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869B1 - 수도전 푸시밸브 - Google Patents

수도전 푸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869B1
KR101143869B1 KR1020110131151A KR20110131151A KR101143869B1 KR 101143869 B1 KR101143869 B1 KR 101143869B1 KR 1020110131151 A KR1020110131151 A KR 1020110131151A KR 20110131151 A KR20110131151 A KR 20110131151A KR 101143869 B1 KR101143869 B1 KR 10114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valve
hole
water
push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연정
임상호
Original Assignee
임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연정 filed Critical 임연정
Priority to KR102011013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869B1/ko
Priority to PCT/KR2012/009643 priority patent/WO20130851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2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one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에서 수돗물이 급수되는 급수관에 설치되어 세면대·변기·싱크대·욕조 등의 수도전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푸시밸브에 관한 기술로서, 밸브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어댑터가 개방되어 세면대 등의 수도전으로 수돗물이 공급됨에 따라 별도로 밸브가 필요치 않고,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수도전 푸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상수도에서 수돗물이 급수되는 급수관에 나사 결합되고, 관통홀의 중간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된 단턱이 구현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구현된 관통홀과 관통공에 끼워져 설치되고, 몸체와 로드 및 헤드로 구현되는 푸시밸브와; 상기 어댑터에 구현된 관통홀의 한쪽에 끼워져 설치되고, 푸시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수도전 푸시밸브{Push the valve for water}
본 발명은 상수도에서 수돗물이 급수되는 급수관에 설치되어 세면대·변기·싱크대·욕조 등의 수도전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푸시밸브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급수관에 설치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어댑터를 밀폐하여 급수를 차단하는 한편 어댑터에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어댑터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급수하는 푸시밸브로 구성됨으로써, 밸브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어댑터가 개방되어 세면대 등의 수도전으로 수돗물이 공급됨에 따라 별도로 밸브가 필요치 않고,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수도전 푸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전 밸브(앵글밸브)는 세면대·변기·싱크대 등의 아래에 주로 설치되는 관계로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이처럼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수도전 밸브는 밸브를 차단하거나 오픈시킬 경우, 핸들을 돌려주어야 하지만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핸들을 돌리기가 불편하였다.
종래 수도전 밸브는 도면에서 도 12와 같이, 세면대(200) 등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벽체에 상수도에서 연결된 급수관(300)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300)에 수도전 밸브(400)가 나사 체결되어 설치되며, 세면대(200)에 구비된 수도전과 수도전 밸브(400)에 연결호스(100)가 각각 체결너트(110)로 기밀성이 유지되게 설치되어 수돗물이 공급된다.
상기에서 종래의 수도전 밸브(400)는 밸브몸체가 급수관에 나사 결합되고, 밸브를 차단하거나 오픈시키는 핸들이 밸브몸체에서 외부로 위치하는 한편 핸들에 의해 밸브를 개폐 작동하는 디스크가 밸브몸체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세면대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시 핸들을 정역 방향으로 돌려서 세면대의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도전 밸브는 세면대·변기·싱크대 등의 아래에 주로 설치되는 관계로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 설치됨에 따라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시 수돗물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핸들을 돌려 밸브를 개폐하기가 어렵고 번거로운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수도전 밸브는 급수관에 나사 결합되는 밸브몸체와, 밸브를 차단하거나 오픈시키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의해 밸브를 개폐 작동하는 디스크 등으로 구성됨에 따라 밸브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수도전 밸브(앵글밸브)에서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시 작업자가 핸들을 돌려서 밸브를 개폐하기가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과, 밸브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밸브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세면대 등의 수도전으로 수돗물이 공급됨에 따라 별도로 밸브가 필요치 않고, 밸브를 개폐 작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하고자 급수관에 설치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어댑터를 밀폐하여 급수를 차단하는 한편 어댑터에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어댑터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급수하는 푸시밸브로 구현된 수도전 푸시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수도에서 수돗물이 급수되는 급수관에 나사 결합되고, 관통홀의 중간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된 단턱이 구현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구현된 관통홀과 관통공에 끼워져 설치되고, 몸체와 로드 및 헤드로 구현되는 푸시밸브와; 상기 어댑터에 구현된 관통홀의 한쪽에 끼워져 설치되고, 푸시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어댑터는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태로 구현되며, 외측 양측에 너트부가 형성되는 한편 관통홀의 내부 중간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된 단턱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푸시밸브는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한편 중심부에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한쪽 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구현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에서 중심부로 급수공이 관통 형성된 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급수관에 설치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어댑터를 밀폐하여 급수를 차단하는 한편 어댑터에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어댑터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급수하는 푸시밸브로 구성됨으로써, 밸브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어댑터가 개방되어 세면대 등의 수도전으로 수돗물이 공급됨에 따라 별도로 밸브가 필요치 않고,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댑터에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연결호스의 주입구가 푸시밸브의 헤드를 밀어서 수돗물이 공급됨에 따라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시 별도로 밸브를 개폐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전 푸시밸브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전 푸시밸브의 요부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전 푸시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푸시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푸시밸브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수도전 푸시밸브의 다른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종래 수도전 밸브의 설치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밸브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연결호스를 체결할 경우, 어댑터가 개방되어 세면대 등의 수도전으로 수돗물이 공급됨에 따라 별도로 밸브가 필요치 않고, 밸브를 개폐 작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전 푸시밸브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상수도에서 수돗물이 급수되는 급수관(300)에 나사 결합되고, 관통홀(12)의 중간 부분에 관통공(14)이 형성된 단턱(13)이 구현되는 어댑터(10)와; 상기 어댑터(10)에 구현된 관통홀(12)과 관통공(14)에 끼워져 설치되고, 몸체(21)와 로드(22) 및 헤드(23)로 구현되는 푸시밸브(20)와; 상기 어댑터(10)에 구현된 관통홀(12)의 한쪽에 끼워져 설치되고, 푸시밸브(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패킹(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수도에서 수돗물이 공급되는 급수관(300)에 어댑터(10)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10)의 외측 너트부(11)에 연결호스(100)의 한쪽 체결너트(110)가 조여져 체결되는 한편 연결호스(100)의 다른 한쪽 체결너트(110)가 세면대(200)에 구비된 수도전에 조여져 체결된다.
따라서,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이 급수관(300)에서 어댑터(10)와 연결호스(100)를 통해 세면대(200)에 구비된 수도전으로 공급되며, 여기서 어댑터(10)는 내부에 푸시밸브(20)가 설치되어 연결호스(100)를 체결하지 않을 경우, 수돗물의 공급이 차단되고, 이와 반대로 어댑터(10)에 연결호스(100)를 체결할 경우, 푸시밸브(20)가 열리면서 수돗물이 공급된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어댑터(1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중심에 관통홀(12)이 형성된 원통형태로 구현되며, 외측 양측에 너트부(11)가 형성되는 한편 관통홀(12)의 내부 중간 부분에 관통공(14)이 형성된 단턱(13)이 구현된다.
상기에서 어댑터(10)의 양측에 형성된 너트부(11)는 한쪽 단부가 급수관(300)에 나사 결합되고, 이와 대향쪽 단부는 연결호스(100)의 체결너트(110)가 조여져 체결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푸시밸브(2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한편 중심부에 홈(25)이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한쪽 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구현된 로드(22)와; 상기 로드(22)의 단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에서 중심부로 급수공(23a)이 관통 형성된 헤드(2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푸시밸브(20)는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몸체(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한편 중심부에 안쪽으로 홈(25)이 형성되며, 원통형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2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푸시밸브(20)에서 로드(22)는 몸체(21)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몸체(21)의 한쪽 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구현되고, 상기 로드(22)의 단부에 헤드(2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로드(22)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23)는 외주연에 대칭형태로 급수공(23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급수공(23a)은 외주연에서 외측 중심부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푸시밸브(20)의 몸체(21)에서 로드(22)가 형성된 측면에 밀착되도록 패킹(26)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패킹(26)은 몸체(21)의 측면과 어댑터(10)의 관통홀(12)에 형성된 단턱(13)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패킹(30)은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어댑터(10)의 관통홀(12)에 끼워져 설치된 푸시밸브(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어댑터(10)를 급수관(300)에 결합할 경우, 급수관(300) 안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패킹(30)은 중심부가 관통되고, 외측부에 단턱이 형성된 링형태로 구현되며, 푸시밸브(20)가 끼워진 방향에서 어댑터(10)의 관통홀(12)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전 푸시밸브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어댑터(10)에서 어느 한쪽의 관통홀(12)에 푸시밸브(20)의 헤드(23)를 끼워서 헤드(23)가 관통홀(12)의 단턱(13)에 형성된 관통공(14)을 통과하여 끼워지도록 설치하고, 푸시밸브(20)가 끼워진 방향에서 관통홀(12)에 패킹(30)을 끼워 푸시밸브(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댑터(10)에서 패킹(30)이 끼워진 방향의 너트부(11)를 상수도에서 수돗물이 공급되는 급수관(300)에 결합하여 설치되고, 이와 대향쪽의 너트부(11)에 연결호스(100)의 한쪽 체결너트(110)를 조여 체결함으로써,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이 급수관(300)과 어댑터(10)를 통하여 연결호스(100)로 급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전 푸시밸브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도면에서 도 2와 같이, 급수관(300)에 어댑터(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수도의 메인밸브를 열면, 급수관(300)을 통하여 어댑터(10)의 관통홀(12)로 수돗물이 공급되며, 이때 관통홀(12)에 끼워진 푸시밸브(20)가 수압으로 인해 급수관(300)의 대향쪽으로 밀려서 몸체(21)의 측면에 끼워진 패킹(26)이 단턱(13)에 밀착되면서 관통공(14)을 밀폐하여 수돗물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수돗물이 공급되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급수관(300)에 결합된 어댑터(10)의 대향쪽 너트부(11)에 패킹(130)이 끼워진 연결호스(100)의 체결너트(110)를 조여 결합하면, 연결호스(100)의 단부에 구현된 주입구(120)가 푸시밸브(20)의 헤드(23)를 밀어서 몸체(21)에 끼워진 패킹(26)과 단턱(13)이 서로 이탈되므로 급수관(300)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이 몸체(21)에 형성된 돌기(24) 사이로 유입되어 단턱(13)의 관통공(14)과 헤드(23)에 형성된 급수공(23a)을 통하여 연결호스(100)의 주입구(120)로 유입됨에 따라 수돗물이 연결호스(100)를 통해 세면대(200) 등의 수도전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관(300)에 결합된 어댑터(10)에 연결호스(100)를 체결할 경우, 연결호스(100)의 주입구(120)가 푸시밸브(20)의 헤드(23)를 밀어서 수돗물이 공급됨에 따라 세면대 등의 설치작업 및 수리작업시 밸브를 별도로 개폐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댑터(10)의 관통홀(12)에 푸시밸브(20)를 끼워 조립할 경우, 관통홀(12)의 어느 한쪽에 푸시밸브(20)를 끼워도 무방하므로 밸브의 조립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푸시밸브(20)의 몸체(21)와 패킹(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어댑터(10)의 관통홀(12)에 스프링(40)이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 급수관(300)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수압이 약하거나 또는 수압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패킹(30)에 지지된 스프링(40)이 푸시밸브(20)의 몸체(21)를 단턱(13)이 위치한 방향으로 밀어서 패킹(26)과 단턱(13)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관통공(14)이 밀폐되어 수돗물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푸시밸브(20)에 형성된 헤드(23)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헤드(23)에 급수공(23a)을 형성하지 않고, 헤드(23)의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요철돌기(23b)와 요철홈(23c)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 헤드(23)에 형성된 다수개의 요철돌기(23b)가 연결호스(100)의 주입구(120)에 밀려서 단턱(13)의 관통공(14)이 개방되므로 수돗물이 유입되고, 또한 다수개의 요철홈(23c)을 통하여 연결호스(100)의 주입구(120)로 수돗물이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립상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 도 11과 같이, 어댑터(10)에서 패킹(30)이 끼워진 대향쪽 관통홀(12)에 연결호스(100)의 체결너트(110)에 내장되는 패킹(130)을 끼워 조립한 다음, 연결호스(100)의 주입구(120)가 패킹(130)에 끼워지도록 어댑터(10)의 너트부(11)에 연결호스(100)의 체결너트(110)를 조여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호스(100)의 주입구(120)를 어댑터(10)의 관통홀(12)에 끼워진 패킹(130)에 먼저 끼운 다음, 연결호스(100)의 체결너트(110)를 어댑터(10)의 너트부(11)에 조여 체결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어댑터 11: 너트부
12: 관통홀 13: 단턱
14: 관통공 20: 푸시밸브
21: 몸체 22: 로드
23: 헤드 23a: 급수공
24: 돌기 26: 패킹
30: 패킹 40: 스프링
100: 연결호스 110: 체결너트
120: 주입구 130: 패킹
200: 세면대 300: 급수관

Claims (8)

  1. 삭제
  2. 상수도에서 수돗물이 급수되는 급수관(300)에 나사 결합되는 어댑터(10)와; 상기 어댑터(10)에 끼워져 설치되고, 몸체(21)와 로드(22) 및 헤드(23)로 구현되는 푸시밸브(20)와; 상기 어댑터(10)의 한쪽에 끼워져 설치되고, 푸시밸브(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급수관(300) 안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30);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10)는,
    중심에 관통홀(12)이 형성된 원통형태로 구현되며, 외측 양측에 너트부(11)가 형성되는 한편 관통홀(12)의 내부 중간 부분에 관통공(14)이 형성된 단턱(13)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푸시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푸시밸브(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한편 중심부에 홈(25)이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한쪽 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구현된 로드(22)와; 상기 로드(22)의 단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에서 중심부로 급수공(23a)이 관통 형성된 헤드(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푸시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푸시밸브(20)의 몸체(21)는 원통형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24)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푸시밸브.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131151A 2011-12-08 2011-12-08 수도전 푸시밸브 KR10114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151A KR101143869B1 (ko) 2011-12-08 2011-12-08 수도전 푸시밸브
PCT/KR2012/009643 WO2013085159A1 (ko) 2011-12-08 2012-11-15 수도전 푸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151A KR101143869B1 (ko) 2011-12-08 2011-12-08 수도전 푸시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869B1 true KR101143869B1 (ko) 2012-05-14

Family

ID=4627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151A KR101143869B1 (ko) 2011-12-08 2011-12-08 수도전 푸시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3869B1 (ko)
WO (1) WO20130851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41A (ko) * 2017-01-09 2018-07-18 신현오 급수밸브
KR20190051345A (ko) 2017-11-06 2019-05-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 푸시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0955B4 (de) * 2016-01-25 2020-06-04 Marcel Chrobok Blockiervorrichtung, Montagepaar aus Blockiervorrichtung und Montagewerkzeug zum Verhindern des unbeabsichtigten Austretens von Fluid aus einem Rohrsystem
KR102286720B1 (ko) * 2019-12-05 2021-08-06 주식회사 케이엘테크 고압가스 용기용 밸브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71U (ja) * 1994-03-25 1994-09-20 三島光産株式会社 流体用継手
KR0161011B1 (ko) * 1992-07-11 1998-12-01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밸브장치
KR200204278Y1 (ko) 2000-06-23 2000-11-15 이정헌 체크밸브
KR100836672B1 (ko) 2007-11-21 2008-06-10 구월순 수도관의 수압차단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466Y1 (ko) * 1999-07-24 2000-02-15 송용만 세면대용 수도전
KR101085452B1 (ko) * 2008-08-26 2011-11-21 박강훈 급수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011B1 (ko) * 1992-07-11 1998-12-01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밸브장치
JP3002371U (ja) * 1994-03-25 1994-09-20 三島光産株式会社 流体用継手
KR200204278Y1 (ko) 2000-06-23 2000-11-15 이정헌 체크밸브
KR100836672B1 (ko) 2007-11-21 2008-06-10 구월순 수도관의 수압차단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41A (ko) * 2017-01-09 2018-07-18 신현오 급수밸브
KR101912309B1 (ko) 2017-01-09 2018-10-26 신현오 급수밸브
KR20190051345A (ko) 2017-11-06 2019-05-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 푸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159A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3290B1 (en) Anti-inundation and drainage structure for a anti-freeze faucet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US20060196561A1 (en) Wall hydrant having backflow preventor
US20110126932A1 (en) Faucet device
US20190153710A1 (en) Drain cover assembly
US20060237072A1 (en) Tubular fitment for lavatory facility
KR101830396B1 (ko) 친환경 관붙이 앵글밸브
JP2017519926A (ja) 取り付け簡単な蛇口構造
KR101090519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KR101546573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JP6441758B2 (ja) 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ホース組付け機構
KR101950155B1 (ko) 밸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앵글밸브
KR100840148B1 (ko) 분기밸브
KR1020763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앵글밸브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442311Y1 (ko) 분기용 밸브캡 조립체
KR101021884B1 (ko) 워터햄머 흡수기용 밸브조립체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KR100278579B1 (ko)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US20110248098A1 (en) Portable faucet sprayer
KR20110088602A (ko) 수밀성과 유로 확장성이 우수한 2단형 역류방지 밸브
KR20080002553U (ko)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KR100884103B1 (ko) 토수구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토수밸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