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919B1 -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919B1
KR101717919B1 KR1020150034853A KR20150034853A KR101717919B1 KR 101717919 B1 KR101717919 B1 KR 101717919B1 KR 1020150034853 A KR1020150034853 A KR 1020150034853A KR 20150034853 A KR20150034853 A KR 20150034853A KR 101717919 B1 KR101717919 B1 KR 10171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lastic member
tension
tension adjusting
adjust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790A (ko
Inventor
유대희
Original Assignee
유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희 filed Critical 유대희
Priority to KR102015003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9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을 서로 연결하되 등받이의 텐션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과 연결되되 의자 좌판에서 나오는 연결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어 제1 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구비할 수 있어, 의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각각 다른 탄성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텐션조절나사를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텐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BACK OF A CHAIR BRACKET ASSEMBLY}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을 서로 연결하되 등받이의 텐션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과 연결되되 의자 좌판에서 나오는 연결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어 제1 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구비할 수 있어, 의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각각 다른 탄성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텐션조절나사를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텐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등받이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기 위하여 등받이에 텐션을 부여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안락함을 줄 수 있도록 의자에 텐션을 부여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72148호 『탄성부재를 이용한 등받이 탄성 복원 의자』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등받이, 안장, 메인프레임, 보조프레임 및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등받이는 상단이 뒤로 젖혀지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보조프레임에서 회동시키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보조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등받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등받이의 상단부가 뒤로 젖혀지는 경우에 등받이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이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게 되므로, 등과 허리를 모두 지지하여 이용자의 안락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등받이 탄성 복워 의자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등과 허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나, 의자의 사용목적에 따른 텐션 조절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텐션변경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9-0124048호 『의자 등받이부 체결용 탄성결합부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이 등받이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등받이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등받이부를 지지 고정시키는 탄성결합부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부재는 내부에 너트가 삽입 구비된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과 등받이지지부 사이에 매개되어 텐션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등받이지지부 및 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나사부와 매끈한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도니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 등받이부 체결용 탄성 결합부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등받이부에 텐션을 부여하도록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텐션력을 갖는 스프링의 종류를 변경할 수 없어 텐션조절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09211호 『등판부가 텐션가능한 의자』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등판부의 하측에서 상기 등판부를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와 결합되며 상기 텐션부의 상측에서 상기 등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텐션부는 상기 등판부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고, 가이드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이 좌판부에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축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장공이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 가이드브라켓,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블럭을 상기 등판부의 앞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등판부가 텐션가능한 의자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텐션을 부여하는 기술로서, 텐션력을 조절하지 못하여 사용자 또는 목적에 따른 텐션조절이 불가하며, 또한 스프링의 종류를 교체하기 어려워 텐션조절의 한계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51137호 『의자 등받이 체결용 탄성결합부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몸체중앙부와 양단고정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의자등받이 체결용 탄성결합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앙몸체부의 체결공에 끼움 삽입되어 안착 고정됨에 따라 조임볼트가 체결되어 등받이 지지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 내에 조임볼트와 결합되는 너트가 삽입되며, 일단에 플렌지가 형성된 경질의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 등받이 체결용 탄성결합부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재의 탄성력은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그 탄성력의 정도 및 복원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에 있어서,
의자의 등받이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되 의자의 좌판의 연결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브라켓의 텐션력 확보를 위한 텐션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보다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 또는 목적에 따른 텐션 조절을 위하여 상기 텐션조절수단의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과 판스프링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에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선택되는 탄성부재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나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텐션조절나사를 돌려 제1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텐션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판스프링으로 탄성부재를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하나에 결합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판스프링을 모두 체결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는
의자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돌출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측에 구비되는 수용부 내측면 및 결합부 내측에 구비되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의자 좌판의 연결프레임이 결합되는 프레임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연결부 상단에 구비되어 제1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연결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브라켓으로부터 제1 브라켓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함으로서 탄성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나사를 포함하는 텐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텐션조절수단의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는 의자 등받이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과 의자의 좌판 연결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브라켓에 제2 브라켓으로부터 탄성력을 부가하는 텐션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경우, 등받이가 탄성력 및 탄성 복원력을 갖음으로서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 또는 의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탄성력의 차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텐션조절수단의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과 판스프링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힘의 탄성력을 부가하고,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의자에 탄성부재가 선택되어 결합되는 경우, 결합된 탄성부재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나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텐션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판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을 제1 내지 제3 체결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함에 따라 다양한 판스프링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어 사용의 범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의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의 제4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등받이(A1)와 결합되는 제1 브라켓(10)과, 상기 제1 브라켓(10)에 연결되되 의자의 좌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프레임(A2)이 결합되는 제2 브라켓(20) 및 상기 제1 브라켓(10)에 구비되어 제1 브라켓(1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텐션조절수단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탄성부재(31)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 각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 브라켓(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브라켓(10)은 의자의 등받이(A1)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브라켓(10)은 의자의 등받이(A1)와 결합되는 결합부(13)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13)로부터 후면응로 돌출된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부(11)에 의해 내부에는 제2 브라켓(20)이 힌지 운동할 수 있도록 공간부(17)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13)의 내측에는 제2 체결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3)와 의자의 등받이(A1)는 일반적으로 볼트를 통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 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제1 브라켓(10)의 공간부(17)에는 제2 브라켓(20)이 구비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수용부(11)의 하단, 즉 공간부(17)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브라켓(10)이 관통될 수 있는 중공(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11)의 양측에는 상기 제2 브라켓(20)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볼트공(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브라켓(10)과 제2 브라켓(20)의 힌지 결합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볼트공(19)에는 힌지볼트(233)가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힌지볼트(233)는 상기 수용부(11) 일측의 볼트공(19)을 관통하고, 제2 브라켓(20)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타측의 볼트공(19)을 통하여 수용부(11) 측면으로 나오게 된다. 이렇게 측면으로 나온 힌지볼트(233)에는 고정너트(235)가 결합되어 힌지볼트(23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20)은 상기 제1 브라켓(10) 내부에서 상기 힌지볼트(233)를 축으로 힌지 결합됨에 따라 제1 브라켓(10)이 힌지 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수용부(11) 양측으로 나오는 힌지볼트(233)의 양단부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볼트(233) 및 고정너트(235)를 덮을 수 있는 커버(15)가 각각 수용부(11)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브라켓(10)의 공간부(17)에는 제2 브라켓(20)이 힌지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제2 브라켓(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브라켓(20)은 의자 좌판에 구비되는 연결프레임(A2)이 결합되는 프레임연결부(21)와, 상기 프레임연결부(21)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브라켓(10) 내부의 공간부(17)에 내삽되는 프레임연결부(21)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연결부(21)의 하부에는 의자 좌판에 결합되어 등받이(A1)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A2)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연결부(21)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결합부(13)를 관통할 수 있는 고정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211)에 결합되어 프레임연결부(21) 내측에 위치하는 연결프레임(A2)을 고정하는 고정볼트(213)가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볼트(213)와 연결프레임(A2)간의 결합관계는 종래의 의자에 관한 기술에서 널리 사용하는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프레임연결부(21) 상부에는 상기 제1 브라켓(10)의 공간부(17)에 위치하여 제1 브라켓(10)과 힌지볼트(233)를 통하여 결합되는 브라켓연결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연결부(23)는 곡선형으로 만곡진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브라켓연결부(23)를 관통하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힌지공에 상기 힌지볼트(233)가 결합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연결부(23)의 가운데에는 스페이서안착홈(236)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스페이서안착홈(236)에는 스페이서안착홈(236)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고정홈(236A)이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안착홈(236)에는 각각 스페이서(234)가 구비되게 되며, 이 스페이서(234)는 힌지공을 관통하는 힌지볼트(233)에 결합되게 되며, 상기 스페이서(234)를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31)가 감싸 텐션을 부여하게 되며, 이는 탄성부재(31)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A)에는 탄성부재(31), 텐션조절나사(33) 및 조절공(35)으로 이루어진 텐션조절수단(30)이 구비되어 제1 브라켓(10)과 제2 브라켓(20)의 결합 사이에 텐션을 부여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31)는 서로 대향되게 절곡형성되는 끝단부(311)와, 상기 끝단부(311)로부터 동일방향으로 연장 성형되는 연장부(313) 및 상기 연장부(313)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끝단부(311)는 브라켓연결부(23)에 구비되는 고정홈(236A)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313)는 수용부(11) 내측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314)는 상기 수용부 내측면(111)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31)는 일단은 수용부 내측면(111)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11)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며, 타단이 제1 내지 제3 체결부(131)(231)(232) 중 하나에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1)의 종류에 대하여 각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A)의 제1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부재(31)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31)의 형상을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재(31)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끝단부(311)와, 상기 끝단부(31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꼬임을 갖는 꼬임부(312), 상기 꼬임부(312)로부터 만곡지게 연장되는 연장부(313) 및 상기 연장부(313)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14)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탄성부재(31)를 폈을 때는 'U'자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1)가 제1 브라켓(10)과 제2 브라켓(20)에 결합되는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꼬임부(312)는 상기 스페이서(234)를 감싸며 구비되고, 이 때 상기 끝단부(311)가 각각 고정홈(236A)에 결합됨에 따라 탄성부재(31)가 제2 브라켓(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장부(313)는 상기 수용부(11)의 내측면을 따라 만곡진 형상으로 구비되며, 연결부(314)가 상기 수용부 내측면(111)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 내측면(111)에는 조절공(35)이 구비되고, 텐션조절나사(33)는 상기 수용부(11) 후단에서 상기 조절공(35)을 관통하여 수용부 내측면(111)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어, 상기 텐션조절나사(33)를 회전함에 따라 텐션조절나사(33)의 단부가 상기 연결부(314)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31)의 텐션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텐션조절나사(33)의 가압력을 보다 확실히 탄성부재(31)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텐션조절나사(33)의 단부에는 직경이 보다 넓은 푸쉬부재(331)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푸쉬부재(331)가 탄성부재(31)의 연결부(314)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탄성부재(31)의 텐션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4 및 도 6은 탄성부재(31)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1)는 가압부(315)와 상기 가압부(315)로부터 만곡지게 형성되는 절곡부(317) 및 상기 절곡부(317)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316)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31)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가압부(315)는 상기 수용부 내측면(111)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절곡부(317)에 의하여 고정부(316)는 상기 제2 브라켓(2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체결부(231)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나사(33)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315)가 눌려 가압부(315)가 고정부(316)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1)의 텐션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가 텐션조절나사(33)를 통하여 손쉽게 의자 등받이(A1)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은 탄성부재(31)가 또 다른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1)는 가압부(315)와 상기 가압부(315)로부터 만곡지게 형성되는 절곡부(317) 및 상기 절곡부(317)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316)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2 실시예의 탄성부재(31)와 유사한 형태이나, 절곡부(317)가 보다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탄성부재(31)의 결합관계를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재(31)의 가압부(315)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용부 내측면(111)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탄성부재(31)의 절곡부(317)는 상기 수용부(11) 내면을 따라 제2 브라켓(20)의 브라켓연결부(23)를 감싸게 되고, 따라서 상기 고정부(316)는 상기 제2 브라켓(20)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 체결부(232)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 보다는 텐션이 보다 약해지게 구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텐션조절나사(33)를 회전시켜 가압부(315)를 가압함으로서 상기 탄성부재(31)의 텐션을 보다 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은 탄성부재(31)가 또 다른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1)의 가압부(315)는 상기 브라켓연결부를 감싸 제2 체결부(23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31)의 절곡부(317)에 의해 절곡되어 탄성부재(31)의 고정부(13)가 상기 결합부(13) 내측에 구비되는 제3 체결부(131)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는 달리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31)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나사(33)가 상기 고정부(13)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체결부(131)와 상기 고정부(13)는 텐션조절나사(33)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텐션조절나사(33)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31)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의자 등받이의 텐션을 사용자의 취향 또는 의자의 사용 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A)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탄성부재(31)의 종류를 달리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각각의 탄성부재(31) 또한 텐션조절나사(33)를 통하여 텐션을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A1 : 등받이
A2 : 연결프레임 10 : 제1 브라켓
11 : 수용부 111 : 수용부 내측면
13 : 결합부 131 : 제3 체결부
15 : 커버 17 : 공간부
171 : 중공 19 : 볼트공
20 : 제2 브라켓 21 : 프레임연결부
211 : 고정공 213 : 고정볼트
23 : 브라켓연결부 231 : 제1 체결부
232 : 제2 체결부 233 : 힌지볼트
234 : 스페이서 235 : 고정너트
236 : 스페이서안착홈 236A : 고정홈
30 : 텐션조절수단 31 : 탄성부재
311 : 끝단부 312 : 꼬임부
313 : 연장부 314 : 연결부
315 : 가압부 316 : 고정부
317 : 절곡부 33 : 텐션조절나사
331 : 푸쉬부재 35 : 조절공

Claims (4)

  1. 의자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결합부(13), 상기 결합부(13)로부터 돌출되는 수용부(11) 및 상기 결합부(13) 내측에 구비되는 제3 체결부(131)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10);
    의자 좌판의 연결프레임(A2)이 결합되는 프레임연결부(21)와, 상기 프레임연결부(21) 상단에 구비되어 제1 브라켓(10)에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연결부(23) 및 상기 프레임연결부(21)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231)(232)를 포함하는 제2 브라켓(20);
    상기 제1 브라켓(10)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브라켓(20)으로부터 제1 브라켓(1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1) 및 상기 수용부(11)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31)를 가압함으로서 탄성부재(31)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나사(33)를 포함하는 텐션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텐션조절수단(30)의 탄성부재(31)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31)는 서로 대향되게 절곡형성되는 끝단부(311)와, 상기 끝단부(31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꼬임을 갖는 꼬임부(312), 상기 꼬임부(312)로부터 만곡지게 연장되는 연장부(313) 및 상기 연장부(313)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끝단부(311)는 브라켓연결부(23)에 구비되는 고정홈(236A)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313)는 수용부(11) 내측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314)는 상기 수용부 내측면(111)에 위치하며,
    브라켓연결부(23)의 가운데에는 스페이서안착홈(236)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스페이서안착홈(236)에는 스페이서안착홈(236)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고정홈(236A)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스페이서안착홈(236)에는 각각 스페이서(234)가 구비되게 되며, 이 스페이서(234)는 힌지공을 관통하는 힌지볼트(233)에 결합되게 되며, 상기 스페이서(234)를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31)에 구비되는 한 쌍의 꼬임부(312)가 감싸 텐션을 부여하고,
    상기 수용부 내측면(111)에는 조절공(35)이 구비되고, 텐션조절나사(33)는 상기 수용부(11) 후단에서 상기 조절공(35)을 관통하여 수용부 내측면(111)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어, 상기 텐션조절나사(33)를 회전함에 따라 텐션조절나사(33)의 단부가 상기 연결부(314)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31)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나사(33)의 단부에는 푸쉬부재(331)가 더 결합되어, 탄성부재(31)의 연결부(314)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331)의 직경은 상기 텐션조절나사(33)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50034853A 2015-03-13 2015-03-13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KR10171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53A KR101717919B1 (ko) 2015-03-13 2015-03-13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53A KR101717919B1 (ko) 2015-03-13 2015-03-13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90A KR20160109790A (ko) 2016-09-21
KR101717919B1 true KR101717919B1 (ko) 2017-03-20

Family

ID=5708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853A KR101717919B1 (ko) 2015-03-13 2015-03-13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257B1 (ko) * 2020-05-22 2021-09-29 한농쏘텍 주식회사 과일 선별기
ES1287425Y (es) * 2022-02-11 2022-05-23 Fama Sofas S L U Silla con respaldo adapta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58054U (zh) * 2010-04-03 2010-12-01 邓伟群 弹性椅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580B1 (ko) * 2009-07-21 2012-02-13 사연환 의자등받이용 체결장치
TWM414875U (en) * 2011-06-24 2011-11-01 Fuh Shyan Co Ltd Elastic leaning and restoration device of lifting back of office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58054U (zh) * 2010-04-03 2010-12-01 邓伟群 弹性椅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90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194B2 (en) Device for lumbar support
US9414684B2 (en) Tilting type chair
KR101426546B1 (ko) 틸팅 의자
KR101608737B1 (ko) 요추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등받이유닛
KR101717919B1 (ko) 텐션 조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브라켓 어셈블리
KR101980566B1 (ko) 플렉서블 등판이 구비된 의자
US20140339870A1 (en) Seat Furniture, More Especially Office Swivel Chair
KR101763159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US8348341B2 (en) Chair assembly with a backrest-adjusting device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JP3177652U (ja) 椅子の座部ガイド装置
US20170340121A1 (en) Waist support structure of seat back
CN201360764Y (zh) 办公椅椅背倾仰可调结构
KR101729041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US9414683B2 (en) Flexible back chair with improved spring can assembly
KR101644544B1 (ko)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JP2020058760A (ja) 椅子
KR20090103468A (ko) 의자용 신체받이류의 결합연결구조
KR102251795B1 (ko) 의자 등받이의 탄성 결합구 체결구조
KR100563270B1 (ko) 등받이 쿳션장치를 갖는 학생용 의자
KR200185922Y1 (ko) 의자 등받이 구조
KR200220139Y1 (ko) 의자의 등받이 쿠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