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427Y1 -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427Y1
KR200340427Y1 KR20-2003-0034177U KR20030034177U KR200340427Y1 KR 200340427 Y1 KR200340427 Y1 KR 200340427Y1 KR 20030034177 U KR20030034177 U KR 20030034177U KR 200340427 Y1 KR200340427 Y1 KR 200340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support
connecting rod
backres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헌수
Original Assignee
한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헌수 filed Critical 한헌수
Priority to KR20-2003-0034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2개로 분리된 등받이를 간단한 공정으로 연결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등받이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리(10)에 지지되는 좌석(20), 좌석(20)에 고정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에 연결되는 등커버(40), 등커버(40)에 부착되는 한조의 등받이(50), 등커버(40)에 연결봉(61)으로 연결되는 머리받침(6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50)를 등커버(40)에 다수개의 나사(S)체결로 직접 조립하고, 상기 등커버(40)의 중앙하부에는 지지대(30)에 끼워지는 연결홈(41)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홈(41)의 후방으로 등커버(40)를 지지대(30)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체결볼트(B1)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봉(61)의 하부에 수직장공(62a)이 형성된 연결판(62)을 부착하고, 상기 등커버(40)의 중앙상부에 연결봉(61)이 끼워지는 삽입홀(42)을 형성하며, 상기 등커버(40)에 연결판(62)을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볼트(B2)와 캡너트(N)를 체결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the back of a chair}
본 고안은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가 2개로 분리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2개로 분리된 등받이를 간단한 공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또한 등받이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좌석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일반적인 의자들은 대부분 사용자들이 단순하게 신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만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특히 신체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의 구조에 대하여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용자가 장시간동안 앉아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하기 위하여 등받이 부분에 만곡을 주어서 등을 효과적으로 받쳐주도록 구성하거나 등받이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넓게 받쳐주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의자가 제안되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등받이가 2개로 분리된 의자에는 좌석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2개의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커버와, 상기 등커버의 상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봉으로 연결되는 머리받침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2개로 분리된 등받이를 등커버에 연결함에 있어서 작업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2개의 등받이 연결 시 많은 부품이 소모되어 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2개로 분리된 등받이를 간단한 공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또한 등받이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2개로 분리된 한조의 등받이를 등커버에 다수개의 나사로 체결하여 직접 조립하고, 상기 등커버의 하부에는 지지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체결볼트로 고정되는 연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등커버의 중앙상부에는 머리받침의 연결봉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홀을 형성하되, 상기 등커버의 삽입홀에 연결봉을 끼운 상태에서 조절볼트와 캡너트를 체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결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등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침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다리 20 : 좌석
30 : 지지대 40 : 등커버
41 : 연결홈 42 : 삽입홀
43 : 덮개부 44 : 걸림턱
50 : 등받이 60 : 머리받침
61 : 연결봉 62 : 연결판
62a : 수직장공 S : 나사
B1 : 체결볼트 B2 : 고정볼트
N : 캡너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리(10)에 지지되는 좌석(20), 좌석(20)의 후방에 고정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의 상부에 연결되는 등커버(40), 등커버(40)의 전면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한조의 등받이(50), 등커버(40)에 연결봉(61)으로 연결되는 머리받침(6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2개로 분리된 한조의 등받이(50)를 등커버(40)의 전면 양측에 배치하여 다수개의 나사(S)체결로 직접 조립하고, 상기 등커버(40)의 전면 중앙하부에는 지지대(3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홈(41)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홈(41)의 후방으로 등커버(40)를 지지대(30)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체결볼트(B1)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봉(61)의 하부에 수직장공(62a)이 형성된 연결판(62)을 부착하고, 상기 등커버(40)의 중앙상부에 연결봉(61)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홀(42)을 형성하며, 상기 등커버(40)에 연결판(62)을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볼트(B2)와 캡너트(N)를 체결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좌석(20)을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다리(10)의 중앙 상부에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좌석(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1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재(10)는 조절레버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되는 통상의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석(20)은 다리(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좌석(2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30)는 좌석(20)의 후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대(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등커버(40)를 지지함과 동시에 등커버(40)에 텐션을 부여한다.
상기 등커버(40)는 지지대(30)의 상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양측 한조의 등받이(50)를 지지함과 동시에 머리받침(60)의 연결봉(61)을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등커버(40)의 전면 양측으로는 2개로 분리된 한조의 등받이(50)가 다수개의 나사(S)체결을 통해 직접 조립된다. 이때, 등커버(4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나사(S)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나사공(40a)이 천공된다.
상기 등커버(40)의 전면 중앙하부에는 지지대(3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홈(41)이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홈(41)에 의해 등커버(40)의 중앙하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는 연결부(41a)가 일체로 성형되며, 연결홈(41)의 후방으로는 도 6a에서와 같이 체결볼트(B1)가 끼워지는 볼트공(41b)이 성형되고, 상기 볼트공(41b)내로는 등커버(40)를 지지대(30)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체결볼트(B1)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B1)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등커버(40)의 중앙상부에는 연결봉(61)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삽입홀(42)이 형성되고, 등커버(40)의 중앙 상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볼트(B2)가 끼워지는 볼트공(40b)이 성형되며, 상기 고정볼트(B2)에는 캡너트(N)가 체결된다.
상기 등커버(40)에 구비된 연결홈(41)의 하부에는 외관이 미려하도록 지지대(30)를 가려주는 덮개부(43)가 형성되고, 상기 등커버(40)의 전면 중앙부에는 연결봉(61)의 최대하강을 단속하는 걸림턱(44)이 돌출된다.
상기 등받이(50)는 등커버(40)의 전면 양측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나사(S)체결을 통해 직접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등받이(5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하기 위하여 2개로 분리된다. 이때, 등받이(5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받침(60)은 등커버(40)에 연결봉(61)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머리받침(60)을 등커버(40)에 연결시켜주는 연결봉(61)의 하부에는 연결판(62)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판(62)에는 하부가 개구되는 수직장공(62a)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장공(62a)으로는 캡너트(N)가 체결되는 고정볼트(B2)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60)은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볼트(B2)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2개로 분리된 한조의 등받이(50)를 등커버(40)의 전면 양측에 각각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등커버(40)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공(40a)으로 나사(S)를 각각 끼워 체결하면 등받이(50)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한조의 등받이(50)를 등커버(40)에 간단한 공정으로 손쉽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등커버(40)에 형성된 연결홈(41)을 지지대(30)에 끼워 등커버(4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이 상태에서 도 6b에서와 같이 볼트공(41b)에 체결된 체결볼트(B1)를 조이면 등커버(40)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등커버(40)를 지지대(30)에 간단한 공정으로 손쉽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등커버(40)에 형성된 삽입홀(42)내로 연결봉(61)을 끼워 머리받침(6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이 상태에서 도 7b에서와 같이 등받이(40)의 볼트공(40b)과 연결판(62)의 수직장공(62a)으로 고정볼트(B2)를 관통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B2)에 캡너트(N)를 체결하면 머리받침(60)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머리받침(60)을 등커버(40)에 간단한 공정으로 손쉽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2개로 분리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한조의 등받이(50)를 간단한 공정으로 등커버(40)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등커버(40)를 지지대(30)에 간단하게 끼워서 조립함과 동시에 머리받침(60)을 등커버(40)에 간단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지지대(30),등커버(40),등받이(50),머리받침(60)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는 2개로 분리된 등받이가 간단한 공정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작업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등받이의 연결구조가 간단한 공정으로 개선되어 사용되는 부품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다리(10)에 지지되는 좌석(20), 좌석(20)에 고정되는 지지대(30), 지지대(30)에 연결되는 등커버(40), 등커버(40)에 부착되는 한조의 등받이(50), 등커버(40)에 연결봉(61)으로 연결되는 머리받침(6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등받이(50)를 등커버(40)에 다수개의 나사(S)체결로 직접 조립하고, 등커버(40)의 중앙하부에는 지지대(30)에 끼워지는 연결홈(41)을 형성하며, 연결홈(41)의 후방으로 등커버(40)를 지지대(30)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체결볼트(B1)를 설치하고, 연결봉(61)의 하부에 수직장공(62a)이 형성된 연결판(62)을 부착하고, 등커버(40)의 중앙상부에 연결봉(61)이 끼워지는 삽입홀(42)을 형성하며, 등커버(40)에 연결판(62)을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볼트(B2)와 캡너트(N)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커버(40)에 구비된 연결홈(41)의 하부에는 지지대(30)를 가려주는 덮개부(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커버(40)의 전면 중앙부에는 연결봉(61)의 최대하강을 단속하는 걸림턱(44)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KR20-2003-0034177U 2003-10-31 2003-10-31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KR200340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77U KR200340427Y1 (ko) 2003-10-31 2003-10-31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77U KR200340427Y1 (ko) 2003-10-31 2003-10-31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427Y1 true KR200340427Y1 (ko) 2004-02-05

Family

ID=4942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77U KR200340427Y1 (ko) 2003-10-31 2003-10-31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4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988B1 (ko) 2013-02-13 2013-08-14 (주)유피스 책상용 파티션 결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988B1 (ko) 2013-02-13 2013-08-14 (주)유피스 책상용 파티션 결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52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US6981743B2 (en) Chair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US20100007190A1 (en) Chair back
US20020060492A1 (en) Backrest of a chair
WO2006041078A1 (ja) 椅子および椅子の背凭れ等における張材の張設構造
US6305747B1 (en) Swayable backrest assembly for a chair
KR102382087B1 (ko) 의자의 탄성력 있는 굴곡조절모듈
KR100856576B1 (ko) 골반 보호용 의자
KR200340427Y1 (ko)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KR101541160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389441Y1 (ko) 의자 등커버 연결구조
KR200443595Y1 (ko) 각도조절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101818053B1 (ko)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KR200400879Y1 (ko) 의자용 등받이의 해드레스트 구조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200404407Y1 (ko)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KR200331389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409233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설치 구조
KR200411864Y1 (ko) 의자용 허리 받침대
KR200415175Y1 (ko) 의자 목받침 연결구조
KR102523386B1 (ko) 등받이 의자의 헤드레스트 조절구조
KR200395908Y1 (ko) 의자의 팔걸이 고정구조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0336085Y1 (ko)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KR200412290Y1 (ko) 의자용 지지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