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206Y1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206Y1
KR200258206Y1 KR2019980022587U KR19980022587U KR200258206Y1 KR 200258206 Y1 KR200258206 Y1 KR 200258206Y1 KR 2019980022587 U KR2019980022587 U KR 2019980022587U KR 19980022587 U KR19980022587 U KR 19980022587U KR 200258206 Y1 KR200258206 Y1 KR 200258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stem
opening
closing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352U (ko
Inventor
이기옥
Original Assignee
이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옥 filed Critical 이기옥
Priority to KR2019980022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20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206Y1/ko

Links

Landscapes

  • Taps Or Cocks (AREA)
  • Lift Valv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기용 연소가스, 냉동기용 냉매가스 또는 유류나 물 등 각종 유체의 배관라인에 장착되어 유체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본체 내부에 밸브스템를 개폐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밸브공을 개폐하므로서 유체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밸브공 및 유출입구를 연결하는 밸브실에 인접하는 암나사부와 상기 밸브본체의 삽입단과 상기 암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공간부와, 상기 밸브스템의 선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공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한 채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조립되는 조립나사부와, 상기 밸브스템의 후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은폐되는 슬라이딩 밀폐부 및 상기 슬라이딩 밀폐부에 오링이 설치되는 오링홈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본체 내부에 밸브스템을 은폐된 상태로 직접 조립하고, 또한 상기 밸브본체의 삽입단에는 상기 밸브스템의 이탈을 제어하는 이탈방지링를 고정설치함과 동시 환형패킹이 개입된 밀폐용 캡을 나사조립하데 밸브본체를 밀폐하므로서 밸브스템이 무단으로 개폐조작할 수 없도록 함과 동시 유체의 누출방지 및 밸브스템이 부주의로 이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특징을 지닌 고안이다.

Description

밸브{Valve}
본 고안은 연소기용 연소가스, 냉동기용 냉매가스 또는 유류나 물 등 각종 유체의 배관라인에 장착되어 유체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배관라인에 장착되는 밸브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 유체의 유출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폐쇄작동시킨 상태를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보존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유체의 순환작동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자 할 경우와 같이 수시로 개폐작동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가끔 개폐작동되는 밸브는 통상 개폐손잡이가 없고 밸브스템(Valve Stem)을 개폐조작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밸브스템을 개폐조작하여 밸브를 개폐조절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밸브는 밸브본체와 밸브스템 및 상기 밸브본체와 밸브스템 사이에 조립되는 기밀부재 그리고 다수의 패킹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부품이 많아 생산가가 비싼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밸브는 밸브본체의 후방으로 밸브스템의 후단 조절부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밸브를 개폐조작하고자 할 때 밸브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밸브스템의 후단 조절부를 렌치 등 수공구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상기한 후단 조절부가 밸브본체에서 돌출되어 있긴 때문에 누구든지 수공구를 가지고 있는 자는 밸브스템의 후단 조절부를 개폐조작할 수 있으므로 담당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 실수로 인하여 밸브스템이 개폐조작될 수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밸브본체에 밸브스템을 직접 나사조립하는 간단한 구조로 밸브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밸브스템이 밸브본체 내부에 깊숙히 은폐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함과 동시 상기 밸브스템을 밸브본체 외부에서는 조작할 수 없고 반드시 정해진 육각렌치를 사용해야만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담당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가 실수로 밸브스템을 개폐조작하게 되는 폐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밸브본체 내부에 밸브스템을 개폐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밸브공을 개폐하므로서 유체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밸브공 및 유출입구를 연결하는 밸브실에 인접하는 암나사부와;
상기 밸브본체의 삽입단과 상기 암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공간부와;
상기 밸브스템의 선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공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한 채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조립되는 조립나사부와;
상기 밸브스템의 후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은폐되는 슬라이딩 밀폐부; 및
상기 슬라이딩 밀폐부에 오링이 설치되는 오링홈;
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본체 내부에 밸브스템을 은폐된 상태로 적절 조립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밸브본체의 삽입단에는 상기 밸브스템의 이탈을 제어하는 이탈방지링를 고정설치함과 동시 환형패킹이 개입된 밀폐용 캡을 나사조립하여 밸브본체를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주된 실시예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1은 폐쇄작동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는 개방작동시키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밸브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여러 실시예의 단면도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본체 2 : 밸브스템
3 : 유체이송관 4 : 이탈방지링
5 : 밀폐용 캡 6 : 환형패킹
7 : 개폐용 볼 8 : 개폐구
11 : 밸브실 12 : 유출입구
15 : 암나사부 16 : 삽입단
17 : 이동공간부 21 : 조립나사부
22 : 슬라이딩 밀폐부 17a,22a : 오링홈
23 : 패킹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주된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밸브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여러 실시예의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밸브본체를, 도면부호 2는 밸브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밸브본체(1)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며, 선단에 형성된 밸브실(11)에는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출입구(12)와 밸브공(13)이 서로 연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입구(12)에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도시 생략)이 나사조절되는 수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공(13)에는 유체를 수용하는 설비(예로서; 유체 저장탱크, 냉동기 등)로 유체를 보내기 위한 유체이송관(3)이 용접되어 있다.
상기 밸브본체(1) 내부에는 상기 밸브실(11) 일측과 연통하도록 인접하는 암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부(15)와 삽입단(16) 사이에는이동공간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본체(1)의 내부에는 삽입단(16)을 통해 밸브스템(2)이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스템(2)은 상기한 암나사부(15)에 나사조립되는 조립나사부(21)와 상기한 이동공간부(17)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밀폐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조립나사부(21)의 선단에는 원추형으로 된 개폐부(21a)가 밸브시트(13a)에 대하여 밀착 또는 이완되는 작동으로 밸브공(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밀폐부(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23)을 설치할 수 있는 오링홈(22a)를 형성하여 이동공간부(17)와의 사이에서 기밀이 유지되게 하고 있는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오링(23)를 설치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오링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밸브본체(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밸브스템(2)은 슬라이딩 밀폐부(22)가 이동공간부(17)에 깊숙히 몰입되어 은폐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렇게 설치된 밸브스템(2)의 개폐작동은 밸브본체(1)의 삽입단(16)을 통하여 삽입되는 육각렌치(25)를 밸브스템(2) 후단에 형성된 렌치공(24)에 끼워 넣고 돌려주는 수단으로 밸브공(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본체(1)의 삽입단(16) 내면에는 이탈방지링(4)을 설치하여 밸브스템(2)를 과다하게 개방작동하게 되더라도 이완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삽입단(16)에 나사조립되는 밀폐용 캡(5) 내면에 환형패킹(6)을 개재시켜 상기 삽입단(16)과 밀폐용 캡(5)과의 사이에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주된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한 것이며, 도 4 내지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들 각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실시예는, 밸브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5)와 이동공간부(17)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밸브스템(2)의 조립나사부(21)와 슬라이딩 밀폐부(22)의 위치 역시 서로 바구어 형성시킨 것이다. 즉, 밸브본체(1)의 경우 밸브실(11)에 인접한 위치에는 이동공간부(17)를 형성하고 삽입단(16)과 인접한 위치에는 암나사부(15)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밸브스템(2)의 선단측에는 슬라이딩 밀폐부(22)를 후단측에는 조립나사부(21)를 형성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는 밸브본체(1)의 이동공간부(17)에 오링(23)이 설치되는 오링홈(17a)을 형성하는 한편 밸브스템(2)의 슬라이딩 밀폐부(22)는 밋밋한 원통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의 실시예는 밸브스템(2) 선단에 개폐용 볼(7)을 설치하여 상기 개폐용 볼(7)이 개폐부(21a)의 기능을 대신하여 밸브공(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도 8의 실시예는 밸브스템(2) 선단에 구형부(81)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별도의 개폐구(8)를 형성하여 개폐부(21a) 대신에 밸브공(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도 9의 실시예는 밸브본체(1)의 밸브공(13)에 형성되는 밸브시트(13a)를 평탄하게 형성한 다음 밸브스템(2)의 개폐부(21a) 선단면이 평탄한 밸브시트(13a)에 면접촉상태로 폐쇄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각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밸브본체(1)의 내부에 조립된 밸브스템(2)은 도 1과 같이 밸브공(13)를 패쇄작동하였을 경우는 물론이고 도 2와 같이 밸브공(13)을 개방작동하였을 경우에도 슬라이딩 밀폐부(22)가 이동공간부(17)내에 수용된 상태로서 은폐되어 있으므로 밸브본체(1)의 삽입단(16)에 밀폐용 캡(6)을 나사조립하여 밀폐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밸브스템(2) 자체가 밸브본체(1)에 은폐된 상태에서는 밸브스템(2)이 외부와 접촉이 차단된 상태일 뿐 아니라 담당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에 의하여 무단으로 개폐조작되는 사례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스템(2)의 슬라이딩 밀폐부(22)에 형성된 오링홈(22a)에 끼워진 오링(23)은 이동공간부(17)의 주면을 밀폐시킨 상태하에서 이동하게 되므로서 밸브스템(20)를 개폐작동시키는 과정 중 밸브실(11)에 유입된 유체가 슬라이딩 밀폐부(22)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본체(1)의 삽입단(16)과 밀폐용 캡(5) 내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환형패킹(6)이 이차적으로 밀폐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유체의 누출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템(2)을 개방작동시키고자 할 때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밸브스템(2)을 과다하게 개방시키게 될 경우에는 삽입단(16) 내측에 고정설치된 이탈방지링(4)에 밸브스템(2)의 슬라이딩 밀폐부(22)가 걸리게되어 더 이상 개방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밸브스템(2)을 과다하게 개방시키는 부주의로 인한 밸브스템(2)의 이완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밸브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5)와 이동공간부(17)의 설치위치를 바꾸어 줌과 동시 밸브스템(2)의 조립나사부(21)와슬라이딩 밀폐부(22)의 설치위치를 바꾸어준 구성으로 조립하였을 경우에도 밸브스템(2)을 밸브본체(1)에 은폐시킨 상태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무단 개폐조작을 방지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오링(23)과 환형패킹(6)에 의하여 유체의 누출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밸브스템(2)의 이완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은 전기한 각 실시예의 밸브본체(1) 내부의 이동공간부(17) 자체에 고정상태로 형성된 오링홈(17a)에 오링(23)를 설치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밸브스템(2)의 개폐조작시 슬라이딩 밀폐부(22)가 고정된 오링(23)에 밀접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유체의 유출이 방지되며, 또 삽입단(16)과 밀폐용캡(5) 사이에 개재된 환형패킹(6)에 의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작용을 기대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의 실시예는 밸브스템(2)의 선단에 박아 넣은 개폐용 볼(7)의 구형면이 밸브시트(13a)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밸브공(13)을 폐쇄하도록 한 것이며, 도 8의 실시예는 밸브스템(2)의 선단에 박아 넣은 구형부(81)와 일체로 형성은 개폐구(8)의 경우는 상기 구형부(81) 자체가 밸브스템(2)의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폐쇄작동시 개폐구(8)가 밸브시트(13a)에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스템(2)을 계속해서 폐쇄조작할 경우 상기 개폐구(81)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밸브시트(13a)에 밀착되는 작용만 전달되므로 밸브공(13)의 긴밀한 밀폐작동을 기대할 수 있으며, 도 9의 실시예는 밸브공(13)의 밸브시트(13a)를 경사면으로 형성하지 않고 평탄면으로 형성시킨 다음 밸브스템(2)의 개폐부(21a)가 밸브시트(13a)에면접촉하여 밸브공(13)을 긴밀하게 폐쇄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밸브본체 내부에 밸브스템이 깊숙히 삽입된 상태로 조립할 수 있어 밸브스템을 은폐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담당 작업자가 지정된 수공구인 육각렌치를 사용하여 일단 개방조작 또는 폐쇄조작한 다음 밀폐용 캡으로 밸브본체를 밀폐시키게 되면 밸브스템 자체는 외부와의 접촉이 방지되므로 무단으로 개폐조작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또한 밸브스템의 개방조작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과다하게 개방작동시키게 될 경우 이탈방지링이밸브스템의 과다한 개방작동을 저지하여 밸브스템이 밸브본체에서 이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또 밸브본체와 밸브스템과의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에 의하여 유체의 누출현상을 일차적으로 차단시킴과 동시 밸브본체의 삽입단과 밀폐용 캡과의 사이에 개재된 환형패킹이 이차적으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게 되어 유체의 누출을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케 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밸브공(13)과 유출구(12) 및 이들을 연결하는 밸브실(11)이 일체로 형성된 밸브본체(1)와,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5)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조립되어 밸브공(13)을 개폐하는 밸브스템(2)으로 구성된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1)의 삽입단(16)과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5)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2)의 조립나사부(21)를 암나사부(15)에 나사조립하여 밸브공(13)을 개방 및 폐쇄조작할 때 슬라이딩 밀폐부(22)가 항시 은폐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는 이동공간부(17)와;
    상기 밸브스템(2)의 개방조작시 슬라이딩 밀폐부(22)가 밸브본체(1)를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삽입단(16)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이탈방지랑(4)과;
    환형패킹(6)이 장착된 채 상기 삽입단(16)에 나사조립되어 밸브본체(1)를 밀폐시키는 밀폐용 캡(5);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2)의 후단측 슬라이딩 밀폐부(22)에 렌치공(24)을 형성하여 통상의 육각렌치(25)를 삽입단(16)으로 삽입하여 밸브스템(2)을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2)의 슬라이딩 밀폐부(22)의 외주면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한편, 밸브본체(1)의 이동공간부(17)에 오링(23)이 설치되는 오링홈(17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2)의 선단에 형성된 개폐부(21a)에 밸브공(13)을 개폐하는 볼(7)을 박아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2)의 선단에 형성된 개폐부(21a)에 구형부(81)가 회전이 자유롭게 박힌 채 밸브공(13)을 개폐하는 개폐구(8)를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2019980022587U 1998-11-19 1998-11-19 밸브 KR200258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87U KR200258206Y1 (ko) 1998-11-19 1998-11-19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87U KR200258206Y1 (ko) 1998-11-19 1998-11-19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52U KR20000010352U (ko) 2000-06-15
KR200258206Y1 true KR200258206Y1 (ko) 2002-08-22

Family

ID=6950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587U KR200258206Y1 (ko) 1998-11-19 1998-11-19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2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12B1 (ko) * 2019-03-06 2019-11-18 정귀현 코크스 오븐의 연소가스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326B1 (ko) * 2021-07-27 2023-11-15 신현오 두방향 가로꼭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12B1 (ko) * 2019-03-06 2019-11-18 정귀현 코크스 오븐의 연소가스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52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9412A (en) Valve and seal therefor
CA2601074A1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KR100194119B1 (ko) 유량 제한기에 대한 외부 조절부를 구비한 포핏 밸브
US9297461B2 (en) Block and bleed valve assembly
KR101930393B1 (ko) 플러그 밸브
KR830002827B1 (ko) 혼합밸브
KR100614804B1 (ko) 유량조절밸브
KR200258206Y1 (ko) 밸브
US6382239B1 (en) Leak-detecting diverter valve
US20100230624A1 (en) Ball valve with a flat mounting face
US4019536A (en) Swing spout faucet
US3548878A (en) Valve assembly with expansion plug
ITPD20030027U1 (it) Struttura di valvola per la regolazione della portata per fluidi in pa rticolare frigoriferi.
KR200185606Y1 (ko) 에어 또는 가스조절밸브
KR200237088Y1 (ko) 절수 장치
US3802661A (en) Rotary valve with anti-corrosion and torque controlling means
KR200403849Y1 (ko) 더블 파일로트 밸브 붙이 버터플라이밸브의 누수차단장치
RU201106U1 (ru) Шаровой кран
RU183745U1 (ru) Кран
KR20100099863A (ko) 굴삭기 어태치먼트용 스톱밸브
KR200387266Y1 (ko)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KR960004541Y1 (ko) 수도관 동파방지용 밸브의 스푸울 헤드
KR200216887Y1 (ko) 앵글 밸브
KR200310695Y1 (ko) 글로우브 밸브
KR200399106Y1 (ko) 무빙시트를 가진 버터플라이밸브의 누수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