에 약간은 손잡이부(12) 측으로 경사지게 세워진다.
그런 다음, 보호자(트랜스퍼용 이동장치를 이동시키는 사람)는 도 5에서와 같이, 환자의 팔 또는 등을 감싸서 살짝 들어올려 환자를 가슴지지대(30)에 엎어지게 하고, 환자의 무릎을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 사이에 넣고 무릎지지대(50)에 지지시킨다. 이때, 상기 환자는 팔 또는 겨드랑이가 거치프레임(40)에 걸쳐져 침대 또는 휠체어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받침벨트(13)를 환자의 등에 받친 뒤 지지 프레임(11)에 고정하고, 상기 다리 받침벨트(61)를 환자의 무릎 뒷쪽이나 다리 뒷쪽에 받침 뒤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에 결착함으로써, 환자가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 보호자는 손잡이부(12)의 상측을 살짝 눌러 받침 프레임(90)을 지면에서 이격시킨 다음 이동식 바퀴부(80)를 통해 트랜스퍼용 이동장치(100)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켜 환자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곳에 도착하면 메인 받침벨트(13)와 다리 받침벨트(61)를 풀고 메인 프레임(10)을 전면부 측으로 천천히 경사지게 해서 환자를 간단하게 앉힐 수 있는 것이다.
10 : 메인 프레임 11 : 지지 프레임
12 : 손잡이부 13 : 메인 받침벨트
20 : 발고정대 30 : 가슴지지대
40 : 거치 프레임 50 : 무릎지지대
60 :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 61 : 다리 받침벨트
70 : 가슴지지대 프레임 80 : 이동식 바퀴부
90 : 받침 프레임 100 :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Claims (6)

  1. 수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발이 놓여지는 발고정대(2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연결되는 가슴지지대 프레임(7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면부 측으로 곡선지게 돌출 형성되어 엎어지는 환자의 가슴 부위가 지지되는 가슴지지대(30)와;
    상기 가슴지지대 프레임(70)에 돌출 형성되어 가슴지지대(30)에 엎어진 환자의 팔 또는 어깨가 지지하는 거치프레임(40)과;
    상기 가슴지지대(3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슴지지대(30)의 반대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발고정대(20)에 발이 올려진 환자의 무릎이 지지되는 무릎지지대(50)와;
    상기 가슴지지대 프레임(70)과 연결되되, 상기 무릎지지대(50)의 양측에 형성되어 무릎지지대(50)의 양측으로 무릎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바퀴부(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중단부에는 수평으로 지지 프레임(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에는 가슴지지대(30)에 지지된 환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가슴지지대(30)에 엎어진 환자의 등을 받쳐주는 메인 받침벨트(13)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에는 무릎지지대(50)에 지지된 환자의 무릎 또는 다리의 뒷쪽을 받쳐주어 환자의 다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리 받침벨트(6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측 후면부에는 이동식 바퀴부(80)를 통해 메인 프레임(10)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부(1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고정대(20)의 하측에는 무릎 이탈방지 프레임(60)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 프레임(9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측 후면부에는 이동식 바퀴부(80)를 통해 이동시,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 바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KR1020180127232A 2018-10-24 2018-10-24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KR10202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32A KR102027863B1 (ko) 2018-10-24 2018-10-24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32A KR102027863B1 (ko) 2018-10-24 2018-10-24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863B1 true KR102027863B1 (ko) 2019-10-02

Family

ID=6842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232A KR102027863B1 (ko) 2018-10-24 2018-10-24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8070A1 (en) * 2020-05-11 2021-11-18 Automation For Humanity Ltd. Companion robot transfer assistant
KR20220086752A (ko) * 2020-12-16 2022-06-24 황현석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변기 착석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558A (ko) * 2006-01-24 2007-07-27 김종은 환자이송장치
KR20090012734U (ko) * 2008-06-10 2009-12-15 남기백 스탠딩 리프트
KR20150136251A (ko) * 2014-05-27 2015-12-07 한국기계연구원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이동방법
KR20180083126A (ko) * 2017-01-12 2018-07-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병인을 위한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전동 이송 리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558A (ko) * 2006-01-24 2007-07-27 김종은 환자이송장치
KR20090012734U (ko) * 2008-06-10 2009-12-15 남기백 스탠딩 리프트
KR200450271Y1 (ko) 2008-06-10 2010-09-16 남기백 스탠딩 리프트
KR20150136251A (ko) * 2014-05-27 2015-12-07 한국기계연구원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이동방법
KR20180083126A (ko) * 2017-01-12 2018-07-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병인을 위한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전동 이송 리프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8070A1 (en) * 2020-05-11 2021-11-18 Automation For Humanity Ltd. Companion robot transfer assistant
KR20220086752A (ko) * 2020-12-16 2022-06-24 황현석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변기 착석 보조장치
KR102530064B1 (ko) 2020-12-16 2023-05-09 황현석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변기 착석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8771A (en) Patient lifting and hoist therefor
KR102214760B1 (ko) 이동 보행기
JP2008036392A (ja) 介護補助装置
JP6578081B2 (ja) 起立着座移動支援装置
KR101177709B1 (ko) 환자 승강 장치
US6220620B1 (en) Wheeled height-adjustable rehabilitation chair
KR102027863B1 (ko)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JP4051926B2 (ja) 車椅子
JP2014014573A (ja) 移乗機器
JP2001321404A (ja) 歩行器兼用車椅子
US4307715A (en) Ambulatory aid
JP5672616B2 (ja) 身体起立支援支持具付き歩行器
CA2170959A1 (en) Invalid chair with pivotal foot rest
CN111616878A (zh) 看护机器人
JP5531344B2 (ja) 移乗器具
WO1998015250A1 (en) A transfer aid
US6601922B2 (en) Apparatus with lower leg restraints for contributing to support of a handicapped person
JPH09238988A (ja) 人体の移乗装置
JP2001129032A (ja) 介護補助装置
JP2000079143A (ja) ベッド上で体幹前傾姿勢を保持するための補助具
KR102505407B1 (ko) 용변 가능한 목욕용 접이식 의자
JP2506558Y2 (ja) ベッド等における立上り補助具
JPH069591B2 (ja) 起立補助器
CN215459413U (zh) 一种儿童可调卫浴轮椅
KR102223850B1 (ko) 간병인 지원을 위한 이동보조 의료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