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756Y1 -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 Google Patents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56Y1
KR200227756Y1 KR2020000036988U KR20000036988U KR200227756Y1 KR 200227756 Y1 KR200227756 Y1 KR 200227756Y1 KR 2020000036988 U KR2020000036988 U KR 2020000036988U KR 20000036988 U KR20000036988 U KR 20000036988U KR 200227756 Y1 KR200227756 Y1 KR 200227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frame
finishing material
frame
ch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문
최덕삼
Original Assignee
최학문
최덕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학문, 최덕삼 filed Critical 최학문
Priority to KR2020000036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56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의자 좌판을 지지하는 의자받침골조의 선단부에 간단히 끼워 설치하는것에 의해 의자골조의 외관을 미려하게함과 동시에 내부에 형성되는 보강돌조에 의해 골조하부에 설치되는 받침구에 대한 나사체결력을 높여 의자의 사용수명을 높일수 있도록 한것으로, 의자좌판(4)을 지지하는 의자받침골조(2)의 개구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의자받침골조 마감재(1)에 있어서, 둘레로는 끼움부(12)를 끼움턱(13)에 의해 구분되게 형성하고, 전면에는 일정곡률의 호형면(1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끼움부(12)의 하면 내부일측에는, 받침구(3)의 나선부(31)가 체결되는 나선부(14a)를 내부에 형성한 보강돌조(14)를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받침골조 마감재이다.

Description

의자받침골조 마감재{chair frame end cap}
본고안은 의자받침골조 마감재에 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의자 좌판을 지지하는 의자받침골조의 선단부에 간단히 끼워 설치하는것에 의해 의자골조의 외관을 미려하게함과 동시에 내부에 형성되는 보강돌조에 의해 골조하부에 설치되는 받침구에 대한 나사체결력을 높여 의자의 사용수명을 높일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좌판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의자받침골조의 경우 대부분이 일정강성을 지니기위해 속이 빈 원형관체나 사각관체로 되는 것으로, 이들 관체로 되는 의자받침골조의 경우 그 미감을 좋게하기위하여 골조의 개구부에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별도의 마감재를 끼워설치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관체로 되는 의자받침골조의 개구부에 끼워설치되는 종래의 마감재는 단순히 의자받침골조의 개구부를 막아 골조의 외관을 미려하게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어서, 의자 사용과정에서 마감재가 골조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데 따라 의자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리어 해치게 되는 문제와 아울러 의자받침골조 하부에 설치되어 골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띄운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구가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골조를 이루는 관체의 얇은 두께부에만 받침구의 나사부가 결합되게 되는데 따라 받침구가 견고한 상태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의자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등의 문제가 있는것이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단순히 의자받침골조의 개구부에 끼워지도록하여 의자 골조의 미감을 좋게 하기위한 종래의 의자받침골조 마감재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자받침골조의 개구부에 끼워설치되어 의자의 전체적인 미감을 좋게 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돌출설치된 보강돌조의 나선부 존재에 의해 의자받침골조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구가 골조의 두께부와 함께 보강나선부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받침구의 골조에 대한 견고한 체결력 유지가 가능하게하여 의자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연장을 기대할 수 있게되는 의자받침골조 마감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마감재의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마감재의 단면도.
도 3은 본고안에 의한 마감재의 설치상태단면도.
도 4는 본고안에 의한 마감재의 설치상태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2 : 의자받침골조 4 : 의자좌판
11 : 호형 12 : 끼움부 13 : 끼움턱 14 : 보강돌조
14a,31 : 나선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고안에 의한 의자골조마감재는, 의자좌판(4)을 지지하는 의자받침골조(2)의 개구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의자받침골조 마감재(1)에 있어서, 둘레로는 의자받침골조(2) 내부에 끼워지는 끼움부(12)를 끼움턱(13)에 의해 구분되게 형성하고, 그 전면은 일정곡률의 호형면(11)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끼움부(12)의 하면 내부일측에는, 내부에 받침구(3)의 나선부(31)가 체결되는 나선부(14a)를 형성한 보강돌조(14)를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의자받침골조 마감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의자받침골조 마감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고안에 의한 의자받침골조 마감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고안에 의한 의자받침골조 마감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고안의 의자받침골조 마감재(1)는 선단에 완만한 곡률로 되는 호형면(11)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호형면(11) 일측으로는 끼움턱(13)을 경계로 하여 의자받침골조(2)의 개구부에 끼워져 삽입되는 끼움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끼움부(12)의 하면 내부에는, 내부에 나선부(14a)를 갖는 보강돌조(14)를 일정높이 돌출형성하여 이 보강돌조(14)의 나선부(14a)에 의자받침골조(2)의 두께부를 통과한 받침구(3)의 나선부(31)가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의자받침골조(2)의 전방측 하부에 견고한 상태로 받침구(3)를 부착설치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고안의 의자받침골조 마감재(1)는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로 되는 의자받침골조(2) 선단의 개구부에 끼움부(12)를 그대로 밀어넣어 끼워설치한 상태에서, 의자받침골조(2)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간격이 유지되는상태로 두기위해 받침구(3)의 나선부(31)를, 의자받침골조(2) 하부에서 의자받침골조(2)의 두께부를 관통하여 마감재(1)의 끼움부(12) 내측에 형성된 나선부(14a)에 각각 체결하게되면, 의자받침골조(2)의 개구부에 끼워설치되는 본고안의 의자받침골조 마감재(1)는 그 내부의 보강돌조(14)내에 형성된 나선부(14a)에 체결된 받침구(3)의 나선부(31)에 의해 의자받침골조 마감재(1)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수 있어 의자의 전체적인 미감향상을 꾀할 수 있게될 뿐만 아니라, 의자받침골조(2) 하부전방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구(3)도 그 상부의 나선부(31)가 의자받침골조(2)의 두께부를 관통하여 마감재(1) 내부의 보강돌조(14)에 형성된 나선부(14a)와 체결, 결합되게되므로 의자받침골조(2)에 대한 마감재(1)의 견고한 장착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고안의 마감재(1)가 끼워져 설치되는 의자받침골조(2)를 사각파이프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원형파이프에 적용하는 경우, 마감재(1)의 끼움부(12) 형태를 원형으로하여 실시할수도 있다.
또한 본고안의 마감재(1)를 의자의 받침골조(2) 대신에 다른 가구등의 받침골조의 마감재로 사용하는경우, 보강돌조(14)내에 형성된 나선부(14a)를 이용하여 받침구에 대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 본고안의 의자받침골조에 의하면, 의자좌판지지를 위해 좌판하부에 설치되는 골조의 개구부에 간단히 끼워설치하여 골조는 물론 의자전체의 미감을 향상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일정부분 돌출형성된 보강돌조에 받침구가 체결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마감재의 이탈을 막는 동시에 받침구의 나선부가 받침골조로 부터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의자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의자좌판(4)을 지지하는 의자받침골조(2)의 개구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의자받침골조 마감재(1)에 있어서,
    둘레로는 끼움부(12)를 끼움턱(13)에 의해 구분되게 형성하고, 전면에는 일정곡률의 호형면(1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끼움부(12)의 하면 내부일측에는, 받침구(3)의 나선부(31)가 체결되는 나선부(14a)를 내부에 형성한 보강돌조(14)를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KR2020000036988U 2000-12-29 2000-12-29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KR200227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988U KR200227756Y1 (ko) 2000-12-29 2000-12-29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988U KR200227756Y1 (ko) 2000-12-29 2000-12-29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756Y1 true KR200227756Y1 (ko) 2001-06-15

Family

ID=7309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988U KR200227756Y1 (ko) 2000-12-29 2000-12-29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7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6940B1 (en) Shower curtain rod assembly
US20020023993A1 (en) Wall mountable accessory assembly
KR200227756Y1 (ko) 의자받침골조 마감재
CN209219886U (zh) 一种窗帘杆支架
KR200402960Y1 (ko) 가구용 판넬 연결구조체
KR200167011Y1 (ko) 화장실칸막이 고정받침대
JPH10127410A (ja) 椅子の肘掛取付構造
KR100500462B1 (ko)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79138Y1 (ko) 운동장용 조립식 스텐드의 의자 고정장치
CN211722960U (zh) 一种智能马桶盖板的安装结构
CN217090284U (zh) 一种智能系统中的窗帘支架
CN211313481U (zh) 可调节高度的支架
CN211820921U (zh) 一种出水装置水管的定位结构
KR200208614Y1 (ko) 개량옷걸이
KR200399994Y1 (ko) 테이블용 지각 설치구조
CN211582552U (zh) 一种弧形浴帘杆
KR19990034995U (ko) 가구용다리
KR200393670Y1 (ko)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JPH0450866Y2 (ko)
KR0139848B1 (ko) 정면부 교체식 의장
KR200337068Y1 (ko) 가구용 높이 조절구
KR200296649Y1 (ko) 세면기 거치대
KR200284608Y1 (ko) 호형절곡부 하면에 호형받침구를 부착한 의자받침틀
KR200369508Y1 (ko) 샤워기 홀더
KR200389441Y1 (ko)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