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755B1 - 의자용 머리받침대 - Google Patents

의자용 머리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755B1
KR101578755B1 KR1020150072871A KR20150072871A KR101578755B1 KR 101578755 B1 KR101578755 B1 KR 101578755B1 KR 1020150072871 A KR1020150072871 A KR 1020150072871A KR 20150072871 A KR20150072871 A KR 20150072871A KR 101578755 B1 KR101578755 B1 KR 10157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ixing
backrest
fram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15007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머리받침, 상기 머리받침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등받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고정부에는 각각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 상하단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머리받침대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의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등받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의자용 머리받침대{HEADREST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다리 및 등받이를 포함하고, 등받이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목과 어깨, 머리 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머리받침대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등 다수에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여 출원해서 등록받은 바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머리받침대의 샤프트에 설치된 고정캡을 등받이의 프레임에 나사 결합하고, 고정캡을 풀어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조여서 고정함으로써,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머리받침대와 등받이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수용기대와 수용기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대로 구성하고, 수용기대에 스토퍼를 힌지 결합하여 승강대를 고정하거나 해제해서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좌석부의 후방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프레임에 쿠션부와 장착판으로 구성된 등받침과 머리받침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해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등받침과 머리받침의 높이를 조절하는 의자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7440호(2005년 3월 10일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1273호(2005년 11월 15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34166호(2007년 7월 2일 공고)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 수 증가로 인해 제품 가격이 상승하며,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해서 의자의 등받이 프레임에 고정됨에 따라, 머리받침대를 탈착하는 경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공 등이 외부로 드러남에 따라, 미관을 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 환경에 따라 의자의 등받이에 착탈 가능한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착탈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는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머리받침, 상기 머리받침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등받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고정부에는 각각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 상하단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받침은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위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머리받침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하단에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와 고정부의 접촉면은 각각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고정부는 각각 하방에서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체결공과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의 하단면에는 돌기삽입홈과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단면에는 상기 돌기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와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상기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은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리브 및 상기 바디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중앙부에는 상기 머리받침대를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하도록 위치조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의하면, 머리받침대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의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등받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받침대를 등받이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위치조절리브와 위치조절홈을 일치시켜 머리받침대를 등받이 상단 중앙부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받침대를 등받이의 프레임에 임시 고정한 상태에서 조립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와 고정부의 접촉면을 각각 일정 면적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연장부에 지지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와 목 부분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고정부와 연결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와 등받이 상단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머리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좌석부를 중심으로 등받이와 머리받침대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자의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의자의 전방이라 한다.
이에 따라, 머리받침대에서 사용자의 목 및 머리 부위가 접촉되는 면을 머리받침대의 전면이라 하고, 그 반대측 면을 머리받침대의 후면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구비한 의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11), 좌석부(11)의 하부에 마련되는 다리부(12), 좌석부(11)의 후측 상부에 배치되는 등받이(13) 및 등받이(13)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받침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석부(11) 또는 등받이(13)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팔을 받칠 수 있도록 한 쌍의 팔걸이(15)가 장착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와 등받이 상단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머리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머리받침(20), 머리받침(20)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부(30) 및 연결부(30)의 하부에 결합되고 등받이(13)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40)를 포함한다.
머리받침(20)은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위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21) 및 받침대(21)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21)는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위 형상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갖는 판을 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21)는 양측단부에 비해 중앙부가 후방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재(22)는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천이나 가죽 등의 재료로 제조되고, 탄성을 갖는 쿠션이나 완충패드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받침대(21)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31)와 결합 플레이트(31)의 하단에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31)의 전면에는 받침대(2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21)의 후면에는 각 걸림돌기(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턱이 결합되는 결합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2)는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32)의 하단면은 고정부(40)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대략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2)의 하단면에는 고정부(40)의 하부를 관통해서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34)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34)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인서트 너트(3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32)의 하단면에는 고정부(40)와 조립 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고정부(4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4)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연장부(32)의 하단면 가장자리에는 고정부(4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리브(37)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리브(37)의 내면은 고정부의 상단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2)의 하단부 전면에는 등받이(13)를 구성하는 프레임(16) 상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38)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등받이(13)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를 프레임(16)이라 약칭한다.
한편, 등받이(13)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6)과 프레임(16)의 전면에 설치되는 메시 또는 등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긴 대략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17), 바디(17)의 중앙부에 전방과 상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1 리브(18) 및 바디(17)의 하단에 전방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 리브(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18)는 등받이(13)에 마련되는 메시나 등판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제2 리브(19)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부(4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삽입홈(45)에 삽입되어 고정부(4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제1 삽입홈(38)의 전면부는 프레임(16)의 바디(17)와 제1 리브(18)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홈(39)의 전면부에는 연장부(32)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지리브(39)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의 연장부(32)와 결합되어 등받이(13)의 프레임(16)에 고정되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40)는 상면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41) 및 본체(41)의 하단부에 전면과 상면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고 프레임(16)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리브(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1)에는 고정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43)이 형성되고, 본체(41)의 상면에는 연장부(32) 하단면에 형성된 돌기삽입홈(36)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41)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은 연장부(32)의 경사리브(37)에 대응되도록 외측 하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리브(42)의 상부에는 프레임(16)의 제1 리브(19)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4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삽입홈(45)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위치조절리브(4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6)의 하단 중앙부에는 위치조절리브(46)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조절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머리받침대를 등받이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위치조절리브와 위치조절홈을 일치시켜 머리받침대를 등받이 상단 중앙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받이의 프레임 하단에 고정부의 폭에 대응되는 위치조절홈을 형성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조립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머리받침(20)의 받침대(21) 전면에 패드부재(22)를 설치하고, 받침대(21) 후면에 연결부(30)의 결합 플레이트(31)를 결합한다.
이때, 결합 플레이트(31)의 전면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33)는 받침대(21) 후면에 형성된 각 결합홈(23)에 삽입되고, 각 걸림돌기(33)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결합홈(23)의 내측단에 걸려 고정된다.
이에 따라, 머리받침(20)과 연결부(3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13)의 프레임(16) 하단에 고정부(40)를 배치한다.
이때, 프레임(16)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리브(19)는 고정부(40)의 고정리브(42)에 형성된 제2 삽입홈(45)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40)는 제2 삽입홈(45)에 형성되는 위치조절리브(46)가 프레임(13)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위치조절홈(161)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의 위치조절리브와 프레임의 위치조절홈을 이용해서 머리받침대를 등받이의 상단 중앙부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프레임(16) 상단에 머리받침(20)과 조립된 연결부(30)의 하단, 즉 연장부(32)의 하단면을 고정부(40)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프레임(16)의 바디(17) 상단부는 연장부(32)의 전면에 형성된 제1 삽입홈(38)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40)의 본체(41)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4)는 연장부(32)의 하단면에 형성된 돌기삽입홈(36)에 삽입된다.
또한, 본체(41)의 상부 일부는 연장부(32)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경사리브(37)를 통해 연장부(32)의 하부로 삽입된다.
그래서 고정부(40)와 연결부(30)는 프레임(16)에 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고정부(40)와 연결부(30)가 임시 고정됨에 따라, 작업자는 고정부(40)와 연결부(30)를 손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손으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볼트를 체결해서 고정부(40)와 연결부(3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정부와 연결부의 임시 고정상태에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머리받침대(14)의 조립이 완료되면, 머리받침대(14)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2)와 고정부(40)의 접촉면이 각각 일정 면적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장부(32)의 전면에 지지리브(39)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머리와 목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고정부(40)와 연결부(30)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와 고정부(40)는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 환경에 따라 머리받침대(14)를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고정볼트의 체결을 해제해서 고정부(40)와 연결부(30)를 분리함으로써, 의자(10)의 등받이(13)에서 머리받침대(14)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머리받침대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의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등받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머리받침대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의자용 머리받침대 기술에 적용된다.
10: 의자 11: 좌석부
12: 다리부 13: 등받이
14: 머리받침대 15: 팔걸이
16: 프레임 17: 바디
18: 제1 리브 19: 제2 리브
20: 머리받침 21: 받침대
22: 패드부재 23: 결합홈
30: 연결부 31: 결합 플레이트
32: 연장부 33: 걸림돌기
34: 체결공 35: 인서트 너트
36: 돌기삽입홈 37: 경사리브
38: 제1 삽입홈 39: 지지리브
40: 고정부 41: 본체
42: 고정리브 43: 관통공
44: 고정돌기 45: 제2 삽입홈
46: 위치조절리브

Claims (6)

  1.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머리받침,
    상기 머리받침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등받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고정부에는 각각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 상하단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은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리브 및
    상기 바디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중앙부에는 상기 머리받침을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하도록 상기 제2 삽입홈의 중앙부에 형성된 위치조절리브에 대응되는 위치조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은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위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머리받침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하단에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와 고정부의 접촉면은 각각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고정부는 각각 하방에서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체결공과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하단면에는 돌기삽입홈과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단면에는 상기 돌기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와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등받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상기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6. 삭제
KR1020150072871A 2015-05-26 2015-05-26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57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871A KR101578755B1 (ko) 2015-05-26 2015-05-26 의자용 머리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871A KR101578755B1 (ko) 2015-05-26 2015-05-26 의자용 머리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755B1 true KR101578755B1 (ko) 2015-12-21

Family

ID=5508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871A KR101578755B1 (ko) 2015-05-26 2015-05-26 의자용 머리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513A (ko) * 2017-11-20 2019-05-29 (주) 파트라 착탈식 헤드레스트
CN112848995A (zh) * 2021-01-27 2021-05-28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颈枕快拆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40Y1 (ko) 2004-11-25 2005-03-10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0401273Y1 (ko) 2005-08-19 2005-11-15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0734166B1 (ko) 2006-10-31 2007-07-02 주식회사 다원산업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JP5309348B2 (ja) * 2008-09-12 2013-10-09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KR101468704B1 (ko) * 2014-04-17 2014-12-05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515164B1 (ko) * 2015-01-21 2015-04-28 부호체어원(주) 의자용 헤드레스트
JP2015093085A (ja) * 2013-11-12 2015-05-18 コクヨ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椅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40Y1 (ko) 2004-11-25 2005-03-10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0401273Y1 (ko) 2005-08-19 2005-11-15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0734166B1 (ko) 2006-10-31 2007-07-02 주식회사 다원산업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JP5309348B2 (ja) * 2008-09-12 2013-10-09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JP2015093085A (ja) * 2013-11-12 2015-05-18 コクヨ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椅子
KR101468704B1 (ko) * 2014-04-17 2014-12-05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515164B1 (ko) * 2015-01-21 2015-04-28 부호체어원(주) 의자용 헤드레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513A (ko) * 2017-11-20 2019-05-29 (주) 파트라 착탈식 헤드레스트
KR102019088B1 (ko) * 2017-11-20 2019-09-06 (주) 파트라 착탈식 헤드레스트
CN112848995A (zh) * 2021-01-27 2021-05-28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颈枕快拆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2985A (ko) 의자용 씌우개의 인장 설치 구조
KR20180031988A (ko) 관절타입의 등받이를 갖는 관절의자
KR101578755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232825B1 (ko) 의자
JP552457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6001144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およびそれを設けた椅子
JP2010158270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JP2008104543A (ja) 肘掛け装置付き椅子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WO2017141476A1 (ja) シート構造
JP2007319288A (ja) 椅子
JP6355883B2 (ja) 椅子
JP6162376B2 (ja) 椅子
JP2011161049A (ja) 椅子用張材の張設構造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541160B1 (ko) 의자용 등받이
JP5823820B2 (ja) 椅子
JP6343801B2 (ja) 椅子の面材取付構造、椅子の身体支持部材及び椅子
KR101818053B1 (ko) 헤드레스트의 조립성이 개선된 의자
JP5981148B2 (ja) 椅子の背凭れへの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
JP6155007B2 (ja) 連結構造及び什器
JP6952571B2 (ja) 椅子の背凭れ取付構造
KR101511492B1 (ko) 관절의자
WO2012153408A1 (ja) 椅子の背凭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