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62Y1 - 허리운동용 의자 - Google Patents

허리운동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62Y1
KR200471162Y1 KR2020130001173U KR20130001173U KR200471162Y1 KR 200471162 Y1 KR200471162 Y1 KR 200471162Y1 KR 2020130001173 U KR2020130001173 U KR 2020130001173U KR 20130001173 U KR20130001173 U KR 20130001173U KR 200471162 Y1 KR200471162 Y1 KR 200471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pring
chair
cen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홍
Original Assignee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20130001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허리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중심축을 이루는 스프링(30)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착석자의 신체움직임에 따라 착석자의 둔부와 접한 의자의 좌판(10)이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유동성을 가지게 할 목적으로, 본 고안의 허리운동용 의자는 착석할 수 있는 좌판(10), 좌판(10) 밑바닥에 고정나사(80)로 결합한 상부지지부재(20), 상부 말단이 상부지지부재(20)의 스프링상단수용부(20c)에 수용되어 좌판(10)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스프링(30), 스프링(30)의 하부 말단을 수용하며 스프링(30)과 결합한 하부지지부재(40), 상부지지부재(20)와 스프링(30) 및 하부지지부재(40)의 축 중심을 관통하며 이들을 결합시켜 전방향 유동성을 가진 하나의 축을 이루게 하는 텐션볼트(60)와 조절너트(70), 지지발(50a)이 바닥면과 접하며 하부지지부재(40)와 결합하여 의자 전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해주는 바닥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었고 조절너트(70)를 조이고 푸는 것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대로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허리운동용 의자 {A chair for waist exercise}
본 고안은 스프링으로 구성된 의자 축을 사용해 의자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둔부를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여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의자 축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허리운동의 강도 및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허리운동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에 고정된 자세로 앉아서 장시간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고 척추 근육이 경직되어 척추가 만곡되는 등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자 좌판과 가스스프링 방식의 중심축에 사이에 압축 스프링을 설치해 의자 좌판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허리를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의자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허번호 10-0829180, 등록일자 2008년 05월 06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서는 지지축(의자 베이스), 지지축에서 상향 설치된 중심축(102), 지지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가스실린더(104), 상기 중심축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버튼 및 시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축을 수용하는 중심축수용부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한쪽 끝에 둥근 공모양의 구형돌부(211)가 형성된 회동축(210); 상기 구형돌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홈이 형성된 하단홀드부(220); 상기 회동축의 구형돌부를 제외한 부분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동축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형돌부 하방에서 하단홀드부가 체결되고, 상기 중심축이 하방에 삽입되며, 스프링(250)의 하부가 수용되는 스프링하단수용부(204)가 상단에 형성된 고정지지대(200); 스프링의 상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상단수용부(242)가 형성된 시트지지대(240); 시트지지대의 중앙에 연결되고, 회동축의 구형돌부 반대쪽 끝부분과 체결되되 상기 중심축수용부에 삽입되는 시트지지축(230); 및 상기 시트지지대의 스프링상단수용부와 고정지지대의 스프링하단수용부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의자는 의자 중심축 전체에 유동성을 부여한 형태가 아니라 의자 중심축은 기존의 평범한 의자와 마찬가지로 고정시켜 놓은 채 의자 좌판에만 유동성을 부여해 착석자 둔부의 중심이 의자 중심축과 항상 일치된 상태에서 둔부를 이용해 운동을 시도하게 되어 운동이 심해질수록 둔부의 피부와 표면마찰계수가 둔부의 피부보다 높은 좌판에 밀착된 하의 사이에 마찰이 심해지고, 운동시간이 길어질수록 하의가 살을 조이며 파고드는 현상이 발생하고, 둔부의 중심이 의자 중심축을 벗어날 수 없으므로 운동 반경이 좁아 운동 자세가 자연스럽지 못하기 때문에 운동이 오래 지속될 수 없으며 운동량 역시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성 전혀 없이 의자 좌판의 아랫부분에 고정된 기존의 의자 축 대신에 코일 형태의 압축 스프링 한 개를 의자 좌판 아랫부분에 장착하여 의자 축 전체에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써 좌판에 앉아서 허리운동중 둔부의 중심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허리운동 도중에 중심축 역할을 하는 스프링이 의자로부터 분리 이탈되거나 또는 부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스프링의 길이보다 긴 텐션볼트와 조절너트를 장착해 조절너트를 조이고 풀어 스프링의 유동성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면서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허리운동을 안전하고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허리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착석할 수 있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아랫부분에 장착되는 스프링(30); 몸통의 상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나사구멍(20e)이 있는 플랜지(20f)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10) 바닥면에 고정나사(80)로 나사결합되고, 몸통의 상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나사구멍(20e)이 있는 플랜지(20f)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10) 바닥면에 고정나사(80)로 나사결합되고, 몸통 상단부 중앙 내부에 형성된 요부(20a)와 상기 요부(20a)의 중앙에서 몸통 내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단가이드홀(20d)이 형성되고, 몸통 하단부 내부에 상기 스프링(3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상단수용부(20c)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20a)와 상기 스프링상단수용부(20c) 사이에 지지턱(20b)이 형성된 상부지지부재(20); 몸통 상단부 내부에 상기 스프링(3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하단스프링하단수용부(40a)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하단스프링하단수용부(40a) 중앙에서 몸통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가이드홀(40b)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하단수용부(40a) 하단의 경계와 상기 하단가이드홀(40b) 상단의 경계 사이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몸통 하부의 외주면에 말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삽입부(40e)가 형성된 하부지지부재(40); 몸통 하단 외주면에 수나사(60b)가 형성되고 상단에 스토퍼(60a)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60a)의 밑바닥이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지지턱(20b) 상부와 접하며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요부(20a)에 수용되고 몸통이 상기 상부지지부재(20), 상기 스프링(30)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축 중심을 관통하며 이들과 몸통 외주면 사이에 유격을 두고 결합한 텐션볼트(60);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삽입부(40e)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텐션볼트(60) 하단의 수나사(60b)와 결합한 몸통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조절너트(70);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구멍인 중심축수용부(50a)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수용부(50a)의 외벽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발(50b)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수용부(50a)가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삽입부(40e)를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지지부재(40)와 결합한 바닥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용의자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취항에 맞도록 조절너트(70)를 조이거나 풀면서 스프링(30)으로 된 의자 축의 유동성을 조절해가며 장시간에 걸쳐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허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의자 중심축 자체에 유동성을 부여해 사용자의 둔부 중심이 항상 의자의 중심축에 고정된 채 대단히 부자연스럽고 제한된 몸동작으로 불편하게 허리운동을 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 허리운동용 의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허리운동 도중 발생하는 둔부 피부와 하의 사이의 마찰을 없앴고 하의가 둔부를 파고들며 살을 조이는 문제점을 해결해 장시간 편안한 자세로 자연스럽게 허리를 운동할 수 있다.
텐션볼트와 결합한 조절너트를 조일 경우 스프링 상부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대하여 스프링의 유동성이 증대하고 조였던 조절너트를 풀 경우 스프링 상부의 부하가 감소해 스프링의 강직성이 증대해 유동성이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의 취향이나 체중에 따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의자 중심축의 유동성을 조절해가며 사용할 수 있다.
강직성을 가지며 유연성이 전혀 없는 금속 소재의 텐션볼트를 스프링 축중심에 삽입하여 제한된 각도 내에서만 스프링을 유동하게 하여 허리운동 도중 스프링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스프링 축중심에 삽입된 강직성을 가진 텐션볼트가 스프링을 축에서 완전히 이탈하지 못하게 지지해주므로 사용자가 큰 부상을 당할 염려가 없다.
의자에 허리운동이라는 기능성을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되는 의자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적고, 부품들의 형상이 단순해 가공비가 적게들어 저렴한 가격에 부품들을 확보할 수 있고,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가격에 완제품을 대량생산 할 수 있고, 반조립 상태로 포장할 경우 부피가 작아 포장비용이 적게드는 동시에 물류비가 크게 절감되어 전세계에 대중적 보급이 가능하며 완제품의 구조가 단순해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도 1은 '선행기술 1'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허리운동용 의자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을 수직으로 절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상부지지부재의 평면도, 저면도가 표시된 반단면도,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하부지지부재의 평면도, 저면도가 표시된 반단면도,
도 6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닥지지부재의 종단면도,
도 7은 허리운동용 의자에 등지지부재를 설치한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허리운동용 의자는 착석할 수 있는 좌판(10), 좌판(10) 밑바닥에 고정나사(80)로 결합된 상부지지부재(20), 상부 말단이 상부지지부재(20)의 스프링상단수용부(20c)에 수용되어 좌판(10)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스프링(30), 스프링(30)의 하부 말단을 스프링하단수용부(40a)에 수용하며 스프링(30)과 결합한 하부지지부재(40), 상부지지부재(20)와 스프링(30) 및 하부지지부재(40)의 중심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이들을 결합시켜 전후좌우 전방향 유동성을 가진 하나의 축을 이루게 하는 텐션볼트(60)와 조절너트(70), 지지발(50a)이 바닥면과 접하며 하부지지부재(40)와 결합하여 의자 전체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바닥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의자의 각 부품이 조립되는 순서를 고려하여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의자의 좌판(10)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좌판(10)의 바닥면에 상부지지부재(20)를 고정하는 고정나사(80)의 형태가 끝 부분이 뾰족해 좌판(10) 바닥면을 파고들어가 고정할 수 있을 경우 좌판(10) 바닥면에 별도의 구멍을 천공할 필요는 없으나 끝이 무딘 볼트형태의 고정나사(80)일 경우 좌판(10)의 바닥면을 천공해 천공한 구멍에 고정나사(80)와 결합할 수 있는 별도의 삽입너트를 설치할 수있다.
스프링(30)은 인장력이 강한 둥근 코일형태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한다.
텐션볼트(60)는 몸통 하단부 외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통보다 지름이 큰 스토퍼(60a)가 상단부에 구비된 길이가 긴 볼트로 몸통 외부 표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나 하단부는 몸통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조절너트(7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반드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60b)이어야 한다.
상부지지부재(20)를 상기 좌판(10)의 밑바닥에 고정나사(80)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지지부재(20)의 상단부 둘레에는 나사구멍(20e)이 있는 플랜지(20f)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지지부재(20) 몸통 상부 내부의 중심에는 텐션볼트(60) 상단의 스토퍼(60a)를 수용하는 공간인 요부(20a)가 구비된다. 상부지지부재(20)가 고정나사(80)에 의해 좌판(10)과 결합한 상태에서 요부(20a)에 수용된 텐션볼트(60) 상단의 스토퍼(60a)가 텐션볼트(60) 몸통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때 요부(20a)의 벽면이나 좌판(10) 밑바닥 면의 간섭을 받지않아야 하므로 요부(20a)는 텐션볼트(60) 상단의 스토퍼(60a)를 수용한 상태에서 수용된 스토퍼(60a)가 움직일 때 요부(20a)의 벽면이나 좌판(10) 밑바닥 면의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히 깊고 넓은 여유공간을 구비하여야 한다. 상부지지부재(20)에 텐션볼트(6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요부(20a)의 중앙에 상부지지부재(20)의 몸통 내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단가이드홀(20d)이 형성되고 이 상단가이드홀(20d)에 텐션볼트(60)가 삽입는데 이때 상단가이드홀(20d)은 텐션볼트(60) 상단 스토퍼(60a)의 지름보다는 좁고 텐션볼트(60) 몸통의 지름보다는 넓어 상단가이드홀(20d)과 텐션볼트(60) 몸통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여 텐션볼트(60)가 스프링(3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일정하게 정해진 각도 내에서 움직일 경우 텐션볼트(60)의 몸통과 상단가이드홀(20d)의 벽면 사이에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스프링(30)과 텐션볼트(60)의 움직임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커지며 정해진 각도를 벗어나려 할 경우 텐션볼트(60)의 몸통과 상단가이드홀(20d)의 벽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 더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스프링(30)과 텐션볼트(60)의 움직임은 일정한 각도내에서 통제된다. 스프링(30)과 텐션볼트(60)가 움직일 수 있는 유동각도의 한계는 상단가이드홀(20d)의 벽면과 텐션볼트(60) 몸통 사이의 유격 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이 유격 거리와 유동각도는 정비례 관계에 있다. 상부지지부재(20) 요부(20a)의 둘레가 상단가이드홀(20d)의 둘레보다 넓기 때문에 요부(20a) 하단의 경계와 상단가이드홀(20d) 상단의 경계 사이에 지지턱(20b)이 형성되고 이 지지턱(20b)은 텐션볼트(60) 상부 스토퍼(60a)의 바닥면을 지지하여 텐션볼트(60) 상부의 스토퍼(60a)가 상단가이드홀(20d)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부지지부재(20) 몸통 하부 내부에는 스프링(3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상단수용부(20c)가 형성되어 스프링(30)의 상부 말단이 스프링상단수용부(20c)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스프링(30)의 상단면이 수용부의 상단면과 접하게 되는데 이때 수용부의 상단면은 지지턱(20b)의 하단면이기도 하다. 이처럼 지지턱(20b)은 상부지지부재(20)의 요부(20a)와 스프링상단수용부(20c) 사이에 위치하여 상단면은 텐션볼트(60)의 스토퍼(60a) 바닥면을 지지하고 하단면은 스프링(30) 상단면을 지지한다.
하부지지부재(40) 하부에는 아래로 갈수록 몸통의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형상의 삽입부(40e)가 형성되어 있고 몸통 상부 내부에 스프링(30)의 하부 말단을 수용하는 스프링하단수용부(40a)가 형성되어 스프링(30)의 하부 말단이 스프링하단수용부(40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하단수용부(40a)의 중앙에서 하부지지부재(40)의 몸통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가이드홀(40b)이 구비되고, 스프링하단수용부(40a) 경계면과 하단가이드홀(40b) 경계면 사이에 스프링하단지지턱(40c)이 형성되어 스프링하단수용부(40a)에 수용된 스프링(30)의 하단면을 지지한다. 상부지지부재(20)를 축 방향으로 관통함과 동시에 스프링(30)을 축 방향으로 관통한 텐션볼트(60)의 몸통이 하부지지부재(40)를 축 방향으로 관통한 후 조절너트(70)와 결합하여 이들 모두를 결합시킨다. 이때 하부지지부재(40)의 하단가이드홀(40b)과 텐션볼트(60) 몸통 외부 사이에 유격이 있어 텐션볼트(60)가 스프링(3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내에서 움직일 때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부지지부재(20)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스프링(30)과 텐션볼트(60)의 움직임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커지며 정해진 각도를 벗어나려 할 경우 텐션볼트(60)의 몸통과 하단가이드홀(40b)의 벽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 스프링(30)과 텐션볼트(60)의 움직임은 일정한 각도내에서 통제된다. 스프링(30)과 텐션볼트(60)가 움직일 수 있는 유동각도의 한계는 하단가이드홀(40b)의 벽면과 텐션볼트(60) 몸통 사이의 유격 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이 유격 거리와 유동각도는 정비례 관계에 있다.
상부지지부재(20)의 스프링상단수용부(20c)에 스프링(30)의 상부 말단이 삽입되고 하부지지부재(40)의 스프링하단수용부(40a)에 스프링(30)의 하부 말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텐션볼트(60)가 상부지지부재(20), 스프링(30) 및 하부지지부재(40)의 몸통 중앙을 축 방향으로 관통한 후 조절너트(70)와 결합을 통해 이들은 전방향 유동성을 가진 하나의 축을 이루게 된다. 이때 하부지지부재(40) 하단 바닥면에 위치한 조절너트(70)를 조이면 스프링(30)에 가하지는 중량부하가 증대하는 효과가 발생해 스프링(30)의 유동성이 증대하게 되고 조였던 조절너트(70)를 풀면 중량부하가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해 축의 유동성이 감소하게 된다. 조절너트(70)를 조이고 풀 때 텐션볼트(60)의 몸통이 조절너트(70)와 같은 방향으로 함께 돌아가 조이고 푸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텐션볼트(60) 하단 몸통 내부 중심에 육각렌치등이 들어갈 수 있는 렌치구멍(60c)을 마련해 렌치로 몸통이 돌아가지 못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스패너 등으로 조절너트(70)를 조이고 풀며 축을 구성하는 스프링(30)의 유동성을 사용자의 취항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재(20)의 상단가이드홀(20d) 벽면 또는 하부지지부재(40)의 하단가이드홀(40b)의 벽면과 텐션볼트(60) 몸통 사이의 유격 거리 설정을 통하여 스프링(30) 및 텐션볼트(60)의 유동각 한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상부지지부재(20) 몸통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지지턱(20b) 상단면과 하단면의 사이의 두께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의 조절볼트구멍(20g)을 형성시켜 여기에 조절볼트(90)를 삽입하고 하부지지부재(40)의 삽입부(40e) 위의 몸통 외부 측면으로부터 스프링하단지지턱(40c) 상단면 아래를 횡으로 관통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의 조절볼트구멍(40d)을 상부지지부재(20)와 동일한 각도 간격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시켜 여기에 조절볼트(90)들을 삽입하여 상부지지부재(20)에 삽입된 조절볼트(90)들과 하부지지부재(60)에 삽입된 조절볼트(90)들을 조이고 풀면서 조절볼트(90) 말단부와 텐션볼트(60) 몸통사이의 유격을 조절해 원하는 방향으로의 유동각도 한계를 설정할 수도 있고 상부지지부재(20)의 조절볼트구멍(20g)과 하부지지부재(40)의 조절볼트구멍(40d)에 삽입된 모든 조절볼트(90)들의 말단부가 텐션볼트(60)의 몸통과 접할 때까지 조일 경우 조절볼트(90)들의 말단이 텐션볼트(60)의 몸통과 접하면서 상호간에 미는 힘이 작용하게되어 텐션볼트(60)의 유동성이 소멸함에 따라 스프링(30)으로 구성된 의자 축의 유동성 또한 소멸하게 된다.
상부지지부재(20), 스프링(30), 하부지지부재(40), 텐션볼트(60) 및 조절너트(70)로 구성된 유동성을 가진 한개의 축은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의 구멍인 중심축수용부(50a)가 중앙에 형성되고 중심축수용부(50a)의 외벽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발(50b)이 구비된 바닥지지부재(50)의 중심축수용부(50a)에 하부지지부재(40)의 삽입부(40e)가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하부지지부재(40) 삽입부(40e) 테이퍼 각도와 바닥지지부재(50)의 중심축수용부(50a) 벽면의 테이퍼 각도를 일치시켜 중심축수용부(50a)에 하부지지부재(40)의 삽입부(40e)가 삽입된 후 하부지지부재(40)가 바닥지지부재(50)의 중심축수용부(5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지지부재(40)의 삽입부(40e) 바닥면에 위치한 조절너트(70)를 바닥지지부재(50)의 중심축수용부(50a) 하단 외부로 돌출시켜 렌치팁을 텐션볼트(60)의 렌치구멍(60c)에 넣어 텐션볼트(60)를 돌아가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스패너 등으로 조절너트(70)를 조이고 풀며 스프링(30)의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고 삽입부(40e) 바닥면이 중심축수용부(50a) 하단 외부로 돌출되지 않았을 경우 렌치팁을 텐션볼트(60)의 렌치구멍(60c)에 넣어 텐션볼트(60)를 돌아가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몸통옆에 손잡이가 달린 관통형 소켓렌치를 사용해 조절너트(70)를 조이고 풀며 스프링(30)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허리운동중이나 허리운동을 마치고 잠시 의자 등받이에 등을 대고 쉬기를 원할 경우 또는 모든 조절볼트(90)를 조여 텐션볼트(60) 및 스프링(30)의 유동성을 제거해 좌판(10)이 움직이지않게 한 후 허리운동용 의자가 아닌 일반의자와 동일하게 사용할 경우 등을 기댈 수 있는 지지부재의 필요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필요성이 충족될 수 있도록 L자형 지지대(100a) 전면에 등지지판(100b)이 구비되고, 지지대(100a)의 하단에 형성된 클램프(100c)가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며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하부지지부재(40)와 결합한 등지지부재(100)를 부착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등지지부재(100)가 부착된 허리운동용의자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근로자들이 작업시간 내내 주로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는 전자제품 공장 등에서 사용할 경우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허리와 관련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좌식 작업을 하는 공장들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사무실, 학교 및 학원에서 사용할 경우 척추관련 질환 예방, 업무능력 및 생산성 향상이 기대된다.
10 : 좌판
20 : 상부지지부재, 20a : 요부, 20b : 지지턱, 20c : 스프링상단수용부, 20d : 상단가이드홀, 20e : 나사구멍, 20f : 플랜지, 20g : 조절볼트구멍
30 : 스프링
40 : 하부지지부재, 40a : 스프링하단수용부, 40b : 하단가이드홀, 40c : 스프링하단지지턱, 40d : 조절볼트구멍, 40e : 삽입부
50 : 바닥지지부재, 50a : 중심축수용부, 50b : 지지발
60 : 텐션볼트, 60a : 스토퍼, 60b : 수나사, 60c : 렌치구멍
70 : 조절너트
80 : 고정나사
90 : 조절볼트
100 : 등지지부재, 100a : 지지대, 100b : 등지지판, 100c : 클램프

Claims (4)

  1. 착석할 수 있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아랫부분에 장착되는 스프링(30);

    몸통의 상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나사구멍(20e)이 있는 플랜지(20f)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10) 바닥면에 고정나사(80)로 나사결합되고, 몸통 상단부 중앙 내부에 형성된 요부(20a)와 상기 요부(20a)의 중앙에서 몸통 내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단가이드홀(20d)이 형성되고, 몸통 하단부 내부에 상기 스프링(3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상단수용부(20c)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20a)와 상기 스프링상단수용부(20c) 사이에 지지턱(20b)이 형성된 상부지지부재(20);

    몸통 상단부 내부에 상기 스프링(3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하단수용부(40a)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하단수용부(40a) 중앙에서 몸통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가이드홀(40b)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하단수용부(40a)의 하단의 경계와 상기 하단가이드홀(40b) 상단의 경계 사이에 스프링하단지지턱(40c)이 형성되고, 몸통 하부의 외주면에 말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삽입부(40e)가 형성된 하부지지부재(40);

    몸통 하단 외주면에 수나사(60b)가 형성되고 상단에 스토퍼(60a)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60a)의 밑바닥이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지지턱(20b) 상부와 접하며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요부(20a)에 수용되고 몸통이 상기 상부지지부재(20), 상기 스프링(30)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축 중심을 관통하며 이들과 몸통 외주면 사이에 유격을 두고 결합한 텐션볼트(60);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삽입부(40e)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텐션볼트(60) 하단의 수나사(60b)와 결합한 몸통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조절너트(70);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구멍인 중심축수용부(50a)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수용부(50a)의 외벽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발(50b)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수용부(50a)가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삽입부(40e)를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지지부재(40)와 결합한 바닥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용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볼트(60)의 말단 몸통 내부 중심에 다수의 면이 형성된 렌치구멍(60c)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용의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재(20) 몸통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지지턱(20b) 상단면과 하단면의 사이의 두께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의 조절볼트구멍(20g)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몸통 외부 측면으로부터 스프링하단지지턱(40c)의 상단면 아래를 횡으로 관통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의 조절볼트구멍(40d)을 더 구비고,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조절볼트구멍(20g)과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조절볼트구멍(40d)에 조절볼트(90)가 삽입되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용의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L자형 지지대(100a) 전면에 등지지판(100b)이 형성되고, 지지대(100a)의 하단에 형성된 클램프(100c)가 상기 하부지지부재(40)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며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하부지지부재(40)와 결합한 등지지부재(1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허리운동용의자
KR2020130001173U 2013-02-15 2013-02-15 허리운동용 의자 KR200471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73U KR200471162Y1 (ko) 2013-02-15 2013-02-15 허리운동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73U KR200471162Y1 (ko) 2013-02-15 2013-02-15 허리운동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62Y1 true KR200471162Y1 (ko) 2014-02-26

Family

ID=5148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173U KR200471162Y1 (ko) 2013-02-15 2013-02-15 허리운동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67Y1 (ko) 2014-03-10 2015-03-19 구자홍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819Y1 (ko) 2002-12-20 2003-03-12 유창근 작업용 등받이 의자
KR200342237Y1 (ko) 2003-07-30 2004-02-18 고영환 허리운동용 의자
KR100829180B1 (ko) 2006-11-16 2008-05-13 이민정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1008489B1 (ko) 2008-08-13 2011-01-19 조한능 운동용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819Y1 (ko) 2002-12-20 2003-03-12 유창근 작업용 등받이 의자
KR200342237Y1 (ko) 2003-07-30 2004-02-18 고영환 허리운동용 의자
KR100829180B1 (ko) 2006-11-16 2008-05-13 이민정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1008489B1 (ko) 2008-08-13 2011-01-19 조한능 운동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67Y1 (ko) 2014-03-10 2015-03-19 구자홍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8446A1 (en) Fastening structure for footrest ring of chair
AU2015321793B2 (en) Safety harness
EP2039271B1 (en) Back support for a chair
US5678995A (en) Enossal implant for tooth replacement
TWI439251B (zh) 骨骼固定裝置
CN209092673U (zh) 可调节的绳索系带
US20160225355A1 (en) Musical Instrument Carrier
US20090012435A1 (en) Adjustable massage tool
KR200471162Y1 (ko) 허리운동용 의자
AU2017300789A1 (en) Improved biomechanical and ergonomical adjustable crutch
WO2004091423A9 (de) Kieferimplantat
DE102010036593A1 (de) Ergonomisches Sitzflächenelement und Sitzmöbel
US11369232B2 (en) Seat system
KR200476667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
KR101775641B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를 방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가 구비된 시트
US2019012679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sitting posture
TWI578939B (zh) With a tiltable working chair
CN215959083U (zh) 一种多方位支撑的多功能学习椅
KR101912911B1 (ko)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US20080064580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exercise using the same
KR102216636B1 (ko) 임플란트 식립장치 및 구조물
KR20170103728A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를 방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가 구비된 시트
KR102589840B1 (ko) 척추교정장치
KR200309597Y1 (ko) 농사 작업용 의자
JP3116342U (ja) 脇用指圧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