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164B1 - 의자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의자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164B1
KR101515164B1 KR1020150009649A KR20150009649A KR101515164B1 KR 101515164 B1 KR101515164 B1 KR 101515164B1 KR 1020150009649 A KR1020150009649 A KR 1020150009649A KR 20150009649 A KR20150009649 A KR 20150009649A KR 101515164 B1 KR101515164 B1 KR 101515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ember
support
present
head
suppo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102015000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의자의 등판 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결합되는 지지커버; 착석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연결되는 이너쉘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쉘은 착석자의 머리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쿠션부재의 후방 탄성 지지가 유도되도록 상기 쿠션부재의 좌우측 및 하부를 지지하고 상부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용 헤드레스트{HEAD REST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머리 상부 부위가 헤드레스트 쿠션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연하고 편안하게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착석자의 머리 부분을 후방에서 효과적으로 지지하되, 머리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의 후방 지지가 서로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머리의 뒤 젖힘 구조에 더욱 최적화될 수 있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용용도 또는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근래에는 한국특허등록공보 20-0436739호와 같이 착석자의 머리 부분을 받혀 주는 헤드레스트(Head rest)가 포함된 형태도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헤드레스트(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쿠션 부재(51) 및 이 쿠션 부재(51)를 후방에서 물리적으로 지지하며 의자의 등받이 등과 결합되는 포스트(52)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형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부재(51)가 결합된 포스트(52)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구조(53)가 채용되기도 한다.
한편, 착석자의 머리 부분이 뒤로 젖혀질 때의 신체 구조를 고려해 보면, 머리 아래 부분(경추와 연결된 부분)보다는 머리 윗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아래 부분의 물리적 이동은 고정되거나 어느 정도 제한됨에 반해 머리 윗부분이 후방으로 더 많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헤드레스트의 경우 쿠션 부재 전체가 하나의 포스트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와 같은 머리의 후방 젖힘에 따른 신체 구조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여 단순히 착석자 머리 후방 부분이 더 이상 밀리지 않는 방어벽 정도의 기능만을 하게 되므로 착석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 헤드레스트의 경우, 헤드레스트가 회전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이 어느 정도 보완될 수 있기는 하나, 이러한 종래 헤드레스트도 쿠션 부재(51) 전체가 하나의 포스트(52)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쿠션 부재의 후방 탄성력이 제한되어 안락감이 저감된다.
또한, 착석자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 헤드레스트가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헤드레스트의 아래 부분이 착석자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어 머리 아래 부분에 불필요한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도리어 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착석자의 머리 부분을 더욱 편안하고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의자의 등판 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결합되는 지지커버; 착석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연결되는 이너쉘을 포함하고, 상기 본 발명의 이너쉘은, 착석자의 머리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쿠션부재의 후방 탄성 지지가 유도되도록 상기 쿠션부재의 좌우측 및 하부를 지지하고 상부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커버는 상부가 전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이너쉘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지지커버의 절곡된 상부의 저면에 형성된 제2체결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쉘과 상기 지지커버를 매개하여 연결하는 브라켓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커버는 상기 지지포스트에 끼움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지지포스트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부가 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지지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상기 지지포스트의 가이드 홈부에 대접하여 상기 지지커버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머리 상부 부분은 쿠션 부재의 탄성력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고, 머리 하부 부분은 물리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경추 부분을 중심으로 착석자의 머리가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젖혀지도록 유도하고 그 상태를 지지할 수 있어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구성요소 간 상호 연결 등을 위한 체결 구조는 물론, 헤드레스트의 승강 구조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작동 메커니즘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의자용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분해 결합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브라켓, 지지커버 및 지지포스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헤드레스트가 승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헤드레스트(100) 전반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및 각 구성들 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용 헤드레스트(100)는 지지포스트(110), 이너쉘(120), 쿠션부재(130), 지지커버(140) 및 브라켓(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포스트(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등판 프레임(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포스트(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110)의 아래 부분에 형성된 체결홈(111)을 통하여 의자의 등판 프레임(200)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체결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지지커버(140)는 이 지지포스트(11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110)에 끼움결합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헤드레스트(100)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쿠션부재(130)는 착석자의 머리 부분이 대접하여 착석자의 머리 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신축성 내지 탄성력이 있는 부재라면 재질에 특별한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이너쉘(120)은 전방으로는 쿠션부재(130)가 결합되며, 후방으로는 상술된 지지커버(140)에 연결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너쉘(120)은 상기 쿠션부재(130)의 좌우측 측면과 하부를 물리적으로 지지하고 상부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공간(121)을 형성하도록 일종의 "U"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너쉘(120)의 이러한 형상적 특징에 의하여, 착석자의 머리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 쿠션부재(130)와 대접하는 머리 부분 내지 부위에 따라 차등적인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즉, 쿠션부재(130)의 좌우측과 아래 부분에 대해서는 후방에서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이너쉘(120)에 의하여 쿠션부재(130)가 가지는 자체 탄성력이 일부 제한된 범위에서만 제공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머리 아래 부분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범위도 제한되게 된다.
반면, 쿠션부재(130)의 가운데 상부 부분에는 이너쉘(120)에 의하여 후방에서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개방된 공간(1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석자 머리의 가압에 의하여 쿠션 부재의 후방 탄성 지지가 더욱 폭넓게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너쉘(120)의 구조를 통하여 머리 아래 부분은 후방 이동과 탄성 지지가 일정 정도 제한되고, 머리 가운데 내지 상부는 쿠션 부재의 자체 탄성력이 충분히 제공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쿠션 부재가 머리 상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착석자에게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너쉘(120)의 측면 또는 하부에 단턱 구조를 형성하고 쿠션부재(130) 또한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호 구성 간의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쿠션부재(130)가 이너쉘(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쿠션부재(130)가 이너쉘(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체를 덮는 직물재 등의 커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할 때, 본 발명은 브라켓(15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브라켓(150)은 이너쉘(120)과 지지커버(140)를 상호 매개하여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150)은 수평 방향 체결홀인 제1결합부(151)와 수직 방향 체결홀인 제2결합부(15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결합부(151)를 통하여 브라켓(150)의 전방에 위치한 이너쉘(120)의 제1체결홈(123)과 나사(155)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지지커버(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전방 즉, 착석자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 때, 상부 저면 부분에는 상술된 브라켓(150)이 안착되는 안착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홈(143)에 브라켓(150)이 장착된 후 지지커버(140)의 절곡된 상부의 저면에 형성된 제2체결홈(141)과 브라켓(150)의 수직 방향 체결홀인 제2결합부(153)가 나사 등의 체결 수단(155)에 의하여 아래에서 윗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쿠션부재(130)가 장착된 이너쉘(120)과 지지커버(140)가 결합된다. 쿠션부재(130)가 이너쉘(120)에 결합 내지 장착된 후 직물재 등의 커버 부재가 덮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커버 부재가 씌워진 상태에서 브라켓(150)이 이너쉘(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체결 구조 등이 모두 내측 또는 저면 등에 형성되므로 체결에 관한 부재 또는 구조가 전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본 발명의 지지커버(140)는 상기 지지포스트(110)에 끼움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포스트(110)가 지지커버(140)의 내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부(147)에 끼움결합되므로 지지커버(140)가 의자 등받이 등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포스트(11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지지커버(140)에 브라켓(150), 이너쉘(120) 및 쿠션부재(13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커버(140)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하여 쿠션부재(1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더욱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의 지지포스트(110)의 내면에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커버(140) 내면 부분에 형성된 통공(145)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포스트(110)의 가이드홈부(113)에 대접하여 상기 지지커버(140)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부재(160)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헤드레스트 110 : 지지포스트
120 : 이너쉘 121 : 개방 공간
123 : 제1체결홈 130 : 쿠션부재
140 : 지지커버 141 : 제2체결홈
143 : 안착홈 145 : 통공
147 : 슬라이딩 홈부
150 : 브라켓 151 : 제1결합부
153 : 제2결합부 155 : 체결수단
160 : 가이드부재

Claims (4)

  1. 의자의 등판 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결합되며 상부가 전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커버;
    착석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연결되고, 착석자의 머리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쿠션부재의 후방 탄성 지지가 유도되도록 상기 쿠션부재의 좌우측 및 하부를 지지하고 상부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이너쉘; 및
    상기 이너쉘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지지커버의 절곡된 상부의 저면에 형성된 제2체결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쉘과 상기 지지커버를 매개하여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는,
    상기 지지포스트에 끼움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는,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상기 지지포스트의 가이드 홈부에 대접하여 상기 지지커버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0150009649A 2015-01-21 2015-01-21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1515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49A KR101515164B1 (ko) 2015-01-21 2015-01-21 의자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49A KR101515164B1 (ko) 2015-01-21 2015-01-21 의자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164B1 true KR101515164B1 (ko) 2015-04-28

Family

ID=5305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649A KR101515164B1 (ko) 2015-01-21 2015-01-21 의자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755B1 (ko) * 2015-05-26 2015-12-2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818053B1 (ko) * 2017-04-27 2018-01-1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KR102445563B1 (ko) 2022-06-17 2022-09-21 주식회사 체어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352U (ko) * 1987-07-24 1989-01-31
JP2007135631A (ja) * 2005-11-14 2007-06-07 Okamura Corp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352U (ko) * 1987-07-24 1989-01-31
JP2007135631A (ja) * 2005-11-14 2007-06-07 Okamura Corp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755B1 (ko) * 2015-05-26 2015-12-2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818053B1 (ko) * 2017-04-27 2018-01-1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KR102445563B1 (ko) 2022-06-17 2022-09-21 주식회사 체어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0738B1 (en)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US7568765B2 (en) Chair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KR101515164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JP2014054578A (ja) ロッキング椅子
JP2008259811A (ja) 背凭れ部に形状記憶スポンジが設けられた椅子
KR101885598B1 (ko) 착석자의 하부 지지력이 조절되는 메쉬 의자용 좌판
GB2380401B (en) Infant retention member for a stroller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US2981314A (en) Car seatings and cars provided with such seatings
KR101300678B1 (ko) 의자용 슬라이드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JP2006280417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CN102126453A (zh) 具有可前后高低移动腰枕的椅背
KR20200054591A (ko) 좌판 익스텐드 기능을 가진 소파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JP2000287783A (ja) 椅 子
KR101263344B1 (ko) 책상용 쿠션
KR101447702B1 (ko) 안락의자
JP7172378B2 (ja) 椅子
JP4018329B2 (ja) 椅子
JP2002119348A (ja) 椅 子
KR102057254B1 (ko) 팔걸이 의자 어셈블리
KR20160067494A (ko) 의자의 등받이 구조
KR200428716Y1 (ko) 기능성 쇼파
JP2015157224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