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598A - 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598A
KR20200131598A KR1020190056415A KR20190056415A KR20200131598A KR 20200131598 A KR20200131598 A KR 20200131598A KR 1020190056415 A KR1020190056415 A KR 1020190056415A KR 20190056415 A KR20190056415 A KR 20190056415A KR 20200131598 A KR20200131598 A KR 2020013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tubular body
grab r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이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경 filed Critical 이도경
Priority to KR102019005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598A/ko
Publication of KR2020013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4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fastening a pipe on the end of a t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그랩링(40)이 수용되는 일측 관체(10)와, 상기 일측 관체(10) 입구를 감싸며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관체(10) 내부로 수용되는 연결관(32)이 내부에 형성된 너트(30) 및 상기 그랩링(40)에 걸리는 걸림홈(22)이 외주에 형성되는 타측 관체(20)를 포함하여, 상기 너트(30)를 일측 관체(10) 입구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 관체(20)가 상기 연결관(32)을 관통하여 걸림홈(22)에 그랩링(40)이 걸림으로써 일측 관체(10)에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되, 상기 연결관(32) 끝단에는 해제돌기(34)가 형성되어 타측 관체(20)가 일측 관체(1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후퇴할 때 상기 해제돌기(34)가 그랩링(40)의 후진을 막으면서 그랩링(40)의 지름을 확장시켜 걸림홈(22)에서 빠지게 함으로써 타측 관체(20)를 일측 관체(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 연결구조{pip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를 포함한 각종 밸브 등을 용수를 공급하는 관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는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급수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용수를 배출하고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용수가 공급되는 관에 직접 연결되게 설치되거나 용수가 공급되는 관에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연결바디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그리고 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앵글밸브 등이 그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8030호(2005.1.21.)
본 발명은 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두 관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얻고, 그러한 구조를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를 포함한 각종 밸브 등의 설치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그랩링이 수용되는 일측 관체와, 상기 일측 관체 입구를 감싸며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관체 내부로 수용되는 연결관이 내부에 형성된 너트 및 상기 그랩링에 걸리는 걸림홈이 외주에 형성되는 타측 관체를 포함하여, 상기 너트를 일측 관체 입구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 관체가 상기 연결관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그랩링 걸림으로써 일측 관체에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되, 상기 연결관 끝단에는 해제돌기가 형성되어 타측 관체가 일측 관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후퇴할 때 상기 해제돌기가 그랩링 확장시켜 걸림홈에서 빠지게 함으로써 타측 관체를 일측 관체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관 연결구조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두 관의 연결 및 해제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관 연결구조는 다양한 응용도 가능한바, 어느 하나의 관체에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 등을 연결하거나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급수 시스템을 구성할 때 관련 부속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의 각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일측 관체가 타측 관체에 끼워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 관체가 타측 관체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일측 관체가 타측 관체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준느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두 관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얻고, 그러한 구조를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를 포함한 각종 밸브등의 설치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얻기 위해,
내부에 그랩링이 수용되는 일측 관체와, 상기 일측 관체 입구를 감싸며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관체 내부로 수용되는 연결관이 내부에 형성된 너트 및 상기 그랩링에 걸리는 걸림홈이 외주에 형성되는 타측 관체를 포함하여, 상기 너트를 일측 관체 입구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 관체가 상기 연결관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그랩링 걸림으로써 일측 관체에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되, 상기 연결관 끝단에는 해제돌기가 형성되어 타측 관체가 일측 관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후퇴할 때 상기 해제돌기가 그랩링 확장시켜 걸림홈에서 빠지게 함으로써 타측 관체를 일측 관체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관 연결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의 각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일측 관체가 타측 관체에 끼워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 관체가 타측 관체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일측 관체가 타측 관체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준느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는 일측 관체(10)와 타측 관체(20)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일측 관체(10)와 타측 관체(20)는 관 형상을 이루어 이어지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한바, 수도꼭지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유사한 예로 상기 수도꼭지가 형성된 관체 대신 스프링클러가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관체, 앵글밸브가 형성되거나 결합된 관체일 수 있다.
이러한 일측 관체(10)와 타측 관체(20)는 너트(30) 및 그랩링(40)에 의해 연결된다.
너트(30)는 일측 관체(10)의 입구에 체결된다. 내부 지름이 상기 입구 외주에 딱 맞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를 감싸며 체결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너트(30)의 내주와 상기 입구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은 통상적인 나사결합 방식과 마찬가지로 오른 나사결합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너트(30) 내부에는 연결관(32)이 형성된다. 연결관(32)은 너트(30)의 내부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마치 이중관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연결관(32)은 너트(30)의 입구에서부터 형성되어 타측 관체(20)가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관(32)은 상기 일측 관체(10)의 입구를 통해 내부 일정 지점까지 삽입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랩링(220)은 주지된 바와 같이 링 형태를 이루고 내주를 따라 중심쪽으로 돌출되는 톱니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그랩링(40)은 일측 관체(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톱니는 일측 관체(10)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그랩링(40)은 상기 너트(30)에 형성된 연결관(32)에 의해 일측 관체(10)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랩링(40)에는 일측 관체(10)에 결합되는 타측 관체(20)가 관통하게 된다. 이때 타측 관체(20) 외주에는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있어서, 타측 관체(20)가 그랩링(40)을 관통하게 되면 그랩링(40)이 상기 걸리홈(22)에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일측 관체(1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랩링(40)의 내주 지름이 타측 관체(20) 외주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타측 관체(20)가 그랩링(40)을 관통할 때 그랩링(40)에 형성된 톱니를 밀면서 관통하게 되는바, 상기 톱니가 걸림홈(22)에 이르러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걸림홈(22)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홈(22)은 타측 관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측 관체(20)의 길이 조건이나 일측 관체(10)에 수용되는 와셔의 두께 등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걸림홈(22)에 상기 톱니가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되고, 타측 관체(20)를 필요한 길이만큼 일측 관체(10)에 끼워서 연결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2) 끝단에는 해제돌기(34)가 형성된다. 해제돌기(34)는 연결관(32)의 끝단보다 길게 돌출되는 것으로 그랩링(40)에 형성되는 톱니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돌기(34)는 일측 관체(10)가 타측 관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톱니에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이다. 그러나 타측 관체(20)가 일측 관체(1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면, 상기 톱니가 걸림홈(22)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그랩링(40)이 일측 관체(10)와 같이 후진을 하게 되는데, 이때 너트(30)는 일측 관체(10) 입구에 나사 결합된 상태이므로 움직이지 아니하는바 상기 톱니가 해제돌기(34)에 접하게 되고, 타측 관체(20)가 계속 후진을 하면 상기 톱니가 해제돌기(34)에 의해 압박되면서 꺾이게 된다. 그 결과 그랩링(40)이 확장되면서 톱니가 걸림홈(22)에서 빠지게 되어 일측 관체(10)를 타측 관체(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해제돌기(34)는 끝단으로 갈수록 타측 관체(20)의 외주를 향해 하향경사지면서 뾰족하게 형성되어 타측 관체(10)가 후진하는 상황에서 상기 톱니를 원활하게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관(32) 내주에는 나사산(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 관체(20) 외주에는 상기 연결관(32)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33)과 대응되는 나사산(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상기 타측 관체(20)가 연결관(32)을 관통하면서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일측 관체(10)와 타측 관체(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밀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며, 일측 관체(10)를 타측 관체(20)에서 분리할 때 타측 관체(20)를 나가사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후퇴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통해 두 관체를 쉽게 연결하고 필요할 때 쉽게 분리하여 줄 수 있게 되는바, 관 연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10 : 일측 관체, 20 : 타측 관체,
22 : 걸림홈, 23 : 나사산,
30 : 너트, 32 : 연결관,
33 : 나사산, 34 : 해제돌기,
40 : 그랩링.

Claims (3)

  1. 내부에 그랩링(40)이 수용되는 일측 관체(10)와, 상기 일측 관체(10) 입구를 감싸며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관체(10) 내부로 수용되는 연결관(32)이 내부에 형성된 너트(30) 및 상기 그랩링(40)에 걸리는 걸림홈(22)이 외주에 형성되는 타측 관체(20)를 포함하여,
    상기 너트(30)를 일측 관체(10) 입구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 관체(20)가 상기 연결관(32)을 관통하여 걸림홈(22)에 그랩링(40)이 걸림으로써 일측 관체(10)에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되,
    상기 연결관(32) 끝단에는 해제돌기(34)가 형성되어 타측 관체(20)가 일측 관체(1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후퇴할 때 상기 해제돌기(34)가 그랩링(40)의 후진을 막으면서 그랩링(40)의 지름을 확장시켜 걸림홈(22)에서 빠지게 함으로써 타측 관체(20)를 일측 관체(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관 연결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2) 내주에는 나사산(33)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타측 관체(20) 외주에는 상기 연결관(32)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33)과 대응되는 나사산(23)이 형성되어 상기 타측 관체(20)가 연결관(32)에 나사결합 되는 관 연결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22)은 타측 관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관 연결구조.
KR1020190056415A 2019-05-14 2019-05-14 관 연결구조 KR20200131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15A KR20200131598A (ko) 2019-05-14 2019-05-14 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15A KR20200131598A (ko) 2019-05-14 2019-05-14 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98A true KR20200131598A (ko) 2020-11-24

Family

ID=7367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415A KR20200131598A (ko) 2019-05-14 2019-05-14 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5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030A (ko) 2003-07-14 2005-01-21 오승근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030A (ko) 2003-07-14 2005-01-21 오승근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461B1 (ko) 파이프 조인트
US20090079187A1 (en) Fluidic coupling with deformable quick connector
CN101896758B (zh) 用于连接两个刚性物体的装置
US10435873B2 (en) Faucet coupling structure
JP6655163B2 (ja) 水栓の設置構造
US9638363B2 (en) Hose nipple and corresponding hose arrangement
RU200810493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гибких шлангов
US8424559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RU200511368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канала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корпусе турбореактивного двигателя
US20090255588A1 (en) Adjustable locking spout shank
EA02942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оправки на трубчатом элементе
US20050285400A1 (en) Removable flush cap for a multi-diameter tube coupling
WO2014161907A1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pressurised fluid
KR101742264B1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KR20030094273A (ko) 파이프 연결조립체
US9726309B1 (en) Tube connection nut and ferrule assembly
KR20200131598A (ko) 관 연결구조
US8408240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US10641306B2 (en) Fixing bolt
US8424558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US7353840B1 (en) Split nut for outlet box installation
KR20220070317A (ko)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신속 연결부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US20170016219A1 (en) Sink Drain Stopper Assembly
US8408241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