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030A -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 Google Patents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030A
KR20050008030A KR1020030047703A KR20030047703A KR20050008030A KR 20050008030 A KR20050008030 A KR 20050008030A KR 1020030047703 A KR1020030047703 A KR 1020030047703A KR 20030047703 A KR20030047703 A KR 20030047703A KR 20050008030 A KR20050008030 A KR 2005000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pipe
coupling
connector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344B1 (ko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102003004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4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는 배관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도꼭지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결합공이 천공된 격벽이 형성된 연결구; 연결구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결합공에 설치되고 외주연에 이동홈이 다수개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며, 결합부의 일측에는 패킹홈이 형성될 수 있게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부의 타측에는 결합단이 연장 형성되며 결합단의 외측으로는 끝단부에 스냅링홈이 형성될 수 있게 지지단이 연장 형성된 작동구; 패킹홈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시키는 누수방지패킹; 결합부의 타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작동구의 결합단에 결합될 수 있게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유체배출홈부가 형성된 결합구; 및 스냅링홈에 설치되는 스냅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교체하고자 할 경우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분리시키면 차단수단이 이동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계량기를 잠그지 않아도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직접 분리시킨 다음 교체할 수 있어 수도꼭지의 교체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STRUCTURE FOR CONNECTING A TAP AND A PIPE}
본 발명은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도꼭지와 배관을 연결시키는 연결구의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수단을 설치하여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구는 물과 같은 유체의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배관과 수도꼭지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도 5는 종래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110)과, 배관(110)이 결합될 수 있게 일측에 배관결합부(1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도꼭지결합부(124)가 형성된 연결구(120)와, 연결구(120)의 수도꼭지결합부(124)에 나사 결합되어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도꼭지(10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구(120)에 의하여 수도꼭지(100)와 배관(110)이 상호 연결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관(110)에 연결구(120)의 배관결합부(122)를 나사 결합시킨 다음 연결구(120)의 수도꼭지결합부(124)에 수도꼭지(100)를 나사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수도꼭지(100)의 손잡이밸브(미도시)를 회동시키면 유체가 배관(110)을 통해 수도꼭지(100)의 배출부(104)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수도꼭지(10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계량기를 잠근 다음 수도꼭지(100)를 연결구(120)에서 분리시켜야 함으로 교체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도꼭지와 배관을 연결시키는 연결구의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수단을 설치하여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수도꼭지와 배관이 결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
도 5는 종래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도꼭지 20 : 배관
30 : 연결구 32 : 배관결합부
34 : 수도꼭지결합부 36 : 격벽
37 : 결합공 40 : 작동구
41 : 결합부 41a : 이동홈
43 : 걸림단 44 : 패킹홈
46 : 결합단 47 : 지지단
48 : 스냅링홈 50 : 누수방지패킹
60 : 탄성부재 70 : 결합구
71 : 삽입공 73 : 유체배출홈부
80 : 스냅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은 수도꼭지와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배관이 결합될 수 있게 배관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도꼭지가 결합되는 수도꼭지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결합공이 천공된 격벽이 형성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설치되고 외주연에 이동홈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는 패킹홈이 형성될 수 있게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에는 결합단이 단턱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의 외측으로는 끝단부에 스냅링홈이 형성될 수 있게 지지단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작동구; 상기 패킹홈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시키는 누수방지패킹; 상기 결합부의 타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작동구의 결합단에 결합될 수 있게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유체배출홈부가 형성된 결합구; 및 상기 스냅링홈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와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수도꼭지와 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꼭지(10)와 배관(20)을 연결하는 연결구(30)와, 연결구(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구(40)와, 누수방지패킹(50)과, 탄성부재(60)와, 결합구(70) 및 스냅링(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구(30)는 수도꼭지(10)와 배관(20)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배관(20)이 결합될 수 있게 내부에 나사산(32a)이 형성된 배관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수도꼭지(10)가 결합될 수 있게 내부에 나사산(34a)이 형성된 수도꼭지결합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결합공(37)이 천공된 격벽(36)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구(40)는 연결구(3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연결구(30)의 결합공(37)에 설치되고 외주연에 이동홈(41a)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결합부(41)가 형성되며, 결합부(41)의 일측에는 패킹홈(44)이 형성될 수 있게 걸림단(43)이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부(41)의 타측에는 결합단(46)이 단턱지게 연장 형성되며 이 결합단(46)의 외측으로는 끝단부에 스냅링홈(48)이 형성될 수 있게 지지단(47)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누수방지패킹(50)은 작동구(40)의 패킹홈(44)에 설치되어 기밀유지 및 유체의 누수를 방지시켜준다.
탄성부재(60)는 작동구(40)의 결합부(41)의 타측 외주연에 설치된다.
결합구(70)는 작동구(40)의 결합단(46)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삽입공(71)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는 다수의 유체배출홈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스냅링(80)은 스냅링홈(48)에 설치되어 결합구(70)와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수도꼭지(10)와 배관(20)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동구(40)의 패킹홈(44)에 누수방지패킹(50)을 결합시킨 다음 작동구(40)를 연결구(30)의 내부에 설치한다. 즉, 누수방지패킹(50)이 설치된 작동구(40)의 결합부(41)를 연결구(30)의 배관결합부(32)에서 수도꼭지결합부(34) 방향으로 결합시킨다. 그러면 연결구(30)의 결합공(37)에 작동구(40)의 결합부(41)가 결합되고, 누수방지패킹(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30)의 배관결합부(32)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연결구(30)의 내부에 작동구(40)가 설치되면, 작동구(40)의 결합부(41) 타측에 탄성부재(60)와 결합구(7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후 이 탄성부재(60)와 결합구(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냅링홈(48)에 스냅링(80)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배관(20)에 연결구(30)의 배관결합부(32)를 나사 결합시키고, 연결구(30)의 수도꼭지결합부(34)에는 수도꼭지(10)를 나사 결합시키면 본 발명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수도꼭지결합부(34)에 수도꼭지(10)를 나사 결합시 작동구(40)는 수도꼭지(10)와의 접촉에 의해 배관결합부(3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탄성부재(60)는 압축된다.(도 3a 참조)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수도꼭지(10)의 손잡이밸브(12)를 회전시키면 유체는 배관(20)을 통해 연결구(30)의 배관결합부(32) 내부에 유입되며, 배관결합부(32) 내부에 유입된 유체는 작동구(40)의 결합부(41) 외주연에 형성된 이동홈(41a)과 결합공(37)을 통해 연결구(30)의 수도꼭지결합부(34)로 이동하게 되고, 수도꼭지결합부(34)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결합구(70)의 유체배출홈부(73)를 통해 수도꼭지(10)로 이동하면서 수도꼭지(10)의 배출부(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유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도꼭지(10)의 손잡이밸브(12)를 회전시켜 주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를 차단시켜 준다.
한편, 수도꼭지(1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구(30)의 수도꼭지결합부(34)에 나사 결합된 수도꼭지(10)만 분리시키면 된다.
즉, 수도꼭지(10)를 수도꼭지결합구(34)에서 분리시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구(40)가 수도꼭지결합부(3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누수방지패킹(50)이 연결구(30)의 격벽(36) 즉, 배관결합부(32)의 격벽(36)측에 밀착되면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도꼭지(10)를 연결구(30)의 수도꼭지결합부(34)에서 완전리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계량기를 잠근 다음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분리시키지 않아도 수도꼭지(10)를 연결구(30)에서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써, 이는 연결구(30)에 형성된 격벽(35)의 결합공(37)에 다수개의 유체홈부(38)를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을 보다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수도꼭지와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스배관과 가스콕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등 유체가 적용되는 모든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에 따르면 연결구의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격벽을 형성하고, 연결구의 내부에는 차단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교체하고자 할 경우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분리시키면 차단수단이 이동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계량기를 잠그지 않아도 수도꼭지를 연결구에서 직접 분리시킨 다음 교체할 수 있어 수도꼭지의 교체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수도꼭지(10)와 배관(20)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배관(20)이 결합될 수 있게 배관결합부(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도꼭지(10)가 결합되는 수도꼭지결합부(3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결합공(37)이 천공된 격벽(36)이 형성된 연결구(30);
    상기 연결구(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공(37)에 설치되고 외주연에 이동홈(41a)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결합부(4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41)의 일측에는 패킹홈(44)이 형성될 수 있게 걸림단(4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1)의 타측에는 결합단(46)이 단턱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46)의 외측으로는 끝단부에 스냅링홈(48)이 형성될 수 있게 지지단(47)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작동구(40);
    상기 패킹홈(44)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시키는 누수방지패킹(50);
    상기 결합부(41)의 타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
    상기 작동구(40)의 결합단(46)에 결합될 수 있게 중앙에 삽입공(7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유체배출홈부(73)가 형성된 결합구(70); 및
    상기 스냅링홈(48)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70)와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KR1020030047703A 2003-07-14 2003-07-14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KR10057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703A KR100570344B1 (ko) 2003-07-14 2003-07-14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703A KR100570344B1 (ko) 2003-07-14 2003-07-14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632U Division KR200330928Y1 (ko) 2003-07-14 2003-07-14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030A true KR20050008030A (ko) 2005-01-21
KR100570344B1 KR100570344B1 (ko) 2006-04-13

Family

ID=3722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703A KR100570344B1 (ko) 2003-07-14 2003-07-14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81A (ko) 2018-08-27 2020-03-06 이도경 관 연결구조
KR20200023983A (ko) 2018-08-27 2020-03-06 이도경 관 연결구조
KR20200131598A (ko) 2019-05-14 2020-11-24 이도경 관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813B1 (ko) 2009-12-08 2012-05-10 덕산금속 주식회사 수도꼭지 연결배관
KR102236747B1 (ko) * 2019-09-20 2021-04-06 주식회사 디아 핸드밸브 수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81A (ko) 2018-08-27 2020-03-06 이도경 관 연결구조
KR20200023983A (ko) 2018-08-27 2020-03-06 이도경 관 연결구조
KR20200131598A (ko) 2019-05-14 2020-11-24 이도경 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344B1 (ko)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538B2 (en) Two-way valve
US20070240765A1 (en) Backflow Preventer
US6889709B2 (en) Manifold valve
US5871032A (en) Diverter valve assembly for control of multiple discharge in a mixing faucet
US6192912B1 (en) Low profile pneumatically activated valve assembly
KR102097601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JP2002081589A (ja) 誤接続防止流体コネクタ
KR100570344B1 (ko)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CA3079852C (en) Reversible ball valve
KR200330928Y1 (ko)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KR102074188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WO1999058884A1 (en) Ball valve
JP2005291328A (ja) 弁脱着用治具
KR200254120Y1 (ko) 관체 연결용 니플
EP1092900B1 (en) Valve having a flow blocking rotary body
KR200179157Y1 (ko) 3유로 연결밸브
US11808361B2 (en) Water separator valve assembly
CN220396152U (zh) 反馈信号控制阀组
KR200327576Y1 (ko) 흡기밸브
CN211779160U (zh) 分向阀改良结构
JPH03147941A (ja) 水道用メータの取付装置
US20210348688A1 (en) Stop valve
US3012753A (en) Rotary valves
KR200338427Y1 (ko) 밸브 밀봉장치
KR200257282Y1 (ko) 수격방지용 수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