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576Y1 - 흡기밸브 - Google Patents

흡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576Y1
KR200327576Y1 KR20-2003-0016343U KR20030016343U KR200327576Y1 KR 200327576 Y1 KR200327576 Y1 KR 200327576Y1 KR 20030016343 U KR20030016343 U KR 20030016343U KR 200327576 Y1 KR200327576 Y1 KR 200327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take valve
water
air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영동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금속(주) filed Critical 영동금속(주)
Priority to KR20-2003-0016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aera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 흐르는 관에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관내로 공급시켜, 상기 배출되는 물의 압이 일정하게 배출 되도록 한 흡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 내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단턱부에 O링이 끼워지는 안착홈이 형성된 흡기밸브 본체와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고정구가 체결되고 내측에 장공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흡기밸브 본체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개폐구와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차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부에 다수의 절개부이 형성된 공기 단속구 및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O링이 끼워지고 타측 외부에 평판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공기 단속구와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부 내면에 원주 방향으로 C링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흡기밸브 본체에 체결되는 연결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흡기밸브는 물이 흐르는 급수관에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급수관내로 공급시켜 급수관을 통해 다수개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압력을 동일하게 하여 다수의 배출구로 동일한 압력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흡기밸브{Inhalation of air valve}
본 고안은 흡기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흐르는 관에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관내로 공급시켜 관을 통해 외부로 물이 배출될 때의 배관 내의 압이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흡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인관을 통해 수도 계량기로 공급되어 미터기를 거처 급수되는 물은 급수관을 통하여 가정이나 기타 업소 등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이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급수관을 통해 가정이나 기타 업소 등으로 공급 될 때, 배출구로 배출되는 압이 배출구(수도꼭지)의 수와 거리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급수관으로 공급된 물은 수도 계량기에 가까운 쪽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압은 강하지만 그 다음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은 약해지는 순으로 차츰 상기 수도 계량기와 멀어질 수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은 약해져 가장 멀리 있는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작게 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량이 작게 된다. 또한 높은 곳에 구비된 배출구는 하측의 배출구 사용에 의하여 압력이 낮아져 높은 곳까지 공급되지 못하여 건물의 높은 곳의 배출구가 단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도 공사를 하기 위하여 급수관으로 공급된 물을 빼기위해서는 상기 배출구를 열어 물이 빠질 때 까지 기다려야 하고 상기와 같이 배출구를 열고 급수관 내에 있는 물을 뺀다고 해도 완전하게 빠지지 않고 약간의 물이 잔류하여공사 등을 할 때 공급관 내에 잔류한 물이 누수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흡기밸브는 물이 흐르는 급수관에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급수관내로 공급시켜 급수관을 통해 다수개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압력을 동일하게 하여 다수의 배출구로 동일한 압력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흡기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흡기밸브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흡기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기밸브 본체 11,41 : 나사산
12,42 : 관통공 13,43 : 단턱부
14 : 나사공 15 : 안착홈
18,38,46 : O링 20 : 개폐구
21,31 : 끼움부재 22,32 : 차단부재
23,45 : 홈 24,33 : 장공
25,34 : 배출공 28 : 고정구
30 : 공기 단속구 36 :절개부
40 : 연결간 44 : 평판부
48 : C링 49 : 탄성부재
50 : 뚜껑 60 : 부시
본 고안의 일측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 내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단턱부에 O링이 끼워지는 안착홈이 형성된 흡기밸브 본체와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고정구가 체결되고 내측에 장공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타측에 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흡기밸브 본체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개폐구와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차단부가 마련되고 그리고 상기 차단부에 다수의 절개부이 형성된 공기 단속구 및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O링이 끼워지고 타측 외부에 평판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공기 단속구와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부 내면에 원주 방향으로 C링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흡기밸브 본체에 체결되는 연결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흡기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흡기밸브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흡기밸브는 일측 외부에 연결밸브(미도시)에 체결되는 나사산(11)이 형성되고 내측에 단턱부(13)가 형성되고 타측 내측에 나사공(14)이 마련된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3)에 O링(18)이 끼워지는 안착홈(15)이 형성된 흡기밸브 본체(10)가 구비된다.
일측 끝단부 원주방향으로 홈(23)이 형성되어 고정구(28)가 체결되고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24)이 형성된 끼움부재(21)가 마련되고 상기 장공(24)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25)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에 차단부재(22)가 마련되어 상기 흡기밸브 본체(10)의 관통공(12)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개폐구(20)가 구비된다.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33)이 형성된 끼움부재(31)가 마련되고 상기 장공(33)과 연통되는 배출공(34)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에 차단부재(32)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부재(32)에 다수의 절개부(36)가 형성된 공기 단속구(30)가 구비된다.
외부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되고 일측에 O링(46)이 끼워지는 단턱부(43)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외주면에 평판부(44)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공기 단속구(30)와 탄성부재(49)가 안착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2)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면측에 O링(38)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단속구(30)가 밀착되게 체결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흡기밸브 본체(10)의 나사공(14)에 체결되는 연결간(40)이 마련된다.
상기 연결간(40)의 외주면에 절단부가 형성된 부시(60)가 체결되고 상기 나사산(41)에 체결되는 뚜껑(5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수도관(미도시함)으로부터 입수되어 수도 계량기에 의하여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어 배출되는 수돗물의 압력을 동일한 압으로 배출되도록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 내의 압과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연결간(40)의 평판부(44)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즉 연결간(40)에 체결된 뚜껑(50)이 체결되면 상기 평판부(44)에 의하여 상기 연결간(40)과 뚜껑(50)의 사이일부분에 공간부가 생기게 되고 상기 이 공간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단속구(30)의 장공(33)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의 힘에 의하여 공기 단속구(30)가 탄성부재(49)를 압축시키면서 후퇴하게 되고 상기 공기 단속구(30)가 후퇴하게 되면 상기 장공(33)과 연통된 배출공(34)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배출공(34)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단속구(30)의 절개부(36)를 통하여 상기 개폐구(20) 쪽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49)가 압축되면서 후퇴하는 공기 단속구(30)는 상기 연결간(40)의 관통공(42)에 체결된 C링(48)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개폐구(20) 쪽으로 공기만이 유입된다.
상기 개폐구(20) 쪽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개폐구(20)의 장공(24)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흡기밸브 본체(10)의 관통공(12)을 차단하고 있던 개폐구(20)를 후퇴시켜 상기 관통공(12)이 개방되고, 이때 상기 개폐구(20)의 장공(24)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힘에 의하여 후퇴될 때 상기 개폐구(20)에 체결된 고정구(28)에 의하여 상기 흡기밸브 본체(10)의 관통공(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흡기밸브 본체(10)의 관통공(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구(20)의 장공(24)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공(25)으로 배출되어 상기 공급관으로 유입되어, 관내의 압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관내의 유체가 동일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의 배출을 중단하거나 내부의 압이 동일해진 상태로 흐르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공급관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되면 개폐구(20)는 공급관의 내압에 의하여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고, 즉 개폐구(20)가 이동되어 상기 흡기밸브 본체(10)의 관통공(12)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2)을 차단할 때 상기 개폐구(20)의 차단부재(22)가 O링(18)에 밀착되어 차단되므로 견고하게 누수를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 단속구(30)는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49)이 복귀력에 의하여 복귀하면서 상기 공기 단속구(30)를 밀어 상기 연결간(40)의 관통공(42)을 차단하여 공급관에 잔류한 물을 1차적으로 개폐구(20)에서 차단을 하고 2차로 공기 단속구(30)에서 차단을 하므로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흡기밸브의 고장에 의하여 공급관 내의 물이 상기 흡기밸브를 통해 누수 될 때에는 상기 연결간(40)에 체결된 부시(60)를 강제로 제거하고 이때 상기 부시(60)는 일측에 절단부가 형성되어 제거하기가 쉽다. 상기 부시(60)를 제거한 후에는 상기 뚜껑(50)을 견고하게 닫아 상기 공급관 내의 물이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도관을 수리보수 공사를 할 때 공급관 내에 잔류한 물을 제거시 외부의 공기를 공급관내로 공급되므로 공급관내에 잔류한 물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흡기밸브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관내로 유입시키므로 수도 계량기를 통하여 공급관으로 공급되어 배출구(수도꼭지)로 배출될 때, 즉 수도 계량기에 가까운 배출구에서부터 거리가 먼 곳에 있는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압이 가까운 곳부터 차츰 멀어질수록 물의 배출 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까운 배출구나 멀리 있는 배출구나 동일하게 물이 배출되게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도관을 수리보수 공사를 할 때 공급관 내에 잔류한 물을 제거시 외부의 공기를 공급관내로 공급되므로 공급관내에 잔류한 물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Claims (3)

  1. 일측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 내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단턱부에 O링이 끼워지는 안착홈이 형성된 흡기밸브 본체;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고정구가 체결되고 내측에 장공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타측에 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흡기밸브 본체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개폐구;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차단부재가 마련되고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에 다수의 절개부이 형성된 공기 단속구; 및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O링이 끼워지고 타측 외주면에 평판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공기 단속구와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일측 내부에 원주 방향으로 C링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흡기밸브 본체에 체결되는 연결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의 외부 나사산에 체결되는 뚜껑을 더 포함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부에 절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간의 외측부에 끼워지는 부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밸브.
KR20-2003-0016343U 2003-05-26 2003-05-26 흡기밸브 KR200327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343U KR200327576Y1 (ko) 2003-05-26 2003-05-26 흡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343U KR200327576Y1 (ko) 2003-05-26 2003-05-26 흡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576Y1 true KR200327576Y1 (ko) 2003-09-22

Family

ID=4941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343U KR200327576Y1 (ko) 2003-05-26 2003-05-26 흡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5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7695A2 (en) Multi-functional concealed shower valve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200327576Y1 (ko) 흡기밸브
KR200448968Y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KR101420711B1 (ko) 앵글 밸브
KR100570344B1 (ko)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KR200387266Y1 (ko)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JP4916196B2 (ja) 水栓柱
KR20010027658A (ko) 볼밸브의 시트 구조
KR200351420Y1 (ko) 동파방지용 잔여수 배출장치
KR200237088Y1 (ko) 절수 장치
KR200433211Y1 (ko)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KR200356297Y1 (ko) 샤워본체와 호스의 연결구조
KR200310690Y1 (ko) 수도 계량기용 역류방지 밸브
CN115005705B (zh) 分段阻尼方法
KR200361682Y1 (ko) 지하식 소화전의 토출구 높이 조절장치
CN209781785U (zh) 防漏水装置
KR101128191B1 (ko) 자폐식 수도밸브
KR200332291Y1 (ko) 역류방지용 커넥터
KR102179546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KR200330928Y1 (ko)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KR200180746Y1 (ko) 수격 흡수기
KR200345014Y1 (ko) 자동 잠김 기능이 있는 원터치 서비스 소켓
KR200258206Y1 (ko)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