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053B1 -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053B1
KR101818053B1 KR1020170054502A KR20170054502A KR101818053B1 KR 101818053 B1 KR101818053 B1 KR 101818053B1 KR 1020170054502 A KR1020170054502 A KR 1020170054502A KR 20170054502 A KR20170054502 A KR 20170054502A KR 101818053 B1 KR101818053 B1 KR 10181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eadrest
backrest
fram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17005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등받이는 좌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등받이 본체 프레임과, 등받이 본체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블록부, 및 등받이 본체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 돌출부를 구비한다. 헤드레스트는 머리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의 하측에 배치되게 머리 받침부에 연결된 목 받침부와, 목 받침부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체결 블록부를 수용하는 체결 홈부, 및 목 받침부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끼움 돌출부를 끼워서 안착시키는 안착 홈부를 구비한다. 나사 체결기구는 체결 블록부가 체결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 블록부와 체결 홈부를 나사 체결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Chair having improved performance of headres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갖춘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가구 중의 하나로 다양한 종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좌판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 의자는 등받이의 상부에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하며, 좌판의 양측에 사용자의 양팔 부분을 지지하는 팔걸이를 구비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도 한다.
한편, 의자는 구성품들이 조립되어 완제품을 이룰 수 있다. 의자의 조립 과정에서,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조립될 수 있는데, 의자의 조립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헤드레스트와 등받이 간에 조립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등받이와 헤드레스트 간에 조립이 용이한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는 좌판과, 등받이와, 헤드레스트, 및 나사 체결기구를 포함한다. 좌판은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형성된다. 등받이는 좌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등받이 본체 프레임과, 등받이 본체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블록부, 및 등받이 본체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 돌출부를 구비한다. 헤드레스트는 머리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의 하측에 배치되게 머리 받침부에 연결된 목 받침부와, 목 받침부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체결 블록부를 수용하는 체결 홈부, 및 목 받침부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끼움 돌출부를 끼워서 안착시키는 안착 홈부를 구비한다. 나사 체결기구는 체결 블록부가 체결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 블록부와 체결 홈부를 나사 체결한다.
여기서, 체결 블록부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체결 보스들과, 체결 보스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측 체결편과, 체결 보스들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측 체결편, 및 체결 보스들을 각각 거쳐 상,하측 체결편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체결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홈부는 체결 블록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측 내벽에 제1 체결홀들과 각각 연통되는 제2 체결홀들이 형성되며, 하측 내벽에 제1 체결홀들을 하방으로 노출시키는 노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는 체결 홈부보다 상측에서 목 받침부의 앞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제2 체결홀들과 연통되는 장착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사 체결기구는 하측 체결편으로부터 제1,2 체결홀에 끼워지는 볼트들, 및 장착 홈부에 수용되어 볼트들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레스트와 등받이 간에 조립성이 개선되므로, 의자의 조립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와 등받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헤드레스트가 등받이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목 받침부의 앞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좌판을 중심으로 등받이와 헤드레스트가 배치되는 방향을 의자의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의자의 전방이라 한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에서 사용자의 목 및 머리 부분이 접촉되는 면을 헤드레스트의 앞면이라 하고, 그 반대면을 헤드레스트의 뒷면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와 등받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헤드레스트가 등받이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좌판(100)과, 등받이(200)와, 헤드레스트(300), 및 나사 체결기구(400)를 포함한다.
좌판(100)은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형성된다. 좌판(100)의 하부에는 다리(1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리(110)는 좌판(100)을 지지한다. 다리(110)는 좌판(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판(100)의 양측에는 한 쌍의 팔걸이(1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팔걸이(120)들은 사용자의 양팔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한다. 각각의 팔걸이(120)들은 높낮이 조절되거나,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위치 조절되거나, 수직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팔걸이(120)들은 등받이(200)에 연결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좌판(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등받이(200)는 좌판(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한다. 등받이(200)는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과, 체결 블록부(220), 및 끼움 돌출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은 등받이(20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중앙에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은 메쉬 시트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200)는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착석하더라도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은 사출 성형 등의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체결 블록부(220)는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의 상부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체결 블록부(220)는 끼움 돌출부(230)로부터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체결 블록부(220)는 후술할 나사 체결기구(400)에 의해 체결 홈부(330)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 블록부(220)는 체결 보스(221)들과, 상측 체결편(222)과, 하측 체결편(223), 및 제1 체결홀(224)들을 포함한다.
체결 보스(221)들은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체결 보스(221)들은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체결 보스(221)들은 2개로 구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측 체결편(222)은 체결 보스(221)들의 상단에 배치된다. 하측 체결편(223)은 체결 보스(221)들의 하단에 배치된다. 상,하측 체결편(222, 223)은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하측 체결편(222, 223)은 돌출된 각 좌,우측 코너 부위가 곡면지게 형성되어, 체결 홈부(330)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다. 하측 체결편(223)은 하면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상측 체결편(222)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하측 체결편(222, 223)은 체결 보스(221)들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홀(224)들은 체결 보스(221)들을 각각 거쳐 상,하측 체결편(222, 223)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 체결홀(224)들은 체결 보스(221)들과 상,하측 체결편(222, 223)에 드릴링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홀(224)들은 나사 체결기구(400)의 볼트(410)들을 각각 끼울 수 있게 한다. 하측 체결편(223)의 하면은 제1 체결홀(224)의 하부 개구 주변을 따라 환형 홈(223a)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홈(223a)은 볼트(410)의 헤드를 수용하여 헤드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끼움 돌출부(230)는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의 상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끼움 돌출부(230)는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중앙 부위가 일정 단면적을 갖고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끼움 돌출부(230)는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의 성형시 함께 성형되어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과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끼움 돌출부(230)는 상하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 돌출부(230)는 상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끼움 돌출부(230)는 후술할 안착 홈부(340)에 원활히 끼워질 수 있다.
헤드레스트(300)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분을 지지한다. 헤드레스트(300)는 머리 받침부(310)와, 목 받침부(320)와, 체결 홈부(330), 및 안착 홈부(340)를 구비한다. 머리 받침부(31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한다. 목 받침부(320)는 머리 받침부(310)의 하측에 배치되게 머리 받침부(310)에 연결된다. 목 받침부(320)는 하측 부위가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에 체결되어 머리 받침부(310)를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에 연결한다. 목 받침부(320)는 사출 성형 등의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체결 홈부(330)는 목 받침부(320)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체결 블록부(220)를 수용한다. 작업자가 목 받침부(320)를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에 체결하기 위해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체결 홈부(330)는 체결 블록부(220)를 수용해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체결 홈부(330)는 체결 블록부(220)를 수용한 상태에서 나사 체결기구(400)에 의해 체결 블록부(220)와 체결된다.
체결 홈부(330)는 상측 내벽에 제1 체결홀(224)들과 각각 연통되는 제2 체결홀(33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홀(331)은 제1 체결홀(224)과 함께 볼트(410)를 끼워서 체결 홈부(330)와 체결 블록부(220)가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제2 체결홀(331)들은 각 중심이 제1 체결홀(224)의 각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제2 체결홀(331)들은 체결 홈부(330)에 드릴링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홈부(330)는 체결 블록부(220)를 수용한 상태에서, 좌,우측 내벽이 상,하측 체결편(222, 223)의 좌,우측 단과 맞닿게 형성되며, 앞쪽 내벽이 상,하측 체결편(222, 223)의 앞쪽 단과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체결홀(224)과 제2 체결홀(331) 간에 허용 공차 범위 내에서 중심이 일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홈부(330)는 상측 내벽이 상측 체결편(222)의 상면과 맞닿게 형성되고, 하측 내벽이 하측 체결편(223)의 하면과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홈부(330)는 체결 블록부(220)와 헐거운 끼워맞춤(movable fit)되도록 형성되어, 체결 블록부(330)의 출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헐거운 끼워맞춤은 체결 블록부(220)가 체결 홈부(330)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끼워맞춤이다.
이에 따라, 체결 블록부(220)가 체결 홈부(330)에 수용되면, 목 받침부(320)가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제1 체결홀(224)과 제2 체결홀(331)이 동일 중심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목 받침부(320)를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에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체결 홈부(330)는 하측 내벽에 제1 체결홀(224)들을 하방으로 노출시키는 노출 홀(3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체결 홈부(330)의 하방으로부터 노출 홀(332)을 통해 볼트(410)를 제1,2 체결홀(224, 331)에 끼워서 너트 플레이트(420)에 체결할 수 있다.
안착 홈부(340)는 목 받침부(320)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끼움 돌출부(230)를 끼워서 안착시킨다. 작업자가 목 받침부(320)를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에 체결하기 위해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켜 체결 블록부(220)를 체결 홈부(330)에 수용하면, 안착 홈부(340)는 끼움 돌출부(230)를 끼워서 안착시킨다. 따라서, 목 받침부(320)가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끼움 돌출부(230)의 상하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안착 홈부(340)는 출입구로 갈수록 상하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 홈부(340)는 상측 내벽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착 홈부(340)는 끼움 돌출부(230)를 원활하게 끼울 수 있다. 안착 홈부(340)는 끼움 돌출부(230)와 헐거운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어, 끼움 돌출부(230)의 출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목 받침부(320)는 상단 부위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 턱(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턱(321)은 안착 홈부(340)의 상측 주변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턱(321)은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의 상단을 감쌈으로써, 목 받침부(320)가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목 받침부(320)는 경량화를 위해 상측 부위가 함몰된 홈을 가지며, 홈 내에 리브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레스트(300)는 장착 홈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홈부(350)는 체결 홈부(330)보다 상측에서 목 받침부(320)의 앞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제2 체결홀(331)들과 연통된다. 장착 홈부(350)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체결 홈부(330)와 구획되며, 격벽에 제2 체결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부(350)는 나사 체결기구(400)의 너트 플레이트(420)를 수용해서 볼트(410)들과 나사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장착 홈부(350)는 목 받침부(320)의 앞면에 형성되어 전방에서 보여질 수 있으므로,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등받이(200)는 장착 홈부(350)에 의한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등받이 보조 프레임(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보조 프레임(240)은 장착 홈부(350)의 출입구를 가리도록 목 받침부(320)의 전방에 배치되어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과 체결된다.
나사 체결기구(400)는 체결 블록부(220)가 체결 홈부(3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 블록부(220)와 체결 홈부(330)를 나사 체결한다. 체결 블록부(220)와 체결 홈부(330)는 나사 체결기구(400)에 의해 나사 체결되므로, 헤드레스트(300)가 등받이(20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되어 헤드레스트(30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나사 체결기구(400)는 볼트(410)들, 및 너트 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410)들은 하측 체결편(223)으로부터 제1,2 체결홀(224, 331)에 끼워져 너트 플레이트(420)와 체결된다. 너트 플레이트(420)는 장착 홈부(350)에 수용되어 볼트(410)들과 나사 결합된다. 너트 플레이트(420)는 상면에 제2 체결홀(331)들에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 보스(421)들이 형성되며, 보스(421)들에 볼트(410)들과 각각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목 받침부의 앞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300)는 목 받침부(320)에 대한 머리 받침부(3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머리 받침부(310)는 머리 받침 프레임(311)과, 머리 받침 프레임(311)의 전방을 덮도록 결합되는 패드 부재(312), 및 머리 받침 프레임(312)의 후방을 덮도록 결합되는 머리 받침 커버(313)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받침 프레임(311)은 패드 부재(312)를 후방에서 지지한다. 패드 부재(312)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도록 완충 재질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머리 받침 커버(313)는 머리 받침 프레임(311)과의 사이에 목 받침부(320)의 목 받침 연장블록(322)을 수용한다. 그리고, 목 받침 연장블록(322)은 목 받침부(32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머리 받침 프레임(311)과 머리 받침 커버(313) 사이에 배치된다.
높낮이 조절부(360)는 안내 돌기(361)와, 안내 홀(362)과, 이탈 방지부재(363)와, 탄성돌기(364)와, 걸림 홈(365)들, 및 탄성부재(366)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돌기(361)는 머리 받침 프레임(311)에 형성되어 목 받침 연장블록(322) 쪽으로 돌출된다. 안내 돌기(36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머리 받침 프레임(311)의 뒷면에 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안내 홀(362)은 머리 받침 프레임(311)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목 받침 연장블록(322)에 길게 형성되어 안내 돌기(361)를 끼운 상태로 안내 돌기(36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머리 받침 프레임(311)의 높낮이 범위는 안내 홀(362)의 상하 길이로 한정될 수 있다. 안내 돌기(361)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안내 홀(362)도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내 홀(362)의 좌우 폭은 안내 돌기(361)의 좌우 폭과 허용 공차 범위에서 동일하게 설정되어, 안내 돌기(361)의 상하 이동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재(363)는 안내 돌기(361)에 체결되어 안내 홀(362)로부터 안내 돌기(361)의 이탈을 방지한다. 여기서, 목 받침 연장블록(322)은 안내 홀(362)의 좌우 주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함몰된 지지 홈(367)을 가질 수 있다. 이탈 방지부재(363)는 안내 홀(362)의 후방 쪽에서 중앙 부위가 안내 돌기(361)와 볼트로 체결된다. 이탈 방지부재(363)는 좌우측 부위가 지지 홈(367)에 각각 수용된다. 이탈 방지부재(363)의 좌,우측 부위는 탄성 부재(366)를 각각 수용하되, 수용된 탄성부재(366)가 지지 홈(367)의 좌우 내벽에 맞닿게 수용해서 지지한다. 따라서, 머리 받침 프레임(311)은 목 받침 연장블록(322)에 탄성부재(366)의 탄성력으로 지지될 수 있다.
탄성돌기(364)는 머리 받침 프레임(311)에 형성되어 목 받침 연장블록(322) 쪽으로 돌출된다. 머리 받침 프레임(311)은 탄성돌기(364)의 좌우측 및 하측 주변이 절개되어 탄성돌기(364)를 목 받침 연장블록(322) 쪽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걸림 홈(365)들은 머리 받침 프레임(311)의 높낮이 조절시 탄성돌기(364)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키도록 목 받침 연장블록(322)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머리 받침 프레임(311)의 높낮이 조절시, 걸림 홈(365)들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한 탄성돌기(364)를 탄성 변형된 상태로 걸어서 안착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머리 받침 프레임(311)은 단계적으로 높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366)는 이탈 방지부재(363)에 장착되어 목 받침 연장블록(322)에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머리 받침 프레임(311)을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탄성부재(366)는 사각 링 형태로 이루어져 한쪽 측면이 지지 홈(367)의 내벽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맞닿게 이탈 방지부재(363)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탈 방지부재(363)가 목 받침 연장블록(322)의 지지 홈(367)에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하므로, 이탈 방지부재(363)에 고정된 머리 받침 프레임(311)은 목 받침 연장블록(322)에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헤드레스트(300)에 있어서, 머리 받침부(310)와 목 받침부(32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작업자는 패드 부재(312)를 머리 받침 프레임(311)에 미리 결합시켜둘 수 있다. 그 다음, 머리 받침 프레임(311)의 안내 돌기(361)들을 목 받침 연장블록(322)의 안내 홀(362)들에 각각 끼운다. 이때, 탄성돌기(364)가 걸림 홈(365)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될 수 있다.
그 다음, 이탈 방지부재(363)의 좌,우측 부위에 탄성 부재(366)들을 각각 장착하여 지지 홈(368)에 끼운 후, 이탈 방지부재(363)의 중앙 부위를 안내 돌기(361)에 볼트로 체결한다. 그 다음, 머리 받침 프레임(311)에 머리 받침 커버(313)를 결합하면, 머리 받침부(310)와 목 받침부(32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패드 부재(312)는 머리 받침 프레임(311)과 목 받침 연장블록(322)을 먼저 조립한 후, 머리 받침 프레임(311)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머리 받침부(310)와 목 받침부(32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 받침부(310)의 높낮이를 높낮이 조절부(3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머리 받침부(31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힘을 가한다. 그러면, 머리 받침부(310)는 머리 받침 프레임(311)의 안내 돌기(361)와 목 받침 연장블록(322)의 안내 홀(362)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머리 받침부(310)를 원하는 높이로 맞춘 후, 머리 받침부(3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탄성돌기(364)는 인접한 걸림 홈(365)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안착되며, 탄성부재(366)는 지지 홈(367)의 내벽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맞닿게 되므로, 머리 받침 프레임(311)이 목 받침 연장블록(322)에 탄성력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 받침부(310)는 목 받침부(320)에 대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의자에 있어서, 헤드레스트(300)를 등받이(200)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헤드레스트(300)의 체결 홈부(330) 및 안착 홈부(340)가 등받이(200)의 체결 블록부(220) 및 끼움 돌출부(230)와 각각 마주하도록 헤드레스트(300)를 등받이(2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체결 블록부(220)가 체결 홈부(330)에 수용되며, 끼움 돌출부(230)가 안착 홈부(340)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300)는 등받이(200)에 설정 위치로 정확히 안내되어 가조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홀(224)과 제2 체결홀(331)은 서로 간에 동일 중심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는 장착 홈부(350) 내에 너트 플레이트(420)를 배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체결 홈부(330)의 하방으로부터 볼트(410)를 제1,2 체결홀(224, 331)에 끼운 후,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410)를 너트 플레이트(420)에 체결한다. 작업자는 볼트(410)들을 너트 플레이트(420)에 모두 체결한 후, 등받이 보조 프레임(240)을 목 받침부(320)의 전방에 배치하여 등받이 본체 프레임(210)과 체결하여 장착 홈부(350)의 출입구를 가린다. 그러면, 등받이(200)에 대한 헤드레스트(3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들을 역순으로 수행하게 되면, 헤드레스트(300)를 등받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300)를 등받이(20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헤드레스트(300)는 등받이(200)에 가조립 상태로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헤드레스트(300)를 손으로 지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양손으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410)를 너트 플레이트(420)에 체결해서 헤드레스트(300)를 등받이(20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속도가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좌판 200..등받이
210..등받이 본체 프레임 220..체결 블록부
221..체결 보스 222..상측 체결편
223..하측 체결편 224..제1 체결홀
230..끼움 돌출부 240..등받이 보조 프레임
300..헤드레스트 310..머리 받침부
311..머리 받침 프레임 320..목 받침부
322..목 받침 연장블록 330..체결 홈부
331..제2 체결홀 340..안착 홈부
350..장착 홈부 360..높낮이 조절부
361..안내 돌기 362..안내 홀
363..이탈 방지부재 364..탄성돌기
365..걸림 홈 366..탄성부재
400..나사 체결기구 410..볼트
420..너트 플레이트

Claims (5)

  1. 삭제
  2.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형성된 좌판;
    상기 좌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등받이 본체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본체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블록부, 및 상기 등받이 본체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 돌출부를 구비하는 등받이;
    머리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의 하측에 배치되게 상기 머리 받침부에 연결된 목 받침부와, 상기 목 받침부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체결 블록부를 수용하는 체결 홈부, 및 상기 목 받침부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끼움 돌출부를 끼워서 안착시키는 안착 홈부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체결 블록부가 상기 체결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블록부와 체결 홈부를 나사 체결하는 나사 체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블록부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체결 보스들과, 상기 체결 보스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측 체결편과, 상기 체결 보스들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측 체결편, 및
    상기 체결 보스들을 각각 거쳐 상기 상,하측 체결편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체결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홈부는,
    상기 체결 블록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측 내벽에 상기 제1 체결홀들과 각각 연통되는 제2 체결홀들이 형성되며, 하측 내벽에 상기 제1 체결홀들을 하방으로 노출시키는 노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체결 홈부보다 상측에서 상기 목 받침부의 앞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홀들과 연통되는 장착 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 체결기구는,
    상기 하측 체결편으로부터 상기 제1,2 체결홀에 끼워지는 볼트들, 및
    상기 장착 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볼트들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장착 홈부의 출입구를 가리도록 상기 목 받침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 본체 프레임과 체결되는 등받이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목 받침부에 대한 상기 머리 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머리 받침부의 머리 받침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목 받침부의 목 받침 연장블록 쪽으로 돌출된 안내 돌기와,
    상기 머리 받침 프레임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목 받침 연장블록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 돌기를 끼운 상태로 상기 안내 돌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홀과,
    상기 안내 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 홀로부터 상기 안내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와,
    상기 머리 받침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목 받침 연장블록 쪽으로 돌출된 탄성돌기와,
    상기 머리 받침 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탄성돌기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키도록 상기 목 받침 연장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걸림 홈들, 및
    상기 이탈 방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목 받침 연장블록에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머리 받침 프레임을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KR1020170054502A 2017-04-27 2017-04-27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KR10181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02A KR101818053B1 (ko) 2017-04-27 2017-04-27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02A KR101818053B1 (ko) 2017-04-27 2017-04-27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053B1 true KR101818053B1 (ko) 2018-01-12

Family

ID=6100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502A KR101818053B1 (ko) 2017-04-27 2017-04-27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86B1 (ko) 2021-12-17 2023-04-21 주식회사 린백 등받이 의자의 헤드레스트 조절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64B1 (ko) * 2015-01-21 2015-04-28 부호체어원(주) 의자용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64B1 (ko) * 2015-01-21 2015-04-28 부호체어원(주) 의자용 헤드레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86B1 (ko) 2021-12-17 2023-04-21 주식회사 린백 등받이 의자의 헤드레스트 조절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710B2 (en) Juvenile vehicle seat with movable headrest
US7246852B2 (en) Headrest actuator for juvenile vehicle seat
KR101608737B1 (ko) 요추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등받이유닛
NZ515699A (en) Modular armrest system with a back that can be used to assemble a stacker chair or a task chair
CA2600308A1 (en) Chair back
US10654539B2 (en) Child bike seat
KR101818053B1 (ko)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EP3469955A1 (en) Backrest, lumbar support, chair, attachment structure for optional member, optional member, and furniture
KR101818054B1 (ko) 의자의 등받이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JP6001144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およびそれを設けた椅子
KR101873721B1 (ko) 의자
JP2007125992A (ja) 自転車用幼児座席
KR101440118B1 (ko) 관절의자
KR100856576B1 (ko) 골반 보호용 의자
KR20080002786A (ko) 체결 브래킷
US20170280876A1 (en) Lumbar support adjuster
KR101578755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JP2008161443A (ja) 椅子における背板の取付装置
CA3012347A1 (en) Auxiliary backrest for a chair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US10376065B1 (en) Adjustable lifting structure for chair back
JP2013094288A (ja) 椅子
JP5882684B2 (ja) 椅子
KR200340427Y1 (ko)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