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408A -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 Google Patents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408A
KR20180065408A KR1020160166164A KR20160166164A KR20180065408A KR 20180065408 A KR20180065408 A KR 20180065408A KR 1020160166164 A KR1020160166164 A KR 1020160166164A KR 20160166164 A KR20160166164 A KR 20160166164A KR 20180065408 A KR20180065408 A KR 20180065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head
electric bed
worm
m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용
강민규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408A/ko
Publication of KR2018006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6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2Holders for loose bed elements, e.g. sheet holders; bed cover holders
    • A47C21/026Pillow holders; Mattress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파운데이션(10)을 승하강시키는 전동 침대로서, 상기 다수의 파운데이션(10) 중 헤드부(21)에 인접한 제 1 파운데이션(11)의 일단에 위치하는 헤드휠(140); 및 상기 헤드부(210)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휠(140)이 안내되어 이동하는 헤드레일(150)을 포함하는, 전동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Motion bed which is capable of moving by using railways}
본 발명은 전동 침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이 가능한 전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전동 침대는 전기적 힘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이 닿는 부분(예를 들어, 매트리스 등)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침대를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누운 상태에서 상체 또는 하체만을 들어 올릴 수 있어서 편리하다.
전동 침대는, 일반적으로, 침대 프레임에 구비된 다수의 파운데이션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이 상승하면서 매트리스 등의 각도가 조절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편하게 상승시키도록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전동 침대 상부에 쿠션감이 좋은 매트리스가 놓여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전동 침대의 매트리스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매트리스 아래에 위치하는 파운데이션을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파운데이션 아래에 기계 부품이 설치된다.
그러나, 파운데이션 중 일부가 상승하면, 매트리스가 상승됨과 동시에, 파운데이션과 프레임 사이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된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 아래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기계 부품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액튜에이터 등 복잡하고 위험한 것이기에, 해당 공간에 어린이의 손이 끼는 등의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해당 내부 공간에서 기계 부품이 겉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3687호는, 상체에 해당하는 파운데이션 내측으로는 기계 부품을 설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 하체에 해당하는 파운데이션 내측에 모든 기계 부품이 위치하여, 하체 부분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다. 또한, 오직 하나의 실린더에 의존하기에 정위치로 파운데이션이 정확히 상승시키기 어렵다.
다른 예를 들어, 일본공개실용신안 제3059005호는, 파운데이션이 구비된 면과 평행하게 실린더를 배치하되 복잡한 링크 구조를 통하여 각도 조절을 구현하여 실린더가 드러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복잡한 링크 구조 사이에서의 안전 사고 우려가 있으며,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20-2016-0003687 U1 JP 3059005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작동이 가능한 전동 침대를 구현하고자 한다.
특히, 사용자의 손이 끼일 우려가 적어서 안전성이 강화되면서도, 상체와 하체 부분 모두 작동이 가능하고, 정위치로의 승하강이 가능하고, 복잡한 링크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전동 침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파운데이션(10)을 승하강시키는 전동 침대로서, 상기 다수의 파운데이션(10) 중 헤드부(21)에 인접한 제 1 파운데이션(11)의 일단에 위치하는 헤드휠(140); 및 상기 헤드부(210)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휠(140)이 안내되어 이동하는 헤드레일(150)을 포함하는, 전동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을 승하강시키는 웜(130); 상기 웜(130)을 왕복 운동시키는 웜기어(120); 및 상기 웜기어(120)를 왕복 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웜기어(120)에 말단이 구비된 피스톤을 포함한 상부 실린더(1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웜(130)의 일단이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의 바닥면에서 직선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실린더(110)가 작동하여 상기 상부 실린더(110)의 피스톤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웜기어(120)가 회전하며 이동하고, 상기 웜기어(120)가 회전하며 이동하면 이에 연결된 상기 웜(130)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며 상승하고, 상기 웜(130)이 이동하며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이 상승하되, 이 때에 상기 헤드휠(140)이 상기 헤드레일(150)을 따라 상승하면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파운데이션(10)은,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과 링크로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21)에서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파운데이션(12); 상기 제 2 파운데이션(12)과 다른 링크로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21)에서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과 또 다른 링크로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21)에서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 4 파운데이션(1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과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하부 실린더(210)의 피스톤이 위치하여, 상기 하부 실린더(210)의 작동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과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승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실린더(210)는 바닥부(22)에 구비된 하부레일(220)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실린더(210)의 피스톤의 말단이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과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의 상승시 링크로 연결된 상기 제 2 파운데이션(12)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 2 파운데이션(12)의 이동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이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부 실린더(210)이 상기 하부레일(22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220)의 상기 헤드부(21)를 향한 말단은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을 향하는 절반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레일(220)의 상기 헤드부(21)의 반대를 향한 말단은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을 향하는 절반부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레일과 휠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전동 침대의 작동이 가능하다.
특히, 파운데이션 바닥면 아래에 실린더, 피스톤 등의 복잡한 기계 부품을 위치시킬 필요가 없으면서도, 레일에 의하여 파운데이션의 승하강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안전 사고의 위험성과 고장 위험성이 낮다.
복잡한 구조의 실린더가 필요하지 않아서, 제조 원가가 감소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침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전동 침대의 상체 부분과 하체 부분 모두 상승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다.
도 2는 전동 침대의 상체 부분만 상승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3은 전동 침대의 상체 부분과 하체 부분 모두 상승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4는 전동 침대의 하체 부분만 상승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전동 침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닥부(22)에 위치하는 구체적인 부품들과, 파운데이션(10)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매트리스와, 각각의 장치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 등이 생략되었음에 주의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부 실린더(110)와 하부 실린더(120)와 각각의 레일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파운데이션의 일측면 뿐만 아니라, 좌우 양측면에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침대는, 일반적인 전동 침대와 유사하게, 승하강하는 다수의 파운데이션(10: 11, 12, 13, 14)과 프레임(20: 21, 22)을 포함한다.
프레임(20)은 사용자가 누울 경우 머리 부분에 인접한 헤드부(21)와, 다수의 파운데이션(10)과 매트리스(미도시)를 지지하는 바닥부(22)를 포함한다.
다수의 파운데이션(10)은, 헤드부(21)에 가까운 순서대로, 제 1 파운데이션(11), 제 2 파운데이션(12),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제 4 파운데이션(14)을 포함한다.
제 1 파운데이션(11)은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이며, 제 4 파운데이션(14)은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각각의 파운데이션은 링크(30) 또는 힌지(미도시) 등에 의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사용자의 상체 상승을 위해서는 제 1 파운데이션(11)이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도 2 참조), 사용자의 하체 상승을 위해서는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이 그 사이에 연결된 링크(30)를 중심으로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상체와 하체 모두 상승시키기 위하여서는 제 1 파운데이션(11)이 상승함과 동시에,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이 그 사이에 연결된 링크(30)를 중심으로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물론, 각각의 파운데이션의 개별적이고 선택적인 상승을 위하여 다른 형태의 상승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침대에서 제 1 파운데이션(11)이 상승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제 1 파운데이션(11)의 일단에는 헤드휠(140)이 위치하고, 헤드부(210)에는 헤드휠(140)이 안내되어 이동하는 헤드레일(150)이 위치한다.
바닥부(22)에는 제 1 파운데이션(11)을 승하강시키는 웜(130)과 상부 실린더(110)가 구비된다.
웜(130)은 제 1 파운데이션(11)의 바닥면에서 직선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동시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제 1 파운데이션(11)이 승하강된다.
예를 들어, 웜(130)이 제 1 파운데이션(11)의 바닥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도 1의 위치에서 도 2의 위치로 이동) 이와 동시에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기에 제 1 파운데이션(11)이 상승한다. 이 때에, 헤드휠(140)이 헤드레일(1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위치를 안내한다.
반대로, 웜(130)이 제 1 파운데이션(11)의 바닥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도 2의 위치에서 도 1의 위치로 이동)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에 제 1 파운데이션(11)이 하강한다. 이 때에도 헤드휠(140)이 헤드레일(1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위치를 안내한다.
웜(130)의 좌우 이동 및 승하강은 웜기어(120)의 좌우 이동과 회전에 따른 것이며, 웜기어(120)는 상부 실린더(110)에 따라 좌우 이동하며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실린더(110)에는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구비되고, 피스톤의 말단에는 피스톤의 작동시 회전하는 웜기어(120)가 구비된다.
즉, 상부 실린더(110)의 피스톤이 원위치(도 1)에서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작동하면 웜(130)이 이에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회전하며, 웜(130)의 회전에 따라 웜기어(120) 역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한다.
반대로, 상부 실린더(110)의 피스톤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삽입되도록 작동하면 웜(130)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반대로 회전하며, 웜(130)의 반대 회전에 따라 웜기어(120)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파운데이션 바닥면 아래의 복잡한 기계 구조 없이도, 사용자가 상부 실린더(110)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제 1 파운데이션(11)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특히, 헤드레일(150)과 헤드휠(140)의 구조에 의하여 정위치를 유지하며 승하강되기에, 상부 실린더(110)가 파운데이션의 측면에서 작동되어도 하중을 받고 정위치를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침대에서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이 상승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바닥부(22)에는 하부 실린더(210)가 위치한다.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하부 실린더(210)의 피스톤의 말단이 단단히 고정되게 위치한다.
여기서,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의 사이의 링크(30) 부분을 상승시키도록, 하부 실린더(210)의 피스톤이 제 3 파운데이션(13)의 중간을 기준으로 제 4 파운데이션(14)을 향하는 절반부 또는 제 4 파운데이션(14)의 중간을 기준으로 제 3 파운데이션(13)을 향하는 절반부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서는, 하부 실린더(210)의 피스톤이 제 3 파운데이션(13)의 절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제 4 파운데이션(14)의 절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후술하는 하부레일(220)의 헤드부(21)를 향한 말단이 제 3 파운데이션(13)의 상기 절반부에 위치하고, 하부레일(220)의 헤드부(21) 반대를 향한 말단이 제 4 파운데이션(14)의 상기 절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 실린더(210)가 작동되면 하부 실린더(210)의 피스톤이 상승하고, 피스톤이 제 3 파운데이션(13) 또는 제 4 파운데이션(14)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하부 실린더(210)를 작동시키면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침대에서, 제 1 파운데이션(11)의 상승과 동시에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이 상승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제 1 파운데이션(11)이 상승하면, 링크(30)들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파운데이션(12)과,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이 모두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한다.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에,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피스톤이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기에, 하부 실린더(210) 역시 함께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파운데이션(11)의 상승시 링크로 연결된 상기 제 2 파운데이션(12)이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고, 제 2 파운데이션(12)의 이동시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제 4 파운데이션(14)이 이에 따라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한다.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제 4 파운데이션(14)이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하부 실린더(210)가 하부레일(220)에 의하여 안내되어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한다.
여기서, 하부 실린더(210)의 휠(미도시)이 바닥부(22)에 구비된 하부레일(2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하부 실린더(210)가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제 4 파운데이션(14)과 함께 이동하였기에, 사용자가 하부 실린더(210)를 작동시키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 3 파운데이션(13)과 제 4 파운데이션(14)이 상승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파운데이션
11: 제 1 파운데이션
12: 제 2 파운데이션
13: 제 3 파운데이션
14: 제 4 파운데이션
20: 프레임
21: 헤드부
22: 바닥부
30: 링크
110: 상부 실린더
120: 웜기어
130: 웜
140: 헤드휠
150: 헤드레일
210: 하부 실린더
220: 하부레일

Claims (11)

  1. 다수의 파운데이션(10)을 승하강시키는 전동 침대로서,
    상기 다수의 파운데이션(10) 중 헤드부(21)에 인접한 제 1 파운데이션(11)의 일단에 위치하는 헤드휠(140); 및
    상기 헤드부(210)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휠(140)이 안내되어 이동하는 헤드레일(150)을 포함하는,
    전동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을 승하강시키는 웜(130);
    상기 웜(130)을 왕복 운동시키는 웜기어(120); 및
    상기 웜기어(120)를 왕복 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웜기어(120)에 말단이 구비된 피스톤를 포함한 상부 실린더(110)를 더 포함하는,
    전동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웜(130)의 일단이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의 바닥면에서 직선 운동하는,
    전동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린더(110)가 작동하여 상기 상부 실린더(110)의 피스톤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웜기어(120)가 회전하며 이동하고,
    상기 웜기어(120)가 회전하며 이동하면 이에 연결된 상기 웜(130)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며 상승하고,
    상기 웜(130)이 이동하며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이 상승하되, 이 때에 상기 헤드휠(140)이 상기 헤드레일(150)을 따라 상승하면서 안내되는,
    전동 침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운데이션(10)은,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과 링크로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21)에서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파운데이션(12);
    상기 제 2 파운데이션(12)과 다른 링크로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21)에서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과 또 다른 링크로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21)에서 먼 방향에 위치하는 제 4 파운데이션(14)을 더 포함하는,
    전동 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과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하부 실린더(210)의 피스톤이 위치하여, 상기 하부 실린더(210)의 작동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과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승 가능한,
    전동 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실린더(210)는 바닥부(22)에 구비된 하부레일(22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전동 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실린더(210)의 피스톤의 말단이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과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전동 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운데이션(11)의 상승시 링크로 연결된 상기 제 2 파운데이션(12)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 2 파운데이션(12)의 이동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이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는,
    전동 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 및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부 실린더(210)이 상기 하부레일(22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헤드부(21)를 향하여 이동하는,
    전동 침대.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220)의 상기 헤드부(21)를 향한 말단은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을 향하는 절반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레일(220)의 상기 헤드부(21)의 반대를 향한 말단은 상기 제 4 파운데이션(14)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파운데이션(13)을 향하는 절반부 상에 위치하는,
    전동 침대.
KR1020160166164A 2016-12-07 2016-12-07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KR20180065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164A KR20180065408A (ko) 2016-12-07 2016-12-07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164A KR20180065408A (ko) 2016-12-07 2016-12-07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408A true KR20180065408A (ko) 2018-06-18

Family

ID=6276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164A KR20180065408A (ko) 2016-12-07 2016-12-07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4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56B1 (ko) * 2019-10-25 2020-08-25 주식회사 마리카디자인 슬라이딩 방식의 각도 조절 침대
KR20230052421A (ko) 2021-10-13 2023-04-20 코웨이 주식회사 등받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WO2023146065A1 (ko) * 2022-01-26 2023-08-03 강영선 모션베드 및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KR102561170B1 (ko) * 2022-10-24 2023-08-08 김선상 모션베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005U (ja) 1998-11-10 1999-07-02 木大▲実▼業股▲分▼有限公司 折り畳み式電動ベッド
KR20160003687U (ko) 2015-04-16 2016-10-26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내구성이 강화된 병원용 전동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005U (ja) 1998-11-10 1999-07-02 木大▲実▼業股▲分▼有限公司 折り畳み式電動ベッド
KR20160003687U (ko) 2015-04-16 2016-10-26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내구성이 강화된 병원용 전동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56B1 (ko) * 2019-10-25 2020-08-25 주식회사 마리카디자인 슬라이딩 방식의 각도 조절 침대
KR20230052421A (ko) 2021-10-13 2023-04-20 코웨이 주식회사 등받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WO2023146065A1 (ko) * 2022-01-26 2023-08-03 강영선 모션베드 및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KR102561170B1 (ko) * 2022-10-24 2023-08-08 김선상 모션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5408A (ko) 레일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전동 침대
EP3011940B1 (en) A jack, expecially for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seat base in a wheelchair
DE202005008523U1 (de) Sicherheitseinrichtung bei Hubbetten
RU2015103803A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4027987A (ja) Xリンク式昇降機構
KR20140003301A (ko) 의료용 침대의 등판작동시스템
KR101156170B1 (ko) 전복방지 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101680870B1 (ko) 의료용 침대
KR200462021Y1 (ko) 의료용 침대 프레임
KR20060128629A (ko) 전동 베드
CN203693032U (zh) 一种护理床安全护栏装置
KR20130049655A (ko) 승강수단이 구비된 테이블
KR20180065409A (ko) 랙과 피니언을 포함하는 전동 침대
CN104873338B (zh) 液压缸式仰卧台的台面部的跳起防止机构
US20180303686A1 (en) Bed with movable frame
JP6193607B2 (ja) ベッド装置
KR102393939B1 (ko) 이동식 지압 침대 및 제어방법
JP5524801B2 (ja) ベッド装置及び足下げ機構
KR200465048Y1 (ko) 치과용 엑스선 촬영기의 신축 컬럼 유니트
JP3156061U (ja) 昇降調節式作業台
JP5584568B2 (ja) ベッド装置及びベッド装置の背上げ機構
JP5651501B2 (ja) ベッド装置
KR102640268B1 (ko) 파운데이션 삽입형 전동침대
KR102557649B1 (ko) 의무후송 차량용 환자 승하차 장치
JPH05293143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