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338B1 -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338B1
KR102525338B1 KR1020210041988A KR20210041988A KR102525338B1 KR 102525338 B1 KR102525338 B1 KR 102525338B1 KR 1020210041988 A KR1020210041988 A KR 1020210041988A KR 20210041988 A KR20210041988 A KR 20210041988A KR 102525338 B1 KR102525338 B1 KR 10252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eg
desk
chai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814A (ko
Inventor
김두철
Original Assignee
김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철 filed Critical 김두철
Priority to KR102021004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3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다리에 고정되는 받침부재에 걸림부와 이탈부를 갖는 버튼이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버튼을 누르지 않고 책걸상을 들어올리면 상기 이탈부가 상부다리의 조절구멍에서 벗어나게 되고 또한 반대로 버튼을 누르면 걸림부가 조절구멍에서 벗어나 책걸상을 낮출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걸상을 높게 조절할 때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다리가 내부로 끼워져 승강되는 하부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다리의 상단에는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다리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조절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상부다리 외주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조절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조절구멍이 타고넘는 이탈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책걸상이 위쪽으로 들리는 동안 상기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조절구멍이 상기 이탈부를 타고 넘으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Height adjustable legs of desk and chair}
본 발명은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다리에 고정되는 받침부재에 걸림부와 이탈부를 갖는 버튼이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버튼을 누르지 않고 책걸상을 들어올리면 상기 이탈부가 상부다리의 조절구멍에서 벗어나게 되고 또한 반대로 버튼을 누르면 걸림부가 조절구멍에서 벗어나 책걸상을 낮출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걸상을 높게 조절할 때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상판과 측판이 고정되기 때문에 앉은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된다. 예컨데 학교 책상은 학생들의 키가 전부 다르기 때문에 고정된 책상을 사용하게 되면 키큰 학생과 작은 학생의 경우 표준키에 비하여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 실용등록 제336861호에는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책상의 측판 역할을 하는 한쌍의 지주를 이중관으로 제작하여 안테나식으로 출입되도록 함으로써, 책상 상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지주를 이중관으로 만들다 보니 재료비가 증가되고 또한 이중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단의 홈과 볼트 및 너트를 구비해야 되므로 조립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종래 실용등록 제221850호는 책상 측판의 하단에 마련되는 다리에 높이조절볼트를 받침으로 사용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이조절볼트는 볼트의 높이에 한계가 있는 것이므로 책상의 높이조절량이 작아 학교의 책상에는 적합하지 않는 등의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종래 특허 제1862656호는 책상 또는 걸상의 다리를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로 분리구성하고 상부다리에는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고정핀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책걸상 높낮이조절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특허의 경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고정핀을 상부다리에서 분리시켜야 되므로 높낮이 조절이 원터치 식으로 이뤄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분리된 고정핀을 분실할 경우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상 매우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핀이 다리의 한쪽만 체결되므로 체결력이 약하고 반대쪽의 헐거움으로 인하여 상하부다리의 유격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를 감안하여 특허 제2088223호로 책걸상 높이조절장치를 등록한 바 있다. 이는 상부다리가 하부다리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계적으로 조절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다리에 구비되는 고리형의 슬리브가 좌우측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슬리브의 핀이 다리의 높이조절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높낮이가 조절되고, 높이조절 후 슬리브는 덮개에 씌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특허는 상기 덮개를 강제로 끼워 고정하는 방식이다 보니 힘이 약한 학생들은 덮개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헐겁게 덮개가 끼워져 있을 경우 쉽게 빠져서 슬리브가 노출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다리에 고정되는 받침부재에 걸림부와 이탈부를 갖는 버튼이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버튼을 누르지 않고 책걸상을 들어올리면 상기 이탈부가 상부다리의 조절구멍에서 벗어나게 되고 또한 반대로 버튼을 누르면 걸림부가 조절구멍에서 벗어나 책걸상을 낮출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걸상을 높게 조절할 때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다리가 내부로 끼워져 승강되는 하부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다리의 상단에는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다리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조절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상부다리 외주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조절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조절구멍이 타고넘는 이탈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책걸상이 위쪽으로 들리는 동안 상기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조절구멍이 상기 이탈부를 타고 넘으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다리 상단에 고정되는 받침부재에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버튼이 핀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버튼은 상부다리의 측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꺾인 걸림부와 걸림부와 연이어서 하향으로 경사진 이탈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다리가 받침부재를 통하여 하부다리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다리 측면에 다단으로 천공된 어느 한 조절구멍이 버튼의 걸림부에 걸리면 상부다리가 받침부재를 통하여 하부다리에 고정된 상태로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책걸상을 낮게 조절할 때에는 상기 버튼을 눌러서 걸림부가 조절구멍에서 벗어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그리고 책걸상을 높게 조절할 때에는 상부다리의 조절구멍이 버튼의 이탈부를 타고 넘으면서 상승되므로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한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립상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절장치는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다리(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다리(10)가 내부로 끼워져 승강되고 하단에는 상기 책상 또는 걸상을 지탱하는 "T"자형 구조물이 결합되는 하부다리(11)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다리(10) 및 하부다리(11)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중공상 파이프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다리(11)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다리(10)를 승강 안내하는 받침부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부재(20) 내부는 상기 상부다리(10)의 외주면과 근접되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다리(11)의 내부로 끼워지는 내측부(22)와 하부다리(11)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부(21) 사이에 상기 하부다리(11)의 상부 내외측면이 끼워지는 틈새부(23)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20)의 한쪽 외측부(21)는 버튼(30)이 끼워져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튼자리(24)로 구성되는데, 상기 버튼(30)은 상기 받침부재(20)측면을 관통하는 핀(33)에 핀구멍(35)이 끼워진 상태에서 시소처럼 움직이게 구비되고, 스프링(34)을 통하여 버튼(30) 하단은 들린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버튼(30)은 상부다리(10)의 측면에 다단으로 천공된 직사각형의 조절구멍(12)에 순차적으로 걸리는 걸림부(31)와 조절구멍(12)에서 순차적으로 벗어나는 이탈부(32)를 갖는다. 상기 걸림부(31)는 상기 조절구멍(12)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부(32)는 상기 걸림부(31)와 연이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서 상기 조절구멍(12)이 상기 이탈부(32)를 타고 넘는다.
상기 받침부재(20)의 버튼자리(24)에는 상기 걸림부(31) 및 이탈부(32)가 상기 상부다리(10)로 노출되게 관통부(25)가 천공되고, 상기 관통부(25) 아래쪽에는 상기 하부다리(11)의 나사체결구멍(11a)에 나사못이 체결되게 나사구멍(27)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20)가 틈새부(23)를 통하여 상기 하부다리(11)에 끼워지면 나사못이 나사구멍(27)을 관통하여 나사체결구멍(11a)에 체결되고 이때 받침부재(20)가 하부다리(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25) 아래쪽에는 상기 나사구멍(27)과 나란하게 상기 스프링(34)이 관통되는 스프링구멍(26)이 형성되어서 스프링(34) 하단이 상기 하부다리(11) 측면의 스프링받이(11b)에 고정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절장치는 받침부재(20)가 하부다리(11)에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버튼(30)이 스프링(34)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하부다리(11)에 끼워진 상부다리(10)의 각 조절구멍(12)이 버튼(30)의 걸림부(31)에 걸린 상태로 책걸상의 높이가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높이조절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쪽 하부다리(11)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사람이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책걸상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면 상부다리(10)의 조절구멍(12)이 경사진 이탈부(32)를 타고 넘으면서 버튼(30)에서 벗어난다. 이때 스프링(34)이 압축되면서 버튼(30)은 탄성적으로 움직이고 걸림부(31)는 조절구멍(12)에서 벗어나 다른 조절구멍(12)으로 들어가는 과정이 반복된다. 즉 상부다리(10)가 위쪽으로 당겨지는 동안 버튼(30)의 걸림부(31)는 상부다리(10)의 외주면과 조절구멍(12)에 번갈아 놓이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버튼(30)은 스프링(34)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걸림부(31)가 상부다리(10) 외주면에서 조절구멍(12)으로 빠져 들어갈 때 "탁" 하는 소리가 나므로 원하는 높이에 있는 조절구멍(12)에 버튼(30)의 걸림부(31)가 들어가면 책걸상을 놓는다. 이때 걸림부(31)에 조절구멍(12)이 걸리면서 책걸상이 하강되지 않고 정지되므로 책걸상의 높이가 위쪽으로 조절된다.
반대로 책걸상 높이를 낮게 조절할 때는 상기 버튼(30)을 눌러준다. 이러면 걸림부(31)가 조절구멍(12)에서 벗어나므로 책걸상을 눌러서 상부다리(10)가 하부다리(11) 내부로 들어가면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높이에서 버튼(30)을 놓고 책걸상을 계속 눌러주는 과정에서 어느 한 조절구멍(12)에 버튼(30)의 걸림부(31)가 걸린 상태로 책걸상 높이가 낮게 조절된다.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써, 상부다리(10)에 조절구멍(12)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받침부재(20)에 회동식으로 구비되는 버튼(30)에는 걸림부(31)가 원통형으로 구비된 점을 제외하곤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10 : 상부다리 11 : 하부다리
12 : 조절구멍 20 : 받침부재
21 : 외측부 22 : 내측부
23 : 틈새부 24 : 버튼자리
25 : 관통부 30 : 버튼
31 : 걸림부 32 : 이탈부
33 : 핀 34 : 스프링

Claims (2)

  1.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다리가 내부로 끼워지는 하부다리는 상단에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다리를 승강 안내하며,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상부다리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조절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버튼이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버튼은 상기 조절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조절구멍이 타고넘는 이탈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책상 또는 걸상이 위쪽으로 들리는 동안 상기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조절구멍이 상기 이탈부를 타고 넘으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하부다리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상부다리를 승강 안내하는 내측부 및 상기 하부다리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부는 상기 버튼이 놓이는 버튼자리가 구비되며, 상기 버튼자리는 상기 걸림부 및 이탈부가 상기 조절구멍으로 끼워지게 하는 관통부가 천공되고, 상기 관통부 아래쪽에는 상기 하부다리의 나사체결구멍에 나사못이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하부다리에 고정시키는 나사구멍이 천공되며;
    상기 관통부 아래쪽에는 상기 나사구멍과 나란하게 상기 스프링이 관통되는 스프링구멍이 형성되어서 상기 스프링 하단이 상기 하부다리 측면의 스프링받이에 고정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외측부 측면을 관통하는 핀에 끼워져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받으며 시소처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2. 삭제
KR1020210041988A 2021-03-31 2021-03-31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52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988A KR102525338B1 (ko) 2021-03-31 2021-03-31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988A KR102525338B1 (ko) 2021-03-31 2021-03-31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814A KR20220135814A (ko) 2022-10-07
KR102525338B1 true KR102525338B1 (ko) 2023-04-24

Family

ID=8359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988A KR102525338B1 (ko) 2021-03-31 2021-03-31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3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34B1 (ko) * 2017-07-10 2019-01-30 주식회사 플라팜 책상용 다리 장치
KR102108160B1 (ko) * 2020-02-04 2020-05-08 주식회사 이노프 편심 회전에 의한 잠금 여부가 결정되는 높이 조절형 책걸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34B1 (ko) * 2017-07-10 2019-01-30 주식회사 플라팜 책상용 다리 장치
KR102108160B1 (ko) * 2020-02-04 2020-05-08 주식회사 이노프 편심 회전에 의한 잠금 여부가 결정되는 높이 조절형 책걸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814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8234A (en) Footrest mounting
KR102525338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1941887B1 (ko) 상하 슬라이드 운용 제어를 기반으로 한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CN110840086A (zh) 学生课桌椅的按压杠杆式升降调节机构
CN211323648U (zh) 学生课桌椅的按压杠杆式升降调节机构
US6435112B1 (en) Height adjustable table
KR102088223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JP4335282B2 (ja) 高低調節可能なテーブル
KR200485649Y1 (ko) 평상 겸용 테이블
CN210276524U (zh) 一种座椅锁定控制机构、座椅锁定控制装置及座椅
KR102330492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184575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200442728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구
KR102168374B1 (ko) 핀구조를 통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 프레임
KR2004182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60064519A (ko) 책걸상 높이 조절장치의 높이조절 버튼
CN108497698B (zh) 一种升降桌
KR102637329B1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KR102521166B1 (ko) 책상 및 의자 다리용 높이 조절장치
EP3459390B1 (en) Height adjustable furniture
CN217792336U (zh) 一种可升降调节机构
CN210248926U (zh) 一种双支腿同步升降机构
CN215686093U (zh) 一种新型圆凳
KR102342067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CN218528081U (zh) 一种课桌用倾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