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561B1 -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561B1
KR100950561B1 KR1020090080890A KR20090080890A KR100950561B1 KR 100950561 B1 KR100950561 B1 KR 100950561B1 KR 1020090080890 A KR1020090080890 A KR 1020090080890A KR 20090080890 A KR20090080890 A KR 20090080890A KR 100950561 B1 KR100950561 B1 KR 10095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ge frame
lift
fram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최
임호용
Original Assignee
용 최
임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최, 임호용 filed Critical 용 최
Priority to KR102009008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3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separate from the vehicle, e.g. fixed on the pa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장치 베이스와; 장치 베이스의 후방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후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와; 장치 베이스에 복수 단계로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승강 리프트유닛과; 구동바퀴 및 승강 리프트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가 개시된다.
리프트, 장애인, 휠체어

Description

리프트장치{A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중증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와 함께 탑승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을 자유롭게 하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들이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휠체어가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휠체어는 주로 평지나 계단의 우회로로 설계된 경사로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나 환자는 수평이동은 가능하나, 높이가 높은 곳으로는 이동이 불편하므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 및 환자는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휠체어에서 차량에 탑승하고자 할 때, 실내에서 침대 등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높은 곳의 물건을 손으로 잡고자 할 때 등의 경우에는 휠체어의 수직 이동이 불가하므로, 보호자에 의존하거나, 또는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생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휠체어를 안정되게 탐재시킨 상태로 승강 이동 가능하며, 탑승자에게 편안함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리프트장치는, 장치 베이스와; 상기 장치 베이스의 후방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후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와; 상기 장치 베이스에 복수 단계로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승강 리프트유닛과; 상기 구동바퀴 및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로 접힌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퀴를 지지하며, 상부로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견인랩을 장착할 수 있는 멀티행거유닛과;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탑재되는 휠체어의 후방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지지유닛; 및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의 상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탑승자의 상부 신체를 감싸서 안전하게 지지하는 안전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트유닛은, 상기 장치베이스에 직립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1단프레임과; 상기 1단프레임의 외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2단프레임과; 상기 2단프레임의 외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3단프레 임과; 상기 1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1단 프레임에 상하로 형성된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2단프레임에 연결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며, 구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2단프레임의 승하강시 상기 3단프레임이 연동하여 함께 순차적으로 승하강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가 승강되면서, 상기 2단프레임과 3단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는 리프트모터와; 상기 리프트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1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1단프레임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가동부재를 승강시키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에 결합되는 나사선이 내주에 형성된 나사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일단은 상기 3단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1단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2단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부로 감겨서 상기 1단프레임으로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2단프레임이 상기 가동부재와 함께 상승시, 상기 와이어 지지풀리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상기 3단프레임이 함께 상승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1단프레임과 2단프레임 사이와, 상기 2단프레임과 상기 3단프레임 사이 각각에는 간격을 유지하고, 2단 및 3단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들이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장치 베이스의 전방에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레그와; 상기 한 쌍의 수평레그의 끝단에 설치되는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에 따르면, 휠체어를 탑재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도 리프팅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리프트 프레임들의 상하 이동시 자연스러운 승강이 가능하며, 승강시 마찰로 인한 소음이나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휠체어의 바퀴와 핸들을 각각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동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멀티행거유닛을 상하로 접고 펼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휠체어를 탑재하거나, 견인랩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핸들 지지유닛의 높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휠체어를 모두 탑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장치 베이스(10) 와, 상기 장치 베이스(10)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바퀴(20)와, 구동바퀴(20)를 구동회전시키기 위해 장치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바퀴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제어유닛(30), 상기 장치 베이스(10) 상에 설치되는 승강 리프트유닛(40)과,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4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멀티행거유닛(50)과,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40)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후방 핸들(120)을 잡아주는 핸들 지지유닛(60)과,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4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바(70)와, 상기 핸들 지지유닛(6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노브(8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베이스(10)의 후단에는 구동바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베이스(10)의 전방으로는 한 쌍의 수평 레그(11)가 설치된다. 이 수평 레그(11)의 끝단에는 캐스터(12)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수평 레그(11)는 서로 간의 간격 또는 상호 간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장치 베이스(1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레그(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계로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3개의 각도 조절공(11a)이 연결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공(11a)에 각도 고정을 위한 고정핀(미도시)을 끼워 넣게 되면, 수평 레그(11)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 레그(1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사람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바닥에서 끌어올릴 때 신체가 수평레그(11)에 닿지 않도록 하여 찰과상 등의 상처를 입지 않게 할 수 있고, 양쪽으로 수평레그(11)를 펼친 경우에는 지지면이 넓어져서 장치 전체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 및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동바퀴(20)는 전진 또는 후진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제어유닛(30)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동바퀴들(2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 베이스(10)에는 구동바퀴들(20)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구동모터(21,2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들(21,22)은 기어열 등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바퀴(20)의 축(24)에 연결되어 구동바퀴(20)의 전진 및 후진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제어유닛(30)은 장치 베이스(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어박스(31)와, 그 제어박스(31) 내에 설치되는 리프트센서(32), 구동모터 제어부(33), 리프트모터 제어부(34), 수신기(35), 배터리(36) 및 충전단자(37), 전원스위치(38) 및 무선안테나(39) 등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트센서(32)는 리프트모터 제어부(34)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리프트모터(45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리프트유닛(40)의 승강 거리를 감지하여, 일정 거리 이동될 때 리프트모터(45a)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감지신호를 리프트모터 제어부(34)로 전송한다. 따라서 리프트모터(45a)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리프트모터(45a)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 제어부(33)는 제1 및 제2구동모터(21,22) 각각이 독립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구동바퀴들(20)이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리프트장치 전체가 전진, 후진, 좌측 및 우측으로 방향 전환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신기(35)는 원격에서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200)로부터 전 달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구동모터 제어부(33), 리프트모터 제어부(34)로 전달함으로써, 원격에서 구동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36)는 충전단자(37)에 연결되며, 그 충전단자(37)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상기 전원스위치(38)는 전원스위치용 무선안테나(39)로부터 전달되는 온/오프 스위칭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스위칭 됨으로써, 배터리(36)의 전원을 리프트모터(45a), 제1 및 제2구동모터(21,22) 각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원격에서 리모트 콘트롤러(200)를 조작하여, 리프트장치의 구동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어, 장애인이나 환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40)은 도 2, 도 6a 내지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 형식으로 단계적으로 승강되도록 1단프레임(41), 2단프레임(42) 및 3단프레임(43)이 내외로 접철되게 연결된 구성을 가지며, 1단프레임(41)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2단프레임(42)에 결합되는 가동부재(44)와, 가동부재(44)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45) 및 2단프레임(42)의 승강시 상기 3단프레임(43)이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46)를 구비한다.
상기 1단프레임(41)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4각 단면형상 또는 'ㄷ' 자 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 1단프레임(41)은 직립된 자세로 장치 베이스(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장치 베이스(10)의 상부에 마련된 모터 하우징(15)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1단프레임(41)의 일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릿(41)이 형성된다.
상기 2단프레임(42)은 1단프레임(41)의 외측에서 상기 1단프레임(41)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2단프레임(42)은 1단프레임(41)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일측면이 개방된 틀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2단프레임(42)의 하부에는 상기 가동부재(44)가 고정 결합되어, 가동부재(44)와 일체로 상승 및 하강운동하게 된다.
상기 3단프레임(43)은 2단프레임(42)의 외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3단프레임(43)에 상기 멀티행거유닛(50), 핸들지지유닛(60), 안전바(70) 및 후방핸들(120) 등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부재(44)는 1단프레임(41) 내부에 설치되며, 슬릿(41a)을 통해 2단프레임(42)에 고정설치된다. 이 가동부재(44)는 상하로 관통되며 내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공(44a)을 가진다. 이 나사공(44a)에 후술한 스크류부재(45b)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부재(45b)의 회전시 가동부재(44)는 상부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45)는 장치 베이스(10)의 상부 즉, 장치 베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모터하우징(15)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모터(45a)와, 상기 리프트모터(45a)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도록 상기 1단프레임(41)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부재(45b)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트모터(45a)는 리프트모터 제어부(34)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부재(45b)는 리프트모터(45a)의 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며, 상기 가동부재(44)의 나사공(44a)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1단프레임(41)의 내부에 상하로 직립되게 즉, 1단프레임(41)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크류부재(45b)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가동부재(44)가 상승하고,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가동부재는 하강된다. 그리고 리프트모터(45a)와 스크류부재(45b) 사이에는 감속기(45c)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부재(45b)의 상단은 1단프레임(4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6a 내지 도 6g를 참조하면, 상기 연동부(46)는 일단은 3단프레임(43)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1단프레임(43)의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46a)와, 2단프레임(4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46a)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풀리(46b)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46a)는 강도가 좋은 금속와이어인 것이 좋다. 이 와이어(46a)는 도 6a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3단프레임(43)의 하부를 내외로 관통하여 외측면으로 노출되어 연결된다. 이를 위해 3단프레임(43)의 외측면에는 고정브라켓(47a)이 설치되고, 이 고정브라켓(47)에 와이어(46a)의 끝단이 연결된 조절나사부(47b)가 관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나사부(47b)에는 고정브라켓(47a)을 사이에 두고 조절너트(47c)가 결합됨으로써, 와이어(46a)를 안정되게 고정시킴은 물론, 조절너트(47c)의 조임 정도에 따라서 와이어(46a)의 길이 및 텐션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46a)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한 쌍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와이어(46a)의 타단은 1단프레임(41)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47d)에 고정핀(47e)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 지지풀리(46b)는 2단프레임(42)의 상부의 1단프레임(41)에 마주하는 면에 고정되는 풀리 지지브라켓(47f)에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이 설치된다. 이 와이어 지지풀리(46b)의 상부를 감도록 와이어(46a)가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동부재(44)가 스크류부재(45b)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2단프레임(42)이 함께 상승된다. 그러면 와이어(46a)의 타단은 1단프레임(4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2단프레임(42)에 설치된 와이어 지지풀리(46b)는 점점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46a)의 일단은 와이어 지지풀리(46b)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같이 와이어(46a)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도 2와 같이 3단프레임(43)은 2단프레임(42)의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1단, 2단 및 3단프레임(41,42,43)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롤러들(48a,48b)이 1단 및 2단프레임들(41,42) 사이와, 2단 및 3단플임들(42,43) 사이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롤러들(48a,48b)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2단 및 3단프레임(42,43)은 안정되고 자연스럽게 승강 및 하강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행거유닛(50)은 상단이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40)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행거아암(51)과, 행거아암(51)이 상부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바(52)와, 상기 행거아암(51)의 하단에 연결되어 탑승된 휠체어(100)의 바퀴(110)을 지지하는 바퀴 지지부재(53) 및 행거아암(51)이 상부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행거스토퍼(54)를 구비한다.
상기 행거아암(51)은 한 쌍의 프레임이 나란하도록 연결된 구성으로서, 그 상단이 승강리프트유닛(40)의 상단부 양측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장치 베이스(10)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구성을 가진다. 이 행거아암(51)의 하부 양측면 가각에는 행거 손잡이(51a)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52)는 행거아암(51)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부(52a)와, 상기 실린더부(52a)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승강리프트유닛(40)의 대략 상측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스톤부(52b)를 구비한다. 상기 행거아암(51)을 도 6c와 같이 상부로 행거손잡이(51a)를 잡고 회동시키면, 피스톤부(52b)가 실린더부(52a)에서 빠져나오면서 행거아암(51)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행거스토퍼(54)를 조작하게 되면, 피스톤부(52b)와 실린더부(52a)의 상대적인 연결위치가 고정됨으로써, 결국 행거아암(51)이 하강되지 않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스톤부(52b)에는 행거스토퍼(54)가 결합되는 스토퍼공(52c)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행거아암(51)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한 쌍의 바퀴 지지부재(53)가 설치된다. 이 바퀴 지지부재(53)는 휠체어(100)의 바퀴(110)를 지지함으로써, 휠체어(100)를 리프트장치에 탑재할 때 휠체어(100)의 하중을 일부 지지함으로써, 상기 핸들 지지유닛(60)에서 받는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퀴 지지부재(53)는 바퀴(110)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이 고무재질로 덮인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 스토퍼(54)는 행거아암(51)이 도 7c와 같이 상부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바(52)의 실린더부(52a)와 피스톤부(52b)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행거 스토퍼(54)는 실린더부(52a)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예로서 상기 피스톤부(52b)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공(52c)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됨으로써, 피스톤부(52b)의 실린더부(52a)에 대한 결합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행거 스토퍼(54)는 실린더부(52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부(52a)에 형성된 통과공을 통해 상기 스토퍼공(52c)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행거 스토퍼(54)는 미도시된 스프링(토션스프링 포함)에 의해 상기 스토퍼공(52c)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됨으로써, 행거아암(51)이 상부로 회동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7c와 같이 행거아암(51)을 상부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아암(51)의 상부에 견인랩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멀티행거유닛(50)은 지지바(52)에 의해서 상부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으며, 접힌 상태에서는 도 8a와 같이 휠체어(100)를 탑재시키거나, 도 8b와 같이 좌식의자를 탑재하거나, 또는 도 8c와 같이 스탠딩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펼친 상태에서는 도 8d와 같이 견인랩을 장착하여 장애인이나 환자가 침대나 욕실 등으로 옮겨다닐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들 지지유닛(60)은 승강 리프트유닛(40)에 설치되는 핸들 지지바(61)와, 상기 핸들 지지바(61)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핸들(120)을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핸들 클램퍼(62)를 구비한다.
상기 핸들 지지바(61)는 승강 리프트유닛(40)의 후방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리프트유닛(4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 핸들 지지바(61)의 양단부 각각에 휠체어(100)의 핸들(120)이 걸쳐진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핸들 클램퍼(62)는 핸들 지지바(61)의 양단부 각각에 설치된다. 이 핸들 클램퍼(62)는 핸들 지지바(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62a)와, 상기 이동바(62a)에 설치되는 클램퍼몸체(62b)를 구비한다. 이동바(62a)는 핸들 지지바(61)를 따라 좌우로 위치 이동되게 설치됨으로써, 양측에 마련된 이동바(62a)는 서로의 간격을 좁히거나 멀어지게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휠체어 각각에 맞게 폭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1 및 도 2 참조; 핸들 클램퍼(62), 이동바(62a), 클램퍼몸체(62b)에 대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상세히 기재된 것으로, 도 9에서는 그에 대한 부호표시를 생략함).
상기 클램퍼몸체(62b)는 이동바(62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 위치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퍼몸체(62b)는 휠체어(100)의 핸들(120)을 감싸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휠체어(100)가 리프트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 클램퍼(62)를 사용하여 휠체어(100)의 후방 핸들(120) 즉, 핸들 프레임을 양쪽에서 잡아주게 됨으로써, 휠체어(100)를 들어올릴 때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해주며, 휠체어(100) 핸들(120)이 흘들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단단히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핸들 크램퍼(62)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휠체어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지지유닛(60)은 높이 조절노브(80)에 의해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리프트유닛(40)의 후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유닛(80)이 상하 이동 가능하며, 높이 조절후 결합될 수 있는 슬릿 결합부(49)가 형성된다. 상기 슬릿 결합부(49)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높이 조절노브(80)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됨으로써, 높이 조절노브(80)는 상기 핸들 지지바(61)을 통과하여 슬릿 결합부(49) 내부의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핸들 지지바(61)를 높이 조절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휠체어(100)의 핸들(120)의 높이에 따라서 핸들 지지유닛(60)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안전바(70)는 승강 리프트유닛(40)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안전바(70)는 리프팅된 상태에서 이동될 때, 탑승자의 신체를 감싸서 잡아줌으로써, 흔들리거나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허리힘이 없는 흉추 이상의 하반신 마비환자의 경우 자칫하면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바(70)는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100)를 안전하게 탑재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로 리프팅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애인이나 환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높은 장소와 낮은 장소 사이에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행거유닛(50)을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하부로 접은 상태에서는 휠체어(100)의 바퀴(11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부로 펼친 상태에서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랩을 장착하여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애인이나 환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와 같이 좌식의자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도 8c와 같이 환자가 스탠딩 상태로 탑승하여 이동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2 및 도 3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6a 내지 도 6g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승강 리프트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행거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8a 내지 도 8d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 보인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트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장치 베이스 20..구동바퀴
30..제어유닛 40..승강리프트유닛
41..1단프레임 42..2단프레임
43..3단프레임 44..가동부재
45..구동부 46..연동부
50..멀티행거유닛 60..핸들 지지유닛
70..안전바 80..높이조절노브
100..휠체어

Claims (7)

  1. 장치 베이스와;
    상기 장치 베이스의 후방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후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와;
    상기 장치 베이스에 3단계로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승강 리프트유닛과;
    상기 구동바퀴 및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구동 및 제어유닛;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로 접힌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퀴를 지지하며, 상부로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견인랩을 장착할 수 있는 멀티행거유닛과;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탑재되는 휠체어의 후방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지지유닛;
    상기 승강 리프트유닛의 상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탑승자의 상부 신체를 감싸서 안전하게 지지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유닛은,
    상기 장치베이스에 직립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1단프레임과;
    상기 1단프레임의 외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2단프레임과;
    상기 2단프레임의 외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3단프레임과;
    상기 1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1단 프레임에 상하로 형성된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2단프레임에 연결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며, 구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2단프레임의 승하강시 상기 3단프레임이 연동하여 함께 순차적으로 승하강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가 승강되면서, 연동부가 상기 2단프레임과 3단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는 리프트모터와;
    상기 리프트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1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1단프레임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가동부재를 승강시키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에 결합되는 나사선이 내주에 형성된 나사 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일단은 상기 3단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1단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2단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부로 감겨서 상기 1단프레임으로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2단프레임이 상기 가동부재와 함께 상승시, 상기 와이어 지지풀리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상기 3단프레임이 함께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단프레임과 2단프레임 사이와, 상기 2단프레임과 상기 3단프레임 사이 각각에는 간격을 유지하고, 2단 및 3단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베이스의 전방에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레그와;
    상기 한 쌍의 수평레그의 끝단에 설치되는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KR1020090080890A 2009-08-31 2009-08-31 리프트장치 KR100950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890A KR100950561B1 (ko) 2009-08-31 2009-08-31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890A KR100950561B1 (ko) 2009-08-31 2009-08-31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561B1 true KR100950561B1 (ko) 2010-04-01

Family

ID=4221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890A KR100950561B1 (ko) 2009-08-31 2009-08-31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076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휠라인 신체적 약자를 위한 이동 이승을 위한 보조 로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985A (ja) * 1998-04-23 1999-11-02 Aichi Corp 垂直昇降式高所作業車のマスト落下防止装置
JP2000157579A (ja) 1998-11-24 2000-06-13 Nisshin Iryoki Kk 車椅子用昇降装置
JP2001327554A (ja) * 2000-05-22 2001-11-27 Nabco Ltd 走行式介護リフト
WO2008148922A1 (es) 2007-06-06 2008-12-11 Juan Pineda Mariscal Dispositivo elevador de sillas de rueda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985A (ja) * 1998-04-23 1999-11-02 Aichi Corp 垂直昇降式高所作業車のマスト落下防止装置
JP2000157579A (ja) 1998-11-24 2000-06-13 Nisshin Iryoki Kk 車椅子用昇降装置
JP2001327554A (ja) * 2000-05-22 2001-11-27 Nabco Ltd 走行式介護リフト
WO2008148922A1 (es) 2007-06-06 2008-12-11 Juan Pineda Mariscal Dispositivo elevador de sillas de rueda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076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휠라인 신체적 약자를 위한 이동 이승을 위한 보조 로봇
KR102209833B1 (ko) 2019-02-28 2021-01-29 주식회사 휠라인 신체적 약자를 위한 이동 이승을 위한 보조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326B2 (en) Wheelchair lift transfer device
JP4630119B2 (ja) 移乗支援装置
WO2006103457A1 (en) Height-adjustable bedframes
US8777238B1 (en) Medical emergency portable lift chair
US10806654B2 (en) Motorized chair
US20120167299A1 (en) Crib frame with lifting device
US10835434B2 (en) Self or assist-operated human floor lift
EP1561445A1 (en) A rail-mounted patient or person lift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1496587B1 (ko)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US20160262967A1 (en) Caregiver&#39;s helper lift
KR100950561B1 (ko) 리프트장치
US10617218B2 (en) Method for adjusting mattresses into an operating position and mechanism for performing said method
US5619762A (en) Apparatus for assisting a person in standing from a seated position
KR100950562B1 (ko) 리프트장치
RU2221534C1 (ru) Кровать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JP2926319B2 (ja) 移動支援機器
US20110248471A1 (en) Wheelchair With Seat Lift Mechanism
JPH1094566A (ja) 介護用リフト装置
JP7510578B1 (ja) 昇降装置
CN113893108B (zh) 一种瘫痪患者起吊装置
JP3444695B2 (ja) 便座昇降装置
JP7545600B1 (ja) ストレッチャ
CN210124462U (zh) 升降裁判椅
KR20100084242A (ko)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