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084Y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084Y1
KR200436084Y1 KR2020070001107U KR20070001107U KR200436084Y1 KR 200436084 Y1 KR200436084 Y1 KR 200436084Y1 KR 2020070001107 U KR2020070001107 U KR 2020070001107U KR 20070001107 U KR20070001107 U KR 20070001107U KR 200436084 Y1 KR200436084 Y1 KR 200436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ear
connection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운기
Original Assignee
민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운기 filed Critical 민운기
Priority to KR2020070001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084Y1/ko
Priority to PCT/KR2007/005248 priority patent/WO200809105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한 조작에 의해 파이프를 접속할 수 있고, 서로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파이프를 접속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구는 서로 연결되는 양쪽 파이프의 단부를 접속, 고정시키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양쪽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외주면상에 천공된 조작홀측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전,후방 외부연결부재;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환봉 형상의 몸체 내부에 파이프의 내부홀과 연통되는 유동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기어설치홈이 요입된 내부연결부재;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기어설치홈에 설치되는 입력측 기어와, 상기 입력측 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부재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력측 기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기어부; 상기 고정기어부의 회동시에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도록 내부연결부재의 양측에 구성되는 전,후방 외부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기어부의 회동시에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내부연결부재의 양측에 구성되는 전,후방 내부고정수단을 포함한다.
파이프 연결구, 베벨기어, 외부연결부재, 내부연결부재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PIPE COUPLING DEVICE}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절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일측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전,후방 외부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내부외부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고정기어부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3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적용되는 전,후방 외부고정수단의 가압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e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적용되는 전,후방 내부고정수단의 내부가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방 외부연결부재 10': 후방 외부연결부재
12: 작동홀 14: 간섭방지홈
20: 내부연결부재 30,30': 고정기어부
31: 입력측 기어 32: 출력측 기어
40: 전방 외부고정수단 40': 후방 외부고정수단
42: 외부가압부재 44: 가압링
50: 전방 내부고정수단 50': 후방 내부고정수단
52: 내부가압부재 54: 밀착부재
54a: 와셔 54b: 오링
56: 고정너트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파이프를 서로 접속시켜 파이프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 서로 연결되는 양쪽 파이프의 단부를 접속, 고정시키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설비, 프랜트 설비 등과 같은 각종 설비에는 용수, 연료, 원료 등의 다양한 유체가 유동되는 파이프 라인이 구성된다.
파이프 라인은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를 설치 개소의 구조나 용도에 따라 정해진 경로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서로 연결되는 파이프의 양단부는 주로 용접 결합방식, 스크류 체결방식, 프랜지 이음방식 등에 의해 연결작업이 수행된다.
용접 결합방식은 파이프의 연결작업시에 주로 이용되는 방식이지만 용접작업을 위한 별도의 장비와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고 용접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나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높으며, 특히 가연성 물질이 잔존하는 장소에서는 위험성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크류 체결방식은 서로 접속되는 파이프의 양쪽 단부에 스크류 성형기에 의해 스크류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스크류상에 별도의 연결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크류 체결방식은 접속되는 파이프의 단부에 스크류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조립시간이 증가되고 파이프의 절삭시에 파이프 강성의 약화가 초래될 뿐만 아니라 대구경의 파이프에는 쉽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랜지 이음방식은 서로 접속되는 파이프의 단부에 프랜지를 조립한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하게 되므로 파이프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킬 필요없이 비교적 대구경 파이프의 연결시에 널리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프랜지를 파이프에 조립하는 과정이 용접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용접작업에 따른 기존의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파이프의 연결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 연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제안되는 파이프 연결구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연결되는 파이프의 양단부에 스크류, 홈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구조를 마련하여야 하므로 파이프의 접속측 단부가 손상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파이프의 접속측 단부에 손상없이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37074호의 "파이프 연결구조"가 제시되어 기밀패드(38,39) 및 체결소켓(40,41)에 의해 파이프에 나사를 형성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밀패드 및 체결소켓은 파이프의 외주면에만 밀착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고정력이 취약하여 파이프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와 연결방식은 체결소켓을 체결방식에 의해 조립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의 원형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한 조작에 의해 파이프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로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파이프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구는 서로 연결되는 양쪽 파이프의 단부를 접속, 고정시키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양쪽 파이프 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외주면상에 천공된 조작홀측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전,후방 외부연결부재;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환봉 형상의 몸체 내부에 파이프의 내부홀과 연통되는 유동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기어설치홈이 요입된 내부연결부재;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기어설치홈에 설치되는 입력측 기어와, 상기 입력측 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부재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력측 기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기어부; 상기 고정기어부의 회동시에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도록 내부연결부재의 양측에 구성되는 전,후방 외부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기어부의 회동시에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내부연결부재의 양측에 구성되는 전,후방 내부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외부고정수단은 상기 출력측 기어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외주부에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의 내주면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전후 이동되는 외부가압부재; 상기 외부가압부재의 전진 이동시에 가압력이 외주면에 작용되어 수축되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고, 후진 이동으로 가압력이 해제되면 팽창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압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링은 절개부를 갖는 원형 몸체의 내주면상에 파이프의 외주면상에 밀착되도록 복수 개의 가압돌부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내부고정수단은 상기 출력측 기어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원통형 몸체의 내주면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가 상기 내부연결부재에 체결 또는 풀림되면서 전후 이동되는 내부가압부재; 상기 내부가압부재의 전진 이동시에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상으로 팽창되어 밀착되도록 내부연결부재의 외측에 구성되는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가 내부연결부재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양단 체결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외측 외주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와셔; 상기 와셔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기어부는 단일의 출력측 기어에 복수의 입력측 기어가 치합되는 베벨기어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측 기어는 원추형 기어몸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기어몸체의 저면에 상기 조작홀측으로 형성되는 조작용 공구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측 기어는 중심홀의 내주면상에 상기 내부고정수단측이 접속, 고정되도록 일정 각도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내부 걸림턱과 상기 외부고정수단측이 접속, 고정되도록 일정 각도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외부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용 공구결합부는 기어몸체의 저면에 요입되는 끼움홈상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의 조작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타단에 공구삽입홈이 요입된 공구접속부재가 구성되거나, 상기 기어몸체의 저면에 공 구삽입홈을 갖는 공구접속부가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는 그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입력측 기어의 회동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작홀측 내주면상에 일정 넓이로 요입 형성되는 간섭방지홈과; 상기 간섭방지홈의 타측에 해당되는 파이프의 삽입측에 상기 전,후방 외부고정수단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는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절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일측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서로 연결되는 양쪽 파이프(a,b)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와,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연결부재(20)와, 상기 내부연결부재(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기어부(30,30')와,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양측에 구성되는 전,후방 외부고정수단(40,40') 및, 전,후방 내부고정수단(50,50')이 구비된다.
도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전,후방 외부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는 도2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 일측에 접속되는 파이프(a,b)의 단부에 삽입되고 이 원통형 몸체(11)의 타측 외주면상으로 조작홀(12)이 천공된 것으로 조작홀(12)측이 서로 마 주보게 일자형 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원통형 몸체(11)의 조작홀(12) 형성부측에 해당되는 내주면상에는 후술되는 입력측 기어(31)의 회동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 넓이로 간섭방지홈(14)이 요입 형성된다.
또한, 원통형 몸체(11)의 타측에는 내부에 설치되는 전,후방 외부고정수단(40,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경이 축소된 형태의 단턱부(16)가 형성되며, 단턱부(16)와 접한 내주면상에는 일정한 길이 범위로 체결부(15)가 형성된다.
도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내부외부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내부연결부재(20)는 도2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형성된 대경부(21a)의 양측으로 소경부(21b)가 형성된 환봉 형상의 몸체(21)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접속되는 파이프(10,10')의 내부홀과 연통되는 유동공(22)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연결부재(20)는 대경부(21a)와 접한 소경부(21b)측에 후술되는 내부가압부재(52)가 체결되는 체결부(23)가 형성되고, 소경부(21b)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고정너트(56)가 체결되는 체결부(25)가 형성되는 한편, 외부연결부재(10,10')의 조작홀(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대경부(21a) 양측에 각각 기어설치홈(24)이 요입 형성된다.
또한, 기어설치홈(24)은 베벨기어로 구성된 입력측 기어(31)가 용이하게 수용되어 회전되도록 하협상광 구조의 원추형 홈으로 형성되되 외측으로 입력측 기 어(31)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출력측 기어(32)와 치산이 서로 맞물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기어설치홈(24)의 저면상에 입력측 기어(31)의 단부에 돌출되는 지지돌기(31e)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홈(24a)이 요입 형성된다.
도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고정기어부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고정기어부(30,30')는 도1 및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되는 양쪽 파이프의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내부연결부재(20)의 기어설치홈(24)에 설치되는 입력측 기어(31)와, 입력측 기어(31)와 치합되도록 내부연결부재(20)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력측 기어(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기어부(30,30')는 바람직하게 단일의 출력측 기어(32)에 복수의 입력측 기어(31)가 구비되는 베벨기어 유닛으로 구성된다.
또한 입력측 기어(31)는 원추형 기어몸체(31a)의 상면에 내부연결부재(20)의 기어설치홈(24)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돌기(31e)가 돌출되고, 기어몸체의 하면에는 조작홀(12)과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조작용 공구결합부(31b)가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용 공구결합부(31b)는 기어몸체(31a)의 하면에 요입되는 끼움홈(31c)상에 일단이 삽입되고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의 조작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타단에 공구삽입홈이 요입된 공구접속부재(31d)가 결합되게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어몸체(31a)의 하단에 공구삽입홈을 갖는 공구접속부가 일체로 돌출되어 조작홀(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공구접속부재(31d)는 육각렌치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이 형성된 육각봉 형태의 부재로 구성되고, 끼움홈(31c)은 공구접속부재(31d)가 삽입되도록 육각홈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및 반구형 등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측 기어(32)는 내부고정수단(50,50')측이 접속, 고정되도록 일정 각도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내부 걸림턱(32b)과, 외부고정수단(40,40')측이 접속,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각도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외부 걸림턱(32c)이 구성되는데, 내부 걸림턱(32b)은 출력측 기어(32)의 중심홀 내주면상에 형성되고, 외부 걸림턱(32c)은 출력측 기어(3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스의 외주면상에 형성된다.
도3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적용되는 전,후방 외부고정수단의 가압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후방 외부고정수단(40,4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어부(30)의 회동시에 외측으로 이동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도록 내부연결부재(20)의 양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외부가압부재(42)와 가압링(44)이 구비된다.
그리고 외부가압부재(42)는 출력측 기어(32)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링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부에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의 체결부(15)에 체결되는 나사부(42a)가 형성되어 출력축 기어(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체결 또는 풀림되면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링 형상을 갖는 몸체의 내주면상에는 출력측 기어(32)의 외부 걸림턱(32c)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접속홈(42b)이 일정한 각도로 요입 형성된다.
한편 가압링(44)은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의 내측에 해당되는 내부연결부재(20)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부가압부재(42)의 전진 이동시에 가압력이 외주면에 작용되어 내측으로 수축되면서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며, 외부가압부재(42)의 후진 이동으로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 팽창되어 복귀되면서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압링(44)은 절개부를 갖는 원형 몸체의 내주면상에 파이프의 외주면상에 밀착되도록 복수 개의 가압돌부(44a)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가압돌부(44a)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되면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도3e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적용되는 전,후방 내부고정수단의 내부가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전,후방 내부고정수단(50,5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되는 조작력에 의해 고정기어부(30,30')가 회동되면 외측으로 이동되어 파이프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되거나 이탈되도록 내부연결부재(20)의 양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가압부재(52)와, 밀착부재(54) 및 고정너트(56)가 구비된다.
그리고 내부가압부재(52)는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측 기어(32)에 결합되어 연동되면서 전후 이동되고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의 내주면 내측에 내부연결부재(20)의 중앙측(내부연결부재의 대경부와 접한 좌우측) 체결부(23)에 체결되는 나사부(52a)가 형성되는 한편 몸체의 외주면상에는 출력측 기어(32)의 내 부 걸림턱(32b)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접속홈(52b)이 일정한 각도로 요입 형성된다.
밀착부재(54)는 내부가압부재(52)가 외측으로 전진 이동시에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파이프의 내주면상으로 팽창되면서 밀착, 고정되도록 내부연결부재(20)의 외측에 구성된다.
그리고 밀착부재(54)는 내부연결부재(20)의 외측(소경부의 외측) 외주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와셔(54a)와, 와셔(54a)의 사이에 위치되게 삽입 설치되고 고무와 같이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복수 개의 오링(54b;O-ring)이 구성된다.
고정너트(56)는 밀착부재(54)가 내부연결부재(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지지되도록 내부연결부재(20)의 양단 체결부(25)에 체결되는 링 형태의 너트로 구성된다.
한편,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의 내주면상에 형성되는 체결부(15)의 나사산 피치(Pitch)는 내부연결부재(20)의 중앙 체결부(23) 피치 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외부연결부재측 체결부에 체결되는 외부가압부재(42)가 가압링(44)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큰 이동 거리가 필요한 구조임에 비해 밀착부재(54)를 가압하는 내부가압부재(52)는 상대적으로 작은 이동 거리가 요구되므로 출력측 기어(32)의 일 회전당 서로 다른 이동거리를 갖도록 서로 다른 피치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의 체결부(15) 및 외부가압부재(42)의 나사부(42a)와, 내부연결부재(20)의 체결부(23)와 내부가압부재(52)의 나사부(52a)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편, 나사산의 피치들은 가압링(44)의 폭과, 밀착부재(54)의 신축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와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내부연결부재(20)의 중앙 좌우측 체결부(23)에 나사부(52a)가 체결되도록 내부가압부재(52)를 설치하고 그 외주면에 형성된 접속홈(52b)에 내부 걸림턱(32b)이 끼움 결합되도록 출력측 기어(32)를 설치한다.
그리고 내부연결부재(20)의 양측에 와셔(54a) 및 오링(54b)을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그 단부에 고정너트(56)를 체결하여 와셔 및 오링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시킨다.
출력측 기어(32)의 외부 걸림턱(32c)에 접속홈(42b)이 끼움 결합되도록 외부가압부재(42)를 삽입 설치하고 와셔(54a) 및 오링(54b)의 둘레에 해당되는 외부가압부재(42)의 외측에 가압링(44)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부연결부재(20)의 기어설치홈(24)에 각각 입력측 기어(31)를 삽입한 후 내부연결부재(20)의 양측에 전방 외부연결부재(10) 및 후방 외부연결부재(10')를 삽입하게 되면 조립이 완료되는데, 이때 입력측 기어(31)가 전, 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의 내측 간섭방지홈(14)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조작홀(12)을 통해 입력측 기어(31)의 끼움홈(31c)상에 공구접속부재(31d)를 삽입 설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파이프 연결구를 이용하여 양쪽 파이프(a,b)를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양쪽 파이프의 단부를 전,후방 외부연결부재(10,10')와 내부연결부재(20) 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파이프의 외주면이 가압링(44)의 내측에 위치되고 파이프의 내주면은 와셔(54a) 및 오링(54b)의 설치부측에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구접속부재(31d)의 공구삽입홈에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고 조작력을 인가시키게 되면 입력측 기어(31)가 정해진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치합된 출력측 기어(32) 또한 회전되게 된다.
출력측 기어(32)가 회전되면 내부 걸림턱(32b)에 결합된 내부가압부재(52)와 외부 걸림턱(32c)에 결합된 외부가압부재(42)가 연동되어 회전되게 된다.
이때 내부가압부재(52)는 내부연결부재(20)의 중앙 체결부(23)측에 체결된 상태로부터 풀림 동작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그 외측 단부가 와셔(54a) 및 오링(54b)측에 가압력을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오링(54b)은 신축성 재질이므로 파이프의 내주면측으로 팽창되면서 파이프의 내주면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가압부재(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외부연결부재(10,10')의 체결부(15)측에 체결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므로 그 내주면이 가압링(44)의 외주면상에 끼워지는 형태로 되면서 내부연결부재(20)의 축 중심을 향해 가압력을 작용시 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링(44)은 파이프의 외주면상으로 수축되고 그 내주면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압돌부(44a)가 파이프의 외주면을 압박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외부가압부재(42) 및 가압링(44)이 구비된 전,후방 외부고정수단(40,40')에 의해 접속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이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와셔(54a), 오링(54b) 및 고정너트(56)가 구비된 전,후방 내부고정수단(50,50')에 의해 접속되는 파이프의 내주면이 고정되므로 보다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고정수단(40) 및 내부고정수단(50)이 베벨기어 방식의 구동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되므로 별도의 체결장비가 없이 간단한 수공구를 이용하여 작은 조작력으로도 손쉽게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접속되는 파이프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용접을 시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이프를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기어방식의 구동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되므로 파이프의 연결이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동시에 고정하게 되므로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파이프를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서로 연결되는 양쪽 파이프의 단부를 접속, 고정시키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양쪽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외주면상에 천공된 조작홀측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전,후방 외부연결부재;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환봉 형상의 몸체 내부에 파이프의 내부홀과 연통되는 유동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조작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기어설치홈이 요입된 내부연결부재;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기어설치홈에 설치되는 입력측 기어와, 상기 입력측 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부재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력측 기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기어부;
    상기 고정기어부의 회동시에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도록 내부연결부재의 양측에 구성되는 전,후방 외부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기어부의 회동시에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내부연결부재의 양측에 구성되는 전,후방 내부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 내부고정수단은, 상기 출력측 기어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원통형 몸체의 내주면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가 상기 내부연결부재에 체결 또는 풀림되면서 전후 이동되는 내부가압부재;
    상기 내부가압부재의 전진 이동시에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상으로 팽창되어 밀착되도록 내부연결부재의 외측에 구성되는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가 내부연결부재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양단 체결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외부고정수단은 상기 출력측 기어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외주부에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의 내주면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전후 이동되는 외부가압부재;
    상기 외부가압부재의 전진 이동시에 가압력이 외주면에 작용되어 수축되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시키고, 후진 이동으로 가압력이 해제되면 팽창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절개부를 갖는 원형 몸체의 내주면상에 파이프의 외주면상에 밀착되도록 복수 개의 가압돌부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외측 외주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와셔;
    상기 와셔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부는 단일의 출력측 기어에 복수의 입력측 기어가 치합되는 베벨기어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측 기어는 원추형 기어몸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기어몸체의 저면에 상기 조작홀측으로 형성되는 조작용 공구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측 기어는 중심홀의 내주면상에 상기 내부고정수단측이 접속, 고정되도록 일정 각도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내부 걸림턱과 상기 외부고정수단측이 접속, 고정되도록 일정 각도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외부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공구결합부는 기어몸체의 저면에 요입되는 끼움홈상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의 조작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타단에 공구삽입홈이 요입된 공구접속부재가 구성되거나, 상기 기어몸체의 저면에 공구삽입홈을 갖는 공구접속부가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외부연결부재는 그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입력측 기어의 회동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작홀측 내주면상에 일정 넓이로 요입 형성되는 간섭방지홈과;
    상기 간섭방지홈의 타측에 해당되는 파이프의 삽입측에 상기 전,후방 외부고정수단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는 단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2020070001107U 2007-01-22 2007-01-22 파이프 연결구 KR200436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107U KR200436084Y1 (ko) 2007-01-22 2007-01-22 파이프 연결구
PCT/KR2007/005248 WO2008091051A1 (en) 2007-01-22 2007-10-24 Pipe coup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107U KR200436084Y1 (ko) 2007-01-22 2007-01-22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084Y1 true KR200436084Y1 (ko) 2007-05-11

Family

ID=3964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107U KR200436084Y1 (ko) 2007-01-22 2007-01-22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36084Y1 (ko)
WO (1) WO20080910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20B1 (ko) 2008-08-26 2009-10-20 민운기 파이프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6603B (en) * 2019-08-28 2022-01-05 Cejn Ab Screw to connect coupling with gea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782A (en) * 1974-11-14 1976-12-28 Comex Marine Services, Inc. Connector apparatus
US4142739A (en) * 1977-04-18 1979-03-06 Compagnie Maritime d'Expertise, S.A. Pipe connector apparatus having gripping and sealing means
NO167600C (no) * 1986-08-27 1991-11-20 Norske Stats Oljeselskap Skjoeteanordning for undervanns roer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20B1 (ko) 2008-08-26 2009-10-20 민운기 파이프 연결구
WO2010024519A1 (ko) * 2008-08-26 2010-03-04 이재운 파이프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1051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662B1 (ko) 배관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JP2005069490A (ja) 取付け具及び取付け組立体
KR200436084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80003123U (ko) 연결 부분의 풀림 방지를 위한 잠금 기기
JP2008298545A (ja) 水道メータ脱着用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水道メータ脱着方法
KR101257766B1 (ko) 주름관 연결장치
KR101784384B1 (ko) 배관플렌지 체결볼트용 특수렌치
JP2010164197A (ja) 接続部品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JP5340001B2 (ja) 緩み止め構造
KR20170033150A (ko) 원터치 피팅 어댑터
CA2733285A1 (en) Pipe joint
KR102154693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결합시공방법
KR100324547B1 (ko) 퀵타입 커플링
JP5411453B2 (ja) ガスコックの取付構造
KR100943787B1 (ko) 슬라이드 조임식 파이프 연결 소켓
JP2018048697A (ja) 樹脂管用管継手
KR100922520B1 (ko) 파이프 연결구
JP5917198B2 (ja) 伸縮可撓式継手とこれを用いたサドル付分水栓
JP3122520U (ja) 管継手及び管継手セット
KR10200067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KR20200005071A (ko) 호스 연결용 고정장치
JP2013181549A (ja) ホース用の継手機構
JP6858373B2 (ja) 止水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