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441Y1 -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441Y1
KR200389441Y1 KR20-2005-0010534U KR20050010534U KR200389441Y1 KR 200389441 Y1 KR200389441 Y1 KR 200389441Y1 KR 20050010534 U KR20050010534 U KR 20050010534U KR 200389441 Y1 KR200389441 Y1 KR 200389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support
seat
nut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근
Original Assignee
박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근 filed Critical 박종근
Priority to KR20-2005-0010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커버를 간단한 공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또한 등커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등커버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리(10)에 지지되는 좌석(20), 좌석(20)에 고정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에 연결되는 등커버(40), 등커버(40)에 부착되는 등받이(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직장공(31); 상기 등커버(40)의 중앙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대(30)가 끼워지는 연결홈(41a)을 구비하는 연결부(41); 상기 연결부(41)의 후방에 천공되는 볼트공(42); 상기 연결부(41)의 전방에 매입되는 너트(60); 상기 볼트공(42)과 수직장공(31)을 관통하여 너트(6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chair back cover}
본 고안은 지지대에 연결되어 등받이를 지지하는 의자 등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등커버를 간단한 공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또한 등커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등커버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를 하측에서 지지한 다리부와, 상기 좌석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일반적인 의자들은 대부분 사용자들이 단순하게 신체를 지지하는 역할만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특히 신체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의 구조에 대하여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용자가 장시간동안 앉아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하기 위하여 등받이 부분에 만곡을 주어서 등을 효과적으로 받쳐주도록 구성하거나 등받이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넓게 받쳐주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의자가 제안되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가 2개로 분리된 의자에는 좌석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되어 2개의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커버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등커버를 지지대에 연결함에 있어서 작업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등커버의 연결 시 많은 부품이 소모되어 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리고 종래에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등커버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등커버를 간단한 공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또한 등커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등커버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지대의 상부에 수직장공을 형성하고, 등커버의 중앙하부에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에 지지대가 끼워지는 연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 볼트공을 천공하고, 상기 연결부의 전방에 너트를 매입하고, 상기 볼트공과 수직장공으로 고정볼트를 끼운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너트에 체결하여 연결시킨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리(10)에 지지되는 좌석(20), 좌석(20)에 고정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에 연결되는 등커버(40), 등커버(40)에 부착되는 등받이(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직장공(31); 상기 등커버(40)의 중앙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대(30)가 끼워지는 연결홈(41a)을 구비하는 연결부(41); 상기 연결부(41)의 후방에 천공되는 볼트공(42); 상기 연결부(41)의 전방에 매입되는 너트(60); 상기 볼트공(42)과 수직장공(31)을 관통하여 너트(6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좌석(20)을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다리(10)의 중앙 상부에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좌석(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좌석(20)은 다리(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좌석(2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30)는 좌석(20)의 후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대(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등커버(40)를 지지함과 동시에 등커버(40)에 텐션을 부여하고, 지지대(30)의 상부에는 고정볼트(70)가 끼워지는 높이조절용 수직장공(31)이 천공된다.
상기 등커버(40)는 지지대(30)의 상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등받이(5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등커버(40)의 중앙하부에는 연결부(4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등커버(40)의 연결부(41)에는 지지대(30)가 끼워지는 연결홈(41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41)의 후방에는 고정볼트(70)가 끼워지는 볼트공(42)이 천공되며, 상기 연결부(41)의 전방에는 고정볼트(70)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60)가 매입된다.
상기 등받이(50)는 등커버(40)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등받이(5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60)는 연결부(41)의 전방에 매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너트(60)에는 고정볼트(70)가 나사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고정볼트(70)는 볼트공(42)과 수직장공(31)을 관통하여 너트(60)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볼트(70)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등커버(40)에 형성된 연결부(41)의 연결홈(41a)을 지지대(30)에 끼워 등커버(4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이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볼트공(42)과 수직장공(31)으로 고정볼트(70)를 끼우고, 볼트공(42)과 수직장공(31)에 끼워진 고정볼트(70)를 너트(60)에 체결하면 등커버(40)의 조립이 간단하게 완료되므로, 등커버(40)를 지지대(30)에 간단한 공정으로 손쉽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등커버(40)를 지지대(30)에 간단하게 끼운 상태에서 간단하게 고정볼트(70)를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대(30)와 등커버(40)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대(30)의 상부에 수직장공(31)이 형성되므로 등커버(40)의 높이를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는 등커버가 간단한 공정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등커버의 연결구조가 간단한 공정으로 개선되어 사용되는 부품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등커버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다리 20 : 좌석
30 : 지지대 31 : 수직장공
40 : 등커버 41 :연결부
41a : 연결홈 42 : 볼트공
50 : 등받이 60 : 너트
70 : 고정볼트

Claims (1)

  1. 다리(10)에 지지되는 좌석(20), 좌석(20)에 고정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에 연결되는 등커버(40), 등커버(40)에 부착되는 등받이(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직장공(31); 상기 등커버(40)의 중앙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대(30)가 끼워지는 연결홈(41a)을 구비하는 연결부(41); 상기 연결부(41)의 후방에 천공되는 볼트공(42); 상기 연결부(41)의 전방에 매입되는 너트(60); 상기 볼트공(42)과 수직장공(31)을 관통하여 너트(6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0)를 포함하는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KR20-2005-0010534U 2005-04-15 2005-04-15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KR200389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34U KR200389441Y1 (ko) 2005-04-15 2005-04-15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34U KR200389441Y1 (ko) 2005-04-15 2005-04-15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441Y1 true KR200389441Y1 (ko) 2005-07-14

Family

ID=4369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534U KR200389441Y1 (ko) 2005-04-15 2005-04-15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4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743B2 (en) Chair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EP2215931A1 (en) Backrest of chair and its fixing device
US6499804B1 (en) Easy chair device
US6305747B1 (en) Swayable backrest assembly for a chair
KR200389441Y1 (ko)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US7523992B1 (en) Mechanisms for flexibly securing J-bar to chair backrest and chair headrest respectively
KR200395763Y1 (ko) 등받이 분할형 의자
CN209995721U (zh) 一种新颖椅靠背
KR200340427Y1 (ko)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KR200395908Y1 (ko) 의자의 팔걸이 고정구조
CN209121620U (zh) 办公椅
KR20110111678A (ko) 의자 등받이
KR200449818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200415175Y1 (ko) 의자 목받침 연결구조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200404407Y1 (ko)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KR200401269Y1 (ko) 의자 등받이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CN217658978U (zh) 一种儿童座椅
KR200340131Y1 (ko) 목 받침대를 구비한 소파
KR200400879Y1 (ko) 의자용 등받이의 해드레스트 구조
CN218451500U (zh) 一种符合人体工学设计的多向调节座椅靠背
CN214433070U (zh) 一种舒适座椅
KR200375178Y1 (ko) 의자용 이중 등받이 결합구조
KR200412290Y1 (ko) 의자용 지지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